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45B1 - 요비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요비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45B1
KR101998045B1 KR1020190003145A KR20190003145A KR101998045B1 KR 101998045 B1 KR101998045 B1 KR 101998045B1 KR 1020190003145 A KR1020190003145 A KR 1020190003145A KR 20190003145 A KR20190003145 A KR 20190003145A KR 101998045 B1 KR101998045 B1 KR 10199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yaw
yaw line
uretha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식 filed Critical 박정식
Priority to KR102019000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비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요관을 따라 요비선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모터 작동스위치가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상부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베벨기어와 결합하는 모터와 타측면에 상기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부면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탄성조절부 결합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결합부와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는 베어링으로 우레탄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탄성조절부 결합홀과는 탄성조절부가 결합되는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비선 공급장치{Feeding apparatus for wire follow}
본 발명은 요비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가요관을 따라 요비선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전선, 전화선, 통신선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선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선은 가요관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가요관에 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요비선(Fish Tape, Wire Follow)이 사용된다. 통상 요비선으로는 전화선이나 통신선 등과 비교하여 휨이 적게 발생하는 플라스틱선, 피아노선, 철선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요비선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가요관으로 요비선을 밀어 넣어 가요관의 일측으로 요비선을 노출시킨다. 이후 요비선의 끝부분에 전선을 체결한 후 가요관에서 요비선을 다시 빼내면 가요관으로 전선이 삽입된다.
즉, 가요관에 수작업으로 요비선을 먼저 투입하고 요비선의 끝에 전선을 결합하여 다시 빼내어 전선 인입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요비선은 작업하고자 하는 가요관 보다 길어야 삽입하고자 하는 전선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15m ~ 30m의 길이를 가지며, 휴대의 용이를 위해 원형 파이프에 권취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방식의 요비선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인출이 진행되므로 숙련된 작업자라도 작업 속도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숙련자가 다루지 않을 경우 요비선의 권취가 풀릴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6764호(2018.10.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를 이용하여 가요관을 따라 요비선을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요비선의 굴곡에 따라 유동하면서도 일정하게 요비선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요관을 따라 요비선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모터 작동스위치가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상부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베벨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베벨기어와 결합하는 모터와 타측면에 상기 베벨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부면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탄성조절부 결합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결합부와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는 베어링으로 우레탄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탄성조절부 결합홀과는 탄성조절부가 결합되는 유격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일측면에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선택하는 방향스위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기어와 상기 유격조절장치의 우레탄기어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측면부에 요비선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요비선 가이드와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가 결합된 파이프가이드가 결합된다.
상기 기어와 결합된 금속의 외주연에 요비선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조절부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받치는 와셔로 구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탭이 유격조절장치를 통과하여 몸체의 탄성조절부 결합홀과 결합된다.
상기 탄성조절부의 탭이 탄성조절부 결합홀과 결합하여 유격조절장치가 일정한 압력을 요비선에 가하고, 요비선의 굴곡을 따라 유동해도 탄성부재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비선을 회수할 때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작동스위치는 권취부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향스위치의 역회전시 권취부모터와 요비선공급장치의 모터를 함께 작동시켜 요비선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는 모터의 힘으로 요비선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는 모터와 권취부모터의 힘으로 요비선을 빠르게 회수할수 있어 작업의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유격조절장치가 몸체에서 분리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권취부가 결합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유격조절장치가 몸체에서 분리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의 권취부가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100)는 가요관을 따라 요비선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권총형 타입으로 크게 일측에 모터 작동스위치(210)가 결합된 손잡이(200)와 손잡이(200) 상부면에 결합되는 몸체(300) 및 몸체(300)와 결합되는 유격조절장치(400)로 구성된다.
손잡이(200)는 일측에 모터(32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결정하는 방향스위치(220)가 결합하고, 파지하는 손가락 쪽에는 모터 작동스위치(210)가 구비되며, 모터 작동스위치(210)는 모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 작동스위치(210)의 작동여부에 따라 모터(320)가 온오프 된다.
또한, 모터 작동스위치(210)는 권취부(500)의 권취부모터(51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방향스위치(220)의 역회전 선택시 모터(320)와 함께 권취부모터(510)도 같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방향스위치(220)의 정회전 선택시 모터 작동스위치(210)를 작동시키면 모터(320)만 작동되어 요비선(L)을 공급하게 되고, 반대로 방향스위치(220)를 역회전으로 두고 모터 작동스위치(210)를 작동시키면 모터(320)와 권취부모터(510)가 함께 역회전운동을 하면서 요비선(L)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모터 작동스위치(210)는 손잡이(200)를 쥐는 형상에 따라 손가락 검지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몸체(300)는 일측면에는 베벨기어(310)가 결합되고, 베벨기어(310)와 결합하는 모터(320)로 구성되며, 타측면에는 베벨기어(310)와 결합되는 기어(330)를 포함하고, 상부면 일단에는 결합부(35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탄성조절부 결합홀(360)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300)의 타측면에는 요비선(L)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요비선 가이드(370)와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가 결합된 파이프가이드(390)가 결합된다.
즉, 요비선(L)은 요비선 가이드(370)을 통과하여 기어(330)와 우레탄기어(430)의 사이를 지나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요비선(L)을 가요관으로 공급시 최대한 처지지 않고 평평하게 공급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요비선(L)이 처져있으면 요비선(L)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가요관 안에서 꼬일 수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어(330)의 측면에 연장결합된 금속의 외주연에 요비선 가이드 홈(340)을 형성하여 요비선(L)이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요비선(L)은 각각 다른 플라스틱 재질의 꼬임선으로 구성되어 높은 탄력성 및 안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3개의 꼬임선이 바람직하다.
유격조절장치(400)는 일측이 몸체(300)의 결합부(350)와 힌지(410) 결합하고, 측면에는 베어링(420)으로 우레탄기어(430)가 결합되며, 타측은 탄성조절부(440)에 의해 탄성조절부 결합홀(360)과 결합된다.
우레탄기어(430)는 금속의 몸체에 우레탄고무를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몸체(300)의 기어(33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참고로, 우레탄고무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나 타이어, 고무 롤, 패킹, 구두창 및 인공피혁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제품이다.
유격조절장치(400)는 일측이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300)의 탄성조절부 결합홀(360)과 탄성조절부(440)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조절부(440)는 나사부(441)와 나사부(441)에 끼워지는 탄성부재(442) 및 탄성부재(442)를 받치는 와셔(443)로 구성되고, 나사부(441)의 탭(444)이 유격조절장치(400)를 통과하여 몸체(300)의 탄성조절부 결합홀(36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탄성조절부(440)는 몸체(300)의 탄성조절부 결합홀(360)에 탭(444)을 결합하여 우레탄기어(430)가 요비선(L)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도록 결합한다.
이는 유격조절장치(400)가 요비선(L)의 굴곡을 따라 유동해도 탄성조절부(440)의 탄성부재(442)에 의해 일정한 압력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여 요비선(L)의 공급이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요비선(L)은 권취부(500)에 감겨 구성되며, 자동으로 요비선(L)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비선 공급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조절장치(4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요비선(L)을 요비선 가이드(370)와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를 통과하도록 끼워 넣는다.
이때, 요비선은 일단은 권취부(500)에 감겨 구성되고, 타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요비선(L)을 끼운 후 유격조절장치(400)의 탄성조절부(440)의 탭(444)을 탄정조절부 결합홀(360)에 결합하여 요비선(L)에 우레탄기어(430)가 일정한 압력을 가하도록 고정한다.
이후,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을 가요관(미도시)을 향하게 하고, 손잡이(200)의 방향스위치(220)를 정회전으로 두고 모터 작동스위치(210) 눌러 모터(320)를 작동시켜 기어(330)를 회전시키고, 기어와 맞물려있는 우레탄기어(430)도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요비선(L)을 공급하게 된다.
요비선(L)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면, 요비선(L)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미도시)에 전선관을 고정한다.
이후, 손잡이(200)의 방향스위치(220)를 역회전으로 두고 모터 작동스위치(210)를 작동시키면 권취부모터(510)와 모터(320)가 역회전하면서 요비선(L)을 빠르게 회수한다.
이후, 탄성조절부(400)를 탄성조절부 결합홀(360)에서 분리하여 유격조절장치(400)를 분리함으로써 요비선(L)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한다.
마지막으로, 요비선(L)의 연결부에서 전선관을 해제하고, 요비선(L)을 요비선 공급장치(100)에서 분리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요비선 공급장치 200: 손잡이
210: 모터 작동스위치 220: 방향스위치
300: 몸체 310: 베벨기어
320: 모터 330: 기어
340: 요비선 가이드 홈 350: 결합부
360: 탄성조절부 결합홀 370: 요비선 가이드
380: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 390: 파이프 가이드
400: 유격조절장치 410: 힌지
420: 베어링 430: 우레탄기어
440: 탄성조절부 441: 나사부
442: 탭 443: 탄성부재
444: 와셔 500: 권취부
510: 권취부모터 L: 요비선

Claims (9)

  1. 요비선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장치에서,
    상기 요비선(L)에 밀착하도록 일측면에 장착된 기어(330), 기어(330)와 결합되면서 타측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베벨기어(310)를 포함한 기어와, 이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모터(320)가 구비된 몸체(300);
    상기 몸체(300)의 하부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모터 작동스위치(210)가 구비된 손잡이(200);
    상기 몸체(300)의 상부에 일측단 부위가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축회전된 타측단 부위를 몸체(300)에 체결하도록 장착된 탄성조절부(440)와, 요비선(L)에 밀착하면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우레탄기어(430)가 구비된 유격조절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330)와 우레탄기어(430)는 상호 기어 결합되어 동일 회전비로 회전하면서 요비선(L)을 밀착 및 인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조절부(440)는 유격조절장치(400)의 일부위를 관통하여 몸체(300)의 탄성조절부 결합홀(360)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441), 나사부(441)의 머리부위와 유격조절장치(400)의 일부위 사이에 끼워지고 유격조절장치(400)가 축회전하면서 우레탄기어(430)가 요비선을 일정하게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설치된 탄성부재(4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공급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기어(330)는 금속 몸체의 원주면을 따라 구별되어 가공된 요비선 가이드홈()과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레탄기어(430)는 금속 몸체의 원주면을 따라 구별되어 가공된 우레탄고부 부위와 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330)의 기어부와 우레탄기어(430)의 기어부가 상호 기어 결합되고,
    상기 요비선(L)은 요비선 가이드 홈(340)에 끼워지고, 우레탄고무 부위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기어(330)와 우레탄기어(340)는 상호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동일 회전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공급장치. .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모터 작동스위치(210)는 모터(320)의 정/역회전을 선택하는 방향스위치(22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공급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몸체(300)는 요비선(L)이 삽입되도록 고정된 요비선 가이드(370), 우레탄기어(430)와 기어(330)를 통과한 요비선(L)이 삽입되는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와, 요비선 가이드 파이프(380)가 결합되도록 고정된 파이프 가이드(3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03145A 2019-01-10 2019-01-10 요비선 공급장치 KR10199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45A KR101998045B1 (ko) 2019-01-10 2019-01-10 요비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45A KR101998045B1 (ko) 2019-01-10 2019-01-10 요비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45B1 true KR101998045B1 (ko) 2019-07-08

Family

ID=6725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45A KR101998045B1 (ko) 2019-01-10 2019-01-10 요비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0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8505A (zh) * 2019-09-03 2019-11-29 胡志坚 一种电线电缆外绝缘层修复模具
CN111817212A (zh) * 2020-08-06 2020-10-23 梁金刚 一种智能5g网线穿线机构
KR102170955B1 (ko) * 2019-12-12 2020-10-28 (주)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주입기
KR102170956B1 (ko) * 2019-12-12 2020-10-28 (주)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풀링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4170B1 (en) * 1998-04-17 2001-07-24 Pneumatic Systems International Pty., Ltd. Assembly for insertion of a draw line in a conduit
US7021426B2 (en) * 2002-07-11 2006-04-04 Nkf Kabel B.V. Optical cable installation with cable lubricator
KR20120038831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선통 장치
KR101291493B1 (ko) * 2011-11-16 2013-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KR101488009B1 (ko) * 2006-10-06 2015-01-29 플루메타쯔 홀딩 에스.아. 케이블 안치 장치
KR101906764B1 (ko) 2018-04-05 2018-10-10 이석기 요비선 진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4170B1 (en) * 1998-04-17 2001-07-24 Pneumatic Systems International Pty., Ltd. Assembly for insertion of a draw line in a conduit
US7021426B2 (en) * 2002-07-11 2006-04-04 Nkf Kabel B.V. Optical cable installation with cable lubricator
KR101488009B1 (ko) * 2006-10-06 2015-01-29 플루메타쯔 홀딩 에스.아. 케이블 안치 장치
KR20120038831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선통 장치
KR101291493B1 (ko) * 2011-11-16 2013-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KR101906764B1 (ko) 2018-04-05 2018-10-10 이석기 요비선 진행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8505A (zh) * 2019-09-03 2019-11-29 胡志坚 一种电线电缆外绝缘层修复模具
KR102170955B1 (ko) * 2019-12-12 2020-10-28 (주)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주입기
KR102170956B1 (ko) * 2019-12-12 2020-10-28 (주)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풀링기
WO2021118109A1 (ko) * 2019-12-12 2021-06-17 주식회사 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주입기
WO2021118031A1 (ko) * 2019-12-12 2021-06-17 주식회사 플러스전기공사 휴대용 전선 풀링기
CN113273046A (zh) * 2019-12-12 2021-08-17 普乐士电机株式会社 便携电线注入器
CN111817212A (zh) * 2020-08-06 2020-10-23 梁金刚 一种智能5g网线穿线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45B1 (ko) 요비선 공급장치
CN213636898U (zh) 一种通信管道引线布放器
KR102139259B1 (ko) 피복선 피박기
KR101906764B1 (ko) 요비선 진행 장치
JP2010083086A (ja) テープ繰出し装置
KR100889239B1 (ko) 전선용 릴의 회전제어장치
CN214655190U (zh) 一种送丝架
JP2002283795A (ja) 塗膜転写具
CN210468619U (zh) 一种电缆穿线装置
KR100867591B1 (ko) 와이어링 생산장치의 방수 씰 공급장치
KR102065394B1 (ko) 배전선로의 누전감시장치
KR200279680Y1 (ko) 포터블형 전선 테이핑 장치
KR200184453Y1 (ko) 용접용 케이블 릴
CN107598029A (zh) 电缆安装多功能工艺校正器
CN213802416U (zh) 一种手持点缠胶带机
CN218799693U (zh) 一种自动焊线机用快装式烙铁头
US20240106210A1 (en) Cable stripping tool
KR200409752Y1 (ko) 테이프 부착기
CN219458512U (zh) 一种建筑电气穿线器
US20160375478A1 (en) Pipe grooving device
EP0876760A3 (en) Line roller for spinning reel for fishing
JP2010155315A (ja) マーキングユニット
CN210998408U (zh) 一种用于缠绕铝包带的活动扳手
CN220652803U (zh) 穿缆装置
CN214006601U (zh) 一种防水材料铺设用拉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