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986A -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 Google Patents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986A
KR20070084986A KR1020060018008A KR20060018008A KR20070084986A KR 20070084986 A KR20070084986 A KR 20070084986A KR 1020060018008 A KR1020060018008 A KR 1020060018008A KR 20060018008 A KR20060018008 A KR 20060018008A KR 20070084986 A KR20070084986 A KR 2007008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detection sensor
pressure
cas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래
Original Assignee
이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래 filed Critical 이경래
Priority to KR102006001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4986A/ko
Publication of KR2007008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4Sca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01K1/12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heat over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01L7/043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온도 게이지 또는 압력 게이지의 케이스에 지침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그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위험을 표시하는 위험표시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계측값의 이상 유무가 감지되면 즉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현장 관리자가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게이지, 온도, 압력, 양압, 음압, 감지센서, 부저

Description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gauge having self indicating function for dangero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게이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게이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게이지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게이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도 5에 따른 게이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5에 따른 게이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따른 게이지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게이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따른 게이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에 따른 게이지의 개략적인 회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 온도표시판 19: 지침 20: 온도감지수단
30: 감지센서 30a: 제1감지센서 30b: 제2감지센서
40: 제어부 42: 전원부 42a: 배터리
44: 위험표시수단 44a: 디스플레이수단 44b: 음성출력수단
53: 압력표시판 55: 지침 60: 압력감지수단
90: 감지센서 90a: 제1감지센서 90b: 제2감지센서
92: 제어부 96: 위험표시수단 96a: 디스플레이수단
96b: 음성출력수단
본 발명은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구간의 온도나 압력 등이 감지되는 경우 현장의 관리자에게 직접 위험을 표시하여 신속히 대처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지는 특정 용기 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온도 를 측정하는 온도 게이지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온도 또는 입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는 계측된 측정값을 현장의 관리자가 직접 일일히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관리자가 다른 일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식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용기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면 이를 중앙제어식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컨트롤 판넬로 전송하여 감독관이 이를 중앙에서 감시 및 관리하고는 있으나, 이와 같은 중앙집중식 감시/관리의 경우 특정 게이지의 이상 또는 용기내의 온도 또는 압력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또는 이상이 발생한 게이지의 설치위치를 확인해야 하고 그 확인된 현장을 재차 방문해서 이상 유무를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지가 이상 작동을 하는 경우 이를 현장 관리자에게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위험을 표시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이지의 설치만으로도 위험을 현장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현장 관리자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업무효율을 증대시켜주는 구조를 가지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온도표시판이 구비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온도표시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이루어지는 온도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지침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위험을 표시하는 위험표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표시판이 구비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상기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압력표시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지침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위험을 표시하는 위험표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세분화하면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 중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게이지에 관한 것이고, 제2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 중에 양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게이지에 관한 것이고, 제3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 중에 음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인 온도 게이지(10)는 전면에 투시창(12)이 보호캡(14)으로 기밀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온도표시판(16)이 구비된 케이스(18)와, 이 케이스(18)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20)과, 상기 온도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상기 케이스(18)의 내부에서 회동되는 지침(19)으로 이루어져 특정 용기 내부의 기체 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수단(20)은 일반적인 바이메탈 온도게이지인 경우를 도시한 경우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8)의 둘레벽에 관통되되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미도시됨)이 형성된 결합블록(21)과, 이 결합 블록(21)의 관통공(22a)에 끼움결합된 열전도관(23)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열전도관(23)의 하단부에 그 하단부가 고정된 바이메탈(24)과, 이 바이메탈(2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열전도관(23)을 따라 연장된 핀(25)과, 이 핀(25)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선단부가 온도표시판(16)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직각으로 휘어져 설치되며 그 선단부에는 지침(19)이 설치되는 코일스프링(26)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온도감지수단(20)은 상기 바이메탈 온도 게이지의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열팽창을 이용하는 기체 및 액체 온도 게이지나 전기저항을 이용하는 저항 온도 게이지를 적용함도 바람직하며 모두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온도 게이지(10)의 케이스(18) 내부에는 상기 지침(19)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0)와, 상기 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40)와, 상기 케이스(18)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42)와, 상기 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위험표시수단(4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온도 게이지(10)의 케이스(18) 내부에서 상기 온도표시판(16)의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지침(19)이 1차 지점(P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30a)와, 상기 지침(19)이 2차 지점(P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30b)로 이루어진 다.
또한, 상기 위험표시수단(44)은 상기 제1감지센서(30a)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거나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디스플레이수단(44a)과, 상기 제2감지센서(30b)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44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30a,30b)는 포토센서(photo sensor)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4a)은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성출력수단(44b)은 부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42)는 배터리(42a)로 구성하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리튬건전지 또는 망간건전지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30a,30b)는 포토센서 이외에도 다양한 감지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4a)을 구성하는 LED는 단색 또는 2색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발광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수단(44b)은 부저 이외에도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모두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배터리(42a)의 전원이 상기 제어부(40)에 투입되어 동작하는 중에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을 구성하는 바이메탈(24)이 온도가 상승되면서 팽창되면 핀(25)이 회전하면서 그 물리력(회전력)이 코일스프링(26)을 통해 지침(19)에 전달되어 회동하게 되고 이때 지침(19)이 이동하면서 1차 지점(P1)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제1감지센서(30a)가 지침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40)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44a)인 LED를 주기적으로 점멸시켜 주어 1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지침(19)이 위험온도인 2차 지점(P2)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제2감지센서(30b)가 지침(19)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40)는 그에 따라 음성출력수단(44b)인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켜주어 2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인 압력 게이지(50)는 전면에 투시창(51)이 보호캡(52)에 의해 기밀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압력표시판(53)이 구비된 케이스(54)와, 이 케이스(54)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60)과, 상기 압력감지수단(60)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상기 케이스(54)의 내부에서 회동되는 지침(55)으로 이루어져 특정 용기 내부의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수단(60)은 양압(陽壓) 게이지인 경우를 도시한 경우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54)의 둘레벽에 관통되어 고정되되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공(61a)이 형성되고 그 케이스(54)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플러그(62)가 구비되고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미세한 움직임을 갖는 브르동관(Bourdon tube)(61)이 연통되게 구비되는 중공체(63)와, 상기 브르동관(61)의 타단에 일단부가 회동되게 연결 구비되는 링크부재(64)와, 상기 링크부재(6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구비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지침(55)의 회동축(56)을 향하도록 랙기어(65a)가 형성되는 회동부재(65)와, 상기 회동축(56)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기어(65)의 랙기어(65a)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6)와, 상기 회동축(56)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공체(63)의 일측에 고정되는 미소스프링(67)으로 이루어져 특정 용기 내부의 기체 또는 유체의 양(+)압력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미소스프링(67)은 그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골뱅이 형상의 스프링이다.
한편, 상기 압력 게이지(50)의 케이스(54) 내부에는 상기 지침(55)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0)와, 상기 감지센서(9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92)와, 상기 케이스(5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94)와, 상기 감지센서(90)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위험표시수단(9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90)는 상기 압력 게이지(50)의 케이스(54) 내부에는 상기 압력표시판(53)의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지침(55)이 1차 지점(P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90a)와, 상기 지침(55)이 2차 지점(P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90b)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지침(55)이 회동축(56)을 이탈한 경우에도 이를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회동부재(65)의 렉기어(65a)가 이동하는 일정 궤적에 제1감지센서(90a)와 제2감지센서(90b)를 차례로 설치하여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험표시수단(96)은 상기 제1감지센서(90a)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거나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디스플레이수단(96a)과, 상기 제2감지센서(90b)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96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90a,90b)는 포토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6a)은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성출력수단(96b)은 부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94)는 배터리(94a)로 구성하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리튬건전지 또는 망간건전지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배터리(94a)의 전원이 상기 제어부(92)에 투입되어 동작하는 중에 압력감지수단(60)의 플러그(62)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브르동관(61)이 변화됨과 동시에 회동부재(65)가 회동되면서 렉기어(65a)가 제1 감지센서(90a)의 상부를 지나게 되는데 이는 지침(55)이 1차지점(P1)을 통과하게 됨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감지센서(90a)가 지침(55)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92)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96a)인 LED를 주기적으로 점멸시켜 주어 1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지침(55)이 위험압력인 2차 지점(P2)을 통과하게 되면 이를 제2감지센서(90b)가 렉기어(65a)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92)는 그에 따라 음성출력수단(96b)인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켜주어 2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 위 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인 압력 게이지(50')는 전면에 압력표시판(53)이 구비된 케이스(54)와, 이 케이스(54)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60)과, 상기 압력감지수단(60)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상기 케이스(54)의 내부에서 회동되는 지침(55)으로 이루어져 특정 용기 내부의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해 주게 됨은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수단(60)은 진공(VACUUM)상태의 음압(陰壓)을 측정할 수 있는 음압 게이지인 경우를 도시한 경우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54)의 둘레벽에 관통되어 고정되되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공(미도시됨)이 형성되고 그 케이스(54)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플러그(62)가 구비되고 케이스(54) 내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미세한 움직임을 갖도록 공간부를 갖는 신축성 동체(68)과, 상기 신축성 동체(68)의 상측에 위치하는 압력표시판(53)의 후면이 고정되는 지지판(53a)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되 일측에는 상기 신축성 동체(68)의 상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69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압돌기(69b)가 구비되는 회전축(69)과, 상기 지지판(53q)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구비되어 상기 접촉부재(69a)에 의해 몸체(70a)의 일측이 가압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지침(55)의 회동축(56)을 향하도록 랙기어(70b)가 형성되는 회동부재(70)와, 지침(55)의 회동축(56)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70)의 랙기어(70b)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71)와, 상기 회동축(56)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판(53a)의 일측에 고정되는 미소스프링(72)으로 이루어져 특정 용기 내부의 기체 또는 유체의 음(-)압력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 게이지(60')의 케이스(54) 내부에는 상기 지침(55)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0)와, 상기 감지센서(9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92)와, 상기 케이스(5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94)와, 상기 감지센서(90)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위험표시수단(96)이 구비되며, 지침(55)이 회동축(56)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도 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54)의 내측 회동부재(70)의 렉기어(70b)가 이동하는 일정 궤적에 제1감지센서(90a)와 제2감지센서(90b)를 차례로 설치하여서 이루어짐은 그 구성이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위험표시수단(96)은 상기 제1감지센서(90a)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거나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디스플레이수단(96a)과, 상기 제2감지센서(90b)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96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90a,90b)는 포토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6a)은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성출력수단(96b)은 부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94)는 배터리(94a)로 구성하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리튬건전지 또는 망간건전지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 역시 상기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배터리(94a)의 전원이 상기 제어부(92)에 투입 되어 동작하는 중에 압력감지수단(60')의 플러그(6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 또는 유체의 음압력에 따라 상기 신축성 동체(68)가 수축되면 회전축(69)의 접촉부재(69a)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전축(69)이 회전하며 가압돌기(69b)의 물리력이 해제되어 회동부재(70)가 회동하게 되고 회동부재(70)의 랙기어(70b)가 이동하면서 지침(55)의 회동축(56)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7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지침(55)이 1차 지점(P1)을 통과하게 되면 제1감지센서(90a)가 랙기어(70b)의 일단부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92)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96a)인 LED를 주기적으로 점멸시켜 주어 1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지침(55)이 위험압력인 2차 지점(P2)을 통과하게 되면 제2감지센서(90b)가 렉기어(70b)의 통과를 감지하고 제어부(92)는 그에 따라 음성출력수단(96b)인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켜주어 2차적으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는 계측값의 이상 유무를 발견시 즉시 현장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중앙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시스템의 설치가 필요없어 부대 비용의 설치를 줄여줄 수 있으며 현장 관리자가 현장에서 다른 일을 암심하고 함께 병행 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효율의 증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온도표시판(16)이 구비된 케이스(18)와, 이 케이스(18)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20)과, 상기 온도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온도표시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19)으로 이루어지는 온도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8)에는 상기 지침(19)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0)와, 상기 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42)와, 상기 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위험을 표시하는 위험표시수단(4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0)는 상기 케이스(18) 내부에서 상기 온도표시판(16)의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지침(19)이 1차 지점(P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30a)와, 상기 지침(19)이 2차 지점(P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표시수단(44)은 상기 제1감지센서(30a)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 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멸되는 디스플레이수단(44a)과, 상기 제2감지센서(30b)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4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30a,30b)는 포토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4a)은 LED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성출력수단(44b)은 부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42)는 리튬건전지 또는 망간건전지 중에 어느 하나의 배터리(42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4. 압력표시판(53)이 구비된 케이스(54)와, 이 케이스(54)의 둘레벽 일측에 관통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60)과, 상기 압력감지수단(60)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압력표시판(53)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55)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4)에는 상기 지침(55)이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0)와, 상기 감지센서(9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92)와, 상기 제어부(9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94)와, 상기 감지센 서(90)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현장 관리자에게 위험을 표시하는 위험표시수단(9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90)는 상기 지침(55)이 상기 압력표시판(53)의 1차 지점(P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90a)와, 상기 지침(55)이 상기 압력표시판(53)의 2차 지점(P2)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9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표시수단(96)은 상기 제1감지센서(90a)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멸되는 디스플레이수단(96a)과, 상기 제2감지센서(90b)로 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2)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96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게이지는 기체나 유체의 양(+)압력을 측정하는 양압력(陽壓力) 게이지 또는 음(-)압력을 측정하는 음압력(陰壓力) 게이지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KR1020060018008A 2006-02-22 2006-02-22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KR20070084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008A KR20070084986A (ko) 2006-02-22 2006-02-22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008A KR20070084986A (ko) 2006-02-22 2006-02-22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986A true KR20070084986A (ko) 2007-08-27

Family

ID=3861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008A KR20070084986A (ko) 2006-02-22 2006-02-22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49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7B1 (ko) * 2010-04-15 2012-05-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다이얼 게이지 조명장치
KR102561642B1 (ko) 2023-04-06 2023-07-31 주식회사 보경 게이지용 위험 표시 설정 장치
KR102561644B1 (ko) 2023-04-06 2023-07-31 주식회사 보경 위험 표시 설정부를 가지는 게이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7B1 (ko) * 2010-04-15 2012-05-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다이얼 게이지 조명장치
KR102561642B1 (ko) 2023-04-06 2023-07-31 주식회사 보경 게이지용 위험 표시 설정 장치
KR102561644B1 (ko) 2023-04-06 2023-07-31 주식회사 보경 위험 표시 설정부를 가지는 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666B1 (ko)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KR20070084986A (ko)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KR102406733B1 (ko) 스마트 수도미터
CN110869719B (zh) 电子测量计
KR20080007194A (ko) 다수 소화기의 상태 확인 장치
KR20140013363A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CN209764321U (zh) 缝纫机缝纫线张力测量装置
US7878068B2 (en) Digital pressure sensor
US9135801B2 (en) Fully mechanical pneumatic excessive heat or/and fire line-type detector, and system, methods, applications thereof
KR200352033Y1 (ko) 진자센서
KR102240091B1 (ko) 다중 검출 인자에 기반한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44237A (ko) 미세 가스누출 검출이 가능한 멀티센싱모듈의 가스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CN113350727A (zh) 一种用于二氧化碳灭火器失效检测报警底座
KR102575736B1 (ko) 단선 점검장치가 구비된 자동소화기
CN206695915U (zh) 一种三角瓶测温装置
CN218214354U (zh) 一种可燃气体报警器
CN216524434U (zh) 一种具有报警提示功能的温度传感器
KR100865566B1 (ko) 소방용 압력측정장치
KR200238684Y1 (ko) 압력계
KR100392419B1 (ko) 압력계
KR200427708Y1 (ko) 압력계
CN216524141U (zh) 一种测控用电子式流量开关
CN219229870U (zh) 体内压力检测装置
CN211927688U (zh) 一种激光甲烷遥测仪
KR102060592B1 (ko) 통합 센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