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68Y1 -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68Y1
KR200491568Y1 KR2020180003885U KR20180003885U KR200491568Y1 KR 200491568 Y1 KR200491568 Y1 KR 200491568Y1 KR 2020180003885 U KR2020180003885 U KR 2020180003885U KR 20180003885 U KR20180003885 U KR 20180003885U KR 200491568 Y1 KR200491568 Y1 KR 200491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pine
protector
present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69U (ko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Priority to KR2020180003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6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호자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아기를 업을 수 있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아기(12)의 어깨 영역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60); 아기(12)의 엉덩이 영역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70);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는 등받침(120); 및 등받침(120)내에서 상기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여 상기 척추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척추보호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Baby Blanket with a Spine Support}
본 고안은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아기용 포대기(일명 : 포대, 아기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대기(10)는 보호자의 어깨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어깨끈(17), 보호자의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허리끈(19) 및 어깨끈(17)과 허리끈(19) 사이를 연결하는 등받침(1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포대기(10)를 착용하였을 때 아기(120)는 보호자와 대면할 수 있다. 종래의 등받침(15)은 경량화를 위해 직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아기(12)를 지탱하기에는 충분하였으나 탄성이 없기 때문에 아기(12)의 척추(등부분)이 외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했다. 특히 0세 ~ 3세까지의 아기(12)인 경우 척추가 아직 미발달된 상태이므로 포대기(10)를 장시간 착용하거나 착용상태에서 보호자가 뛰는 경우 아기(12)의 척추에 무리가 가거나 변형이 올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123호(2009년 7월 15일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대기의 착용시 아기의 척추(등부분)을 바르게 지지할 수 있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호자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아기를 업을 수 있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아기(12)의 어깨 영역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60); 아기(12)의 엉덩이 영역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70);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는 등받침(120); 및 등받침(120)내에서 상기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여 상기 척추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척추보호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가 제공된다.
한편, 등받침(120)은 직물로 구성되고, 척추보호대(140)는 직물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척추보호대(140)는 척추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상부지지대(160)와 하부지지대(170)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한편, 척추보호대(140)는 아기(12)의 척추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척추를 지지한다.
또는, 척추보호대(140)는 척추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척추보호대(142); 및 제 1 척추보호대(142)와 이격된 채로 상기 척추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 2 척추보호대(144);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척추보호대(142)와 제 2 척추보호대(144) 사이에는 통기공(18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가 포대기에 타고 있어도 등부분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아 척추를 바르게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시간 포대기를 사용하거나 포대기 착용후 보호자가 뛰더라도 아기의 척추에 무리가 없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아기용 포대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기(100)는 상부에 한쌍의 어깨끈(11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한쌍의 허리끈(150)이 구비된다. 어깨끈(110)은 보호자의 어깨에 착용하는 것으로 포대기(100)의 중량 대부분을 지탱한다. 이러한 어깨끈(110)은 직물, 스펀지, 합성수지재, 가죽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허리끈(150)은 보호자의 허리영역에 착용하는 것으로 포대기(100)가 보호자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고 보행중 아기(120)와 포대기(1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허리끈(150)은 등산용 버클, 파스너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물, 스펀지, 합성수지재, 가죽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지지부(160)는 아기(12)의 어깨 영역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다. 상부지지부(160)는 상단에서 한쌍의 어깨끈(110)과 연결되고, 하단에서 등받침(120)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지지부(160)는 직물과 스펀지 및 부분적인 합성수지재(예 : 플라스틱)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부지지부(170)는 아기(12)의 엉덩이 영역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갖는다. 하부지지부(1770)는 양측에서 한쌍의 허리끈(150)과 연결되고, 상단에서 등받침(120)과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지지부(170)는 직물과 스펀지 및 부분적인 합성수지재(예 : 플라스틱)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등받침(120)은 상부지지부(160)와 하부지지부(170) 사이를 연결하며, 아기(12)의 체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인장력을 가지면서도 가볍고 통기성이 우수한 직물로 제작한다.
척추보호대(140)는 단단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예 :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며 밴드 형상을 갖는다. 척추보호대(140)의 일단(상단)은 상부지지부(160)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하부지지부(170)에 연결된다. 이러한 척추보호대(140)는 등받침(120)의 가운데에서 상부지지부(160)와 하부지지부(170)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척추보호대(140)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아기(12)의 척추를 일직선으로 지지할 수도 있고, 척추(특히 요추) 방향으로 만곡되어 척추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척추보호대(140)는 아기(12)의 척추 곡선(예 : S자 곡선)과 유사하게 제작하여 인체공학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12)가 포대기(100)에 태워지는 경우 척추보호대(140)로 인해 등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끈(110), 상부지지부(160), 하부지지부(170), 허리끈(150)의 구성은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는 단단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예 :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며 밴드 형상을 갖는다.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의 일단(상단)은 상부지지부(160)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은 하부지지부(17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는 등받침(120)의 가운데에서 척추의 폭만큼(또는 척추의 폭보다 조금 더 큰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상부지지부(160)와 하부지지부(170)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아기(12)의 척추를 일직선으로 지지할 수도 있고, 척추(특히 요추) 방향으로 만곡되어 척추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는 아기(12)의 척추 곡선(예 : S자 곡선)과 유사하게 제작하여 인체공학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12)가 포대기(100)에 태워지는 경우 이격된 한쌍의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로 인해 한쌍의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 사이에 척추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아기(12)의 등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제 1, 2 척추보호대(142, 144) 사이의 등받침(120) 영역에는 통기공(180)이 형성되어 경량화와 아기(12)의 땀 배출을 돕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포대기,
12 : 아기,
15 : 등받침,
17 : 어깨끈,
19 : 허리끈, (도면추가)
100 : 포대기,
110 : 어깨끈,
120 : 등받침,
140 : 척추보호대,
142 : 제 1 척추보호대,
144 : 제 2 척추보호대,
150 : 허리끈,
160 : 상부지지부,
170 : 하부지지부,
180 : 통기공. (도면 추가)

Claims (6)

  1. 보호자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아기(12)를 업을 수 있는 아기용 포대기에 있어서,
    상기 아기(12)의 어깨 영역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60);
    상기 아기(12)의 엉덩이 영역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70);
    상기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는 등받침(120); 및
    상기 등받침(120)내에서 상기 상부지지부(160)와 상기 하부지지부(170)를 연결하여 아기(12)의 척추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척추보호대(140);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보호대(140)는,
    상기 척추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척추보호대(142); 및
    상기 제 1 척추보호대(142)와 이격된 채로 상기 척추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 2 척추보호대(144);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척추보호대(142)와 상기 제 2 척추보호대(144) 사이에는 통기공(18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척추보호대(142) 및 상기 제2 척추보호대(144)는,
    상기 척추의 폭만큼 이격되며, 상기 아기(12)의 척추 곡선과 유사하게 척추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척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120)은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척추보호대(140)는 상기 직물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80003885U 2018-08-21 2018-08-21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KR200491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85U KR200491568Y1 (ko) 2018-08-21 2018-08-21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85U KR200491568Y1 (ko) 2018-08-21 2018-08-21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69U KR20200000469U (ko) 2020-03-02
KR200491568Y1 true KR200491568Y1 (ko) 2020-05-29

Family

ID=6976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85U KR200491568Y1 (ko) 2018-08-21 2018-08-21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6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394Y1 (ko) * 2003-07-14 2003-10-17 김찬수 척추보호대가 설치된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11Y1 (ko) 2008-01-10 2010-02-11 신용남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KR20090008187U (ko) * 2008-02-11 2009-08-14 최창길 아기 포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394Y1 (ko) * 2003-07-14 2003-10-17 김찬수 척추보호대가 설치된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69U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US11224792B2 (en) Athletic hand grips
CN106999743A (zh) 一种支撑装置
US20140276325A1 (en) Clothing article with protective cup
ITTV20080039A1 (it) Collare di protezione in particolare per guidatori di motoveicoli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150128979A1 (en) Wig cap
US8784349B1 (en) Knee brace
EP2768332B1 (en) Neck collar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200491568Y1 (ko) 척추보호대를 갖춘 아기용 포대기
JP2017075411A (ja) 日焼け防止用マスク
JP2006257615A (ja) 保護胴衣及びプロテクタ
KR200476355Y1 (ko)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가방 하중 분산 부재
KR200438717Y1 (ko) 허리보호대용 지지판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20160061075A (ko) 힙시트 허리밴드 보강 구조체
KR200466701Y1 (ko) 통풍과 체온조절이 용이한 등받이가 부착된 가방
KR200423094Y1 (ko) 무릎 모음 밴드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US20120228344A1 (en) Portable drip bottle/bag stand carriage strap
KR20120005141U (ko) 무릎보호대
KR20090090701A (ko) 슬라이딩 어깨 보호대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KR20150088388A (ko) 의자용 자세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