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864B1 -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864B1
KR101903864B1 KR1020167004656A KR20167004656A KR101903864B1 KR 101903864 B1 KR101903864 B1 KR 101903864B1 KR 1020167004656 A KR1020167004656 A KR 1020167004656A KR 20167004656 A KR20167004656 A KR 20167004656A KR 101903864 B1 KR101903864 B1 KR 10190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attress
user
points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755A (ko
Inventor
후아이준 리우
케 우
타오 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고,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XERCISE RECORDING}
본 출원은 2015년 7월 31일 출원되고, 출원 번호 201510462845.7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제출한 것으로,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개시는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운동에 대한 열중에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 설비에 의하여 제공되는 운동량 통계 서비스는 점점 더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사용자는 운동 시 전자 설비를 휴대할 수 있고, 전자 설비는 사용자의 행위를 기록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보수, 보행 거리, 소모한 칼로리 등을 통계화할 수 있다.
관련기술에 존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의하면 운동 기록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운동 기록 방법은,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force points)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며, 여기서 n≥2 인 단계; 및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n=2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脚部)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n=3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臀部)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n=5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상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n=2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다리와 몸의 비례, 상기 두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둔부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상기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n=3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상기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n=5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손의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두 개의 상기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는,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상태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운동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고,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힘점 확정 모듈;
상기 힘점 확정 모듈에 의하여 확정한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상태 확정 모듈; 및
상기 상태 확정 모듈에 의하여 확정된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힘점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n≥2 인 제1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제1확정 서브 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정 서브 모듈은,
n=2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n=3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n=5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상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2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인 경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고;
상기 다리와 몸의 비례, 상기 두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둔부 힘점을 확정하며;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상기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3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인 경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상기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5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손의 힘점인 경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두 개의 상기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확정 모듈은,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측정 서브 모듈; 및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상태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송신 모듈은,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상태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송신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의하면, 운동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 수단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진행한 운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행한 운동을 기록하여,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를 한정할 수 없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편입되어 본 개시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윗몸 일으키기의 설명도이다.
도 2c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듯이 누워 다리를 드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엎드려 팔 굽혀 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계되는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본 개시과 일치한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그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본 개시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운동 기록 방법은,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 기록 방법은,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101;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 102; 및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103; 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운동 기록 방법은,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진행하는 운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행한 운동을 기록하여,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a는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운동 기록 방법은,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운동 기록 방법은,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201을 포함한다.
주요 힘점이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운동할 때, 사용자의 몸의 각 부위가 매트리스와 접촉하는 점을 말한다. 예를 들면,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팔의 힘점 중 적어도 일종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를 트리거(Trigger)하여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경우, 첫번째 실현 형태는, 매트리스에 트리거 버튼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트리거 버튼을 눌렀을 때, 매트리스를 트리거하여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것이고; 두번째 실현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에 트리거 버튼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트리거 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 단말기가 매트리스에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고, 매트리스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트리거되어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것이며; 세번째 실현 형태는,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은 후,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움직이지 않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움직이지 않은 경우, 매트리스를 트리거하여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것이다.
상이한 운동은 상이한 주요 힘점에 대응하므로, 매트리스는 그 지원하는 운동을 토대로 주요 힘점을 확정한다. 예를 들면,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이고, 이 때, 매트리스는 상기 두 주요 힘점 만을 확정하면 되고; 엎드려 팔 굽혀 펴기 운동을 할 때, 주요 힘점은 팔의 힘점과 각부 힘점이며, 이 때, 매트리스는 상기 두 개의 주요 힘점 만을 확정하면 된다.
주요 힘점이 많을수록 매트리스의 운동 상태에 대한 확정이 정확하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운동 종류에 관계 없이, 또한 상기 운동과 모든 주요 힘점의 대응 여부에 관계없이, 매트리스는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할 수 있고, 모든 주요 힘점을 토대로 운동 상태를 확정한다. 그 중, 모든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팔의 힘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는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할 수 있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먼저 일부의 주요 힘점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할 수도 있다. 이 때,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있을 경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며, 여기서 n≥2 인 단계; 및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n 이 2 또는 3 또는 5일 때 n개의 주요 힘점과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인 확정 과정은 이하와 같다.
1) n=2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한다.
두부는 인체의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각부는 인체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있을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머리의 압력이 다리의 압력보다 크므로 매트리스는 상기 두 힘점의 압력 값을 비교하여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각부 힘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을 확정한 후,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는 단계;
다리와 몸의 비례, 두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둔부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미리 사용자 단말기에 자기의 사용자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성별, 신장, 체중, 다리의 길이, 다리와 몸의 비례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매트리스에 송신하고 매트리스는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을 확정한 후, 사용자의 다리 길이 또는 다리와 몸의 비례를 토대로 둔부 힘점을 확정할 수 있다. 다리와 몸의 비례는 회음(Perineum) 높이/신장×100과 같고, 아시아 남자들은 평균 45.70이고, 아시아 여자들은 평균이며; 유럽과 아메리카 남자들은 평균 47.68이고, 유럽과 아메리카 여자들은 평균 47.34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 사이의 거리가 1.6미터이고, 사용자의 다리 길이가 0.7미터일 때, 길이 방향에서 둔부 힘점에서 0.7미터 떨어진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 사이의 거리가 1.6미터이고,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가 44.90일 때, 신장 및 다리와 몸의 비례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리 길이 = 44.9/100*1.6 = 0.7미터로 계산할 수 있고, 길이 방향에서 둔부 힘점에서 0.7미터 떨어진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한다.
팔은 사용자 상반신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두부 힘점과 둔부 힘점을 확정한 후, 매트리스는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범위는 사용자의 팔의 길이와 같거나 크다. 예를 들면, 소정의 범위가 1미터인 경우,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각 1미터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한다.
2) n=3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한다.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둔부의 압력이 가장 크므로 매트리스는 또한 길이 방향에서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에서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을 확정하는 방법은 1)과 같으므로 더 이상 설명을 하지 않는다.
두부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확정한 후,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매트리스에서 팔의 힘점을 확정하는 방법은 1)과 같으므로 더 이상 설명을 하지 않는다.
3) n=5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한다.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확정한 두 손의 힘점의 압력 값은 동일하다. 또한, 매트리스에서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확정하는 방법은 1)과 같으므로 더 이상 설명을 하지 않는다.
두부 힘점, 둔부 힘점, 각부 힘점과 팔의 힘점을 확정한 후,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두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매트리스에서 두부 힘점과 각 손의 힘점 사이의 범위를 한 팔의 힘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단계 202에 있어서,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단계 203에 있어서,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한다.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는 운동 상태와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를 거억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흔히 보는 운동 상태의 일부 압력 변화 규칙을 분석한다.
운동 상태가 윗몸 일으키기일 때, 도 2b에 도시된 윗몸 일으키기의 설명도와 같고, 사용자가 누운 상태 1일 때, 두부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변하지 않고, 팔의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며; 사용자가 몸을 일으킨 상태 2일 때,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변하지 않고, 둔부 힘점의 압력 값은 커지며, 팔의 힘점과 두부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고, 매트리스는 상기 압력 변화 규칙과 윗몸 일으키기를 대응되게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 기억한다.
운동 상태가 바로 누워 다리를 들기일 때, 도 2c에 도시된 바로 누워 다리를 들기의 설명도와 같고,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 1일 때, 팔의 힘점, 두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의 압력 값은 변하지 않고,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며; 사용자가 다리를 든 상태 2일 때, 팔의 힘점과 두부 힘점의 압력 값은 변하지 않고, 둔부 힘점과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며, 매트리스는 상기 압력 변화 규칙과 바로 누워 다리를 들기를 대응되게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 기억한다.
운동 상태가 엎드려 팔 굽혀 펴기일 때, 도 2d에 도시된 엎드려 팔 굽혀 펴기의 설명도와 같고,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 1일 때, 팔의 힘점,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변하지 않고, 두부 힘점과 둔부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며; 사용자가 팔을 편 상태 2일 때, 팔의 힘점과 각부 힘점의 압력 값은 커지고, 두부 힘점과 둔부 힘점의 압력 값은 영이며, 매트리스는 상기 압력 변화 규칙과 엎드려 팔 굽혀 펴기를 대응되게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 기억한다.
단계 204에 있어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트리스에 모니터가 포함될 때, 또한 운동 정보를 매트리스의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 내용에 따라 자신의 운동 상황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매트리스에 모니터가 포함되지 않을 때, 매트리스는 또한 운동 상태가 포함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는 운동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기록하고, 사용자는 자기의 운동 상황을 조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두가지 송신 방식을 제공한다. 이하, 이 두가지 송신 방식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첫번째 송신 방식에 있어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동 정보를, 운동 상태를 토대로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운동 상태와 운동 부위의 대응 관계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경우, 매트리스에서 송신한 운동 상태를 수신한 후, 상기 대응 관계에서 대응하는 운동 부위를 검색하고, 상기 운동 부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윗몸 일으키기에 대응하는 운동 부위는 복부이고, 엎드려 팔 굽혀 펴기에 대응하는 운동 부위는 흉부 등이다.
두번째 송신 방식에 있어서,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운동 정보를,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매트리스는 또한 압력 변화 규칙를 토대로 운동 횟수를 확정하고,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가 포함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운동 상태를 토대로 1차 운동에 소모된 칼로리를 조회하고, 운동 횟수에 1차 운동에서 소모된 칼로리를 곱하여 사용자가 운동에서 총 칼로리를 얻는다.
당연히,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운동 부위와 칼로리를 확정하는 외에, 사용자 단말기는 또한 운동 정보에 의하여 기타 계산을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는 운동 정보의 용도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운동 기록 방법은,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진행하는 운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행한 운동을 기록하며,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 두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의 위치에 의하여 둔부 힘점을 확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둔부 힘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운동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표기하고, 소모한 에너지 등을 계산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에게 더욱 전면적인 운동 기록을 제공한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힘점 확정 모듈(310), 상태 확정 모듈(320) 및 정보 송신 모듈(330)을 포함한다.
당해 힘점 확정 모듈(310)은,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상태 확정 모듈(320)은, 힘점 확정 모듈(310)에 의하여 확정한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정보 송신 모듈(330)은, 상태 확정 모듈(320)에 의하여 확정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운동 기록 장치는,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진행하는 운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행한 운동을 기록하며,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운동 기록 장치는, 힘점 확정 모듈(410), 상태 확정 모듈(420) 및 정보 송신 모듈(430)을 포함한다.
당해 힘점 확정 모듈(410)은,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당해 상태 확정 모듈(420)은, 힘점 확정 모듈(410)에 의하여 확정된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당해 정보 송신 모듈(430)은, 상태 확정 모듈(420)에 의하여 확정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힘점 확정 모듈(410)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n≥2 인 제1확정 서브 모듈(411); 및
제1확정 서브 모듈(411)에 의해 확정된 n개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확정 서브 모듈(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확정 서브 모듈 (411)은, 또한,
n=2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n=3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n=5일 때,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2이고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인 경우, 제2 확정 서브 모듈(412)은,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고,
다리와 몸의 비례, 두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둔부 힘점을 확정하며;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3이고,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인 경우, 제2 확정 서브 모듈(412)은, 또한,
두부 힘점에서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5이고,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손의 힘점인 경우, 제2 확정 서브 모듈(412)은, 또한,
두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고;
두부 힘점, 팔의 힘점, 둔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을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태 확정 모듈(420)은,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측정 서브 모듈(421); 및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상태 확정 서브 모듈(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송신 모듈(430)은,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동 정보를, 운동 상태를 토대로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송신 서브 모듈(431); 또는,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운동 정보를,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송신 서브 모듈(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운동 기록 장치는,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진행하는 운동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행한 운동을 기록하며, 전자 설비가 보행 이외의 기타 운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 두부 힘점 및 각부 힘점의 위치에 의하여 둔부 힘점을 확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둔부 힘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운동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표기하고, 소모한 에너지 등을 계산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에게 더욱 전면적인 운동 기록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에 대하여, 그 중 각 모듈이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이미 상기 방법에 관계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의한 운동 기록 장치는, 본 개시에 의한 운동 기록 방법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 운동 기록 장치는, 압력 센서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주요한 힘점을 확정하고;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의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당업자라면,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에 개시된 개시를 실천한 후, 본 개시의 기타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고,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 지식 또는 관용적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의 실질적 범위와 요지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개시는 위와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세부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7)

  1.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운동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매트리스에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력 센서의 압력 값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일부의 주요 힘점(force points)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힘점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운동할 때, 사용자의 몸의 각 부위가 매트리스와 접촉하는 점을 가리키며,
    상기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팔의 힘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일부의 주요 힘점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며, 여기서 n≥2 인 단계; 및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n=2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 힘점으로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脚部)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n=3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臀部)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n=5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상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n=2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다리와 몸의 비례, 상기 두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둔부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n=3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n=5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손의 힘점인 경우,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단계는,
    두 개의 상기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상태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방법.
  9.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운동 기록 장치로서,
    상기 매트리스에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력 센서의 압력 값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일부의 주요 힘점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힘점 확정 모듈;
    상기 힘점 확정 모듈에 의하여 확정한 상기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상태 확정 모듈; 및
    상기 상태 확정 모듈에 의하여 확정된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확정 모듈은,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측정 서브 모듈; 및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상태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요 힘점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운동할 때, 사용자의 몸의 각 부위가 매트리스와 접촉하는 점을 가리키며,
    상기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팔의 힘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힘점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n≥2 인 제1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제1확정 서브 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n=2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n=3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n=5일 때,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확정하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두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작은 힘점을 상기 사용자의 각부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가장 큰 힘점을 상기 둔부 힘점으로 확정하며, 상기 매트리스의 너비 방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이 영이 아닌 두 개의 힘점을 두 손의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n=2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과 각부 힘점인 경우, 상기 제2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기억한 사용자 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다리와 몸의 비례를 확정하고;
    상기 다리와 몸의 비례, 상기 두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둔부 힘점을 확정하며;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n=3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및 둔부 힘점인 경우, 상기 제2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상기 두부 힘점에서 상기 둔부 힘점의 양측까지의 소정의 범위를 팔의 응력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n=5이고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이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손의 힘점인 경우, 상기 제2확정 서브 모듈은 또한,
    두 개의 상기 손의 힘점에서 각각 상기 두부 힘점까지의 범위를 팔의 힘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두부 힘점, 상기 팔의 힘점, 상기 둔부 힘점 및 상기 각부 힘점을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모듈은,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상태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확정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송신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운동 상태에서의 운동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운동 상태와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며, 상기 운동 정보를, 상기 운동 횟수와 1차의 운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소모한 총 에너지를 계산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17.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운동 기록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트리스에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는 압력 센서의 압력 값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일부의 주요 힘점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고;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각 주요 힘점에서의 압력 변화 규칙을 통계화하고, 상이한 운동 상태와 상이한 압력 변화 규칙 사이의 대응 관계가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한 대응 관계에서 상기 압력 변화 규칙에 대응하는 운동 상태를 검색하며;
    상기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요 힘점은 사용자가 매트리스에서 운동할 때, 사용자의 몸의 각 부위가 매트리스와 접촉하는 점을 가리키며,
    상기 주요 힘점은 두부 힘점, 각부 힘점, 둔부 힘점 및 팔의 힘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사용자의 일부의 주요 힘점을 확정한 후, 일부의 주요 힘점을 토대로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에 반듯이 누워 있을 때, 압력 센서의 압력 값을 토대로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n개의 주요 힘점을 확정하며, 여기서 n≥2 인 것; 및
    상기 n개의 주요 힘점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모든 주요 힘점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록 장치.
KR1020167004656A 2015-07-31 2015-12-23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1903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62845.7A CN105107134B (zh) 2015-07-31 2015-07-31 运动记录方法及装置
CN201510462845.7 2015-07-31
PCT/CN2015/098437 WO2017020499A1 (zh) 2015-07-31 2015-12-23 运动记录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55A KR20170023755A (ko) 2017-03-06
KR101903864B1 true KR101903864B1 (ko) 2018-10-02

Family

ID=5465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56A KR101903864B1 (ko) 2015-07-31 2015-12-23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58824B2 (ko)
EP (1) EP3125139B1 (ko)
JP (1) JP6374114B2 (ko)
KR (1) KR101903864B1 (ko)
CN (1) CN105107134B (ko)
MX (1) MX361443B (ko)
RU (1) RU2645934C2 (ko)
WO (1) WO2017020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62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형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7134B (zh) 2015-07-31 2017-09-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运动记录方法及装置
CN105893755B (zh) * 2016-03-31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5944331A (zh) * 2016-04-28 2016-09-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运动姿态矫正方法、装置及其智能终端
US11387004B2 (en) 2018-03-15 2022-07-12 Thermogenesis Group, Inc. Standing desk mat
US11116343B2 (en) * 2018-03-15 2021-09-14 Thermogenesis Group, Inc. Standing desk mat
CN108654066A (zh) * 2018-06-29 2018-10-16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抬臀锻炼记录装置
CN110680331A (zh) * 2018-07-04 2020-01-14 李恋 人体运动测量装置
CN109876414A (zh) * 2019-01-02 2019-06-14 深圳市知赢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运动测量装置及方法
US11452916B1 (en) * 2019-01-17 2022-09-27 Dp Technologies, Inc. Monitoring exercise surface system
CN113018783A (zh) * 2021-03-03 2021-06-25 昆山吉禾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及数据存储设备及使用方法
CN114733154B (zh) * 2022-05-20 2023-12-22 无锡卓华智源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动作的标准度监测方法、系统、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2126A (ja) * 2008-08-12 2010-02-25 Tanita Corp 運動検出装置
JP2013541745A (ja) * 2010-07-16 2013-11-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触覚面上に触覚効果を生じさせる複アクチュエータ触覚面を含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03975A1 (ru) * 1972-11-14 1973-10-26 Горный институт В. Плехан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составляющих усилий, развиваемых спортсменом
JPS60166363A (ja) 1984-02-07 1985-08-29 Kuraray Co Ltd 耐水性に優れた接着剤
JPS60166363U (ja) * 1984-04-12 1985-11-05 平田 孝 トレ−ニングカウンタ−
ATE389354T1 (de) 1999-10-19 2008-04-15 Thomas Hilfen Hilbeg Gmbh & Co Vorrichtung zum messen von werten einer liegenden person
WO2001052953A1 (en) * 2000-01-21 2001-07-26 Howlett Campanella Helen Hardm Yoga mat with body contact placement indicia
GB2399767A (en) * 2003-03-28 2004-09-29 Damian Mark Levingsto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CN1250159C (zh) 2003-08-15 2006-04-12 北京泰达新兴医学工程技术有限公司 人体自然状态下睡姿的动态检测传感装置
FR2862884B1 (fr) * 2003-12-02 2008-05-30 Xkpad Dispositif pour la pratique de la gymnastique interactive de type "step"
JP2006155373A (ja) * 2004-11-30 2006-06-15 Ntt Docomo Inc サイト情報提供装置およびサイト情報提供方法
US7382267B2 (en) 2005-01-31 2008-06-03 Arti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rea activity monitoring and personnel identification
CN101317189A (zh) * 2005-11-28 2008-12-03 三星电子株式会社 锻炼管理功能提供系统和方法
US20070179360A1 (en) * 2006-02-02 2007-08-02 Mikat Richard P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US20150052253A1 (en) * 2014-09-22 2015-02-19 Weaved, Inc. Multi-server fractional subdomain dns protocol
US20100299840A1 (en) 2007-05-14 2010-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eight and/or movement sensing in a bed
DE102007049323A1 (de) * 2007-10-15 2009-04-23 Zebris Medic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anganalyse unter Einsatz eines Laufbandes
US8235870B2 (en) * 2008-08-15 2012-08-07 Phres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physical exercise and interactive multimedia
WO2010133988A1 (en) * 2009-05-19 2010-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actile exercise mat
KR101274114B1 (ko) * 2009-09-01 2013-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정된 발 압력 값을 이용한 자세분석 시스템 및 방법
EP2394623B1 (en) 2010-01-27 2016-11-23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Body position/body pressure control device
JP4532604B1 (ja) * 2010-02-26 2010-08-25 敬司 松野 スローステップ運動用踏み台
US20130090571A1 (en) * 2011-10-06 2013-04-1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preventing pressure ulcers
JP6258859B2 (ja) * 2011-11-10 2018-01-1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セー. フェー. 消費者が使用可能な試験キット
TW201407392A (zh) 2012-08-03 2014-02-16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登錄系統的電子裝置及自動登錄方法
WO2015003211A1 (en) * 2013-07-12 2015-01-15 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Sensor array system
CN103417218A (zh) * 2013-08-27 2013-12-04 中山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上肢运动的参数采集评估系统及方法
CN203749393U (zh) * 2013-11-01 2014-08-06 孙明 一种个人健康智能手环系统
JP2015100568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Ksf バイオテレメトリーシステム
CN104537132A (zh) * 2015-01-30 2015-04-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运动数据记录方法及装置
CN105107134B (zh) * 2015-07-31 2017-09-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运动记录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2126A (ja) * 2008-08-12 2010-02-25 Tanita Corp 運動検出装置
JP2013541745A (ja) * 2010-07-16 2013-11-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触覚面上に触覚効果を生じさせる複アクチュエータ触覚面を含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62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형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8258A1 (en) 2017-02-02
EP3125139A1 (en) 2017-02-01
JP2017533056A (ja) 2017-11-09
CN105107134B (zh) 2017-09-22
EP3125139B1 (en) 2018-09-26
CN105107134A (zh) 2015-12-02
MX2016003580A (es) 2017-05-19
MX361443B (es) 2018-12-06
KR20170023755A (ko) 2017-03-06
RU2645934C2 (ru) 2018-02-28
WO2017020499A1 (zh) 2017-02-09
JP6374114B2 (ja) 2018-08-15
RU2016110069A (ru) 2017-09-28
US10258824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864B1 (ko) 운동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0635906B1 (ko) 체중 부하 및 관절의 각도를 변수로 이용한 하지 재활 훈련장치 및 하지 재활 훈련 방법
Crewther et al. Validating two systems for estimating force and power
US8348862B2 (en) Muscular energy stat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swing mo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US10004971B2 (en) Physical-fitness test system using acceleration sensor
KR101772123B1 (ko)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RU201511210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гибателя колена
JP6158294B2 (ja) 手掌の握る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
KR101421122B1 (ko) 근 피로 예측방법 및 근 피로 예측시스템
EP30575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s of an athlete that performs a gymnastic exercise
CN110432872A (zh) 膝关节韧带损伤评估设备和方法
US117940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type recognition
JP2018526043A (ja) スポーツ選手の上肢の生理的パラメータを分析および定量化するための、試験用機器を装備した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TWI590805B (zh)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method,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mput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limb motor function
KR20180014971A (ko) 운동 감지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TWI287445B (en) Unit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device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and method of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JP6079585B2 (ja) 歩容のバランス評価装置
JP2016220779A (ja) 移動運動解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98166A (zh) 一种仰卧起坐自动测试器
TWI615174B (zh) 屈膝仰臥起坐檢測器系統及其方法
CN106446486B (zh) 肢体运动功能评估方法及其实施系统
TWI640299B (zh) 最大肌力值之測量方法
CN115105820A (zh) 动作评估系统
TWM501831U (zh) 仰臥起坐測量裝置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