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708Y1 - 압력계 - Google Patents
압력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7708Y1 KR200427708Y1 KR2020060014813U KR20060014813U KR200427708Y1 KR 200427708 Y1 KR200427708 Y1 KR 200427708Y1 KR 2020060014813 U KR2020060014813 U KR 2020060014813U KR 20060014813 U KR20060014813 U KR 20060014813U KR 200427708 Y1 KR200427708 Y1 KR 2004277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fluid
- pressure setting
- indicator needle
- protective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01L7/043—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팽창되는 브르동관과, 상기 브르동관의 팽창력에 따라 회동되어 압력 수치를 표시해주는 지시침과, 상기 지시침과 접촉된 상태로 동일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 및 유체의 최대/최소 압력 값의 허용범위를 각각 설정해주는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침과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 사이에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회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력의 세기에 따라 적정 압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관로 및 저장탱크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압력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부와 표시부를 통해서 비정상적인 압력의 상태를 알려주고, 제어부에서 유체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유체, 압력계, 압력측정, 브르동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압력계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압력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압력계에 구비되는 압력설정수단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압력계에 구비되는 압력설정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압력계에 구비되는 압력설정수단으로 압력범위를 설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압력계에 구비되는 위치변경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개구부
12 : 수용부 13 : 관통홀
15 : 브라켓 16 : 체결홀
20 : 플러그 30 : 압력설정수단
31 : 고정부재 31a : 상단고정부재
31b : 하단고정부재 32a : 상한압력설정부재
32b : 하한압력설정부재 33a,33b : 돌기
34 : 중심축 35a : 제1자석
35b : 제2자석 36a,36b : 스토퍼
37 : 회동부재 38a,38b : 센서
39 : 배선 40 : 브르동관
50 : 회동부재 51 : 랙기어
60 : 회동축 61 : 피니언기어
65 : 미소스프링 70 : 지시침
71 : 눈금판 80 : 보호캡
90 : 위치변경부재 91 : 조작부
91' : 미끄럼 방지부 92 : 공간부
93 : 연결부 94 : 돌출부
95 : 탄성부재 100 : 압력계
본 고안은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최대/최소 압력 값을 설정하여 기 설정된 압력 값을 벗어날 경우 비정상적인 압력의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압력계에 관한 것이다.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생기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는 그 측정 방법에 따라, 기지의 중량과 균형을 이루게하는 액주 압력계와 분동식 압력계, 그리고 탄성체의 탄성력과 균형을 이루게 하는 브르동관(Bourdon tube) 압력계, 다이아 프램 및 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물리현상을 이용하는 전기저항 압력계 등이 있다.
이러한 압력계 중에서 일반적으로 압력을 눈금판에서 바로 볼 수 있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브르동관 압력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브르동관 압력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계(100)는 케이스(10), 플러그(20), 관지지대(21), 브르동관(40), 회동부재, 회동축(60), 지시침(70), 눈금판(71)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관지지대(21)와 체결되고, 상기 브르동관(40)은 실질적으로 유체의 압력에 따라 미세한 움직임을 갖는 부재이다. 상기 회동부재(50)의 일단(케이스의 중심부측)에는 랙기어(51)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브르동관(40)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동축(60)은 케이스(10)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관지지대(21)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관지지대(21)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축(60)에는 전술된 회동부재(50)에 구비된 랙기어(5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1)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60)의 하단부에는 미소스프링(65)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미소스프링(65)의 타단은 상기 관지지대(2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미소스프링(65)은 그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골뱅이 형상의 스프링이다. 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브르동관(40)이 변화되고, 상기 미소스프링(65)이 연동되어 후술되는 지 시침(70)이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눈금판(71)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눈금판(71)은 유체의 압력을 표시해주는 일반적인 압력 표시부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상기 회동축(60)의 상단에는 지시침(70)이 위치된다. 상기 지시침(70)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회동축(60)이 회전되는 변화에 따라 상기 지시침(70)이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계는, 유체가 관로를 따라 유동될 때 플러그(20)를 통해 유체가 관지지대(21)로 유입된다. 상기 관지지대(21)에 유입된 유체는 브르동관(40) 내부로 유출되면서 상기 브르동관(40)이 팽창된다. 즉, 유압이 크게 작용할 경우 브르동관(40)의 팽창률은 커지게 되고, 유압의 힘이 작을수록 브르동관(40)의 팽창률은 미세하게 팽창되는 것이다. 그리고, 브르동관(40)이 탄력적으로 팽창됨에 따라 회동부재가 관지지대(21)에 대하여 회동된다. 이때, 회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51)가 회동축(60)에 구비된 피니언기어(6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동축(60)에 구비된 미소스프링(65)은 회동축(60)과 연동되어 지시침(70)이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시침(70)의 회동되는 만큼 유체의 압력 크기를 눈금판(71)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계는, 유체의 압력 세기에 따라 단순히 지시침(70)이 회동되면서 눈금판(71)에서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주는 것이다. 따라서 관로가 연결된 장치의 오작동 및 과부하로 인해서 압력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이를 판단하기가 매우 곤란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즉, 관로의 압력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미세하게 변화되는 안정적인 압력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면 장치 및 각종 장비에 문제가 발생 된 것이므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불안정한 압력 상태를 안정적으로 변화해줘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장비와 연결된 관로의 이상적인 압력이 1~1.3Mpa이라고 가정할 경우, 이 관로에 연결된 압력계에 표시되는 압력이 1Mpa로 내려가거나 1.3Mpa을 초과할 경우 불안정한 압력 상태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로의 압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상기 관로와 연결된 장비를 제어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의 압력계는 정상적인 압력의 기준이 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없었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압력계 주변에서 압력의 세기를 항상 주시할 수 없고, 일정한 시간마다 수시로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압력 변화에 따른 장치의 대처 능력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로의 정상적인 압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압력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와 표시부를 통해서 압력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압력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압력계로 인해서 관로의 비정상적인 압력에 따라 장치를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는 압력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계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팽창되는 브르동관; 상기 브르동관의 팽창력에 따라 회동되어 압력 수치를 표시해주는 지시침; 상기 지시침과 접촉된 상태로 동일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 및 유체의 최대/최소 압력 값의 허용범위를 각각 설정해주는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침과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 사이에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회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캡; 상기 보호캡의 중심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회동시키는 위치변경부재; 및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보호캡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에는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경부재에는 상기 돌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변경부재의 동작으로 인해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압력의 범위를 설정한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시침과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고, 설정된 범위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신호는 표시부에 전달되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압력의 상태를 표시해준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는 제1자석; 상기 제1자석과 동일하게 회동되고,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자석; 및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압력의 세기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센서에 접근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신호가 발생된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센서에 접근하게 되면 관로에 설치된 밸브가 조절된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배선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와 연결된 배선이 상기 배선함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위치변경부재와 상기 보호캡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상기 보호캡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승ㆍ하강되어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의 위치를 설정한다.
본 고안의 압력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중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를 감싸면서 상기 보호캡에 지지되며, 상기 위치변경부재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상기 보호캡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결합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압력계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력계(100)는 플러그(20)가 구비되어 관로에 연결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팽창되는 브르동관(40), 상기 브르동관(40)의 팽창력에 따라 압력 수치를 표시해주는 지시침(70), 그리고 상기 지시침(70)의 상측에 구비된 압력설정수단(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저면부는 폐쇄된 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는 관통홀(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13)에는 플러그(20)가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20)의 일단은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에 체결되고, 상기 플러그(20)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브르동관(40)은 실질적으로 유체의 압력에 따라 미세한 움직임을 갖는 부재로서 상기 플러그(20)에 결합된다. 상기 브르동관(40)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상기 플러그(20)와 연통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브르동관(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브르동관(40)이 탄력적으로 팽창된다.
또한, 상기 브르동관(40)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랙기어(5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중심부에는 회동축(6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동축(60)에는 상기 랙기어(5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1)가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51)와 맞물린 상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회동축(60)의 하단부에는 미소스프링(65)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상기 미소스프링(65)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미소스프링(65)은 그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골뱅이 형상의 스프링이다. 이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브르동관(40)이 변화되고, 상기 미소스프링(65)이 연동되어 후술되는 지시침(70)이 유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눈금판(71)이 위치된다. 상기 눈금판(71)은 유체의 압력을 표시해주는 일반적인 압력 표시부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시침(70)은 상기 회동축(60)의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지시침(70)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회동축(60)이 회전되는 변화에 따라 상기 지시침(70)이 회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보호캡(8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캡(80)은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비되어 상기 지시침(7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설정수단(30)은 고정부재(31),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 회동부재(3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보호캡(8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상단고정부재(31a)와 하단고정부재(31b)로 구분된다. 상기 상ㆍ하단고정부재(31a,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달리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는 상기 상ㆍ하단고정부재(31a,31b)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는 상기 상ㆍ하단고정부재(31a,31b)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는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기(33a,33b)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3a,33b)는 후술되는 위치변경부재(90)에 형성된 돌출부(94)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 중 어느 하나의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b)는 상기 상ㆍ하단고정부재(31a,31b)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31b)에 연결된다. 즉,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 중 하측에 위치된 부재(32b)는 상기 하단고정부재(31b)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고정부재(31b)에는 중심축(34)이 수직으로 위치되고, 상기 중심축(34)에 대하여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가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재(37)는 상기 중심축(34)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재(37)에는 제1자석(35a)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7)는 전술한 지시침(70)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시침(7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37)가 동일하게 위치 이동된다.
또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심축(34) 에는 제2자석(35b)이 결합 된다. 상기 제2자석(35b)의 외주면은 구리선으로 감겨 있다. 또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는 각각 스토퍼(36a,36b)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6a,36b)는 구리로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는 각각 센서(38a,38b)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38a,38b)는 상기 제2자석(35b)이 상기 센서에 접근하게 될 때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스토퍼(36a,36b)에 의해서 신호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7)가 회동되면 상기 제2자석(35b)이 상기 제1자석(35a)과 동일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될 경우 상기 지시침(70)과 상기 회동부재(37)가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1ㆍ제2자석(35a,35b)이 상기 센서(38a,38b)에 접근하게 되고, 센서(38a,38b)에서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38a,38b)들은 각각 배선(39)이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배선(39)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는 압력계(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38a,38b)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서는 비정상적인 압력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경고음, 조명장치, 발광장치, 또는 LCD모니터에 표시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로에 설치된 밸브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정상적인 압력의 상태를 정상적인 압력 상태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다. 즉, 기 설정 된 안정적인 압력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1ㆍ제2자석(35a,35b)에 의해서 센서(38a,38b)가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는 배선함(15)이 결합된다. 상기 배선함(15)에는 다수개의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배선(39)들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선함(15)은 상기 제어부 및 전원부 등과 연결되는 것이다.
전술된 상기 보호캡(80)의 상면 중심부에는 위치변경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변경부재(90)는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변경부재(90)는 조작부(91), 공간부(92), 연결부(93), 돌출부(94), 탄성부재(95)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91)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기둥의 외주면에는 골과 산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91')가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91')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조작부(91)를 회동시킬 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92)는 상기 조작부(91)의 하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93)는 상기 공간부(92)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94)는 앞서 언급한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 구비된 돌기(33a,33b)의 위치를 제어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돌출부(94)는 상기 연결부(93)의 하단과 결합되고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95)는 상기 연결부(9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일단이 상기 돌출부(94)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호캡(80)에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93)와 상기 돌출부(94) 사이에 상기 보호캡(80)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결합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변경부재(90)는 상기 보호캡(8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위치변경부재(90)를 상측 방향으로 올린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압력계(100)의 작용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압력계(100)를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나 유체가 수용된 저장탱크에 체결한다. 즉, 케이스(10)에 구비된 플러그(2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유체가 관로를 따라 유동될 때, 상기 플러그(20)로 유체가 유입된 후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브르동관(4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브르동관(40)이 팽창된다. 즉, 유압이 크게 작용할 경우 브르동관(40)의 팽창률은 커지게 되고, 유압의 힘이 작을수록 상기 브르동관(40)은 미세하게 팽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르동관(40)이 탄력적으로 팽창됨에 따라 랙기어(51)가 이동되고, 상기 랙기어(51)가 이동되는 만큼 피니언기어(6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동축(60)에 구비된 미소스프링(65)은 회동축(60)과 연동되어 지시침(70)이 회동된다. 따라서, 지시침(70)의 회동되는 만큼 유체의 압력 크기를 눈금판(71)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나 저장탱크에 연결된 압력계(100)의 가장 이상 적인, 즉 정상적인 압력의 범위가 2.0~2.5Mpa이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압력설정수단(30)의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설정수단(30)은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를 조작하여 가장 이상적인 압력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하한압력설정부재(32b)는 2.0Mpa에 위치시키고, 상한압력설정부재(32a)는 2.5Mpa에 위치시킨다.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는 위치변경부재(90)를 조작하여 그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변경부재(90)에 구비된 조작부(91)를 상측으로 올린 상태에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위치변경부재(90)에 구비된 돌출부(94)는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 중 어느 하나의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 구비된 돌기(33a,33b)와 밀착된다. 상기 조작부(91)를 회동시키면 상기 돌출부(94)가 상기 돌기(33a,33b)를 밀게 되어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가 회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동된 상기 상한압력설정부재(32a)는 2.5Mpa에 위치되고, 가장 안정적인 압력의 최대 한계 압력 값이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한압력설정부재(32b)에 구비된 돌기(33a,33b)를 위치이동시키면, 압력의 최저 한계 압력 값인 2.0Mpa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유로관의 가장 안정적인 압력의 한계 즉, 최대 압력한계와 최저 압력한계를 설정한 상태에서 압력을 측정하거나 관로 및 저장탱크 등에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에서 플러그(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그 압 력에 따라 브르동관(40)이 팽창된다. 상기 브르동관(40)의 팽창률로 인해서 지시침이 회동되고, 압력의 수치를 눈금판(71)으로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의 변화가 발생되면 기설정된 압력의 최대 한계 값과 압력의 최소 한계 값을 벗어나게 되어 제어부(110)와 표시부(120)에서 불안정한 압력의 상태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즉, 지시침(70)과 연결된 회동부재(37)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시침(70)과 동일하게 회동된다. 이때, 제2자석(35b)이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32a,32b)에 구비된 스토퍼(36a,36b)에 닿게 된다. 상기 제2자석(35b)이 상기 스토퍼(36a,36b)에 닿게 되는 경우는 기설정된 압력의 최대 한계 값을 벗어나거나 최소 한계 값을 벗어날 경우에만 닿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서(38a,38b)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는 불안정한 압력의 상태를 표시부(120)에서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상기 압력의 단위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압력계는, 압력설정수단으로 인해서 관로 및 저장탱크의 정상적인 압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안정적인 압력의 범위의 최대 한계 값과 최저 한계 값을 벗어나게 되면, 비정상적인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와 표시부를 통해서 압력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관로 및 저장탱크의 비정상적인 압력에 따라 장치를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를 이용하여 아크 및 가스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휘발성 물질이 사용되는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에 있어서,유체가 유동되는 관로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스;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팽창되는 브르동관;상기 브르동관의 팽창력에 따라 회동되어 압력 수치를 표시해주는 지시침;상기 지시침과 동일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 및유체의 최대/최소 압력 값의 허용범위를 각각 설정해주는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포함하되,상기 지시침과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 사이에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캡;상기 보호캡의 중심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회동시키는 위치변경부재; 및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보호캡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에는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상기 위치변경부재에는 상기 돌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위치변경부재의 동작으로 인해서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가 회동됨에 따라 압력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는,제어부와 연결되는 센서; 및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시침과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고, 설정된 범위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신호를 감지하며,상기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신호는 표시부에 전달되고,상기 표시부에서는 압력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는 제1자석;상기 제1자석과 동일하게 회동되고,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자석; 및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압력의 세기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센서에 접근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비정상적인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자석이 상기 센서에 접근하게 되면 관로에 설치된 밸브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배선함;을 더 포함하되,상기 센서와 연결된 배선이 상기 배선함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위치변경부재와 상기 보호캡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상기 보호캡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승ㆍ하강되어 상기 상ㆍ하한압력설정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위치변경부재는,조작부;상기 조작부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상기 수용부의 중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결합되며,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를 감싸면서 상기 보호캡에 지지되며,상기 위치변경부재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상기 보호캡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4813U KR200427708Y1 (ko) | 2006-06-02 | 2006-06-02 | 압력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4813U KR200427708Y1 (ko) | 2006-06-02 | 2006-06-02 | 압력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9695 Division | 2006-06-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7708Y1 true KR200427708Y1 (ko) | 2006-09-29 |
Family
ID=4177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4813U KR200427708Y1 (ko) | 2006-06-02 | 2006-06-02 | 압력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770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4628B1 (ko) * | 2013-03-05 | 2013-05-24 |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 과압 충격방지 압력계 |
-
2006
- 2006-06-02 KR KR2020060014813U patent/KR20042770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4628B1 (ko) * | 2013-03-05 | 2013-05-24 |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 과압 충격방지 압력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57453B1 (en) | Inclination measurement in process transmitters | |
CN106482888B (zh) | 具有切换输出的温度补偿的压力表 | |
KR20060004952A (ko) | 높이 감지용 근접 센서 | |
EP291493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eight of material in a reservoir | |
KR101448401B1 (ko) | 감지센서봉의 원거리 설치가 가능한 온도 및 압력 측정 계측기 | |
KR200427708Y1 (ko) | 압력계 | |
US20070255182A1 (en) | Vessel fill level indicating device | |
KR101078171B1 (ko) | 압력측정장치 | |
KR100240260B1 (ko) | 광학식 액위 감지 장치 | |
JP2010101830A (ja) | ブルドン管圧力計内機とこれを搭載したブルドン管圧力計 | |
EP2064525B1 (en) | Leak check device for vortex sensor replacement | |
CN101495841A (zh) | 可校准的液面监测量具 | |
CN103403425A (zh) | 手动阀用开度检测装置 | |
KR101391131B1 (ko) |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 |
KR200449252Y1 (ko) |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 |
WO2011076250A1 (en) | Gas cylinder with measuring connection | |
KR200406984Y1 (ko) | 압력계 | |
KR20070084986A (ko) | 자가 위험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게이지 | |
KR200435022Y1 (ko) | 압력계용 압력전달 부재 및 그를 이용한 압력계 | |
JP3014004B2 (ja) | 液化ガスの残量表示装置 | |
US6588271B2 (en) | Liquid level change sensor | |
RU49995U1 (ru) | Поплавковый плотномер | |
KR200290517Y1 (ko) | 가스량 표시 장치 | |
KR200406983Y1 (ko) | 온도측정이 가능한 냉매용 차압계 | |
RU2117919C1 (ru) | Уровнемер цепной поплавковы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