KR102502281B1 - 스트레칭 등받이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281B1
KR102502281B1 KR1020200053391A KR20200053391A KR102502281B1 KR 102502281 B1 KR102502281 B1 KR 102502281B1 KR 1020200053391 A KR1020200053391 A KR 1020200053391A KR 20200053391 A KR20200053391 A KR 20200053391A KR 102502281 B1 KR102502281 B1 KR 10250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ackrest
user
chest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113A (ko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20005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81B1/ko
Priority to PCT/KR2021/005501 priority patent/WO2021225337A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13A/ko
Priority to KR1020230019431A priority patent/KR2023002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에 있어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흉배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흉부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위에 대응되는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로부터 견갑골, 갈비뼈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으로 만곡을 이루는 폭방향의 제1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 등받이 {Stretching backrest}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등받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하게 되면 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가슴이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유도하여 몸을 이완시켜 주고 피로와 스트레스를 능률적으로 줄여 주며 보다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기능성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인위적으로 가슴을 펴주는 행동보다는 업무, 공부, 스마트폰, 운전 등으로 가슴을 웅크리거나 숙이고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또한, 좌석 의자나 침상 매트 등 시중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일반적인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평평하게 제작되거나, 사용자의 등을 감싸도록 오목하게 제작되어 가슴이 펴지는 것을 방해하며 가슴과 어깨를 비롯한 등 부위를 보호해주는 별도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어느 특정 위치로 편중되어 앞으로 숙여지는 등 바른 자세를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등받이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체의 척추와 허리를 비롯한 근골격과 그 주변조직을 비롯한 내부 장기를 압박함에 따라 혈액순환 등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자세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를 볼록한 돔 구조 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슴을 펴줄 수 있는 부분을 방해하고 가슴과 어깨 또는 척추와 허리를 비롯한 등 부위가 바른 자세를 가지지 못해 사용자의 신체가 어느 특정 위치로 편중되어 쉽게 피로해지고 스트레스를 주는 불안정한 자세를 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자연스럽게 가슴이 펴지도록 보완해 줌으로써 몸을 이완시켜 주고 보다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에 있어서, 시트(200); 및 상기 시트(200);의 흉배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흉부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지지부재(10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위에 대응되는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로부터 견갑골, 갈비뼈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으로 만곡을 이루는 폭방향의 제1만곡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받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등받이에 있어서, 시트(200); 및 상기 시트(200);의 흉배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흉부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지지부재(10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사용자의 흉추 부위에 대응되는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로부터 경추, 요추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으로 만곡을 이루는 길이방향의 제2만곡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받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칭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탈부착이나 출납할 수 있는 모형프레임(172),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프레임(210),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칭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시트(200)에 착용구(310)가 구비되어 몸에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를 볼록한 돔 구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자연스럽게 가슴이 펴지면서 견갑골과 어깨가 뒤로 젖혀지고 척추와 허리 등을 비롯한 상체의 근골격과 그 주변조직 그리고 내부 장기를 이완시켜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여 주고 보다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여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폭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받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도 1의 C-C`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의 폭 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재가 주입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크로 형태로 탈부착되는 모형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결합된 착용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결합된 착용물을 사용자가 작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가슴 스트레칭은 인위적인 행동으로 양팔을 뒤로 하고 견갑골과 어깨를 뒤로 젖혀 가슴이 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읕 가슴 스트레칭을 통해 척추와 허리가 바로 세워줘 상체의 근골격과 주변조직을 비롯한 내부 장기를 이완시키면서 몸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컨디션을 좋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내용(동작원리)을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의 형상 및 사용자가 등받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는 지지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너비와 길이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이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입체구조로 돌출되면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은 사용자의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되며,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은 상기 상면의 반대 방향의 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사용자의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유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와 높이를 가지는 입체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100)는 제1만곡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만곡부(11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볼록하게 돌출된 상면의 정상부에서 폭 방향의 양 측면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볼록한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만곡부(11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폭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만곡부(110)는 흉추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만곡부(110)의 정상부는 사용자의 견갑골, 갈비뼈 사이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등 부위 접촉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대칭의 양 견갑골, 갈비뼈 사이의 일부 부위와 대응되는 상면의 정상부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정상부로 부터 견갑골, 갈비뼈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은 하향경사면을 이루어 폭방향의 제1 만곡부(110)를 형성하여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유도할 수 있다.
삭제
즉,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흉추를 비롯하여 흉추를 중심으로 대칭하는 견갑골, 갈비뼈 등을 포함한 주변 조직들은 상기 제1만곡부(11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쳐지게 되면서 감싸듯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기 제1만곡부(110)를 통해 상체의 중심, 균형, 방향성을 잡아주면서 하중, 압력 등의 물리적인 힘을 효율적으로 지지, 분산, 흡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100)는 제2만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만곡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볼록하게 돌출된 상면의 정상부에서 길이 방향의 양 측면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볼록한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만곡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만곡부(120)는 흉추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만곡부(120)의 정상부는 사용자의 5번 흉추 내지 7번 흉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등 부위 접촉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흉추의 일부 부위와 대응되는 상면의 정상부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정상부로 부터 경추 또는 요추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은 하향경사면을 이루어 길이방향의 제2만곡부(120)를 형성하여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유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즉,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흉추를 비롯하여 등의 중심축인 척추를 따라 흐르는 등줄기를 포함하는 주변 조직들은 상기 제2만곡부(12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쳐지게 되면서 감싸듯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기 제2만곡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 하중, 압력 등의 물리적인 힘을 효율적으로 지지, 분산,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에 제1만곡부(110) 또는 제2만곡부(120)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흉배(가슴 반대편의 흉추를 포함하는 등부분)에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흉추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자연스럽게 가슴이 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1만곡부(110) 또는 제2만곡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100)에 사용자가 접촉하게 되면 흉배로 상기 지지부재(100)를 덮어 감싸고 있는 듯한 모양새로 등의 중심과 균형 그리고 방향성을 잡아주어 상체의 물리적 힘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효율적으로 지지, 분산, 흡수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견갑골과 어깨가 뒤로 젖혀지게 하면서 척추와 허리 등을 비롯한 상체의 근골격과 주변 조직, 내부 장기 등을 이완시켜 주고 사용자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으며 보다 편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제1만곡부(110)는 대칭의 만곡을 형성하고 제2만곡부(120)는 대칭, 비대칭의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는 제2지지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소정의 너비와 길이를 가지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이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입체구조로 돌출되면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천골과 관골의 일부를 비롯한 요추를 받쳐줄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150)의 정상부는 사용자의 요추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제3만곡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만곡부(151)는 상기 제2지지부재(150)의 하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상면의 정상부에서 길이 방향의 양 측면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볼록한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제4만곡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4만곡부(153)는 상기 제2지지부재(150)의 하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상면의 정상부에서 폭 방향의 양 측면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볼록한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2지지부재(150)의 하면으로부터 허리 부위 접촉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면의 정상부에서 폭 방향으로 요추 부위와 대응되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요방형근, 허리살과 대응되는 양 측면 바깥쪽은 하향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4만곡부(153)를 가지는 전반적으로 볼록한 돔 구조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즉, 요추를 비롯하여 요추를 중심으로 대칭하는 요방형근, 허리살 등을 포함한 주변 조직들은 상기 제4만곡부(153)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쳐지게 되면서 감싸듯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50)에 상기 제3만곡부(151) 또는 상기 제4만곡부(153)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가슴이 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재(150)에 상기 제3만곡부(151) 또는 상기 제4만곡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함으로써 허리로 상기 제2지지부재(150)를 덮어 감싸고 있는 듯한 모양새로 허리 부위의 불필요한 간섭을 줄여주어 주변 조직들의 압박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며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져다 줄 수 있다. 그리고 요추를 비롯한 허리 부위의 근골격과 주변 조직, 내부 장기 등을 이완시켜 주고 사용자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으며 보다 편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도 5(a)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100)와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150)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사용하면,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더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여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상기 지지부재(100)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 동일한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재질은 전반적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가슴이 펴지도록 유도하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TPE 또는 NBR 소재, 솜, 스펀지, 메모리폼, 실리콘, 플라스틱, 금속, 고무, 섬유, 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다양한 등받이에 적용되며, 어느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구성과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다양한 쿠션 강도를 가진 소재를 사용하되, 재질이나 여건에 따라 만곡을 이루는 볼록한 정도를 달리하여 등을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은 복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 도 2(c),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면, 사용자의 필요 요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00)의 볼록한 정도를 조절하며 스트레칭 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에는 돌기를 비롯한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b), 도 2(c),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0)는 사용자의 경락을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다양한 지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독맥 경락을 자극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에는, 함몰된 함몰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함몰부(160)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에 홈, 홀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이거나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60)는 사용자의 요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a), 도 6(b)와 같이 분리,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6(c)와 같이 시트(200) 면에서 이격 또는 돌출되어 등의 접촉면을 최소화 하는 형태, 도 6(d)와 같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함몰부(160)로 기재 되어 있는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거나 돌기를 비롯한 돌출부일 수 있으며 그 주변부는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볼록한 돔 구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는 다양한 주입재를 통해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00)는 튜브(17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0)는 내부 압력을 가감할 수 있도록 일측에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0)는 돔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0) 내부에 별도의 튜브(171)가 구비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 내부에 격벽을 가지는 튜브(171)가 형성되면, 공급하는 주입재의 양을 가감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팽창, 수축되어 상기 지지부재(100)의 높이 및 경사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전반적으로 볼록한 돔 구조형상으로 형성되되, 부착력이 있는 단일이나 다수 개의 패드를 탑처럼 다단이 층을 이루며 쌓을 수 있는 밸크로 형태, 사용자의 체형과 선호도에 따른 넓이와 높이를 가지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밴드가 결합된 밴드 형태, 포켓 속에 상기 지지부재(100)를 출납할 수 있는 포켓 형태 등을 포함하는 모형프레임(17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형프레임(172)은 사이즈 별로 제작하여 휴대하면서 적합한 장소, 다양한 기구에 단순히 올려놓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밸크로 형태를 비롯한 모형프레임(172)이 하나의 상기 지지부재(100)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시트(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200)는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200)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섬유, 목재, TPE 또는 NBR 소재, 메모리폼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독 혹은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0)는 평면이나 곡면, 바닥면이 함몰된 형상, 양 측면이 돌출된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체의 움직임을 몸을 안전적으로 지지해주고 낙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장소 또는 다양한 장치, 품목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밸크로(170)나 상기 포켓 등의 모형프레임(172)을 통해 다른 곳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00)는 시트(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단일이나 다수 개의 패드를 탑처럼 다단이 층을 이루며 쌓을 수 있는 밸크로(170)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체형과 기호에 따른 조건에 맞게 바람직하고 적합한 위치, 높낮이, 경사도, 넓이 등을 탈부착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타입의 형태는 시트(200)으로 부터 다단이 층을 이루며 형성되되, 시트(200)와 최상층 벨크로(170) 패드 사이의 중간층 벨크로(170) 패드는 평탄면을 이루며 상층으로 올라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최상층 벨크로(170) 패드는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유도하기 위해 폭방향의 제1만곡부, 길이방향의 제2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기호에 따라 길이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이 가능하며 단수나 다수개의 중간층 벨크로(170) 패드를 탈부착하거나 최상층 벨크로(170) 패드만을 시트(200)에 부착하여 벨크로 타입의 전체 사이즈(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시트(200)에서 상기 지지부재(100)가 탈부착되는 지점에는 디자인(미도시)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가 상기 시트(200)에서 탈착될 경우, 상기 시트(200)에서 상기 지지부재(100)가 탈착되는 지점이 미관상 좋지 않을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200)에서 상기 지지부재(100)가 탈부착되는 지점에는 디자인이 부가되어 이미지를 살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20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시트(200)에 삽입되면서 상기 시트(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에서 상면까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시트 또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에서 상면까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접착력을 가지는 밸크로 형태의 장치, 상술한 격벽이 형성된 튜브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며, 카메라 렌즈의 배율 조절 구동(카메라 줌 렌즈)방식과 같이 전동모터 구동방법에 의해 다단이 층을 이루며 높낮이가 연장, 단축되는 전동모터 슬라이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유무선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작동하는 모드, 주기적으로 상하강하는 모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다단이 층을 이루며 높낮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은 전동모터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순차적으로 층이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프레임(210)을 통해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프레임(22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신체 사이즈나 기호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0)의 사용 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삭제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은 상기 지지부재(10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홀에 핀을 꽂아 상하 길이방향의 위치를 잡아주는 핀앤홀, 손으로 밀어서 위치를 잡아주는 수동 슬라이드, 부착력을 이용하여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밸크로 등의 수동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은, 랙과 피니언, 유압 슬라이드 등의 기계식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동 슬라이드 등과 같이 전기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자동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00)는 위치 조절프레임(220)이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프레임(220)은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구비된 시트(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200)는 홈을 중심으로 양 갈래로 갈라지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의자의 등받이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시트(200)의 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위치 조절프레임(220)을 통해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지지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00)는 위치 조절프레임(220)인 이동 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재(100) 상에 결합시켜 길이방향의 상하단으로 위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슬라이딩시켜주는 위치 조절프레임(2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지지부재(100)를 착용물(300)의 시트(20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는 착용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조끼, 밴드, 배낭, 가방을 비롯한 레깅스와 같은 의류 등을 포함하는 착용물(300)의 시트(100)에 상기 지지부재(100)가 형성되어 흉부(가슴) 스트레칭을 하듯 가슴을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등받이는 등판에 해당하는 시트(200)에 상기 지지부재(100)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200)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구(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가 제작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100)는 사용자의 등부위와 접촉하는 시트(200)의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착용구(310)는 어깨띠(311), 가슴띠(312), 허리띠(313)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착용구(31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을 비롯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시트(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200)의 외면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200)에 상기 지지부재(100)를 결합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방식을 비롯한 스프링이나 튜브 등과 같은 탄성력을 이용한 방식, 밸크로나 밴드 타입 또는 포켓 타입 등으로 탈부착하거나 출납할 수 있는 모형프레임 방식, 다단이 상승하강하는 높낮이 조절프레임 방식, 위치 조절프레임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15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지지부재(100)가 착용물(300)의 시트(200)에 형성되어 착용구(310)에 의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착용물(300)을 착용하게 되면, 굴신에 따른 텐션을 가질 수 있으며 어깨에 부담을 줄여주면서 흉부 스트레칭을 하듯 자연스럽게 가슴이 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기재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도면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 등받이를 구비하여 가슴을 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지지부재 110...제1만곡부
120...제2만곡부 130...돌출부
150...제2지지부재 151...제3만곡부
153...제4만곡부 160...함몰부
170...밸크로 171...튜브
172..모형프레임 200...시트
210...높낮이 조절프레임 220...위치 조절프레임
230...조절 스위치 300...착용물
310...착용구 311...어깨띠
312...가슴띠 313...허리띠

Claims (9)

  1. 등받이에 있어서,
    시트(200); 및
    상기 시트(200);의 흉배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흉부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지지부재(10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사용자의 흉추부위에 대응되는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로부터 견갑골, 갈비뼈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으로 만곡을 이루는 폭방향의 제1만곡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면의 일측면으로부터 하면의 타측면까지 상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되 사용자의 흉추 부위에 대응되는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정상부로부터 경추, 요추가 있는 방향 양측면 바깥쪽으로 만곡을 이루는 길이방향의 제2만곡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등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탈부착이나 출납할 수 있는 모형프레임(172),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프레임(210),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스트레칭 등받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시트(200)에 착용구(310)가 구비되어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스트레칭 등받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53391A 2020-05-04 2020-05-04 스트레칭 등받이 KR10250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91A KR102502281B1 (ko) 2020-05-04 2020-05-04 스트레칭 등받이
PCT/KR2021/005501 WO2021225337A1 (ko) 2020-05-04 2021-04-30 스트레칭 등받이
KR1020230019431A KR20230028342A (ko) 2020-05-04 2023-02-14 스트레칭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91A KR102502281B1 (ko) 2020-05-04 2020-05-04 스트레칭 등받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31A Division KR20230028342A (ko) 2020-05-04 2023-02-14 스트레칭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13A KR20210135113A (ko) 2021-11-12
KR102502281B1 true KR102502281B1 (ko) 2023-02-23

Family

ID=784681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91A KR102502281B1 (ko) 2020-05-04 2020-05-04 스트레칭 등받이
KR1020230019431A KR20230028342A (ko) 2020-05-04 2023-02-14 스트레칭 등받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31A KR20230028342A (ko) 2020-05-04 2023-02-14 스트레칭 등받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02281B1 (ko)
WO (1) WO202122533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424Y1 (ko) * 2001-10-25 2002-02-04 이정임 시트의 보조쿠션
KR200325031Y1 (ko) * 2003-05-21 2003-09-02 이상태 에어쿠션
JP2008119098A (ja) * 2006-11-09 2008-05-29 Wald Co Ltd 自動車シート用背当て
KR200468176Y1 (ko) * 2012-03-05 2013-08-01 허홍 등허리 받침 매트리스를 구비한 수면용 조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078B2 (ja) * 1993-08-03 2003-08-18 株式会社ドクターエル 矯正用背凭れ板
US9468301B2 (en) * 2013-04-30 2016-10-18 Tropitone Furniture Co., Inc. Seating with adjustable cush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424Y1 (ko) * 2001-10-25 2002-02-04 이정임 시트의 보조쿠션
KR200325031Y1 (ko) * 2003-05-21 2003-09-02 이상태 에어쿠션
JP2008119098A (ja) * 2006-11-09 2008-05-29 Wald Co Ltd 自動車シート用背当て
KR200468176Y1 (ko) * 2012-03-05 2013-08-01 허홍 등허리 받침 매트리스를 구비한 수면용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337A1 (ko) 2021-11-11
KR20230028342A (ko) 2023-02-28
KR20210135113A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706B1 (ko)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US5237713A (en) Lounge cushions
US20180146719A1 (en) Support apparatus
WO2006091065A1 (es) Mejoras en prendas de vestir para levantar los glúteos
US8783537B2 (en) Ergonomic backpack
JPS63503287A (ja) 横臥または着座エレメント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102502281B1 (ko) 스트레칭 등받이
KR102064499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아치형 좌석시트
US200902591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lleviating Back Pain
KR101304363B1 (ko) 가변형 허리베개
WO2017033467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101815183B1 (ko) 디스크 방지용 방석
US20080061618A1 (en) Exercise Cushion And Uses Thereof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JP3215350U (ja) リラックス装置
KR101910086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EP1454560A1 (en) Cushion for a back support
CN112641580B (zh) 可调节的腰部恢复枕
JP5500466B2 (ja) 臀部サポートパンツ
KR100760469B1 (ko)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CN210540207U (zh) 一种护腰垫
JP2020048856A (ja) 棒状ボディ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