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780B1 - 고흡수성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780B1
KR101904780B1 KR1020160075296A KR20160075296A KR101904780B1 KR 101904780 B1 KR101904780 B1 KR 101904780B1 KR 1020160075296 A KR1020160075296 A KR 1020160075296A KR 20160075296 A KR20160075296 A KR 20160075296A KR 101904780 B1 KR101904780 B1 KR 10190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absorbent
nonwoven fabric
polyurethane film
dressing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59A (ko
Inventor
편도기
윤형순
최철균
김태희
임정남
도성준
김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16007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7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layer with different fluid reten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2Water-repel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고흡수성 부직포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은 가압열접착으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층 및 고흡수성 부직포층을 합지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흡수성 드레싱재{High Absorbency Dressing Materials}
본 발명은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과 고흡수성 부직포를 열가압 합지시킨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 조절, 세균 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신체기관으로 피부가 각종 외상에 의해서 피부의 기능을 상실하면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등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창상치유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를 간단히 설명하면 습윤환경, 감염, 이물·괴사조직, 온도, 산소농도, PH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상적인 드레싱재 요건은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윤상태의 유지 능력, 삼출물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무독성, 우수한 기계적 물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의 상처에 사용되는 드레싱은 초기에는 수분 흡수력이 뛰어난 면소재를 이용한 붕대를 이용하였으나, 면소재의 드레싱은 피부 상처에서 발생되는 상처분비물을 전부 흡수하지 못하고 흡수되지 못한 상처분비물이 건조되면서 상처면에 부착되어 교환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생조직 손상 및 통증을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거즈형 드레싱재는 삼출액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유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되어 교환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치유 초기 단계에서는 삼출물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번씩 드레싱재를 교환해 주어야하는 단점등이 있다.
현재 거즈형드레싱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다양한 폐쇄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흡습성의 조절 용이성 및 투습도의 조절 용이성 부족으로 인하여 광범위 창상에 적용되지 못하고 특정한 용도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 드레싱재의 종류에는 필름형,하이드로콜로이드형, 하이드로겔형, 소디움알지네이트등을 사용한 부직포형, 폴리우레탄 폼형 등이 있고 특히, 필름형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조의 용이성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일반적인 투명 필름 드레싱재는 외부와의 감염차단에만 특성이 있을 뿐 흡수력이 없어서 삼출물이나 출혈이 있는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다. 상처의 치유는 건조 환경보다 습윤 환경에서 효율적이므로 최근에는 습윤 창상 피복재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처면에서 발생되는 삼출물 흡수능력이 뛰어나고 생체친화적인 성질이 있는 소재, 흡수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소재 및 상처에 압박을 가해 지혈효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드레싱 패드가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 4,202,800, 4,367,327, 4,686,137호에서는 친수성 폴리올을 사용해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여 드레싱재로 적용하였다. 상기의 필름형 드레싱재는 가벼운 상처 즉, 찰과상 등 에는 유용하나 투습도 및 흡수능이 부족하여 삼출액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창상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437,621호에서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부직포에 라미네이션시켜 폐쇄성 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나 삼출액 흡수속도가 늦고 저투습도로 인하여 흡수된 삼출액의 투습, 건조에 따른 지속적인 삼출액 흡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삼출액이 비교적 많은 창상용 드레싱재로의 적용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631,106호는 삼출물을 흡수한 후 팽윤(Swelling)으로 인한 친수성 폼의 물성 저하를 개선한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네트형의 접합부분이 흡수가 진행됨에 따라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특징이 있지만 친수성 폼으로 폴리우레탄폼 이외의 보조적인 흡수재의 사용이 없는 점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680047호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고흡수성 부직포층에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합지된 것으로 부직포의 흡수성의 한계로 다른 흡수재와 병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고흡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흡수재를 합지해서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삼출물을 흡수하는 폼과 부직포로 구성된 드레싱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출물을 흡수하는 폼과 부직포 사이를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합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출물의 흡수력과 보유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부직포의 압축합지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합지력, 투습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다공성의 규격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고흡수성 부직포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가압 열접착으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및 고흡수성 부직포층을 합지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는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일반 섬유 30~90중량%와 고흡수성 섬유 10~70중량%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레싱재에 합지되기 전 3.0~6.0mm 두께가 합지된 후 0.5~2.0mm 두께로 압축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유연한 유연쇄와 강직한 강직쇄의 공유결합으로 선상의 고분자쇄로 구성되며, 녹는점(Mp) 100~15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20~60㎛이고, 다공성 크기는 지름(r)이 1.0~2.0mm이며, 간격(d)이 1.0~4.0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투습 및 방수기능이 있어, 투습기능에 의해 흡수된 심출물의 외부 증발 촉진기능 및 방수기능에 의해 외부 수분이 드레싱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드레싱재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흡수성 드레싱재는 밀도가 100~170(kg/m3)이며 흡수도는 면적(cm2) 대비 흡수량(g)이 0.5이상이고,보유도는 드래싱재 면적(cm2) 대비 흡수량(g)이 0.2이상이며, 부피팽창률(%)이 100~300% 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과 부직포로 구성되어 삼출물 흡수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출물을 흡수하는 폼과 부직포 사이를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접합시켜 합지력과 투습력이 조화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의 압축 합지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삼출물의 흡수력과 보유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흡수성 드레싱재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인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흡수성 드레싱재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삼출물의 신속한 흡수를 위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40);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30); 고흡수성 부직포층(20)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1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이다.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30)은 가압 열접착으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층(40) 및 고흡수성 부직포층(20) 사이를 합지시킬 수 있다.
드레싱재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쿠션성, 기계적 강도 즉 신율, 인장강도,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열린 기공(open cell) 구조로 친수성이 뛰어난 액상흡수력이 좋은 장점이 있어 상처치료용에서 삼출물 흡수력이 뛰어나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은 다공성 열린 기공의 구조가 흡수력에 중요 인자인 점을 고려할 때 흡수력과 폴리우레탄 폼층(40)의 부피는 비례관계에 있다.
다만 드레싱재의 사용용도에 맞게 일정한 피부면적당 두께를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폼의 흡수력과 부피제한을 고려해서 흡수성 부직포를 합지시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는 고흡수성 섬유를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10~70%, 바람직하게는 20~70%, 더 바람직하게는 30~70%를 포함하되, 고흡수성 섬유가 아닌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 한 종 이상과 복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자체 무게 대비 0.9% 생리식염수에 대하여 10g/g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0g/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g/g 이상의 높은 흡수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고흡수성 섬유는 자체 무게 대비 0.9% 생리식염수에 대하여 20g/g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30g/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g/g 이상의 높은 흡수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고흡수성 섬유의 예로는, 친수성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로부터 얻어진 섬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섬유, 알지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독 혹은 혼합된 섬유로, 이는 국내외 유수의 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고흡수성 섬유만으로 구성된 부직포는 형태안정성, 취급용이성 등과 같은 물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혼합 사용된다. 고흡수성 섬유 10~70중량%로 사용할 때가 흡수력도 유지되면서 부직포의 일정한 구조적 물성도 유지될 수 있다. 고흡수성 섬유 10중량% 이하의 경우는 부직포의 흡수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대로 70중량%이상의 경우 흡수력은 좋으나 부직포의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섬유는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그 특징으로는 높은 흡수력 및 보유력, 빠른 흡수력, 압력을 가해도 흡수된 물의 배수성이 적은 특징이 있다.
상기 고흡수성 섬유는 0.9% 생리식염수에 대하여 20g/g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30g/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g/g 이상의 높은 흡수력을 갖는다.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를 직접 피부에 사용할 경우 피부에서 탈리과정에서 피부조직과 굳은 삼출물 등이 부직포에 엉켜서 문제가 될 수 있어 직접 피부에 사용하는 것보다 폴리우레탄 폼 상층에 접지시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고흡수성 부직포는 그 특성상 압축시 부피의 수축율이 폴리우레탄 폼보다 뛰어나서 본 발명에서는 가압한 후 드레싱재 합지시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부직포 수축율을 고려해서 드레싱재에 합지되기 전 3.0~6.0mm 두께가 합지된 후 0.5~2.0mm 두께로 압축될 수 있게 하여 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폼과 부직포를 합지시키기 위해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은 내마모성, 내굴곡 피로성, 내한성, 내유성, 내용제성, 기계적 강도 및 내하중성이 우수하여 PET나 PP와는 달리 외부의 충격이나 자극에 의한 스크래치, 마모에 강하다. 또한, 탄성이 우수하여 탄성력이 좋은 물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은 유연한 유연쇄와 강직한 강직쇄가 공유결합으로 선상의 고분자쇄로 구성되되, 녹는점(Mp) 100~150℃인 것으로 열가압하여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 표면의 유동성이 발생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폼과 부직포 층 사이에서 접착제 역할을 하며 상온으로 다시 유동성이 없어지고 경직되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좋아서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이 크게 일어나는 소재와 접합하였을 경우, 소재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고,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도, 흡액 과정에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소재와 잘 접착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인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은 두께가 20~60㎛이고, 다공성 크기는 지름(r)이 1.0~2.0mm이며, 간격(d)이 1.0~4.0mm인 것에 특징이 있다.
다공성의 형상으로 도 2의 원형은 일예로 보여준 것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원형 지름의 크기는 폴리우레탄 폼층(40)에서 흡수된 삼출물이 다공성 필름(30)을 통해 상부의 부직포로 용이한 전달을 위한 규격으로 다공성 간격을 고려할 때 2.0mm 이상의 경우는 흡수력 전달력은 향상되나 폴리우레탄 폼층과 부직포 사이에 접착면적이 줄어 접착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과 흡수력을 고려해서 상기 다공성 규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최상부층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10)은 투습 및 방수기능이 있어, 투습 기능에 의한 흡수된 삼출물의 외부 증발 촉진기능 및 방수기능에 의해 외부 수분이 드레싱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드레싱재의 흡수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 기능도 있어 외부 오염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두께 5.0mm의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40), 50㎛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30), 1.0mm의 압축된 고흡수성 부직포(20), 20㎛의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10)으로 적층된 드레싱재에서, 가로세로 5cm×5cm를 면적을 절단하여 수분 흡수도(g/cm2), 수분 보유도(g/cm2), 밀도(kg/m3), 부피팽창률(%)을 측정한다.
비교예 1
두께 6.0mm의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40)과 20㎛의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10)으로 만 구성된 드레싱재로 실시예와 같은 물성을 측정한다.
비교예 2
두께 6.0mm의 고흡수성 부직포(20)와 20㎛의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10)으로만 구성된 드레싱재로 실시예와 같은 물성을 측정한다
※단위면적당 흡수도(g/cm2)
비이커, 0.0001g 까지 측정이 가능한 전자정밀저울을 사용하여 1) 샘플을 5×5cm의 크기로 잘라 무게(W1)를 재고, 2) 증류수를 ±0.01g까지 정확하게 측정하여 샘플의 무게의 40배를 첨가하며, 3) 37±1℃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꺼내어 핀셋을 이용해 샘플을 30초간 매단 후 무게(W2)를 잰다.
삭제
단위면적당 흡수도(g/cm2) = (W2-W1) / 25
(W1 : 초기무게(g), W2 : 24시간 후의 샘플의 무게(g))
※단위 면적당 보유도(g/ cm 2 )
항온항습기, 전자정밀저울, 압착 추(1.36kg)을 사용하여 1) 샘플을 5cm×5cm의 크기로 잘라 샘플의 초기무게(A)를 측정하고, 증류수는 샘플의 초기무게의 40배로 하여 담가 37±1℃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보관한다. 2) 24시간 경과 후 다시 꺼내어 1.36kg 압착 추를 이용하여 30초간 압착 후 다시 무게(B)를 측정한다.
단위면적당 보유도(g/cm2) = (B-A) / 25
※ 부피팽창률( % ) 시험법
항온기(Convection Oven), 전자정밀저울을 사용하며, 1)샘플을 5cm×5cm의 크기로 잘라 초기의 부피(A)를 측정하고, 2) 증류수는 샘플 초기 무게의 40배로 하여 샘플을 담근 후 37±1℃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다 3) 24시간 경과 후 꺼내어 핀셋을 이용해 샘플을 30초간 매단 후 샘플의 부피(B)를 측정한다.
팽창률(%) = B/A ×100
구분 구성 두께
(cm)
밀도
(kg/m3)
흡수도
(g/cm2)
보유도
(g/cm2)
부피팽창률
(%)


실시예
폴리우레탄 폼+다공성 열가소성 우레탄필름+부직포+반투과성 우레탄 필름

0.6


144.31


1.40


1.06


277.23

비교예 1
폴리우레탄 폼+반투과성 우레탄필름
0.6

130.39

0.79

0.46

254.10
비교예 2 부직포+반투과성 우레탄 필름 0.6 45.38 0.94 0.70 265.31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두께측정에서 ㎛ 단위의 값은 생략하였음
상기 표2에서 보듯이 드레싱재에서 중요한 흡수도, 보유도 값은 실시예에서 가장 뛰어난 값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20: 고흡수성 부직포층
30: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40: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r: 다공성 구조 지름 d: 다공성 구조의 간격

Claims (6)

  1. 고흡수성 드레싱재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고흡수성 부직포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층은 가압열접착으로 고흡수성 폴리우레탄 폼층 및 고흡수성 부직포층을 합지시키되,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층은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일반 섬유 30~90중량%와 고흡수성 섬유 10~70중량%로 구성되며, 무게 대비 0.9% 생리식염수에 대하여 30g/g 이상의 흡수력을 갖고,
    상기 고흡수성 섬유는 친수성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로부터 얻어진 섬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섬유, 알지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독 혹은 혼합된 섬유로 무게대비 0.9% 생리식염수에 대하여 40g/g 이상의 흡수력을 가지며,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층은 드레싱재에 합지되기 전 3.0~6.0mm 두께가 합지된 후 0.5~2.0mm 두께로 압축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20~60㎛이고, 다공성 크기는 지름(r)이 1.0~2.0mm이며, 간격(d)이 1.0~4.0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20~60㎛이고, 다공성 크기는 지름(r)이 1.0~2.0mm이며, 간격(d)이 1.0~4.0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투습 및 방수기능이 있어,
    투습 기능에 의한 삼출물의 외부 증발 촉진기능 및 방수기능에 의해 외부 수분이 드레싱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드레싱재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드레싱재는 밀도가 100~170(kg/m3)이며 흡수도는 면적(cm2) 대비 흡수량(g)이 0.5이상이고,
    보유도는 드래싱재 면적(cm2) 대비 흡수량(g)이 0.2이상이며, 부피팽창률(%)이 100~300% 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고흡수성 드레싱재.
KR1020160075296A 2016-06-16 2016-06-16 고흡수성 드레싱재 KR10190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96A KR101904780B1 (ko) 2016-06-16 2016-06-16 고흡수성 드레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96A KR101904780B1 (ko) 2016-06-16 2016-06-16 고흡수성 드레싱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59A KR20170142059A (ko) 2017-12-27
KR101904780B1 true KR101904780B1 (ko) 2018-10-11

Family

ID=609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96A KR101904780B1 (ko) 2016-06-16 2016-06-16 고흡수성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279B1 (ko) * 2018-07-04 2020-04-09 주식회사 오스메딕 창상 피복재
CN115697271A (zh) * 2021-03-26 2023-02-03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膜和包括其的吸收性制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527A (ja) 1999-07-02 2001-01-23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JP2002065722A (ja) * 2000-09-01 2002-03-05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JP2002200110A (ja) 2001-01-09 2002-07-16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CN204655268U (zh) 2015-05-05 2015-09-23 南阳市汇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藻酸盐医用敷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527A (ja) 1999-07-02 2001-01-23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JP2002065722A (ja) * 2000-09-01 2002-03-05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JP2002200110A (ja) 2001-01-09 2002-07-16 Toyobo Co Ltd 創傷被覆材
CN204655268U (zh) 2015-05-05 2015-09-23 南阳市汇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藻酸盐医用敷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59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3369A (en) Multi-layered dressing
EP3634338B1 (en) Wound dressing with odor absorption and increased moisture vapor transmission
US4977892A (en) Wound dressing with hydrophilic absorbent layer
US10953127B2 (en)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US4813942A (en) Three step wound treatment method and dressing therefor
KR101787192B1 (ko) 항균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EP1339435B1 (en) Layered materials for use as wound dressings
US10543133B2 (en) Component for a wound dressing
JP5756124B2 (ja) 改善された粘着性を有するハイドロゲルマトリックス
WO1998031402A2 (en) Dressings
DK175926B1 (da) Sårforbinding
KR101904780B1 (ko) 고흡수성 드레싱재
US20110282260A1 (en) Polyurethane Foam Dressing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49523B1 (ko) 드레싱 지혈 패드
WO2005065604A1 (en) Wound dressing
KR102090576B1 (ko) 상처치료용 다층 드레싱재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0257133B1 (en) Wound dressing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90034173A (ko) 실크 드레싱재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180030494A (ko) 드레싱 지혈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612374B1 (ko) 수분 방출 방지층을 함유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 및 그제조 방법
KR20180005290A (ko) 드레싱 지혈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