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956B1 -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 Google Patents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956B1
KR101902956B1 KR1020180029091A KR20180029091A KR101902956B1 KR 101902956 B1 KR101902956 B1 KR 101902956B1 KR 1020180029091 A KR1020180029091 A KR 1020180029091A KR 20180029091 A KR20180029091 A KR 20180029091A KR 101902956 B1 KR101902956 B1 KR 10190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oly
solution
drug
visc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박일규
김준호
최종배
김훈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to KR10201800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8Accessories for dressings specially adapted for application or removal of fluid, e.g. irrigation or drainage of wounds, under-pressure wound-therapy
    • A61F13/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9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M1/005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48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96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4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pain during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를 통한 외과수술을 진행함에 있어서 절개부위 수술 후 그 자리에서 바로 통증제거 약물을 수술 부위에 주입하여 안정화 및 서방형 방출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처치를 가능토록 하는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KIT FOR PAIN REDUCTION OF INCISION SITE AFTER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를 통한 외과수술을 진행함에 있어서 절개부위 수술 후 그 자리에서 바로 통증제거 약물을 수술 부위에 주입하여 안정화 및 서방형으로 방출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처치를 가능토록 하는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 시 절개 부위는 수술후 동통 저감 목적으로 국소마취제와 같은 통증제거 약물을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증제거 약물이 점성이 없는 용액상인데다 절개부위의 수술 도중 통상 세척액을 사용하므로, 통증 제거 약물을 해당 절개 부위에 정확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주입하여 의도한 약효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에 체온에 의한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기재로 하는 다양한 창상피복제가 개발되고 있고, 본 발명의 출원인 또한 약물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제를 특허출원 중에 있다(한국등록 제10-1125934호).
그러나, 이같이 수술 부위의 사이즈, 혹은 수술 진행상황에 따라 종류가 바뀔 수 있는 다양한 통증제거 약물, 필요에 따라서는 1종이 아니라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필요도 있는데, 이것을 감안하여 모든 종류들을 다양한 배합비로 포함시킨 창상피복제를 미리 제조할 수 없고, 미리 제조한다고 하여도 다양한 종류들을 각각 구입하여 놓는 것은 구입 비용, 보관 비용 등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외과 수술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통증제거 약물의 주입시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당 절개 부위에 정확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주입하여 의도한 약효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에 있어서,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300); 및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일례로 상기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300);와,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혼합된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과, 상기 혼합용액을 준비하도록 사용 직전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제1 주사기(200); 및 상기 제1 주사기 및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에 각각 충진된 물질을 혼합하기 위한 주사기 연결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일례로 상기 제1 주사기용 주사침(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일례로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용 주사침(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은 일례로 5℃에서의 점도가 100~5,000 cps이고, 37℃에서의 점도가 100,000 cps 이상인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은 일례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염화칼슘 및 주사용수로 구성되는 비발열성 점성용액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사기는 일례로 주사침이 미리 조립되거나 혹은 사용직전 체결된 것으로, 통증제거 약물 충진 후 주사침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 주입유도관은, 일례로 프리필드 주사기 내에서 혼합된 혼합용액을 절개 부위에 주입하도록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연결관은 일례로 내경, 즉 약물이 통과하는 관의 내부 입경이 10 m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일례로 상기 절개부위 주변의 잔여 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흡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과수술 키트를 수술 절개부위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제1 주사기에 주사침을 체결한 다음 수술시 사용할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에 주사침을 꽂고 제1 주사기의 표시선까지 상기 약물을 충진한 후 연결된 주사침을 분리하는 단계;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미리 충진되어 있고 밀대가 구비된 프리필드 주사기의 마개를 제거하는 단계; 마개가 제거된 프리필드 주사기를 주사기 연결관의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약물이 충진되고 주사침이 분리된 제1 주사기를 주사기 연결관의 다른 일측에 연결하는 단계; 주사기 연결관으로 연통된 제1 주사기와 프리필드 주사기의 밀대(piston)를 이용하여 상기 약물을 프리필드 주사기 내에서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후 주사기 연결관에서 혼합용액이 충진된 프리필드 주사기를 분리하고 이 프리필드 주사기에 혼합용액 주입유도관 또는 주사침을 끼워 상기 혼합용액을 수술 절개부위에 주입하여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용액을 수술 절개부위에 주입하기 전에 수술시 사용된 세척액을 흡입 셕션을 사용하여 빨아들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기 연결관을 통해 프리필드 주사기 내에 혼합된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일례로 1:0.5~5(약물: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부피비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절개를 통한 외과수술을 진행함에 있어서 절개부위 수술 후 그 자리에서 바로 필요로 하는 통증제거 약물을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에 간단한 조작으로 혼합 가능하며, 수술 부위에 주입하여 안정화 및 서방형 방출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처치를 가능토록 하는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감통/ 진통)을 위한 외과수술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수술 키트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일 구현예를 경시 변화에 따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에 포함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안정성 시험(A)의 측정 결과를 경시 변화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중 통증제거 약물의 서방출시험의 측정 결과를 경시 변화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 키트를 이용하여 래트(Rat) 발바닥 통증유발 모델에서 통증제거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미사용, 통증제거 약물의 단독사용,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단독 사용,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의 사용에 따른 각 감통/진통 효과를 경시 변화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에 있어서,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및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상기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에 있어서,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과, 상기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준비하도록 사용직전 통증제거 약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제1 주사기;와, 상기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 혼합용액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 및 상기 제1 및 프리필드 주사기에 충진된 각 물질을 혼합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갖는 주사기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술한 수술 키트를 수술 절개부위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멸균된 장소에서 수술 키트의 포장을 뜯고, 밀대가 구비된 제1 주사기에 주사침을 체결한 다음 수술시 사용할 국부 마취제 등의 통증제거 약물에 주사침을 꽂고 제1 주사기의 표시선까지 통증제거 약물을 충진하는 제1 단계; 통증제거 약물이 충진된 제1 주사기와 연결된 주사침을 분리하고,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미리 충진되어 있고 밀대가 구비된 프리필드 주사기의 마개를 제거하는 제2 단계; 마개가 제거된 프리필드 주사기에 주사기 연결관을 연결하고 통증제거 약물이 충진된 제1 주사기를 연결하는 제3 단계; 주사기 연결관에 서로 연결된 제1 주사기와 프리필드 주사기의 밀대들을 좌우로 밀면서 통증제거 약물을 프리필드 주사기 내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균일 혼합하는 제4 단계; 및 주사기 연결관을 분리하고 프리필드 주사기에 혼합용액 주입유도관을 연결하여 통증제거 물질 혼합용액을 수술 절개부위에 충분히 주입하여 도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10)(이하, "본 발명의 수술 키트"라 칭함)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 키트(10)는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 제1 주사기(200), 프리필드 주사기(300), 주사기 연결관(400) 및 주사침(201, 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술 키트(10)에 포함된 모든 구성은 다양한 외과수술의 절개부위에 접근하는 것이며, 따라서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에 그 자리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은 외과수술 도중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프론과 같은 유연성이 확보된 재질로 제작된 양 끝단 개방 상태의 도관 형태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테프론 미세도관(capilla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은 한쪽 끝단이 프리필드 주사기 입구에 끼워지고, 나머지 끝단으로 혼합용액이 배출 또는 주사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은 일례로 총 길이가 60 내지 70 mm, 바람직하게 70 ±3.5 mm이며, 외경은 1.6 내지 1.8 mm, 바람직하게 1.7±0.085 mm이고, 내경은 1.1 내지 1.4 mm, 바람직하게 1.26±0.085 mm이며, 이 범위 내에서 다루기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수술부위에 약물이 적절히 배분되는 효과가 크다.
제1 주사기(200)은 상기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준비하도록 사용직전 통증제거 약물(미도시)을 충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주사침(201)이 미리 조립된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직전 주사침(201)을 제1 주사기(2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주사기(200)에 통증제거 약물(미도시)을 충진한 다음에는 주사침(201)을 분리하게 된다. 제1 주사기(200)로는 밀대(piston)가 구비된 시판 제품이면 적용하기에 바람직하다.
통증제거 약물은 수술 후의 급성통증 조절 목적의 국소마취제, 아편계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약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비교적 안전한 염산로피바카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리필드 주사기(300)은 일반적으로 체결되는 주사침 대신 마개(301)로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프리필드 주사기(300)은 상기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의 기재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고압증기멸균에 안정한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미리 충진되는 이유는 충진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수술실에서 사용시 편리함과 제품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수술 절개부위에 적용 후 체온에 의해 겔(gel) 상태로 변화되어 안정성과 서방성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재인데, 이온가교된 알지네이트와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5℃에서는 100~5,000 cps의 점도를 띠고, 37℃에서는 100,000 cps 이상의 점도를 띠는 공중합체가 미량의 CaCl2와 주사용수에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재에서 점도(cps)는 대한민국약전 제2법 회전점도계법을 따르며, Brookfield 점도계로 5℃에서는 #4 spindle, 37℃에서는 #7 spindle 조건 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5℃에서는 100~5,000 cps, 혹은 500~3,000 cps의 점도로 수술 후의 급성통증 조절 목적의 국소마취제 등 통증제거 물질과 혼합이 용이하고, 37℃에서는 100,000 cps 이상, 혹은 100,000~2,000,000 cps의 점도로 생체 내에서 겔(gel)화되어 통증제거 약물을 적용부위에 안정하게 서방출하게 된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이온가교된 알지네이트를 용액 100 중량% 중 0.05 ~ 3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에서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온가교된 알지네이트의 가교제로는 Mg2+, Ca2+, Sr2+, Ba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 또는 키토산, 글루타알데히드, 포르말린, 폴리엘라이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정하지 않는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용액 100 중량% 중 20 ~ 40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에서 통증 제거용 약물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블록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이 90 : 105 내지 50 : 70의 비로 포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범위에서 통증 제거용 약물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등 기타 다른 특성은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CaCl2를 용액 100 중량% 중 0.005 ~ 0.1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에서 가교된 알긴산염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와 균일하게 혼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회전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착력이 0.8N 이상, 혹은 0.8N 내지 5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통증 제거용 약물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점착력(N)은 회전형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5℃ 조건 하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은 수술 절개부위에 회복 속도가 느리거나, 혹은 절개 부위를 봉합한 실의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를 피하도록 생체 적합하고, 수술 절개 부위의 치유가 정상적으로 치유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기 연결관(400)은 상기 제1 및 프리필드 주사기에 충진된 각 물질을 분출하여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 점성용액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경이 12 mm 이하, 10 mm 이하, 1 내지 10 mm, 또는 1.9 내지 4.1 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기 연결관을 통해 프리필드 주사기 내에 혼합된 통증제거 물질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혼합물의 혼합비율은 1:0.5~5(통증제거 물질: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부피비, 1:0.5~3의 부피비 혹은 1:0.5~2의 부피비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통증 제거용 약물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주사기 연결관(400)을 통해 혼합물이 충진된 프리필드 주사기(300)에서 주사기 연결관(400)을 분리한 다음 프리필드 주사기(300)내의 혼합된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미도시)의 마개(301) 체결 부위에 마개 대신 전술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 또는 제2 주사침(202)을 체결함으로써 원하는 수술 절개부위에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 같은 정확한 부위에 안정적인 주입을 통해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에 포함된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에 의해 겔 상태로 변화되어 통증제거 약물을 서방출하게 된다. 일례로 겔 상태로의 변화는 약 5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으로 석션수단(미도시), 예를 들면 면봉, 거즈와 같은 별도의 흡수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절개부위 주변의 잔여 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술 키트(10)를 수술 절개부위에 사용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술 키트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일 구현예를 경시 변화에 따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1 단계로서, 멸균된 장소에서 수술 키트(10)의 포장을 뜯고, 밀대가 구비된 제1 주사기(200)에 주사침(201)을 체결한다. 그런 다음 수술시 사용할 국부 마취제 등의 통증제거 약물에 주사침(201)을 꽂고 제1 주사기(200)의 표시선까지 통증제거 약물을 충진한다.
S2 단계는 S2-1 단계, S2-2 단계, S2-3 단계의 총 3단계로 구성된다. 우선 S2-1 단계로서, 통증제거 약물이 충진된 제1 주사기(200)와 연결된 주사침(201)을 분리하고(좌측 참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302)으로서 본 발명 출원인이 시판하고 있는 제품 디디케이 젤(식약청 제품 허가번호 09-826호)이 미리 충진되어 있고 밀대가 구비된 프리필드 주사기(300)의 마개(301)를 제거한다(우측 참조).
S2-2 단계로서, 마개(301)가 제거된 프리필드 주사기(300)에 주사기 연결관(400)을 연결하고 통증제거 약물이 충진된 제1 주사기(200)을 연결한다. 이때 통증제거 약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S2-3 단계로서, 주사기 연결관(400)으로 서로 연결된 제1 주사기(200)와 프리필드 주사기(300)의 밀대들을 좌우로 밀면서 통증제거 약물을 프리필드 주사기(300) 내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서 S3 단계로서, 주사기 연결관(400)을 분리한 다음 프리필드 주사기(300)에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 또는 제2 주사침(202)을 연결하여 통증제거 물질 혼합용액을 수술 절개부위에 충분히 주입하여 도포한다.
필요하다면, 상기 S1 단계에 앞서 수슬시 사용된 세척액을 흡입 셕션(미도시)로 빨아들여 제거하고 수술시 상처면에 충분한 지혈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안정성 시험, 및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통증제거 약물 혼합물 중 통증제거 약물의 방출시험 결과를 도 3, 4에 도시하였다.
시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체외(in vitro) 안정성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 3에서 보듯이, 온도감응성 고분자 단독 대비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상태로 사용한 경우 안정성이 7일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통증제거 약물 혼합물의 방출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 4에서 보듯이, 통증제거 약물이 3일(72시간)까지 서서히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수술 키트(10)를 이용하여 래트(Rat) 발바닥 통증유발 모델에서 통증제거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미사용, 통증제거 약물의 단독사용,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단독 사용,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의 사용에 따른 각 감통/진통 효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통증제거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의 미사용은 Control(대조군)으로 표기하고,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단독 사용은 DDK로 표기하고, 통증제거 약물 단독 사용은 사용한 물질의 약어로서 Ropi.로 표기하면서 농도 %(수용액 상 중량% 농도)를 병기하였고,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의 사용은 DDK/Ropi.로 표기하면서 Ropi.의 농도 %를 병기하였다.
본 기재에서 농도 %는 별다른 기재가 없는 한 중량% 농도를 의미한다.
참고로, Ropi. 0.25%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점성수용액)과 통증제거 약물 중 염산로피바카인 주사제(약물수용액)가 부피비로 2:1로 혼합되어 있는 조성을 의미하고, 최종 약물의 농도가 0.25 중량%를 의미한다.
시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사용한 시험군이 통증제거 약물을 단독 사용한 시험군 대비 통증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평가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술 키트에 의해 주입된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이 수술 절개부위에 안정화 및 서방성 효과를 제공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통증제거 약물 혼합용액을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시마다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점에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수술 키트 100: 혼합용액 주입유도관
200: 제1 주사기 201: 제 1 주사침 202: 제 2 주사침
300: 프리필드 주사기 301: 마개 302: 온도감응성 점성용액
400: 개폐 수단을 갖는 주사기 연결관

Claims (13)

  1.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에 있어서,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300); 및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블록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이 90:105~50:70의 몰비로 포함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공중합체 20~40 중량% 및 잔량의 주사용수를 포함하고, 점도가 5℃에서 500~3000 cps이고, 37℃에서 100,000~2,000,000cps이며 5℃에서 회전형 레오미터로 측정한 점착력이 0.8 N 이상이고, 상기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은 약물 수용액이며,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상기 약물 수용액은 부피비가 1:0.5~5(약물 수용액: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상기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의 안정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충진되고 마개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필드 주사기(300);와, 노출된 절개 부위에 근접하여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과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이 혼합된 혼합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혼합용액 주입유도관(100);과, 상기 혼합용액을 준비하도록 사용 직전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을 충진시키기 위한 제1 주사기(200); 및 상기 제1 주사기 및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에 각각 충진된 물질을 혼합하기 위한 주사기 연결관(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상기 제1 주사기용 주사침(20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수술 키트는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용 주사침(2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 공중합체, 알긴산나트륨, 염화칼슘 및 주사용수로 구성되는 비발열성 점성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기는 주사침이 미리 조립되거나 혹은 사용직전 체결된 것으로, 통증제거 또는 치료 약물 충진 후 주사침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 주입유도관은, 프리필드 주사기 내에서 혼합된 혼합용액을 절개 부위에 주입하도록 상기 프리필드 주사기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연결관은 내경이 12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위 주변의 잔여 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흡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과 상기 약물 수용액은 부피비가 1:2~5(약물 수용액: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점성용액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블록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이 90:105~50:70의 몰비로 포함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트리블록공중합체 20~40 중량%, 가교제로 CaCl2 0.005~0.1 중량%, 알긴산나트륨 0.05~3 중량% 및 주사용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수술 키트.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29091A 2018-03-13 2018-03-13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KR10190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91A KR101902956B1 (ko) 2018-03-13 2018-03-13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91A KR101902956B1 (ko) 2018-03-13 2018-03-13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50A Division KR101852718B1 (ko) 2017-04-04 2017-04-04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956B1 true KR101902956B1 (ko) 2018-10-02

Family

ID=6386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91A KR101902956B1 (ko) 2018-03-13 2018-03-13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16B1 (ko) 2018-04-17 2020-01-10 주식회사 제네웰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81B1 (ko) 2003-07-24 2006-03-29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101125934B1 (ko) 2008-11-19 2012-03-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3663B1 (ko) 2013-05-31 2015-03-19 주식회사 위노바 디스크 충진용 하이드로젤 조성물, 이 조성물의 용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81B1 (ko) 2003-07-24 2006-03-29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101125934B1 (ko) 2008-11-19 2012-03-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응성 조직 유착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3663B1 (ko) 2013-05-31 2015-03-19 주식회사 위노바 디스크 충진용 하이드로젤 조성물, 이 조성물의 용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16B1 (ko) 2018-04-17 2020-01-10 주식회사 제네웰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718B1 (ko)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JP6289096B2 (ja) 乾燥した安定な止血組成物を作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AU2017386952B2 (en) Silicone compositions rapidly cross-linkable at ambient tempera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9200331B (zh) 一种肺部封合医用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160120528A1 (en) Hydrogel Pressure Sealant System
US7976859B2 (en)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JP2010520799A (ja) 組織癒着防止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組成物
JP6000976B2 (ja) タカワラビの抽出物を含んだ止血製剤
CN103432632B (zh) 一种温度敏感凝胶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902956B1 (ko)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를 위한 키트
US10449255B2 (en) Hydrogel formulation with mild adhesion
JP2007001941A (ja) 遺体からの体液漏出防止法および滲出液防止法
KR102065016B1 (ko) 외과수술 후 절개부위 통증 감소 또는 치료를 위한 키트
CN111315428B (zh) 聚合物组合物、递送装置和方法
US20160324148A1 (en) Hydrogel formulation with mild adhesion
EP3139962B1 (en) Biological adhesives and seala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90306245A1 (en) Implant Filling Material and Method
US202301254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KR102063210B1 (ko) 일시적 혈관폐쇄 용구의 제조방법
RU2150894C1 (ru) Способ эндолимфатического введения антибиотиков
CN116725949A (zh) 盐酸布比卡因及多聚脱氧核糖核苷酸缓释凝胶注射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