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31B1 -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31B1
KR101905531B1 KR1020170112602A KR20170112602A KR101905531B1 KR 101905531 B1 KR101905531 B1 KR 101905531B1 KR 1020170112602 A KR1020170112602 A KR 1020170112602A KR 20170112602 A KR20170112602 A KR 20170112602A KR 101905531 B1 KR101905531 B1 KR 10190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orbital
lock
pole
endless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흥
Original Assignee
김진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흥 filed Critical 김진흥
Priority to KR102017011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2005/147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for climbing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나 카트 배면에 설치되어 계단을 손쉽게 내려가거나 올라갈 수 있도록 고안된 무한궤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복수개의 궤도분체로 이루어지는 무한궤도를 포함하여 둘 이상의 계단 모서리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의 선을 따라 상기 궤도분체가 계단 모서리에 밀착되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CATERPILLAR ASSEMBLY}
본 발명은 캐리어나 카트 배면에 설치되어 계단을 손쉽게 내려가거나 올라갈 수 있도록 고안된 무한궤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복수개의 궤도분체로 이루어지는 무한궤도를 포함하여 둘 이상의 계단 모서리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의 선을 따라 상기 궤도분체가 계단 모서리에 밀착되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용 가방인 캐리어 또는 카트는 이동이 편리하게 길이가 신장되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평지나 경사로에서 손쉽게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 또는 카트는 계단을 이동하게 될 경우에는 들고 옮기거나 한 칸씩 끌어올려야 하며, 특히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에 불편함이 더욱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131610호 『계단 승하강이 가능한 핸드 캐리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 양측에 장착된 한 쌍의 바퀴와, 상기 본체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바퀴 내측으로 형성되고, 대수개의 구름롤러가 수직으로 배열되는 대칭 구조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열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롤러열 레일 각각은 구름롤러가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개 열의 다중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롤러열 레일을 구성하는 구름롤러들 중 최하단 구름롤러와 상기 바퀴는 소정 간격만큼 서로 겹쳐져 위치되어 형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70603호 『캐리어 가방용 보조바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여행용 가방의 일면에 설치되어 계단이나 단턱의 이동시 가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외부환경에 대한 오염으로부터 바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가방의 경우 보조바퀴를 이용하여 카트형태로 간편하게 가방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26735호 『레일식 바퀴 달린 가방』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한쪽 끝부분에 견인손잡이가 설치되는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의 다른쪽 끝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1쌍의 주휠과, 가방 본체에 고정되고 주휠과 견인손잡이 사이 구간에 설치도니느 하나이상의 휠지지대와, 휠지지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보조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일식 바퀴 달린 가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캐리어 배면에 롤러 또는 바퀴를 배열하여 계단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롤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계단을 오를 때 캐리어를 들어야하며, 이에 따라 무게가 많이 나가는 캐리어나 카트의 경우에는 계단 이동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방이나 카트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궤도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한궤도가 복수개의 궤도분체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궤도분체의 접촉부가 계단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계단을 이동할 때 둘 이상의 계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궤도분체의 내측에는 연결부재에 밀착되어 연결부재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휠이 구비되고, 계단의 모서리에는 휠이 접촉되지 않고 평탄한 접속부가 접촉되어 휠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는
가방이나 카트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궤도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무한궤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한궤도는 복수개의 궤도분체와, 이 궤도분체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에 구비되어, 상기 궤도분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공회전하는 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는 가방이나 카트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한궤도가 복수개의 궤도분체로 이루어지며, 궤도분체 내부에 연결부재의 외면을 따라 공회전하는 휠을 구비함으로서 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궤도분체의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계단의 모서리에 밀착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 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가 복수개의 궤도분체가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유사 타원형의 연결부재를 따라 회전이 가능하며,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고,
인접하는 궤도분체의 접촉부들이 수평을 이룰 때 그 단부들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격되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계단 모서리나 이물질 등이 끼이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분해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실시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A)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20)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무한궤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트나 가방(P)(도면에는 가방을 대표도로 도시하였다.) 배면(P1)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는 카트나 가방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무한궤도 어셈블리(A)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가방의 배면(P1)에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A)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연결부재(20) 및 무한궤도(30)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하우징(10)은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1 본체(11)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본체(11)는 측면도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길이가 짧은 변은 가방에 구비되는 장착홈에 일부 내삽되며, 길이가 긴 변은 적어도 둘 이상의 계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보다 길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본체(11)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는 곡선부(23)(111)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도면을 기준으로 제1 본체(11)의 상단 일부가 가방의 장착홈에 내삽되고, 하단 일부가 가방 배면(P1)에 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본체(11)는 동일한 형상의 제2 본체(12)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고, 이 이격부에 연결부재(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본체(11), 연결부재(20) 및 제2 본체(12)는 복수개의 볼트(121)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 사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무한궤도(30)가 연결부재(2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 본체(11)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하 직선부(21)를 갖으며, 양측에 무한궤도(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곡선부(23)(111)가 형성되는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 본체(11)보다 작게 구성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직선부(21)와, 상기 제1 본체(11)의 하단 경계 사이와의 거리가 상기 무한궤도(30)가 연결부재(20)를 따라 회전하는 경우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직선부(21)와 상기 제1 본체(11)의 상단 경계 사이와의 거리는 회전하는 무한궤도(30)가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20)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는 무한궤도(30)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무한궤도(30)는 복수개의 궤도분체(31)가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궤도분체(31)와 이 궤도분체(3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33) 및 이 연결핀(33)에 공회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3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시 상기 궤도분체(31)는 동일한 형상의 복수개의 궤도분체(31)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의 외각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계단을 이동할 때 무한궤도(30)가 연결부재(20)의 외각을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연결부재(20)의 크기 나 길이에 따라 그 개수는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30)는 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종소재의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성형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외면, 즉 계단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접촉부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이나 기능성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구비되는 휠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한궤도의 외면에는 별도의 밸트가 끼움결합됨으로서 무한궤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밸트가 끼워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단일의 궤도분체(3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궤도분체(31)는 서로 대립되는 한 쌍의 측부재(311)와, 상기 측부재(311)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접촉부(313) 및 상기 측부재(311)의 일측에 연장되는 연장부(315)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궤도분체(31)는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측부재(311)가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측부재(3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측부재(311) 하부면에 접촉부(313)가 성형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측부재(311) 사이에 공간부(311a)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311a)에 연결핀(33) 및 휠(35)이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측부재(311)에는 각각 제1 연결공(311b)이 구비되고, 이 제1 연결공(311b)에 연결핀(33)이 체결되며, 상기 연결핀(33)에 휠(35)이 공회전 할 수 있도록 내삽되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측부재(311)에는 각각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5)가 연장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한 쌍의 측부재(311)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315) 사이의 거리가 짧게 구성되도록 상기 측부재(311)와 연장부(315) 사이에는 절곡부(315a)가 성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인접하는 궤도분체(31)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연장부(315)가 인접하는 측부재(311)의 내측, 즉 공간부(311a)에 내삽되게 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핀(33)을 통해 결합하고, 이 연결핀(33)에 휠(35)을 결합시킴으로서, 인접하는 측부재(311)가 상기 연결핀(33)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15)에는 상기 연결핀(33)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연결공(311b)과 연통되는 제2 연결공(315b)이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결핀(33)에 결합되는 휠(35)이 상기 궤도분체(3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바, 구체적으로는 상기 휠(35)이 상기 공간부(311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돌출된 부분이 상기 연결부재(20)에 밀착되어, 무한궤도(30)가 연결부재(20)를 외각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촉부(313)가 계단, 보다 정확하게는 계단의 모서리에 밀착되면서 휠(35)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을 동작함에 있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궤도분체(31)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바, 이들 사이에 계단의 모서리부분이 끼여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궤도분체(31)가 인접하는 궤도분체(31)와 수평을 이루는 경우, 인접하는 접촉부(313)의 단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그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촉부(313)에는 상기 연장부(315)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격방지부(313a)가 성형되어 있으며, 이 유격방지부(313a)가 인접하는 접촉부(313)의 일단에 접촉하게 됨으로서, 각각의 궤도분체(31)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이물질 유입, 계단의 모서리가 끼이는 문제 및 역방향으로 절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유격방지부(313a)의 성형은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상기 궤도분체(31)를 일체형으로 성형함에 있어, 앞서 언급한 절곡부(315a)를 성형하는 경우, 가공공정에 의해 연장부(315)와 측부재(311) 사이에 절곡부(315a)의 두께만큼의 유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본 발명은 유격방지부(313a)를 통해 이 유격을 없앨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의 단부, 즉 유격방지부(313a)에는 접촉부로부터 휠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돌출부(313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돌출부는 상기 접촉부가 계단에 접촉하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일종의 돌기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미끄러짐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A)에는 별도의 스토핑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스토핑장치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무한궤도(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미끄러짐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무한궤도(10) 또는 연결부재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평지를 끌고다니는 경우에는 상기 무한궤도를 하우징 내에 숨겨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계단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무한궤도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A)가 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카트의 프레임을 감쌀 수 있는 감개부(10A)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감개부(10A)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10)과 볼트(B)로 체결되는 결합을 함으로서, 카트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을 통해 손쉽게 카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어셈블리(A)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카트에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경우, 카트에 설치되는 기존의 바퀴의 돌출정도보다 같거나 더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무한궤도(30)의 접촉부(313)는 가방의 배면(P1)에 노출되어 있는 바, 노출된 부분이 사용자의 옷에 묻거나, 옷이 끼일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별도의 커버(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C)에는 잠금유닛이 구비되어 커버(C)의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장착 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잠금유닛(B)은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가 서로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커버(C)를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유닛(B)의 상기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는 상기 하우징(10)과 커버(C)에 각각 구비되어, 커버(C)를 하우징(10)에 서로 고정할 때 이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를 서로 결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이 잠금유닛(B)의 동작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잠금을 해제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 잠금유닛(B)을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다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잠금부재(B10)에는 잠금홈(B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잠금부재(B20)에는 상기 잠금홈(B15)에 내삽될 수 있는 잠금돌기(B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정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는 상기 잠금홈(B15)에 잠금돌기(B21)가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잠금돌기(B21)와 잠금홈(B15)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 및 편리한 분리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잠금돌기(B21)에는 제2 마그넷(B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마그넷(B22)의 N극이 상부를 향하도록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잠금돌기(B21)의 좌측 및 우측에도 각각 제5 및 제6 마그넷(B23)(B25)이 상부가 N극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홈(B15)의 내측, 즉 도면을 기준으로 잠금홈(B15)의 위쪽에는 제1 마그넷(B1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마그넷(B12)은 상기 제1 잠금부재(B10)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 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왼쪽은 N극을 형성하고, 오른쪽은 S극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마그넷(B12)의 S극이 잠금홈(B15) 위쪽에 위치하면 상기 잠금돌기(B21)의 제2 마그넷(B22)의 N극과 반응하여 인력이 작용함으로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제1 마그넷(B12)의 N극이 잠금홈(B15) 위쪽에 위치하면, 상기 잠금돌기(B21)의 제2 마그넷(B22)의 N극과 척력이 작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마그넷(B12)과 제2 마그넷(B22)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1 마그넷(B12)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하여 상기 제1 마그넷(B12)의 상부에는 잠금바(B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바(B11)는 내측바(B115)와 상기 내측바(B115) 양측에 상기 내측바(B115)를 내삽하도록 구비되는 제1 돌출바(B111) 및 제2 돌출바(B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돌출바(B111)의 내측면과 잠금바(B11)의 좌측단부 사이에는 제1 탄성체(B117)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돌출바(B113)의 내측면과 잠금바(B11)의 우측단부 사이에는 제2 탄성체(B118)가 구비되어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바(B111) 하부에는 상기 제1 마그넷(B12)을 밀 수 있는 제1 푸쉬바(B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바(B113)의 하부에도 상기 제1 마그넷(B12)을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는 제2 푸쉬바(B11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잠금바(B11)가 제1 잠금부재(B10)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방법을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잠금바(B11)는 상기 제1 잠금부재(B10) 내에서 상기 제1 마그넷(B12) 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제1 돌출바(B111)와 제2 돌출바(B113)가 제1 잠금부재(B1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푸쉬바(B112)가 상기 제1 마그넷(B12)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사용자가 제1 돌출바(B111)를 우측으로 푸쉬하면 상기 제1 푸쉬바(B112)가 상기 제1 마그넷(B12)을 우측으로 밀게 되고, 이러한 외압에 의하여 잠금홈(B15) 부분에는 제1 마그넷(B12)의 S극이 위치하다가 N극으로 바뀌게 되며, 이렇게 바뀌면 제1 잠금돌기(B21)의 N극과의 척력으로 인하여, 제1 잠금부재(B10)가 제2 잠금부재(B20)와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바(B111)는 제1 탄성체(B1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되고, 반대로 잠금돌기(B21)를 다시 잠금홈(B15)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돌출바(B113)를 눌러 제1 마그넷(B12)을 제2 푸쉬바(B114)가 밀어 좌측으로 이동시키며, 다시 잠금홈(B15) 위치에 제1 마그넷(B12)의 S극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1 마그넷(B12)과 제2 마그넷(B22)의 인력에 의해 잠금돌기(B21)가 잠금홈(B15)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바(B113)도 제2 탄성체(B118)에 의해 복원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제3 내지 제6 마그넷(B131)(B141)(B23)(B25)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돌기(B21)의 좌측과 우측에는 제5 마그넷(B23)과 제6 마그넷(B25)을 더 구비하되, 이 제5 마그넷(B23)과 제6 마그넷(B25)은 N극이 상부를 향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홈(B15) 좌측의 제1 공간부(311a)(B14)에는 제3 마그넷(B131)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홈(B15) 우측의 제2 공간부(311a)(B14)에는 제4 마그넷(B1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제3 마그넷(B131)과 제4 마그넷(B141)은 N극과 S극이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3 마그넷(B131)은 상부가 S극을 이루고 하부가 N극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제4 마그넷(B141)은 이와 반대로 상부가 N극을 이루고, 하부가 S극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B21)와 잠금홈(B15)이 결합되면, 제1 공간부(311a)(B14)의 제3 마그넷(B131)의 S극이 제1 마그넷(B12)의 N극에 인력에 의해 밀착되어 제1 마그넷(B12)의 이동을 방지하고, 제4 마그넷(B141)의 S극과 제6 마그넷(B25)의 N극의 인력이 작용하여, 제1 마그넷(B12)과 제2 마그넷(B22) 사이의 인력과 함께 보다 더 큰 자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바(B11)를 동작하여 제1 마그넷(B12)을 우측으로 밀면, 제1 공간부(311a)(B14)내의 제1 마그넷(B12)의 N극과 제3 마그넷(B131)의 S극 사이의 인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제3 마그넷(B131)의 N극과 제5 마그넷(B23)의 N극 사이의 척력이 발생하여 서로 밀어내게 되고, 제1 마그넷(B12)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마그넷(B12)의 S극이 제2 공간부(311a)(B14)에 위치하고, 이 때 제1 마그넷(B12)의 S극과 제4 마그넷(B141)의 N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제4 마그넷(B141)이 상승함에 따라, 제4 마그넷(B141)과 제6 마그넷(B25) 사이의 인력을 방해함으로서 보다 손쉽게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6 마그넷(B12)(B22)(B131)(B141)(B23)(B25)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한 힘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를 결합 고정하고, 보다 편리하게 제1 잠금부재(B10)와 제2 잠금부재(B20)를 분리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무한궤도 어셈블리 P : 가방
P1 : 배면 C : 커버
10 : 하우징 11 : 제1 본체
111 : 곡선부 12 : 제2 본체
121 : 볼트 20 : 연결부재
21 : 직선부 23 : 곡선부
30 : 무한궤도 31 : 궤도분체
311 : 측부재 311a : 공간부
311b : 제1 연결공 313 : 접촉부
313a : 유격방지부 315 : 연장부
315a : 절곡부 315b : 제2 연결공
33 : 연결핀 35 : 휠

Claims (4)

  1. 가방이나 카트 배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궤도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본체(11)(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제1 및 제2 본체(11)(12)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20);
    상기 연결부재(20)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무한궤도(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한궤도(30)는 복수개의 궤도분체(31)와, 이 궤도분체(31)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핀(33) 및 상기 연결핀(33)에 구비되며 상기 궤도분체(3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20)의 외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휠(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궤도분체(31)는
    서로 대립되는 한 쌍의 측부재(311)와 상기 측부재(311) 하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측부재(3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313) 및 상기 측부재(311)의 일측에 연장되는 연장부(315)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부(315)가 인접하는 상기 궤도분체(31)의 한 쌍의 측부재(311) 내측에 내삽되어 연결되고,
    상기 무한궤도(30)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C)가 더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며, 잠금홈(B15)이 형성된 제1 잠금부재(B10)와, 상기 커버(C)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홈(B15)에 내삽 결합되는 잠금돌기(B21)가 구비된 제2 잠금부재(B20)를 포함하는 잠금유닛(B)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잠금부재(B10)에 구비되되 상기 잠금홈(B15)에 인접하게 슬라이딩 운동하여 N극 또는 S극을 잠금홈(B15)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제1 마그넷(B12)과, 상기 제2 잠금부재(B20)의 잠금돌기(B21)에 구비되되, N극이 형성된 제2 마그넷(B22)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넷(B12)의 N극이 잠금홈(B15)에 인접하면 상기 잠금돌기(B21)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넷(B22)과의 척력에 의해 잠금돌기(B21)가 잠금홈(B15)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마그넷(B12)의 S극이 잠금홈(B15)에 인접하면, 상기 잠금돌기(B21)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넷(B22)과의 인력에 의해 잠금돌기(B21)가 잠금홈(B15)에 내삽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궤도분체(31)가 서로 수평을 이루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궤도분체(31)의 접촉부(313)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30)의 외면에는 밸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분체(31)는
    상기 한 쌍의 측부재(311) 사이에 공간부(311a)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1a)에 상기 연결핀(33)과 휠(35)이 모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KR1020170112602A 2017-09-04 2017-09-04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KR10190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02A KR101905531B1 (ko) 2017-09-04 2017-09-04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602A KR101905531B1 (ko) 2017-09-04 2017-09-04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531B1 true KR101905531B1 (ko) 2018-11-30

Family

ID=6456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602A KR101905531B1 (ko) 2017-09-04 2017-09-04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64B1 (ko) * 2003-01-29 2011-03-1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로터리부시식 크롤러벨트 및 로터리부시식 크롤러벨트용링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64B1 (ko) * 2003-01-29 2011-03-1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로터리부시식 크롤러벨트 및 로터리부시식 크롤러벨트용링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3852B1 (en) Double-sided wheel assembly and methods thereof
KR101905531B1 (ko) 계단 이동용 무한궤도 어셈블리
US4524985A (en) Cart anti-theft device
CN103287475B (zh) 利用人体感应自动锁定与释放后轮的婴儿车骨架
US8015752B2 (en) Child safety gat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20140144701A (ko) 컨베이어 체인 링크, 컨베이어 체인 및 컨베이어 체인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US10986930B2 (en) Frame structure of an electric bed
JPH0824032A (ja) 車輪付カートあるいは旅行カバン用のハンドル装置
EP3153644B1 (en) Swimming pool cleaning with wall climbing capability
KR101452757B1 (ko) 컴팩트형 카트
KR200469740Y1 (ko) 휴대폰 자가충전형 쇼핑카트
US20180099685A1 (en) Trolley baseplate and trolley using the same
CN106585274B (zh) 阻尼式定位万向轮
CN217074613U (zh) 一种童车车轮挡泥罩
CN110182251A (zh) 连接机构及具有该连接机构的幼儿载具
CN217623875U (zh) 扶手式四轮电动滑板车
CN213199575U (zh) 用于车辆运输的轮挡装置
WO2018144753A1 (en) Wheel axle assembly with stabilizing braces
CN210809618U (zh) 一种轮组以及设置有该轮组的拉杆箱
CN101290841A (zh) 具有防呆结构的开关
CN219948563U (zh) 登机桥及其行走机构
CN210680758U (zh) 方便固定电池的医用推车
CN2306157Y (zh) 爬阶梯轮圈结构
CN212125332U (zh) 车轮支架及具有其的机器人底盘和磁吸附式移动机器人
JP2004122898A (ja) キャタピラ付きの階段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