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31B1 -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31B1
KR101903331B1 KR1020180039261A KR20180039261A KR101903331B1 KR 101903331 B1 KR101903331 B1 KR 101903331B1 KR 1020180039261 A KR1020180039261 A KR 1020180039261A KR 20180039261 A KR20180039261 A KR 20180039261A KR 101903331 B1 KR101903331 B1 KR 10190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valve body
gas leakage
measur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아이
Priority to KR10201800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으로서,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가스가 인가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어 가압되는 헤드부;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고, 헤드부의 타단의 일부를 수용하며, 헤드부가 가압되어 유동하는 경우,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보디부; 및 보디부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밸브 몸체관 외부로 노출되어, 보디부가 측정한 가스의 압력을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가스의 누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량적으로 안전하게 외부로 알리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leakage of gas}
본 발명은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스(gas) 누설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감압 센서를 구비하여, 가스의 누출 여부를 연속적이며 정량화된 수치를 통해 인식되도록 하며 이에 대해 알람까지 발생시키도록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대형화된 선박의 선체의 용접이나, 대형화된 건물 등에서 필요한 용접 작업에 있어서는 가스 및 산소의 공급단으로부터 연질의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하여 용접기/토치 등에 가스나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스파크나 화염이 곳곳에서 발생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가스나 산소의 누설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 및 산소의 공급단과 연질의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사이에는 가스 누설 여부를 측정하는 장치나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공개 특허기술 중 "가스 누설 안전게이지(등록 번호 제10-1774362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의 누설 여부를 스프링의 탄성을 통해 측정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등록 특허 제10-1774362호의 경우, 가스가 유동되는 관로 상에 제공되는 스프링의 수축의 정도에 따라 가스의 누설 여부를 육안으로 감지하는 것인데, 스프링의 수축을 나타내는 부분은 투명한 플라스틱 등을 통해 보여지는데, 투명한 플라스틱 부분에 불꽃 등이 튀어 파손되면서 가스의 유출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의 수축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연결부위까지 다가와 육안으로 매번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작업자의 이러한 적극적인 행동이 수반되기 전까지는 가스 유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는 "가스 거버너(등록 특허공보 제10-0466102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다이아프램을 이용하지 않는 소형·저가의 가스 거버너를 제공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가스유입실을 구획하는 통형벽에, 가스유출실에 연통하는 축선방향으로 긴 슬릿형의 밸브공를 형성하며, 통형벽에 가스유입실내의 가스가 유입하는 통형의 밸브체를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삽(內揷)하고, 밸브체가 축선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였을때 밸브체의 주벽부에 형성한 개구에 겹쳐지는 밸브체의 부분의 개도(開度)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밸브체의 축선방향의 일단부를 폐쇄하고, 이 폐쇄단의 외면에 가스유출실내의 2차 가스압을 작용시키고, 폐쇄단의 내면에 작용하는 가스유입실내의 1차 가스압과 2차 가스압의 압력차로 밸브체를 축선방향 한쪽으로 압압한다. 그리고, 밸브체를 축선방향의 타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하고, 압력차에 의한 압압력과 스프링의 탄지력이 밸런스를 이루는 위치에 밸브체가 이동되도록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으로서 "압력 감시 장치(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9-162590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유체 도입부를 길이 방향 한편 측에 형성된 통형 외통와 외통 내에 장전되고 외통의 유체 도입부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길이 방향 일단으로 가져 외통내가 슬라이드 가능한 내통과 내통을 소정 압력에 의해 초기 힘을 가해 유체의 도입 전에 외통내의 소정 위치에 정치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탄성체는 내통 내에 장전되어 외통의 유체 도입부에서 내통에 이르는 범위에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신축 부재로서, 자신의 수축시에서의 형상 복원력을 내통에 대한 예압으로 하는 부재가 이용되어 유체가 도입되었을 때의 내통의 이동에 필요한 압력 상승을 앞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시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용전(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5-147385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용전은 마개 본체의 피스톤 수납 구멍에 피스톤을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가용성 링과 스프링을 배설하며, 가용성 링은 관통 구멍에서 피스톤 수납 구멍으로 들어간 가스에 직접 노출되어 분위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해 피스톤을 멈추어 두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가용성 링은 분위기 온도가 상승해 용전온도가 소정 온도가 되면 용융해 액상이 되어 스토퍼 기능이 소실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은 스프링의 부세력을 받아 피스톤 수납 구멍 내를 그 주벽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외기 연통 구멍을 피스톤 수납 구멍와 연통시키므로, 가스 용기 내의 가스는 개구와 피스톤 수납 구멍을 거쳐 외기 연통구멍에서 대기 방출된다.
등록 특허공보 제10-0466102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9-162590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05-147385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기존의 가스 게이지를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가스 게이지의 탄성 스프링의 피로도 축적에 따른 수명 단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의 가스 게이지의 확인창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불꽃이나 화염 등에 의한 훼손시, 가스 안전 사고의 문제가 있었는바 이에 대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가스 공급단과 상기 가스 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유동시키는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제공되는 밸브 몸체관에 제공되어, 상기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가스가 인가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어 가압되는 헤드부; 상기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타단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가 가압되어 유동하는 경우, 상기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보디부; 및 상기 보디부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밸브 몸체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보디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보디부는, 외주면 중의 일부면이 상기 밸브 몸체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내에 배치되어, 일면은 상기 가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대향하고, 타면은 상기 가스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대향하되, 상기 타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타면에 접촉하며 피압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되는 피압부; 및 상기 피압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피압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가압부는,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프트한 재질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피압부는, 상기 한 쌍의 전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도체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도 가지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전도가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전도 가지 사이에는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보디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어, 상기 피압부의 전기 저항 값을 측정한 후, 상기 표시부로 측정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외부로 나타내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밸브 몸체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명령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명령입력부는,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여, 상기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을 턴-온(turn-on)하도록 하는 전원인가부; 및 상기 관리자로부터 기준 가스압 또는 알람 여부 설정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지시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기준 가스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기준 가스압을 비교하여, 측정된 상기 가스의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보다 작은 경우,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밸브 몸체관의 외부에 노출된 디스플레이부와 알람부에 의해 작업자가 용접 등의 작업 중에 별도로 육안확인을 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감압 센서의 도입에 따라, 기존 금속 소재의 탄성 스프링의 수명 단축에 따른 제품의 하자 발생을 보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외부로 표시되는 부분에 대한 근본적인 보강을 통해 불꽃 등에 의한 2차 화재 발생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축방형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피압부 그리고 접촉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일정 구성들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이 적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축방형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피압부 그리고 접촉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의 일정 구성들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가스의 공급단(미도시)과 가스 공급단이 공급하는 가스를 유동하여 토치/용접 장치 등에 인가하도록 하는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사이에 제공되는 밸브 몸체관(20)에 제공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경우, 이러한 배치를 통해, 플렉시블 호스나 기타 연결부에 예상치 못한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해당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은 헤드부(110), 보디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경우, 밸브 몸체관(20)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헤드부(110)와 보디부(120)는 밸브 몸체관(20)의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되, 표시부(130)는 보디부(120)와 밸브 몸체관(20)에 고정되되, 그 일부는 밸브 몸체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헤드부(110)와 보디부(12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관(20)의 내부 관로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가스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에 가스압을 인가하면서도 자연스레 유동될 수 있는 형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헤드부(110)의 경우, 밸브 몸체관(2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은 가스가 인가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인가되는 가스에 의한 압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헤드부(110)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수 미리미터(mm) 정도의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유동 거리를 가지며, 이러한 수축과 팽창은 가스의 압력과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의 경우, 헤드부(110)와 같이 밸브 몸체관(20)의 배치되는데, 보디부(120)는 밸브 몸체관(20)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는 헤드부(110)와는 달리, 밸브 몸체관(20)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주면의 대부분은 밸브 몸체관(20)의 내부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는 헤드부(110)와 마찬가지로, 밸브 몸체관(20)의 내부 관로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가스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에 가스가 자연스레 유동될 수 있는 형상(H 참조)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의 타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10)가 가압되어 유동되는 경우, 이러한 유동 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표시부(130)의 경우, 도 1 내지 3과 같이, 보디부(120)에 고정 배치되며 일부는 밸브 몸체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명령입력부(132, 133)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표시부(130)는 보디부(120)가 측정한 가스의 압력을 외부로 노출하여, 토치/용접의 작업 현장에 작업자, 관리자 등에게 측정된 가스 압력을 표시하고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헤드부(110) 및 보디부(120)는 그 외주면의 일부면이 밸브 몸체관(2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인가되는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관통홀(H)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의 일부를 절개한 것과 같이 형성되어, 가스 관통홀(H)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헤드부(110)는 가압부(101), 피압부(102), 및 접촉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가압부(101)는 헤드부(11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면은 가스가 인입되는 쪽으로 대향하도록 하며, 그 타면은 후술하게 되는 피압부(102)를 가압하는 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가압부(101)의 타면은 그 중앙부가 피압부(102)를 향하여 튀어 나오며 그 가장자리는 덜 나오도록 형성되는 형상 즉, 가운데가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01)의 타면의 일 실시예로 그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튀어나온 정의 단차는 0.1mm~2mm 범위로 설정되는데, 이러한 단차는 상술한 바와 같은 헤드부(110)의 유동 거리에 대응되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피압부(102)는 가압부(101)의 타면에 접촉하여 피(被)압되는 구성이다.
피압부(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01)에 피압되면서 접촉부(103, 후술함)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값에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 즉,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접촉부(103)의 경우, 도 6과 같이, 피압부(102)에 한 쌍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이며, 이를 통해 피압부(102)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는 구성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가압부(101)의 경우, 소프트(soft)한 재질 즉, 연질(軟質)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프트 재질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대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가압부(101)를 구성하는 연질의 소재 자체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라도 무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운데가 볼록하며 소프트한 재질의 가압부(101)가 피압부(102)를 천천히 가압하게 되면, 피압부(102)에 접촉하는 영역이 넓어지면서, 피압부(102)의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압부(102)는 한 쌍의 전도 가지(102a, 102b)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도 가지(102a, 102b)는 각각 다수 개의 가지를 형성하되 이들의 가지들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소프트한 재질의 볼록한 가압부(101)의 가압에 따라 이들 전도 가지(102a, 102b)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통해 가압부(101)의 가압의 정도에 따라 피압부(102)의 전기적 저항 값은 달라지게 되며, 이렇게 변동되는 전기적 저항 값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가스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는 중앙제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04)는 접촉부(103)에 접속하여, 피압부(102)의 전기 저항 값을 측정하여, 궁극적으로는 가스 압력을 측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측정한 가스의 압력을 표시부(130)로 나타내도록 한다.
중앙제어부(104)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통해, 피압부(102)의 측정된 전기적 저항 값에 매핑(mapping)되는 가스 압력 값을 통해, 측정된 저항값에 따른 가스 압력의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표시부(130)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명령입력부(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부(131)는 도 1,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04)가 측정한 가스의 압력을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31)의 경우, 전자 계산기 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PMLCD(Passive Matrix LCD), 또는 STN(Super-Twisted Nematic) 혹은 TFT(Thin Film Transistor)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계산기 등에 사용되는 태양 전지의 초저전력으로도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령입력부(132, 133)의 경우, 도 1,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관(2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관리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에 해당한다.
명령입력부(132, 133)의 다양한 명령어들은 미리 설정된(pre-determined) 명령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데, 이러한 명령어들은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버튼이거나, 가스의 누출인지 아닌지 결정하도록 하는 "기준 가스압"의 기준치(reference)를 입력받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입력부(132, 133)의 경우, 전원인가부(132) 및 지시인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인가부(132)의 경우,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지시인가부(133)는 보다 다양한 명령어를 수신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가스압이나 알람 여부 설정을 위한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인가부(132), 지시인가부(133)의 구체적인 코팅과 그에 따른 다양한 UI/UX에 대한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해당할 것이므로 실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보디부(120)의 중앙제어부(1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한 가스의 압력과 기준 가스압을 비교 분석하게 된다.
만약, 중앙제어부(104)가 분석한 후, 기준 가스압 대비 측정한 가스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플렉시블 호스나 기타 연결부에 예상치 못한 가스의 누출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상이 아닌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100)의 경우,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104)가 측정한 가스의 압력과 기준 가스압을 비교하여, 측정된 가스의 압력이 기준 압력 보다 작은 경우,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알람부의 알람 발생은 소리나 진동 등을 통해 이상 발생 사실을 외부로 알리게 되는데, 이를 통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의 육안 확인이 없다고 하더라도 이상 발생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알람부는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2진의 스피커나, 진동 발생을 위한 소형 모니터를 구비하여 비프음이나 모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H: 가스 관통홀 10: 밸브 연결관
20: 밸브 몸체관 100: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101: 가압부 102: 피압부
103: 접촉부 104: 중앙제어부
105: 배터리부 110: 헤드부
120: 보디부 130: 표시부
131: 디스플레이부 132: 명령입력부(전원인가부)
133: 명령입력부(지시인가부)

Claims (10)

  1. 가스 공급단과 상기 가스 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유동시키는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몸체관에 제공되어, 상기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가스가 인가되는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부;
    상기 밸브 몸체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타단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가 가압되어 유동하는 경우, 상기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보디부; 및
    상기 보디부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밸브 몸체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보디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보디부는,
    외주면 중의 일부면이 상기 밸브 몸체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내에 배치되어, 일면은 상기 가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대향하고, 타면은 상기 가스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대향하되, 상기 타면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타면에 접촉하며 피압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되는 피압부; 및
    상기 피압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피압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프트한 재질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부는,
    한 쌍의 전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전도체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도 가지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전도가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전도 가지 사이에는 전기 저항 값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어, 상기 피압부의 전기 저항 값을 측정한 후, 측정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상기 표시부로 나타내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밸브 몸체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명령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명령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부는,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여, 상기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을 턴-온(turn-on)하도록 하는 전원인가부; 및
    상기 관리자로부터 기준 가스압 또는 알람 여부 설정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지시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기준 가스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측정한 상기 가스의 압력과 상기 기준 가스압을 비교하여, 측정된 상기 가스의 압력이 상기 기준 가스압 보다 작을 경우,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KR1020180039261A 2018-04-04 2018-04-04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KR10190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61A KR101903331B1 (ko) 2018-04-04 2018-04-04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61A KR101903331B1 (ko) 2018-04-04 2018-04-04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31B1 true KR101903331B1 (ko) 2018-11-22

Family

ID=6455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261A KR101903331B1 (ko) 2018-04-04 2018-04-04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35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237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91Y1 (ko) * 2012-02-24 2012-10-11 손달식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91Y1 (ko) * 2012-02-24 2012-10-11 손달식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35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237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비엔아이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0091B1 (ko) * 2019-06-18 2021-04-14 주식회사 비엔아이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71930B1 (ko) * 2019-06-18 2021-07-02 주식회사 비엔아이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331B1 (ko)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BR9711993A (pt) Sistema de tonÈmetro para medição de pressão intraocular por meio de aplanamento e/ou indentação.
EP3118583B1 (en) Modular sealing apparatus with failure detection unit
US10823695B2 (en) Flow-type ion selective electrode, electrolyt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biochemical automatic analyzer
KR20180105639A (ko) 분사 디바이스 및 누설 검출 모듈
EP2968818B1 (en) Sliding piston pressure indicator
KR102240091B1 (ko)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71930B1 (ko)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27827B1 (ko) 충격 유압 계전기용 시험장치 및 제어방법
JP2007163152A (ja) 流量測定装置およびその精度確認方法
CA2309095A1 (en) Hand-held fuel cap leakage tester
KR101779184B1 (ko) 부탄가스 폭발 시각화장치
CN109540378A (zh) 一种具有监控功能的远程式压力表
KR101962068B1 (ko) 가스 압력 측정 게이지가 구비된 가스 연결관 장치
KR102083586B1 (ko) 밀폐성을 구비한 가스 누설 측정 시스템
JP2015080600A (ja)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超音波画像装置
KR20070084986A (ko)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JP2005077310A (ja) 気体測定装置及びその自己診断方法
KR20140013363A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CN215767558U (zh) 一种气路密封检测装置和气压系统
JP4092945B2 (ja) 漏れ防止部材
JP2022091294A (ja) 計測装置ユニット
KR0162783B1 (ko) 호스 클립의 압축력 및 진원도 측정장치
KR200238684Y1 (ko) 압력계
KR970011486B1 (ko) 가스 누설 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