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52Y1 -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52Y1
KR200449252Y1 KR2020080002209U KR20080002209U KR200449252Y1 KR 200449252 Y1 KR200449252 Y1 KR 200449252Y1 KR 2020080002209 U KR2020080002209 U KR 2020080002209U KR 20080002209 U KR20080002209 U KR 20080002209U KR 200449252 Y1 KR200449252 Y1 KR 20044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ain circuit
jaw
un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487U (ko
Inventor
이상훈
황하룡
전영삼
조성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산전 filed Critical (주)와이즈산전
Priority to KR2020080002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5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전송기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전송기 표시장치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압력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으로 전환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회로기판, 상기 메인회로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메인회로보조부,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기판,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값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표시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1회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압력전송기 표시장치{Indicator of pressure transmitter}
본 고안은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소형화를 꾀하고,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압력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소정의 단위 각도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압력값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전송기는, 증기, 가스 및 액체와 같은 유체의 차압, 절대압 및 게이지 압력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값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표시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압력전송기를 보인 개략적 분해 사시도로써, 압력전송기(1) 전체를 지지하고 측정할 압력이 전달되는 한쌍의 플랜지(flange)와 플랜지(3)들 사이에 위치되어 플랜지(3)들로부터 유입된 유압을 측정하는 센서모듈(sensor module)과 센서모듈(5)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서 압력값으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 하도록 다수의 회로부품들이 장착된 표시장치(indicator)(7)로 구분된다.
특히 표시장치(7)는, 센서모듈(5)과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센서모듈(5)의 전극에 연결된 회로기판(미도시)과 이 회로기판에 연결된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미도시) 등의 회로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로부품들은 센서모듈(5)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고 이를 표시장치(7)로 디스플레이한다.
표시장치(7의 구조를 좀 더 살펴보면, 표시장치는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부품들, 즉 기능별로 스위치기판(미도시), 메인회로기판(미도시) 및 디스플레이회로기판(미도시)이 장착되는 몸통(8)과 몸통(8)의 앞쪽에 결합되며 압력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7)는 상기 회로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해서 내부에 넓은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압력전송기는 산업현장에서 설치 장소에 따라 수직 또는 사선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9)의 방향은 고정되어 있어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압력값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소정 단위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전송기 표시장치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압력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으로 전환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회로기판; 상기 메인회로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메인회로보조부;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기판;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값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회로보조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걸림턱 ; 상기 제 1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를 형성하는 지지턱 ; 및 상기 지지턱 상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2걸림턱 ;상기 제 2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면에 장착시키는 표시턱 ; 및 상기 제 2걸림턱과 상기 지지턱을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제 2걸림턱과 상기 표시턱의 내주면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격바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의 회전시, 상기 이격바가 상기 돌출돌기에 의해 저지되어 1회전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턱은 외주연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가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다수의 클릭돌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는 상기 제 2걸림턱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지지턱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하단 내측에 상기 클릭돌기들에 대응되는 대응돌기를 구비한다. 클릭돌기들은 24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력전송기의 표시장치는 내부 회로기판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 지능형 압력전송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하고, 압력전송기를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하더라도,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단위 각도로 한바퀴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압력값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0)는 메인회로기판(미도시), 메인회로보조부(10), 디스플레이기판(미도시),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 및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메인회로기판(미도시)은 유체의 압력을 검출한 값을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압력값으로 전환하고 외부로 전송한다.
메인회로보조부(10)는 메인회로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기판(미도시)은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는 메인회로보조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표시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기판과 연결되어 압력값이 디스플레이된다.
도3은 도 2의 메인회로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메인회로보조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회로기판(30)이 함께 도시된다. 도 3에는 메인회로기판(30)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회로보조부(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회로기판(3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걸림턱(13), 제 1걸림턱(13)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를 형성하는 지지턱(15) 및 지지턱(15) 상에 형성된 돌출돌기(17)를 포함한다.
도 5에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기판(40)이 함께 도시된다. 도 5에는 디스플레이기판(40)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메인회로보조부(10)의 타측, 즉 지지턱(15)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판(4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2걸림턱(23), 제 2걸림턱(23)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표시부(50)를 상면에 장착시키는 표시턱(27) 및 제 2걸림턱(23)과 지지턱(15)을 이격시키기 위해 제 2걸림턱(23)과 표시턱(27)의 내주면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격바(25)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의 회전시, 이격바(25)가 돌출돌기(17)에 의해 저지되어 1회전만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가 360도로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메인회로보조부(10)의 지지턱(15)이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의 일측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메인회로보조부(10)의 지지턱(15)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둔턱(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턱(15)은 둔턱(11) 아래의 외주연 상에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가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다수의 클릭돌기들(19)을 구비한다. 다수의 클릭돌기들(19)은 지지턱(15)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는 메인회로보조부(10)의 지지턱(1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 제 2걸림턱(23)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결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21)는 하단 내측에 클릭돌기들(19)에 대응되는 대응돌기(29)를 구비한다.
결합부(21)는 도 5에에서 제 2 걸림턱(23) 하부 외주연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형성된 관통홈 중간에 하방으로 연장된 막대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부(2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로보조부(10)와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가 결합되면 결합부(21) 하단 내측에 형성된 대응돌기(29)는 둔턱(11)과 아래쪽으로 결합되고 대응돌기(29)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둔턱(11)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보조부(20)가 상측으로 분리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대응돌기(29)가 클릭돌기(19)들과 맞물리면서 대스플레이회로보조부(20)가 회전할 때 딸깍하는 느낌과 함께 회전되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의 회전이 클릭돌기들(19)에 의해서 소정 각도 단위로 제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릭돌기들(19)은 24개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보조부(20)는 한번 회전할 때마다 15도 씩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릭돌기(19)의 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가 회전하다가 이격바(25)가 돌출돌기(17)와 만나면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2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이격바(25)는 제 2걸림턱(23)과 지지턱(15)의 상단면이 접촉되지 아니하고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한다.
메인회로보조부(10)는 표시장치의 몸통(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하여 홈(37)이 형성된 결합부재들(35)을 구비한다. 결합부재들(35)의 홈(37)이 몸통(미도시)에 형성된 돌기들(미도시)에 결합된다. 메인회로보조부(10)가 몸통에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메인회로기판(30)과 디스플레이기판(40) 및 표시부(50)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메인회로기판(30)과 디스플레이기판(40)이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기존의 지능형 압력전송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도 2의 메인회로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메인회로보조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의 사시도이다.

Claims (6)

  1.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압력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으로 전환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회로기판;
    상기 메인회로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메인회로보조부;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기판;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판을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압력값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회로보조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걸림턱 ;
    상기 제 1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를 형성하는 지지턱 ; 및
    상기 지지턱 상에 형성된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직경이 일측의 입구보다 좁고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2걸림턱 ;
    상기 제 2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면에 장착시키는 표시턱 ; 및
    상기 제 2걸림턱과 상기 지지턱을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제 2걸림턱과 상기 표시턱의 내주면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격바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의 회전시, 상기 이격바가 상기 돌출돌기에 의해 저지되어 1회전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외주연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가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다수의 클릭돌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회로보조부는,
    상기 제 2걸림턱의 하부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상기 메인회로보조부의 지지턱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하단 내측에 상기 클릭돌기들에 대응되는 대응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돌기들은,
    2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KR2020080002209U 2008-02-19 2008-02-19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KR20044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09U KR200449252Y1 (ko) 2008-02-19 2008-02-19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09U KR200449252Y1 (ko) 2008-02-19 2008-02-19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87U KR20090008487U (ko) 2009-08-24
KR200449252Y1 true KR200449252Y1 (ko) 2010-06-25

Family

ID=4129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209U KR200449252Y1 (ko) 2008-02-19 2008-02-19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1183A (zh) * 2015-07-17 2015-12-23 湖南菲尔斯特传感器有限公司 一种采用钢丝定位旋转角度的数显压力传感器
CN105157887A (zh) * 2015-09-16 2015-12-16 成都众山科技有限公司 具有报警功能的智能压力变送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983A (en) 1998-04-28 2000-08-01 Uniweld Products, Inc. Gauge having an indicia-bearing insert
JP2005300186A (ja) * 2004-04-06 2005-10-27 Nagano Keiki Co Ltd 検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983A (en) 1998-04-28 2000-08-01 Uniweld Products, Inc. Gauge having an indicia-bearing insert
JP2005300186A (ja) * 2004-04-06 2005-10-27 Nagano Keiki Co Ltd 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87U (ko) 200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3341B1 (en) Low cost ultrasonic water meter
JP5409965B2 (ja) ライン圧力測定を伴う差圧センサ
KR20060004952A (ko) 높이 감지용 근접 센서
CN101628704A (zh) 微机械式传感器元件及其制造方法和运行方法
KR200449252Y1 (ko) 압력전송기 표시장치
EP3359938A1 (en) Sensing pressure variations in pipelines
CN100354607C (zh) 输入和输出装置、电子设备、以及包括输入和输出装置及电子设备的系统
CN108716941B (zh) 一种磁致伸缩多参数测量变送器
JP6141691B2 (ja) 圧力校正装置
CN201514257U (zh) 测量装置及液位测量系统
CN101762297B (zh) 一种流量计用的传感装置
KR200192090Y1 (ko) 자석이내장된플로우트를이용한수위감지장치
KR101391131B1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KR100634328B1 (ko) 압력전송기
JP7169260B2 (ja) 物理量測定装置
CN206274566U (zh) 用于变送器的转接接头以及包括变送器的工业仪表
CN216593925U (zh) 一种新型压力传感器组件
CN205426952U (zh) 一种水银加速度传感器
US11448540B2 (en) High resolution elliptical gear flowmeter
CN203432643U (zh) 玻璃管水位计监测报警装置
EP3992585B1 (en) Field device
KR200427708Y1 (ko) 압력계
CN104344920B (zh) Led模组接触力测试装置及其检测方法
CN217953608U (zh) 一种防结垢、防浪涌的液位变送器
CN216132619U (zh) 简易型压力变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