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64B1 - 요비선 진행 장치 - Google Patents

요비선 진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64B1
KR101906764B1 KR1020180039493A KR20180039493A KR101906764B1 KR 101906764 B1 KR101906764 B1 KR 101906764B1 KR 1020180039493 A KR1020180039493 A KR 1020180039493A KR 20180039493 A KR20180039493 A KR 20180039493A KR 101906764 B1 KR101906764 B1 KR 10190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ancing
flexible tube
winding
screw
rotar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이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기 filed Critical 이석기
Priority to KR102018003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관에 형성되는 나사 주름을 따라 요비선을 진행시키는 장치로서, 요비선을 권취하는 권취부;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 주름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요비선의 선단부재를 상기 가요관 내부로 진행시키는 진행부; 상기 진행부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권취된 요비선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진행부 및 상기 인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비선 진행 장치{DEVICE FOR DRAWING OUT A WIRE}
본 발명은 요비선 진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가요관의 나사 주름을 따라 회전하여 요비선을 진행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전선, 전화선, 통신선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선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선은 가요관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가요관에 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요비선(Fish Tape, Wire Follow)이 사용된다. 통상 요비선으로는 전화선이나 통신선 등과 비교하여 휨이 적게 발생하는 피아노선, 철선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요비선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보호관으로 요비선을 밀어 넣어 보호관의 일측으로 요비선을 노출시킨다. 이후 요비선의 끝부분에 전선을 체결한 후 보호관에서 요비선을 다시 빼내면 보호관으로 전선이 삽입된다.
즉, 보호관에 수작업으로 요비선을 먼저 투입하고 요비선의 끝에 전선을 결합하여 다시 빼내어 전선 인입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요비선은 작업하고자 하는 가요관 보다 길어야 삽입하고자 하는 전선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통상 적으로 15m ~ 30m의 길이를 가가지며, 휴대의 용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반 원형 파이프에 권취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방식의 요비선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인출이 진행되므로 숙련된 작업자라도 작업 속도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숙련자가 다루지 않을 경우 요비선의 권취가 풀릴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0346호 공고일자 2013년03월11일 '전선 유도용 요비선'
본 발명은 가요관의 나사 주름을 따라 회전하여 요비선을 진행시키는 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 진행 장치는, 가요관에 형성되는 나사 주름을 따라 요비선을 진행시키는 장치로서, 요비선을 권취하는 권취부;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 주름에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요비선의 선단부재를 상기 가요관 내부로 진행시키는 진행부; 상기 진행부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권취된 요비선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진행부 및 상기 인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행부는, 상기 가요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나사 주름에 끼워지는 스크류;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요비선의 선단부재를 고정하는 선단부재 고정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행부는, 상기 요비선 및 상기 가요관과 접하여 상기 회전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진행부는, 상기 가요관의 내측 면과 전기적으로 접하는 전도 브러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모터의 + 전극은 상기 고정척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 전극은 상기 전도 브러쉬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행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 측정모듈은 회전수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전도 브러쉬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가요관에 전기적으로 접하는 전도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진행부의 진행속도를 파악하여 권취부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진행 장치에 의하면,
첫째, 진행부가 가요관의 주름 골을 따라 회전하여 진행하므로, 종래의 요비선의 선단이 주름 골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진행부의 구동 모터의 전원을 요비선 및 가요관을 통해 인가하므로 전원선의 연결을 배재할 수 있다.
셋째, 인출부는 진행부의 진행 속도에 따라 권취된 요비선을 인출시키므로 요비선 과잉 인출 또는 과소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만큼 요비선이 인출 되므로 작업 공간에 요비서니 풀려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요비선 및 권취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금속 가요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 진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행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금속 가요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 진행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행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 진행 장치(1000)는 가요관(P)에 형성되는 나사 주름(S)을 따라 요비선(W)을 진행시키는 장치로서 권취부(100), 진행부(200), 인출부(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한다.
요비선(W)은 금속 재질의 복수의 단선을 꼬아 형성한 와이어이다. 요비선(W)의 선단에는 가요관(P)에 삽입 대상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된 선단 부재(W-t)가 구비된다.
권취부(100)는 요비선(W)를 권취한다. 권취부(100)는 권취롤에 둥글게 요비선(W)를 권취하고 있으며, 권취부(100)의 회전에 따라 요비선(W)의 인출 또는 권취가 수행된다.
진행부(200)는 회전에 의해 나사 주름(S)을 따라 진행하여 요비선(W)의 선단 부재(W-t)를 가요관(P) 내부로 진행시킨다. 즉, 진행부(200)은 가요관(P)에 삽입되어 가요관(P) 내측의 나사 주름(S)을 따라 전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가요관(P)는 S 자 단면을 가지는 부재를 중첩시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 및 외측에 나사골과 같은 주름을 가지게된다. 따라서 나사 주름(S)을 따라 회전할 경우 가요관(P) 내부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인출부(300)는 진행부(200)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권취부(100)를 회전시켜 권취부(100)에 권취된 요비선(W)을 인출시킨다.
전원부(400)는 진행부(100) 및 인출부(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진행부(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진행부(200)는 스크류(110), 회전 모터(120), 고정척(130), 전도 브러쉬(140) 및 회전수 측정 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스크류(110)는 가요관(P)의 내경(R)에 대응되는 직경(R')을 가지는 원통 형태의 회전체로서, 가요관(P) 내측의 나사 주름(S)의 깊이 및 피치 간격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는 나사산 부재(111)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나사산 부재(111)가 원통면을 3회전 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나사산 부재(111)가 가요관(P) 내측의 나사 주름(S)에 맞물리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된 것으로서, 불필요한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나사산 부재(111)의 길이는 적절하게 단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스크류(110)는 나사산 부재(111)가 일체로 성형되는 합성 수지 재질로 실시될 수도 있다.
회전 모터(120)는 스크류(110)를 회전시킨다. 도시에 따르면 회전 모터(120)의 직경이 스크류(110)와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요관(P) 내측과의 불필요한 걸림을 줄이기 위해 회전 모터(120)의 직경은 실시 가능한 형태 내에서 가능하도록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110)는 회전 모터(120)의 구동축과 직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이는 스크류(110)가 회전 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모식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나사산 부재(111)와 나사 주름(S)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높은 토크가 필요하므로, 스크류(110)는 감속 변속 기어(미도시)를 통해 회전 모터(1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척(130)은 요비선(W)의 선단 부재(W-t)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척(130)과 회전 모터(120)은 상태 회전 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요비선(W)의 선단에는 가요관(P)에 삽입 대상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며, 고정척(130)은 선단 부재(W-t)의 관통공에 고정 볼트(131)를 삽입하고 너트(132)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요비선(W)은 금속 재질의 복수의 단선을 꼬아 형성한 와이어이므로, 꼬임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 회전 모터(120)에 의해 스크류(110)가 회전 구동될 때 역으로 회전 모터(120)가 가요관(P)에 대해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회전 모터(12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은 요비선(W) 및 가요관(P)를 통해 공급된다.
가요관(P)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요비선(W) 또한 금속 단선으로 제조되므로 전력 공급을 위한 도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요비선(W)은 가요관(P)내부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PVC와 같은 절연성 피복이 표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요관(P)와의 합선을 방지되므로, 도선으로 활용 가능하다.
회전 모터(120)의 종류에 따라(즉, 직류 모터인지 또는 교류 모터인지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극성의 구별을 위해 요비선(W)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 전원으로, 가요관(P)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 전원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원부(400)는 권취부(100)에 (+) 전원(+ 극)을 인가하여 요비선(W)에 (+)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400)는 가요관(P)에 (-)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부(400)는 전도 집게(미도시)를 가요관(P)에 물리는 방식으로 (-)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도 브러쉬(140)는 가요관(P)의 내측면과 전기적으로 접하는 부재로서, 회전 모터(120)의 - 전극과 연결되어 가요관(P)에 인가된 (-) 전원을 회전 모터(120)에 인가한다.
한편, 고정척(130)은 회전 모터(120)의 + 전극과 연결되어 요비선(W)에 인가된 (+) 전원을 회전 모터(120)에 인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행부(200)는 회전 모터(120)의 회전을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회전수 측정 모듈은 회전 모터(120)의 회전수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도 브러쉬(140)에 인가한다. 호칭의 편으를 위해 '회전수 신호'로 부르기로 한다.
'회전수 신호'는 전도 브러쉬(140)를 따라 가요관(P)을 통해 가요관(P)과 접촉하는 전도 집게로 전해진다. 즉, 전원부(400)의 - 전극을 통해 '회전수 신호'가 전송된다.
인출부(300)는 전원부(400)의 - 전극으로부터 '회전수 신호'를 인식하여 진행부(100)의 진행속도를 파악한다. 가요관(P)의 나사 주름(S)의 간격(즉, 피치)은 알려진 것이므로, 회전 모터(120)의 회전수에 따라 진행부(100)의 진행속도가 계산된다.
인출부(300)는 진행부(100)의 진행속도에 맞추어 권취부(200)를 회전시켜 요비선(W)의 과잉 인출 또는 과소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요비선 진행 장치
100 : 권취구
200 : 진행부
300 : 인출부
400 : 전원부

Claims (6)

  1. 가요관에 형성되는 나사 주름을 따라 요비선을 진행시키는 장치로서,
    요비선을 권취하는 권취부;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 주름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요비선의 선단부재를 상기 가요관 내부로 진행시키는 진행부;
    상기 진행부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권취된 요비선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진행부 및 상기 인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행부는,
    상기 가요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나사 주름에 끼워지는 스크류;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요비선의 선단부재를 고정하는 선단부재 고정척을 포함하고,
    상기 진행부는,
    상기 요비선 및 상기 가요관과 접하여 상기 회전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진행부는,
    상기 가요관의 내측 면과 전기적으로 접하는 전도 브러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모터의 + 전극은 상기 고정척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 전극은 상기 전도 브러쉬와 연결되고,
    상기 진행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수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 측정모듈은 회전수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전도 브러쉬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진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가요관에 전기적으로 접하는 전도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진행부의 진행속도를 파악하여 권취부를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진행 장치.
KR1020180039493A 2018-04-05 2018-04-05 요비선 진행 장치 KR10190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93A KR101906764B1 (ko) 2018-04-05 2018-04-05 요비선 진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93A KR101906764B1 (ko) 2018-04-05 2018-04-05 요비선 진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764B1 true KR101906764B1 (ko) 2018-10-10

Family

ID=6387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93A KR101906764B1 (ko) 2018-04-05 2018-04-05 요비선 진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045B1 (ko) 2019-01-10 2019-07-08 박정식 요비선 공급장치
KR20210085858A (ko) 2019-12-31 2021-07-08 (주)에이원전기 이동거리의 정밀 조절과 꼬임방지 기능을 겸비한 요비선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412A (ja) * 2003-09-09 2005-03-31 Sadatada Ota 管内点検具及び管内点検装置
KR101240346B1 (ko) * 2011-06-13 2013-03-11 김성환 전선 유도용 요비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412A (ja) * 2003-09-09 2005-03-31 Sadatada Ota 管内点検具及び管内点検装置
KR101240346B1 (ko) * 2011-06-13 2013-03-11 김성환 전선 유도용 요비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045B1 (ko) 2019-01-10 2019-07-08 박정식 요비선 공급장치
KR20210085858A (ko) 2019-12-31 2021-07-08 (주)에이원전기 이동거리의 정밀 조절과 꼬임방지 기능을 겸비한 요비선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64B1 (ko) 요비선 진행 장치
CN209748076U (zh) 一种用于电缆剥皮的辅助装置
CN205222311U (zh) 电力通信线缆收放装置
CN105384013A (zh) 电力通信线缆收放装置
CN210366339U (zh) 一种计算机网络工程用收线装置
CN210182142U (zh) 一种用于数据线加工的绞合装置
JP6595114B2 (ja) 被覆線皮剥器
CN207852382U (zh) 一种自动放线装置
CN213536808U (zh) 一种绞铜机放线设备
CN209963652U (zh) 一种电力管道穿线器
CN105870835A (zh) 一种新型铝包带缠绕装置
CN105500686A (zh) 螺旋护套缠绕装置
GB86675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ing mechanisms for electrical cables, hoses and other flexible elongated members
CN212724850U (zh) 一种用于电子线束的剥线装置
CN105633874B (zh) 一种方便使用的接线盒
CN211958580U (zh) 一种建筑电气工程穿线施工装置
WO2013078762A1 (zh) 高压电缆卷车
CN213011199U (zh) 一种组合式放线盘
CN210926898U (zh) 用于去除漆包线绝缘层的去漆器
CN106904495B (zh) 一种电缆卷筒系统
CN106904496B (zh) 一种电缆卷筒系统
CN214337379U (zh) 一种电缆搓线机构
CN214934827U (zh) 一种便于对电缆进行理线处理的收纳装置
CN219156121U (zh) 一种电缆收卷机
CN217441017U (zh) 一种普利卡金属管管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