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361B1 - 창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361B1
KR101905361B1 KR1020180033468A KR20180033468A KR101905361B1 KR 101905361 B1 KR101905361 B1 KR 101905361B1 KR 1020180033468 A KR1020180033468 A KR 1020180033468A KR 20180033468 A KR20180033468 A KR 20180033468A KR 101905361 B1 KR101905361 B1 KR 10190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upled
window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양성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호
양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양성현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18003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3386 priority patent/WO20191824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05C9/12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틀프레임에 단열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을 갖고 글라스가 픽스되지 않는 개방면이 형성된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창문으로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어 창문을 창문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수평이송을 가이드 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창문의 전면 타측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미는 동작과 당김 동작에 의해 창문을 창문틀에 밀착/이탈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설되고 손잡이 조작에 의해 창문을 창문틀에 구속/해제시키는 락킹부;와, 상기 창문의 일단면과 창문틀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창문과 창문틀의 밀착과 이탈을 가이드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방향전환부는 창문 폐쇄시 창문의 일측을 창문틀에 자동으로 도입시켜 밀착할 수 있도록 안내회동암을 갖고, 상기 손잡이는 창문의 일측이 창문틀에 도입 후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고, 연동되는 락킹부를 통해 창문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 개폐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슬라이딩 주행하는 창문의 일측은 창문틀에 1차적으로 자동 도입시키고, 2차적으로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 밀착시켜 개폐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창호 어셈블리는 통상 창문틀에 창문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종래의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과 창문틀과의 마찰력과, 창문과 창문틀에 결합된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 창문의 개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감안하여 창문을 리프팅한 상태로 원활히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동 후에는 창문을 내려주어 바닥면과 밀착시켜줌으로써 단열의 효과를 높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 장치(특허등록 제1060234호)"에 따르면 이동용 창짝은 운동 방향 전환 유닛에 의해 레일부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창짝은 창짝의 두께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로 마찰력의 감소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 장치"는 창짝을 개폐하는데 있어 창짝의 개폐충격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0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창문 개폐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슬라이딩 주행하는 창문의 일측은 창문틀에 1차적으로 자동 도입시키고, 2차적으로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 밀착시켜 개폐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창문의 일측과 타측을 가이드할 수 있는 안내롤러를 마련하여 개폐충격을 감소는 물론, 창문의 개폐를 충격음 없이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창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틀프레임에 단열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을 갖고 글라스가 픽스되지 않는 개방면이 형성된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창문으로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어 창문을 창문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수평이송을 가이드 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창문의 전면 타측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미는 동작과 당김 동작에 의해 창문을 창문틀에 밀착/이탈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설되고 손잡이 조작에 의해 창문을 창문틀에 구속/해제시키는 락킹부;와, 상기 창문의 일단면과 창문틀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창문과 창문틀의 밀착과 이탈을 가이드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방향전환부는 창문 폐쇄시 창문의 일측을 창문틀에 자동으로 도입시켜 밀착할 수 있도록 안내회동암을 갖고, 상기 손잡이는 창문의 일측이 창문틀에 도입 후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고, 연동되는 락킹부를 통해 창문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호차 또는 제1슬라이딩봉과,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창문이 레일프레임의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 또는 제1슬라이딩봉과 고정플레이트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회동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창문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방향전환부는 회동바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갖고, 상기 암은 안내회동암이 링크 결합되며, 상기 안내회동암의 자유단부에는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봉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창문의 타측 상단 모서리 1개소에 결합되는 방향전환부는 제1슬라이딩봉과 결합되어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회동바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절개라인에 위치되는 스토퍼봉이 고정되어 회동바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의 길이만큼 제한하되, 상기 회동바는 회전축에 축설된 탄성수단 및 회동바의 길이 정도에 따라 창문에 대해 60 ~ 90°로 회동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락킹부는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결합되고 창문의 타단면에서 수직운동하는 상/하 이동바와, 상기 상/하 이동바와 연결바를 매개로 동반 이동하는 락킹바와, 상기 락킹바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구속봉과, 상기 창문틀에 고정되어 구속봉을 안내하여 구속하는 구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창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중첩되어 피스 결합되는 상판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상판의 대면하는 면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과, 상판의 위치를 변경하여 피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홈과,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락킹바의 구속봉을 창문틀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구속하는 구속블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속블럭은 양측으로 락킹바의 구속봉을 안내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안내부는 창문의 일단면에 복수 결합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창문틀의 내측면에 복수 결합되어 제1안내롤러를 창문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창문틀에는 창문의 타측이 창문틀의 면상으로 이동될 경우, 창문의 타단면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2안내롤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발명은, 제1발명 또는 제3발명에서,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는 방향전환부에 연결된 안내회동암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발명은, 제10발명에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헤드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충격흡수블럭과, 상기 충격흡수블럭의 단부에 형성되는 함몰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에 따르면, 창문 개폐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감소에 따른 창문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주행하는 창문의 일측은 창문틀에 1차적으로 자동 도입시키고, 2차적으로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 밀착시켜 개폐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의 일측과 타측을 가이드할 수 있는 안내롤러를 마련하여 개폐충격을 감소는 물론, 창문의 개폐를 충격음 없이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적용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결합된 창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적용된 창문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구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서 발췌된 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개폐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적용된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결합된 창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가 적용된 창문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방향전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구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 및 도 3에서 발췌된 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 개폐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슬라이딩 주행하는 창문의 일측은 창문틀에 1차적으로 자동 도입시키고, 2차적으로 창문의 타측을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 밀착시켜 개폐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는 외틀프레임(210)에 단열부재(220)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230)을 갖고 글라스(240)가 픽스되지 않는 개방면(250)이 형성된 창문틀(200)과, 상기 창문틀(200)의 개방면(250)을 개폐하는 창문(3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창호 개폐장치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방향전환부(10)와, 손잡이(20)와, 락킹부(30) 및 안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부(10)는 상기 창문(300)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이탈시키고, 수평이송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방향전환부(10)는 레일프레임(23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창문(300)을 창문틀(200)의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하고, 창문(300)을 리프팅한 상태로 창문틀(200)의 수평방향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향전환부(10)는 도 4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호차(11a) 또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상기 창문(30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2)와, 상기 창문(300)이 레일프레임(230)의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11a) 또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고정플레이트(12)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회동바(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4개의 방향전환부(10) 중 창문(300)의 하단 2개소에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창문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회동바(13)에 호차(11a)가 링크 연결되고, 창문의 상단 2개소에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창문(300)의 하중을 받지 않기 때문에 레일프레임(230)에서 구름 이동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봉(11b)이 회동바(13)와 링크 연결되는 구성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창문(300)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창문 폐쇄 시 창문틀(200)과 1차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창문(300)의 일측을 창문틀(200)에 자동으로 도입시켜 밀착될 수 있도록 안내회동암(14)을 갖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방향전환부(10)의 회동바(13)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132)을 갖고, 상기 암(132)은 안내회동암(14)이 링크 결합되며, 상기 안내회동암(14)은 레일프레임(230)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자유단부에 제2슬라이딩봉(141)이 연결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봉(141)은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회동암(14)은 창문(300)이 창문틀(200)에 근접하면 창문틀(200)과 먼저 접촉되어 회동암(13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암(132)이 회전됨에 따라 고정플레이트(12)에 결합된 창문(300)의 일측만이 창문틀(2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도입된다.
한편 방향전환부(10)의 회동바(13)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2)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는 절개라인(131)에 위치되는 스토퍼봉(121)이 고정되어 회동바(13)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131)의 길이만큼 제한 한다.
이때 상기 회동바(13)는 회전축(122)에 축설된 탄성수단(122a) 및 회동바(13)의 길이 정도에 따라 창문(300)에 대해 60 ~ 90°로 회동된 각도를 유지하며, 힘을 강제하지 않는 한 창문(300)이 창문틀(200)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 한다.
아울러 상기 레일프레임(230)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는 방향전환부(10)에 연결된 안내회동암(14)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60)가 결합된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60)는 상기 레일프레임(230)에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수단(611)이 내장된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단부에 헤드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충격흡수블럭(62)과, 상기 충격흡수블럭(62)의 단부에 형성되는 함몰홈(6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함몰홈(621)은 충격흡수블럭(62)과 제2슬라이딩봉(141)간에 점접촉되어 충격음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내회동암(14)에 결합된 제2슬라이딩봉(141)과의 밀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창문(300)의 타측 상단 모서리 1개소에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결합되어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가이드바(15)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가이드바(15)는 제1슬라이딩봉(11b)의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구름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락킹부(30)는 손잡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어 손잡이(20)의 조작에 의해 연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부(30)는 손잡이(20)의 조작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31)와, 상기 피니언기어(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32)와, 상기 랙기어(32)와 결합되고 창문(300)의 타단면에서 수직운동하는 상/하 이동바(33)와, 상기 상/하 이동바(33)와 연결바(34)를 매개로 동반 이동하는 락킹바(35)와, 상기 락킹바(35)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구속봉(351)과, 상기 창문틀(200)에 고정되어 구속봉(351)을 안내하여 구속하는 구속부(36)로 구성된다(도 8 참고).
여기서 연결바(34)는 상/하 이동바(33)와 락킹바(35)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상/하 이동바(33)와 락킹바(35)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락킹부(30)는 손잡이(20)를 통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20)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31)가 동반 회전하여 랙기어(32)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상기 랙기어(32)와 연동되는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은 창문틀(200)에 고정된 구속부(36)에 의해 구속되어 창문(300)이 창문틀(200)에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36)는 상기 창문틀(200)에 고정되는 고정판(361)과, 상기 고정판(361)에 중첩되어 피스 결합되는 상판(362)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361)과 상판(362)의 대면하는 면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363)과, 상판(362)의 위치를 변경하여 피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362)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홈(362a)과, 상기 고정판(361)에 일체로 형성되어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창문틀(2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구속하는 구속블럭(36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속부(36)는 창문틀(200)의 두께 및 고정판(361)의 위치에 따라 상판(362)을 미세 이동시켜 구속블럭(364)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상기 구속블럭(364)의 두께 차이를 이용하여 구속봉(351)의 창문틀(2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구속블럭(364)은 양측으로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안내하는 만곡면(364a)이 형성되어 손쉽게 구속봉(351)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40)는 상기 창문(300)의 일단면과 창문틀(20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창문(300)과 창문틀(200)의 밀착과 이탈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안내부(40)는 창문(300)의 일단면에 복수 결합되는 제1안내롤러(41)와, 상기 창문틀(200)의 내측면에 복수 결합되어 제1안내롤러(41)를 창문틀(200)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면(421)을 갖는 경사블럭(4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내부(40)는 창문(300)의 일측이 1차적으로 도입될 때 창문(300)에 결합된 제1안내롤러(41)가 창문틀(200)에 결합된 경사블럭(42)의 경사면(421)을 따라 이동되면서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밀착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창문틀(200)에는 제2안내롤러(5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2안내롤러(50)는 창문(300)을 구속하기 위해 2차적으로 창문(300)의 타측을 창문틀(200)의 면상에 가압 밀착시킬 때 제2안내롤러(50)가 창문(300)의 타단면에 접촉되어 창문틀(200)의 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제2안내롤러(50)와, 경사블럭(42)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구속부(36)와 동일한 고정판(361)과, 상판(362)이 구비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창호 개폐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창문을 폐쇄할 경우, 방향전환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창문(300)은 방향전환부(10)의 회동암(132)에 의해 창문틀(200)의 레일프레임(210)에서 이탈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10)의 호차(11a) 또는 제1슬라이딩봉(11b)은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잡고 창문(3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창문(300)은 회동암(132)에 의해 레일프레임(230)에서 이탈된 상태로 견인되어 주행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300)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안내회동암(14)의 제2슬라이딩봉(141)은 창문틀(200)에 결합된 충격흡수부재(60)의 충격흡수블럭(62)과 1차로 접하여 충격이 흡수된다.
안내회동암(14)의 제2슬라이딩봉(141)이 충격흡수부재(60)와 접하면 창문(300)의 수평 이동하는 힘에 의해 회동암(132)은 창문(300)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고, 고정플레이트(12)에 결합된 창문(300)의 일측만이 창문틀(2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도입된다.
이 후, 창문(300)의 손잡이(20)를 잡고, 창문(300)의 타측을 창문틀(200) 방향으로 밀면, 상기 각 방향전환부(10)의 회동암(132)이 동시에 창문(300)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창문(300)이 창문틀(200)에 밀착된다.
창문(3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창문(300)을 개방할 경우에는 창문(300)의 구속을 해제하고, 손잡이(20)를 잡고 창문(300)을 당기면 창문(300)의 타측이 먼저 창문틀(200)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창문(3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창문(300)의 일측이 2차적으로 창문틀(200)에서 이탈되게 기능한다.
창문을 폐쇄하여 구속할 경우, 손잡이와 락킹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8과 같이, 손잡이(20)를 통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20)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31)가 동반 회전하여 랙기어(32)를 수직방향으로 상승된다.
그러면 랙기어(32)와 결합된 상/하 이동바(33)가 상승되고, 상/하 이동바(33)가 상승하면 연결바(34)와 락킹바(35)와 연동되어 상승한다.
이 때 상기 창문틀(200)에 결합된 구속부(36)의 구속블럭(364)은 락킹바(35)의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바, 상기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은 구속블럭(364)의 두께 차이를 이용하여 창문(300)을 창문틀(2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시켜 구속시킨다.
이 때 상기 구속블럭(364)은 양측으로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안내하는 만곡면(364a)이 형성되어 손쉽게 구속봉(351)을 유도할 수 있다.
창문의 구속을 해제할 경우에는 손잡이(20)를 회전시켜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구속블럭(364)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창문(300)은 방향전환부(10)에 구비된 탄성수단(122a)에 의해 회동암(132)이 선회되어 자동으로 창문(300)이 창문틀(200)에서 수직방향으로 분리 이탈된다.
창문을 폐쇄할 경우, 안내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잡고 창문(3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먼저 안내회동암(14)의 제2슬라이딩봉(141)이 충격흡수부재(60)와 접하면서 창문(300)의 일측만이 창문틀(2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도입된다.
이 때 창문(300)의 일단면에 복수 결합되는 제1안내롤러(41)는 상기 창문틀(200)에 결합된 경사블럭(42)의 경사면(421)을 따라 창문틀(200) 방향으로 미끄러져 충격을 흡수하고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밀착시킨다.
반대로 창문(300)이 개방되면, 상기 창문(300)의 일단면에 복수 결합되는 제1안내롤러(41)는 경사블럭(42)의 경사면(421)을 따라 창문틀(200)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창문을 부드럽게 유도 이탈시킨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방향전환부 11a: 호차 11b: 제1슬라이딩봉
12: 고정플레이트 121: 스토퍼봉
122: 회전축 122a: 탄성수단
13: 회동바 131: 절개라인
132: 암 14: 안내회동암
141: 제2슬라이딩봉 15: 가이드바
20: 손잡이
30: 락킹부 31: 피니언기어 32: 랙기어
33: 상/하 이동바 34: 연결바
35: 락킹바 351: 구속봉
36: 구속부 361: 고정판
362: 상판 362a: 장홈
363: 요철 364: 구속블럭
364a: 만곡면
40: 안내부 41: 제1안내롤러 42: 경사블럭
421: 경사면
50: 제2안내롤러
60: 충격흡수부재 61: 몸체 611: 탄성수단
62: 충격흡수블럭 621: 함몰홈
200: 창틀문 210: 외틀프레임 220: 단열부재
230: 레일프레임 240: 글라스
250: 개방면
300: 창문

Claims (11)

  1. 외틀프레임(210)에 단열부재(220)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230)을 갖고 글라스(240)가 픽스 되지 않는 개방면(250)이 형성된 창문틀(200)과, 상기 창문틀(200)의 개방면(250)을 개폐하는 창문(300)으로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300)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수평이송을 가이드 하는 방향전환부(10);
    상기 창문(300)의 전면 타측 세로프레임에 결합되어 미는 동작과 당김 동작에 의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밀착/이탈시키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와 연설되고 손잡이(20) 조작에 의해 창문(300)을 창문틀(200)에 구속/해제시키는 락킹부(30);
    상기 창문(300)의 일단면과 창문틀(20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창문(300)과 창문틀(200)의 밀착과 이탈을 가이드하는 안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300)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방향전환부(10)는 창문(300) 폐쇄시 창문(300)의 일측을 창문틀(200)에 자동으로 도입시켜 밀착할 수 있도록 안내회동암(14)을 갖고,
    상기 손잡이(20)는 창문(300)의 일측이 창문틀(200)에 도입 후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300)의 타측을 창문틀(200)의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고, 연동되는 락킹부(30)를 통해 창문틀(200)에 고정하며,
    상기 방향전환부(10)는 상기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호차(11a) 또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상기 창문(30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2)와, 상기 창문(300)이 레일프레임(230)의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11a) 또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고정플레이트(12)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회동바(13)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300)의 일측 상단과 하단 모서리 2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회동바(13)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132)을 갖고, 상기 암(132)은 안내회동암(14)이 링크 결합되며, 상기 안내회동암(14)의 자유단부에는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봉(141)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300)의 타측 상단 모서리 1개소에 결합되는 방향전환부(10)는 제1슬라이딩봉(11b)과 결합되어 레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가이드바(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3)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2)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는 절개라인(131)에 위치되는 스토퍼봉(121)이 고정되어 회동바(13)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131)의 길이만큼 제한하되,
    상기 회동바(13)는 회전축(122)에 축설된 탄성수단(122a) 및 회동바(13)의 길이 정도에 따라 창문(300)에 대해 60 ~ 90°로 회동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30)는 손잡이(20)의 조작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31)와, 상기 피니언기어(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32)와, 상기 랙기어(32)와 결합되고 창문(300)의 타단면에서 수직운동하는 상/하 이동바(33)와, 상기 상/하 이동바(33)와 연결바(34)를 매개로 동반 이동하는 락킹바(35)와, 상기 락킹바(35)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구속봉(351)과, 상기 창문틀(200)에 고정되어 구속봉(351)을 안내하여 구속하는 구속부(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36)는 상기 창문틀(200)에 고정되는 고정판(361)과, 상기 고정판(361)에 중첩되어 피스 결합되는 상판(362)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361)과 상판(362)의 대면하는 면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363)과, 상판(362)의 위치를 변경하여 피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362)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홈(362a)과, 상기 고정판(361)에 일체로 형성되어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창문틀(20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구속하는 구속블럭(36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속블럭(364)은 양측으로 락킹바(35)의 구속봉(351)을 안내하는 만곡면(36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40)는 창문(300)의 일단면에 복수 결합되는 제1안내롤러(41)와, 상기 창문틀(200)의 내측면에 복수 결합되어 제1안내롤러(41)를 창문틀(200)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면(421)을 갖는 경사블럭(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200)에는 창문(300)의 타측이 창문틀(200)의 면상으로 이동될 경우, 창문의 타단면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제2안내롤러(5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230)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는 방향전환부(10)에 연결된 안내회동암(14)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60)는 상기 레일프레임(230)에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탄성수단(611)이 내장된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단부에 헤드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충격흡수블럭(62)과, 상기 충격흡수블럭(62)의 단부에 형성되는 함몰홈(6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폐장치.
KR1020180033468A 2018-03-22 2018-03-22 창호 개폐장치 KR10190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68A KR101905361B1 (ko) 2018-03-22 2018-03-22 창호 개폐장치
PCT/KR2019/003386 WO2019182412A1 (ko) 2018-03-22 2019-03-22 창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68A KR101905361B1 (ko) 2018-03-22 2018-03-22 창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361B1 true KR101905361B1 (ko) 2018-10-05

Family

ID=6387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468A KR101905361B1 (ko) 2018-03-22 2018-03-22 창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5361B1 (ko)
WO (1) WO20191824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24B1 (ko) * 2018-12-14 2020-04-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장치
KR102312998B1 (ko) * 2020-06-26 2021-10-15 문수용 양개형 시스템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344B (zh) * 2019-11-28 2023-11-28 王小康 漂移窗的开合机构
CN112377042A (zh) * 2020-11-25 2021-02-19 铜陵首窗科技有限公司 一种开闭稳定的新型窗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46Y1 (ko) * 2000-05-04 2000-11-01 조래성 알미늄샤시문의 안전장치
JP2003138834A (ja) * 2001-10-31 2003-05-14 Oorisu Kk 引き違い戸装置
KR100528365B1 (ko) * 2003-06-03 2005-11-15 서윤현 창문개폐용 걸림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589Y2 (ja) * 1992-03-09 1996-11-06 日本エルミンサッシ株式会社 面一引違い窓の障子案内装置
KR101518793B1 (ko) * 2013-12-27 2015-05-11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차폐룸의 차폐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46Y1 (ko) * 2000-05-04 2000-11-01 조래성 알미늄샤시문의 안전장치
JP2003138834A (ja) * 2001-10-31 2003-05-14 Oorisu Kk 引き違い戸装置
KR100528365B1 (ko) * 2003-06-03 2005-11-15 서윤현 창문개폐용 걸림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24B1 (ko) * 2018-12-14 2020-04-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장치
KR102312998B1 (ko) * 2020-06-26 2021-10-15 문수용 양개형 시스템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412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361B1 (ko) 창호 개폐장치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US10047552B2 (en) Mov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of sliding window system having aluminum alloy sash structure
US7971392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WO2019134633A1 (zh) 抽屉式断路器
EP3075938B1 (en) Slide and turn door assembly and support mechanism therefor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170083322A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CN202227835U (zh) 横拉窗止挡器
KR101060234B1 (ko)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 장치
WO2008113148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N102959167A (zh) 窗开闭装置
KR101983841B1 (ko) 창호 잠금장치
CN105089443A (zh) 多功能推拉门装置
CN205637978U (zh) 锁扣装置
KR20150104694A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1829937B1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CN203361813U (zh) 一种用于半高屏蔽门上的应急门门锁机构
KR101661459B1 (ko) 미서기창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731716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