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46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61B1
KR101901461B1 KR1020120096117A KR20120096117A KR101901461B1 KR 101901461 B1 KR101901461 B1 KR 101901461B1 KR 1020120096117 A KR1020120096117 A KR 1020120096117A KR 20120096117 A KR20120096117 A KR 20120096117A KR 101901461 B1 KR101901461 B1 KR 10190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terminals
pair
sig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010A (ko
Inventor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단자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저감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100)와, 동체(100)에 X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와, 제3신호 단자(330S)를 구비하고 있다. 제3신호 단자(330S)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일렬로 배열된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군은, 복수 쌍 중 1쌍의 차동신호단자와, 이 차동신호단자의 쌍 사이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즉, 상기 커넥터는, 차동신호단자의 쌍 사이에 접지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차동신호단자의 쌍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JP 2010-287560 A
상기 커넥터는, 단자 간의 협피치화 및/또는 차동신호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의 고속화에 의해, 차동신호단자의 쌍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이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동신호단자의 쌍 사이에 복수의 접지 단자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접지 단자의 수가 증가하면, 상기 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신호 단자 사이의 크로스토크의 저감 및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body)와, 상기 동체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및 제3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3신호 단자는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이므로, 제3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1, 제2신호 단자 간에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 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제2신호 단자 간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3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므로,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가 더욱 저감된다.
본 발명의 제2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3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1, 제2신호 단자간에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제2신호 단자 간에 복수의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3신호 단자 사이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3신호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1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쌍의 제1 및/또는 제2신호 단자는 차동 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4신호 단자와 상기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6신호 단자는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6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4, 제5신호 단자 간에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3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3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영역에 배치된 제1접지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제6신호 단자에 더해서, 제1접지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더욱 저감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영역에 배치된 제7신호 단자 및 제2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7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제6신호 단자에 부가해서, 제7신호 단자 및 제2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이 배치되어 있다. 제7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7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4, 제5신호 단자 간에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더욱 저감된다. 또한, 제7신호 단자는, 상기 제3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접지 단자가 추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3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제6신호 단자가 상기 영역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므로,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가 더욱 저감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는,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가, 1쌍의 제4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므로, 1쌍의 제4신호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8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4신호 단자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는,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가, 1쌍의 제5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므로, 1쌍의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9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5신호 단자 간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접지 단자의 이웃에(즉, 옆에) 배치된 제10신호 단자 또는 제5접지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제4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제4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4신호 단자의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8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4신호 단자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제5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가, 동체를 끼워서 제5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5신호 단자의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9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5신호 단자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1쌍의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및 제8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및 제9신호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접지 단자가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과 상기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8신호 단자가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상기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4접지 단자가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한쪽과 상기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9신호 단자가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상기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상기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3접지 단자가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과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8신호 단자가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4접지 단자가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한쪽과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9신호 단자가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1쌍의 제4, 제5신호 단자의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8, 제9신호 단자는,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제4, 제5신호 단자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제4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신호 단자 및 복수의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6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6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서,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4신호 단자와, 제6신호 단자와 같은 열에 배치된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4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4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6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한쪽 측의 이웃에서,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다른 쪽 측의 이웃에는 접지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4신호 단자와,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와 같은 열에 배치된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5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5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2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4신호 단자가,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가,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 사이 또는 이웃하는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제4신호 단자는, 제6신호 단자와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6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접지 단자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지만,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4신호 단자와, 제6신호 단자와 같은 열에 배치된 제5신호 단자 사이에 생기는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6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신호 단자의 평면위치적인 제1방향의 양 이웃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6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l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또한 상기 동체를 끼워서 1쌍의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6커넥터는,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6신호 단자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이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다른 쪽이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접지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가능하다.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1쌍의 제4 및/또는 제5신호 단자를 차동 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 중의 2A-2A 단면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 중의 2B-2B 단면도;
도 2c는 상기 커넥터의 도 1 중의 2C-2C 단면도;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단자의 도 2a 중의 3-3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군의 단자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단자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 정면도;
도 7a는 상기 커넥터의 도 6 중의 7A-7A 단면도;
도 7b는 상기 커넥터의 도 6 중의 7B-7B 단면도;
도 8a는 실험예 1의 단자군의 단자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8b는 실험예 2의 단자군의 단자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9a는 실험예 1의 노이즈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9b는 실험예 2의 노이즈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2a는 실시예 2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제1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b는 실시예 2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제2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는 실시예 1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제1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b는 실시예 2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제3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c는 실시예 2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제4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1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b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2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c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3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d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4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e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5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f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6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g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7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h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8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9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10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c는 실시예 3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1)의 제11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1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b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2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3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d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4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e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5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f는 실시예 4의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T3)의 제6설계 변형예의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 가능한 리셉터클로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동체(100)와 외장(shell)(200)과 단자군(T)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2c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이면서도 단자군(T)의 단자의 배열 방향을 X(제1방향), 커넥터의 전후 방향을 Y, 커넥터의 높이 방향을 Z로서 나타내고 있다. Y방향은 X방향에 직교하고, Z 방향은 X, Y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동체(100)는 절연 수지제의 사출 성형물이다. 동체(1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볼록부(120)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는 직사각 형상이다. 볼록부(120)는, 본체부(110)의 Y방향의 제1면(전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Y방향으로 뻗는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볼록부(120)의 Z방향의 제1면(표면)에는, Y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홈(121)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외장(200)은,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각진 통으로서, 동체(100)의 외주를 덮고 있다.
단자군(T)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와, 2개의 제3신호 단자(330S)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1신호 단자(310S)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각각의 제1신호 단자(310S)는, 중간부(311S)와, 접촉부(312S)와, 수하부(垂下部)(313S)와, 테일부(314S)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311S)는 Y방향으로 뻗는 판으로서, 동체(100)의 본체부(110)에 매설되어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311S)는, Y방향의 제1,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312S)는, 중간부(311S)의 상기 제1단부에 연접(連接)되고 또한 Y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이 접촉부(312S)는, 동체(100)의 볼록부(120)의 홈(121)에 삽입되어 있다. 접촉부(312S)의 선단부에는, Z방향의 윗쪽에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곡부가 상기 플러그의 신호용의 컨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하부(313S)는, 중간부(311S)의 상기 제2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중간부(311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본체부(110)의 Y방향의 제2면(후면)을 따라서 Z방향으로 뻗어 있다. 테일부(314S)는, 수하부(313S)의 Z방향의 하단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수하부(313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판으로서, Y방향으로 뻗어 있다. 테일부(314S)는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제2신호 단자(320S)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고 또한 제1신호 단자(3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2신호 단자(320S)는, 중간부(321S)와, 접촉부(322S)와, 수하부(323S)와, 테일부(324S)를 가지고 있다. 또, 제2신호 단자(320S)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1신호 단자(3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각각의 제3신호 단자(330S)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1신호 단자(3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3신호 단자(330S)는, 중간부(331S)와, 접촉부(332S)와, 수하부(333S)와, 테일부(334S)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3신호 단자(330S)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1신호 단자(3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전술한 단자군(T)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10S), (310S), (330S), (330S), (320S), (320S)의 순으로, 동체(1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즉, 단자군(T)의 단자는 동체(100)에 X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2개의 제3신호 단자(330S)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이다. 예를 들어,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 ㎒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 십 ㎒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전송 시 제3신호 단자(330S)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단, 제3신호 단자(330S)는 접지 단자와 동등 수준의 신호 차폐 기능(크로스토크 저감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을 준비한다. 그 후, 상기 금속판을 소정의 금형을 이용해서 프레스 성형하고, 제1, 제2, 제3신호 단자(310S), (320S), (330S)를 작성한다.
그 후, 절연 수지제를 사출 성형하고, 동체(100)를 작성한다. 이때, 제1신호 단자(310S)의 중간부(311S), 제2신호 단자(320S)의 중간부(321S) 및 제3신호 단자(330S)의 중간부(331S)가 본체부(110)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 제3신호 단자가, (310S), (310S), (330S), (330S), (320S), (320S)의 순으로 동체(100)에 X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그 후, 동체(100)를 외장(200)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커넥터는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다. 이때, 테일부(314S), (324S), (334S)가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땜납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2개의 제3신호 단자(330S)가, 제1신호용 단자(310S)와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이므로, 제3신호 단자(330S)는, 신호 전송 시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의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제3신호 단자(330S)는, 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커넥터의 X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해당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커넥터는, 단자군(T')이 단자군(T)과 상이한 이외에, 실시예 1의 커넥터와 거의 같다. 따라서, 단자군(T')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 실시예 2의 커넥터의 단자군의 부호에 대해서는, ' 표시를 붙여서 실시예 1의 단자군(T)과 구별한다.
단자군(T')은,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와, 2개의 제3신호 단자(330S)와, 2개의 접지 단자(340G)를 가지고 있다. 제1, 제2, 제3신호 단자(310S), (320S), (330S)는 실시예 1과 같은 것이다. 각 접지 단자(34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1신호 단자(310S)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접지 단자(34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접지 단자(340G)의 테일부는, 상기 기판의 접지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지 단자(34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1신호 단자(3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 단자군(T')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10S), (310S), (340G), (330S), (330S), (340G), (320S), (320S)의 순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10S), (310S), (330S), (340G), (340G), (330S), (320S), (320S)의 순으로, 동체(1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2개의 접지 단자(340G) 및 제3신호용 단자(330S)가,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배열에서는, 접지 단자(340G)가 X방향에 있어서의 제3신호용 단자(330S)와 제1신호용 단자(310S) 사이 및 X방향에 있어서의 제3신호용 단자(330S)와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배열에서는, 제3신호용 단자(330S)가 X방향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340G)와 제1신호용 단자(310S) 사이 및 X방향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340G)와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예를 들어,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백 ㎒ 내지 1㎓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전송 시 제3신호 단자(330S)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2개의 제3신호용 단자(330S) 및 접지 단자(340G)가, 제1신호용 단자(310S)와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신호 단자(33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므로, 제3신호 단자(330S)는, 신호 전송 시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의 크로스토크가 저감된다. 제3신호 단자(330S)는, 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커넥터의 X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해당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가능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동체(400)와, 외장(500)과, 단자군(T1), (T2)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6 내지 도 7b에 있어서, 커넥터의 폭방향이면서도 단자군(T1), (T2)의 배열 방향을 X(제1방향), 커넥터의 전후 방향을 Y, 커넥터의 높이 방향을 Z로서 나타내고 있다. Y방향은 X방향에 직교하고, Z 방향은 X, Y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동체(400)는 절연 수지제의 사출 성형물이다. 동체(400)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410)와, 볼록부(420)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410)는 직사각 형상이다. 볼록부(420)는, 본체부(410)의 Y방향의 제1면(전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Y방향으로 뻗는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볼록부(420)의 Z방향의 제1면(상부면)에는, Y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홈(421)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볼록부(420)의 Z방향의 제2면(하부면)에는, Y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홈(422)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홈(421), (422)은 X방향으로 물떼새(千鳥)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장(500)은,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각진 통으로서, 동체(400)의 외주를 덮고 있다.
단자군(T1), (T2)은 다른 규격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자군(T1), (T2)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규격, USB 3.0(Universal Serial Bus)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의 규격 중 어느 것인가에 대응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본 실시예 3에서는, 단자군(T1), (T2)이 대응하고 있는 규격을 단정하지 않고 설명한다.
단자군(T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4신호 단자(610S)와, 복수의 제5신호 단자(620S)와, 복수의 제6신호 단자(630S)와, 접지 단자(640G)(제3접지 단자)와, 복수의 제7신호 단자(650S)와, 접지 단자(660G)(제4접지 단자), 제10신호 단자(670S)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4신호 단자(610S)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각각의 제4신호 단자(610S)는, 중간부(611S)와, 접촉부(612S)와, 수하부(613S)와, 테일부(614S)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611S)는 Y방향으로 뻗는 판으로서, 동체(400)의 본체부(410)에 매설되어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611S)는, Y방향의 제1,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612S)는, 중간부(611S)의 상기 제1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Y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이 접촉부(612S)는 동체(400)의 볼록부(420)의 홈(422)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의 신호용의 컨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하부(613S)는, 중간부(611S)의 상기 제2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중간부(611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Z방향으로 뻗고 있다. 테일부(614S)는, 수하부(613S)의 Z방향의 하단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수하부(613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판으로서, Y방향으로 뻗고 있다. 테일부(614S)는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4신호 단자(6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제7신호 단자(650S)의 테일부는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지 단자(660G)의 테일부는 상기 기판의 접지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4신호 단자(6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각각의 제6신호 단자(630S)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각각의 제6신호 단자(630S)는, 중간부(631S)와, 접촉부(632S)와, 수하부(633S)와, 테일부(634S)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631S)는 Y방향으로 뻗는 판으로서, 동체(400)의 본체부(410)의 관통 구멍(411)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631S)는 Y방향의 제1,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632S)는 중간부(631S)의 상기 제1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Y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이 접촉부(632S)는 동체(400)의 볼록부(420)의 홈(42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의 신호용의 컨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하부(633S)는, 중간부(631S)의 상기 제2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중간부(631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본체부(410)의 Y방향의 제2면(후면)을 따라서 Z방향으로 뻗고 있다. 수하부(633S)의 Z방향의 치수는 수하부(613S)의 Z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테일부(634S)는, 수하부(633S)의 Z방향의 하단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수하부(633S)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러진 판으로서, Y방향으로 뻗고 있다. 테일부(634S)는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제5신호 단자(620S), 접지 단자(640G) 및 제10신호 단자(670S)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6신호 단자(63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5신호 단자(620S), 접지 단자(640G) 및 제10신호 단자(670S)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제5신호 단자(620S) 및 제10신호 단자(670S)의 테일부는, 상기 기판의 신호 라인에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지 단자(640G)의 테일부는, 상기 기판의 접지 라인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5신호 단자(620S), 접지 단자(640G) 및 제10신호 단자(670S)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전술한 단자군(T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가 상하 2열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군(T1)의 상부열은 (620S), (620S), (630S), (630S), (640G), (670S)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군(T1)의 하부열은, (66OG), (650S), (650S), (610S), (610S)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X방향에 있어서의 제4신호 단자(610S)와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영역(α)에, 제6신호 단자(630S) 및 제7신호 단자(650S)가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접지 단자(640G)는,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접지 단자(660G)는,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0신호 단자(670S)는 단자군(T1)의 최단부이면서도 접지 단자(640G)의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 제8신호 단자(630S), (650S), (67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예를 들어,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제6, 제7, 제8신호 단자(630S), (650S), (67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백 ㎒ 내지 1㎓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전송 시 제6신호 단자(630S) 및 제7신호 단자(650S)가, 제4신호 단자(610S)와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영역(α)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단, 제6, 제7, 제8신호 단자(630S), (650S), (670S)는, 접지 단자와 동등 수준의 신호 차폐 기능(크로스토크 저감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단자군(T2)은, 복수의 신호 단자(710S)와, 복수의 신호 단자(720S)와, 복수의 접지 단자(730G), (740G)를 가지고 있다. 이 단자군(T2)은, 단자가 상하 2열로 X방향으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군(T2)의 상부열은 (740G), (720S), (720S), (74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군(T2)의 하부열은 (710S), (710S), (730G), (710S), (710S)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6신호 단자(63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각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4신호 단자(6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4신호 단자(6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1쌍의 신호 단자(7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신호 단자(7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접지 단자(730G)는 1쌍의 신호 단자(72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접지 단자(740G)는 1쌍의 신호 단자(71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단자군(T1)에 있어서,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가, X방향에 있어서의 제4신호 단자(610S)와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영역(α)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신호 전송 시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가 영역(α)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는, 상기 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영역(α)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커넥터의 X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해당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640G)가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이 의도되어, 해당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의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접지 단자(660G)가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임피던스 조정이 의도되어, 해당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의 전송 특성이 향상한다.
여기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열의 단자를 (G), (G), (G), (G), (S1), (S1), (S3), (G), (S3), (S3)의 순으로 배열하고, 하부열의 단자를 (G), (G), (G), (G), (G), (G), (S4), (S2), (S2), (S4)의 순으로 배열해서 실험 1을 행하였다. (S1), (S1)은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S2), (S2)도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G)는 접지 단자이다. (S3), (S4)는 저속의 신호 단자이다.
이 실험 1에서는, (S3), (S4)에 신호를 전송시키지 않고, 신호 단자(S1)에 주파수 0 내지 10㎓의 스위핑시킨 신호를 전송시킨 상태에서, 신호 단자(S2)의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a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열의 단자를 (G), (G), (G), (G), (S1), (S1), (G), (S''), (S3), (S3)의 순으로 배열하고, 하부열의 단자를 (G), (G), (G), (G), (G), (G), (S4), (S4), (S2), (S2)의 순으로 배열해서 실험 2를 행하였다. (S1), (S1)은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S2), (S2)도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G)는 접지 단자이다. (S3), (S4), (S'')는 저속의 신호 단자이다. 또한, (S4)는 접지 단자로 치환가능하다.
이 실험 2에서는, (S3), (S4)에 신호를 전송시키지 않고, 신호 단자(S1)에 주파수 0 내지 10㎓의 스위핑시킨 신호를 전송시키고 또한 신호 단자(S'')에 주파수 240㎒의 신호를 전송시킨 상태에서, (S2)의 노이즈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b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되었다.
이 실험 1 및 2의 그래프를 비교하면, 실험 2가 실험 1보다도 노이즈가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험 2에서는, (S1)과 (S2) 사이의 영역에 2개의 (S4)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X방향에 있어서의 (S1)과 (S2)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S'')의 영향도 받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가능한 리셉터클로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단자군(T1), (T2) 대신에, 단자군(T3), (T4)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예 3의 커넥터와 상이한 이외에, 실시예 3의 커넥터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단자군(T3), (T4)은 다른 규격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자군(T3), (T4)은, HDMI의 규격, USB 3.0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규격 중 어느 것인가에 대응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본 실시예 4에서는, 단자군(T3), (T4)이 대응하고 있는 규격을 단정하지 않고 설명한다.
단자군(T3)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4신호 단자(610S')와, 복수의 제5신호 단자(620S')와, 복수의 제6신호 단자(630S')와, 복수의 접지 단자(640G')와, 복수의 제7신호 단자(650S')와, 복수의 접지 단자(660G')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4신호 단자(610S'),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실시예 3의 제4신호 단자(6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4신호 단자(610S'),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4신호 단자(610S'),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6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4신호 단자(6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각각의 제5신호 단자(620S'), 제6신호 단자(630S') 및 접지 단자(64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실시예 3의 제6신호 단자(63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5신호 단자(620S'), 제6신호 단자(630S') 및 접지 단자(64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5신호 단자(620S'), 제6신호 단자(630S') 및 접지 단자(64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전술한 단자군(T3)은 단자가 상하 2열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군(T3)의 상부열은 (620S'), (620S'), (640G'), (630S'), (640G'), (620S'), (620S'), (64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군(T3)의 하부열은, (660G'), (650S'), (660G'), (610S'), (610S'), (660G'), (650S'), (66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중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와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접지 단자(640G)'와 제6신호 단자(630S')는,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중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와 다른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6신호 단자(630S')와 다른 접지 단자(640G')는,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중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60G')와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접지 단자(660G')와 제7신호 단자(650S')는,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중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는,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와 별도의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7신호 단자(650S')와 다른 접지 단자(660G')는,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예를 들어,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백 ㎒ 내지 1㎓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전송 시 제6신호 단자(630S')는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고, 제7신호 단자(650S')는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단,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는 접지 단자와 동등 수준의 신호 차폐 기능(크로스토크 저감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단자군(T4)은, 복수의 신호 단자(710S')와, 복수의 신호 단자(720S')와, 복수의 접지 단자(730G'), (740G')와, 복수의 다른 단자를 가지고 있다. 이 단자군(T4)은, 단자가 상하 2열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군(T4)의 상부열은 (740G'), (720S'), (720S'), (740G'), (720S'), (720S'), (740G'), 다른 단자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군(T4)의 하부열은 다른 단자, (730G'), (710S'), (710S'), (730G'), (710S'), (710S'), (73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6신호 단자(63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단자(720S') 및 접지 단자(74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각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는 Y방향으로 뻗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며 또한 제4신호 단자(610S)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단자(710S') 및 접지 단자(730G')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4신호 단자(6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1쌍의 신호 단자(71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1쌍의 신호 단자(720S')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고속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다. 전체 접지 단자(730G') 중 일부의 접지 단자(730G')는, 1쌍의 신호 단자(72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체 접지 단자(740G') 중 일부의 접지 단자(740G')는, 1쌍의 신호 단자(71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단자군(T3)에 있어서, 접지 단자(640G')와 제6신호 단자(630S')가,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고, 제6신호 단자(630S')와 다른 접지 단자(640G')가,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지 단자(660G')와 제7신호 단자(650S')가,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고, 제7신호 단자(650S')와 별도의 접지 단자(660G')는,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의 X방향의 평면위치적인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신호 전송 시 제6신호 단자(630S')는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고, 제7신호 단자(650S')는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는, 상기 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4신호 단자(61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 및/또는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평면위치적인 위치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커넥터의 X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해당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커넥터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가능한 리셉터클로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단자군(T4)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또한 단자군(T3')의 단자의 배열이 실시예 4의 단자군(T3)의 단자의 배열과 상이한 이외에, 실시예 4의 커넥터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 단자군은, (T3)에 ' 표시를 붙여서 실시예 4의 단자군(T3)과 구별한다.
동체(400) 및 외장(500)은, X방향의 치수가 실시예 4의 동체(400) 및 외장(500)의 X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이외에, 실시예 4의 동체(400) 및 외장(500)과 같은 구성이다.
단자군(T3')은, 단자가 상하 2열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단자군(T3)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단자군(T3')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가 상하 2열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군(T3')의 상부열은 (620S'), (620S'), (640G'), (630S'), (630S'), (620S'), (620S'), (64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군(T3')의 하부열은, (650S'), (650S'), (660G'), (610S'), (610S'), (650S'), (650S'), (660G')의 순으로 동체(400)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부열, 하부열의 단자의 형상은, 실시예 4의 상부열, 하부열의 단자의 형상과 동일하다.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는, Z방향에 있어서 동체(400)를 끼워서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는, Z방향에 있어서 동체(400)를 끼워서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 단자(640G')는, Z방향에 있어서 동체(400)를 끼워서 접지 단자(660G')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예를 들어,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가 수 ㎓ 내지 십수 ㎓,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수백 ㎒ 내지 1㎓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전송 시 제6신호 단자(630S')는 제4신호 단자(610S')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고, 제7신호 단자(650S')는 제5신호 단자(620S')에 대해서 위치에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단,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는 접지 단자와 동등 수준의 신호 차폐 기능(크로스토크 저감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단자군(T3')에 있어서,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와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가 동체(400)를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와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가 동체(400)를 끼워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에 의해 각각 전송되는 고속차동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신호 전송 시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는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고,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는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대해서 의사적인 접지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와의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제7신호 단자(630S'), (650S')는, 상기 커넥터의 제어 신호용의 단자나 다른 저속신호 전송용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동체(400)를 끼워서 제4신호 단자(610S')와 대향하는 위치 및/또는 동체(400)를 끼워서 제5신호 단자(620S')와 대향하는 위치에 접지 단자가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상기 커넥터의 X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해당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6f를 참조하면서, 설계 변형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커넥터는, 1쌍의 제1, 제2신호용 단자(310S), (320S)와,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3신호 단자(330S)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커넥터는, 동체에 제l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및 제3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0 이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제3신호 단자가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된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는, 동체에 복수의 단자가 Z방향(상하 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열 중 일렬로 제1, 제2 및 제3신호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떤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커넥터는, 1쌍의 제1, 제2신호용 단자(310S), (320S)와,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접지 단자(340G) 및 제3신호용 단자(330S)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커넥터는, 동체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개의 접지 단자 및 제3신호 단자가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된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접지 단자(340G)와 1개의 제3신호용 단자(330S)가,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2개의 접지 단자와 1개의 제3신호용 단자는, (340G), (340G), (330S)의 순, (330S), (340G), (340G)의 순으로 제1, 제2신호용 단자 간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접지 단자(340G)와 2개의 제3신호용 단자(330S)가, X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제1신호용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용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용 단자(320S) 사이에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개의 접지 단자와 2개의 제3신호용 단자는, (340G), (330S), (330S)의 순, (330S), (330S), (340G)의 순으로 제1, 제2신호용 단자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2커넥터는, 동체에 복수의 단자가 Z방향(상하 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열 중 일렬에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떤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3신호 단자(330S)는,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에만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신호 단자(330S)는,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이웃(즉, 단자군의 X방향의 양단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이웃)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X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이웃에, 제3신호 단자(330S) 대신에, 접지 단자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자군의 X방향의 양단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이웃에 제3신호 단자(330S) 또는 접지 단자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단자군의 X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 사이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의 각각 임피던스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에서는,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가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신호 단자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된다. 즉, 제1, 제2신호 단자는 싱글 엔드(single end)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1쌍의 제1신호 단자를 차동 쌍용의 단자로 하고, 제2신호 단자를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제3신호 단자(310S), (320S), (330S) 및 접지 단자(34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지닌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테일부를 Z방향으로 수하시켜(즉, 늘어뜨려),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Y방향으로 뻗는 직선 형상의 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각각 형상이 달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3에서는, 커넥터는, (620S), (620S), (630S), (630S), (640G), (670S)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상부열의 단자와, (660G), (650S), (650S), (610S), (610S)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하부열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커넥터는,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4신호 단자와 상기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X방향에 있어서의 제4신호 단자(610S)와 제5신호 단자(620S) 사이의 영역(α)에,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제6신호 단자(630S) 및/또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제7신호 단자(650S)가 배치된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α)에, 제6신호 단자(630S),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8OG), (690G)(제1, 제2접지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4e 내지 도 14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α)에, 제6신호 단자(630S) 대신에, 접지 단자(680G)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e 내지 도 14h에 나타낸 변형예의 경우, 영역(α)에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접지 단자(680G)가 배치된 양태로 설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0신호 단자(670) 대신에, 접지 단자(제5접지 단자)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지 단자(640G), (660G)는 제8, 제9신호 단자로 치환가능하다.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한다. 또한, 제7신호 단자(650S), 접지 단자(640G), (660G) 및 제10신호 단자(670)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군(T2)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에서는, 단자군(T3)은 상하 2열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가, 도시하지 않은 동체를 끼워서 1쌍의 접지 단자(640G)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1쌍의 접지 단자(660G)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영역(α)에 있어서,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5b 및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α)에 있어서,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 중 한쪽은 접지 단자(680G)로,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 중 한쪽은 접지 단자(690G)로 치환가능하다. 또한, 1쌍의 접지 단자(640G), (660G) 중 적어도 한쪽을 제8, 제9신호 단자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한다.
전술한 1쌍의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가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 제5신호 단자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된다. 즉, 제4, 제5신호 단자는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쌍의 제4신호 단자를 차동 쌍용의 단자로 하고, 제5신호 단자를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5a 내지 도 15c의 예에서는, 제4신호 단자(610S)가, 도시하지 않은 동체를 끼워서 접지 단자(640G)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5신호 단자(620S)가 상기 동체를 끼워서 접지 단자(660G)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도, 접지 단자(640G), (660G)는 제8, 제9신호 단자로 치환가능하다.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4, 제5, 제6, 제7, 제8신호 단자(610S), (620S), (630S), (650S), (670S) 및 접지 단자(640G), (66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지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 제5, 제6, 제7, 제8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4, 제5, 제6, 제7, 제8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테일부를 Z방향으로 늘어뜨려,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 제5, 제6, 제7, 제8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Y방향으로 뻗는 직선 형상의 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4, 제5, 제6, 제7, 제8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같은 형상일 필요는 없고, 각각 형상이 달라도 무방하다. 제4신호 단자가 상부열에, 제5, 제6신호 단자가 하부열에 배치된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3커넥터는, 동체에 복수의 단자가 Z방향(상하 방향)으로 3열 이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3열 이상의 열 중 임의의 열에 제4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열과 다른 열에 제5, 제6신호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떤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4에서는, 커넥터는, (620S'), (620S'), (640G'), (630S'), (640G'), (620S'), (620S'), (640G')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상부열의 단자와, (660G'), (650S'), (660G'), (610S'), (610S'), (660G'), (650S'), (660G')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하부열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커넥터로서,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신호 단자 및 복수의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본 발명의 제5커넥터로서,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와 다른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와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60G')와 다른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자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와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와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60G')와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와 제6신호 단자(63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7신호 단자(650S')와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6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630S')와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61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60G')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5신호 단자(620S')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지 단자(640G')와 제7신호 단자(650S')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7신호 단자(650S') 및 접지 단자(640G'), (660G')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군(T4)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에서는, 1쌍의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가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 제5신호 단자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된다. 즉, 제4, 제5신호 단자는,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1쌍의 제4신호 단자를 차동 쌍용의 단자로 하고, 제5신호 단자를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4신호 단자가 싱글 엔드용의 단자일 경우,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간 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6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평면위치적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4, 5커넥터는, 동체에 복수의 단자가 Z방향(상하 방향)으로 3열 이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상기 3열 이상의 열 중 임의의 열에 제4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열과 도구 되는 열에 제5, 제6신호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떤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후자의 경우, 상기 3열 이상의 열 중 임의의 열에 제4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열과는 다른 열에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떤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5에서는, 커넥터는, (620S'), (620S'), (640G'), (630S'), (630S'), (620S'), (620S'), (640G')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상부열의 단자와, (650S'), (650S'), (660G'), (610S'), (610S'), (650S'), (650S'), (660G')의 순으로 동체(400)에 배열된 하부열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6커넥터는,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동체를 끼워서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6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약 1/10 이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쌍의 제6신호 단자(630S') 중 한쪽은 접지 단자로 치환가능하다. 이 경우, 1쌍의 제4신호 단자(610S') 중 한쪽이 제6신호 단자(630S')와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접지 단자와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1쌍의 제7신호 단자(650S') 중 한쪽은 접지 단자로 치환가능하다. 이 경우, 1쌍의 제5신호 단자(620S') 중 한쪽이 제7신호 단자(650S')와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접지 단자와 동체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실시예 5에서는, 1쌍의 제4, 제5신호 단자(610S'), (620S')가 차동 쌍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 제5신호 단자는, 적어도 하나씩 있으면 된다. 즉, 제4, 제5신호 단자는,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쌍의 제4신호 단자를 차동 쌍용의 단자로 하고, 제5신호 단자를 싱글 엔드용의 단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4신호 단자가 싱글 엔드용의 단자일 경우, 상기 제4신호 단자는 동체를 끼워서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전술한 제4, 제5, 제6신호 단자(610S'), (620S'), (650S') 및 접지 단자(640G'), (660G')는, 중간부와, 접촉부와, 수하부와, 테일부를 지닌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4,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4,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테일부를 Z방향으로 수하시켜,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Y방향으로 뻗는 직선 형상의 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4,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같은 형상일 필요는 없고, 각각 형상이 달라도 무방하다. 제4신호 단자가 상부열에, 제5, 제6신호 단자가 하부열에 배치된 양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6커넥터는, 동체에 복수의 단자가 Z방향(상하 방향)으로 3열 이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3열 이상의 열 중 임의의 열에 제4신호 단자가, 제4신호 단자의 열과는 다른 열에 제5, 제6신호 단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단자는 임의이고, 어떠한 단자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동체는, 본체부와, 볼록부를 지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동체는, 전술한 단자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자는, 동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부가 매설되어 있어도 되고, 동체의 구멍이나 홈에 압입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커넥터는 리셉터클인 것으로 했지만, 플러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신호 단자의 테일부에 케이블의 심선을 각각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신호 단자의 테일부에 기판을 접속하고, 해당 기판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동체
110: 동체 본체
120: 볼록부
200: 외장
T: 단자군
310S: 제1신호 단자
320S: 제2신호 단자
330S: 제3신호 단자
T': 단자군
310S: 제1신호 단자
320S: 제2신호 단자
330S: 제3신호 단자
340G: 접지 단자
400: 동체
410: 동체 본체
420: 볼록부
500: 외장
T1: 단자군
610S: 제4신호 단자
620S: 제5신호 단자
630S: 제6신호 단자
640G: 접지 단자(제3접지 단자)
650S: 제7신호 단자
660G: 접지 단자(제4접지 단자)
670S: 제10신호 단자
680G: 접지 단자(제1접지 단자)
690G: 접지 단자(제2접지 단자)
T2: 단자군
710S: 신호 단자
720S: 신호 단자
730G: 접지 단자
740G: 접지 단자
T3, T3': 단자군
610S': 제4신호 단자
620S': 제5신호 단자
630S': 제6신호 단자
640G': 접지 단자
650S': 제7신호 단자
660G': 접지 단자
T4: 단자군
710S': 신호 단자
720S': 신호 단자
730G': 접지 단자
740G': 접지 단자
X: 제1방향

Claims (28)

  1.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및
    상기 동체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및 제3신호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3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및
    상기 동체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제2,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3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3신호 단자 사이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3신호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상기 동체에 설치된 차동신호단자인 1쌍의 제4신호 단자; 및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4신호 단자와 상기 제5신호 단자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차동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영역에 배치된 제1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영역에 배치된 제7신호 단자 및 제2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7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6신호 단자가 상기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는,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되,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상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는,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접지 단자의 이웃에 배치된 제10신호 단자 또는 제5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제4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8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제5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1쌍의 상기 제3접지 단자 또는 제8신호 단자가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1쌍의 상기 제4접지 단자 또는 제9신호단자가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1쌍의 제5신호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6.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제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3접지 단자 및 제8신호 단자와,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서 배치된 제4접지 단자 및 제9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되,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상기 제3접지 단자가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과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8신호 단자가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4접지 단자가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한쪽과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9신호 단자가 상기 1쌍의 제5신호 단자 중 다른 쪽과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8, 제9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인 것인 커넥터.
  17.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 및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신호 단자 및 복수의 제6신호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19.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 및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이 2개이며,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6신호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1. 절연성을 지니는 동체;
    상기 동체에 설치된 제4신호 단자; 및
    상기 동체에 상기 제4신호 단자와는 다른 높이 위치에서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5, 제6신호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4신호 단자는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6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제5신호 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제4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1/10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가능한 저속신호 단자인 것인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또한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1쌍의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상기 제5, 6신호 단자와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된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되,
    1쌍의 상기 제4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고,
    상기 1쌍의 제4신호 단자 중 한쪽이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제6신호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이 상기 동체의 일부를 끼워서 상기 접지 단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4. 제18항, 제20항, 제22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제5신호 단자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20096117A 2011-09-13 2012-08-31 커넥터 KR101901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9753 2011-09-13
JP2011199753A JP5727902B2 (ja) 2011-09-13 2011-09-1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10A KR20130029010A (ko) 2013-03-21
KR101901461B1 true KR101901461B1 (ko) 2018-09-21

Family

ID=4680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17A KR101901461B1 (ko) 2011-09-13 2012-08-3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936491B2 (ko)
EP (2) EP3157106B1 (ko)
JP (1) JP5727902B2 (ko)
KR (1) KR101901461B1 (ko)
CN (1) CN103001070B (ko)
TW (2) TWI6046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3060A1 (de) * 1984-04-14 1985-10-17 Mark Controls Corp., 5568 Daun Klappenventil
US20150009526A1 (en) * 2013-07-04 2015-01-08 Fuji Xerox Co., Ltd. Image transmission port unit,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reception port unit, image reception apparatus, and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6369160B2 (ja) 2014-06-20 2018-08-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5015253A (ja) * 2014-09-02 2015-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送信ポート
TWI673922B (zh) * 2018-12-28 2019-10-01 岱煒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三)
CN110600924A (zh) * 2019-09-30 2019-12-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电子设备及开放式可插拔ops设备
CN112003054B (zh) * 2020-07-08 2022-01-2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1883A2 (en) 2001-06-11 2002-12-19 Molex Incorporated High-density, impedance tuned connector
JP2010186598A (ja) * 2009-02-10 2010-08-26 Brother Ind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0084A (en) * 1976-05-20 1978-01-24 Burroughs Corporation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JP3564555B2 (ja) * 2001-03-05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ディファレンシャル信号伝送用コネクタ
US7459985B2 (en) * 2005-12-29 2008-12-02 Intel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cut-out for reduced crosstalk between differential conductors
JP4932626B2 (ja) * 2007-07-13 2012-05-16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9110697A (ja) * 2007-10-26 2009-05-21 Hosiden Corp コネクタ
US8764464B2 (en) * 2008-02-29 2014-07-0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7878816B2 (en) * 2008-07-08 2011-02-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ransmitting high frequency signal
CN101771225B (zh) 2009-01-07 2012-07-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的应用
TWI404269B (zh) * 2009-09-18 2013-08-01 Advanced Connectek Inc High speed plug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1883A2 (en) 2001-06-11 2002-12-19 Molex Incorporated High-density, impedance tuned connector
JP2004534358A (ja) * 2001-06-11 2004-11-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高密度コネクタ
JP2010186598A (ja) * 2009-02-10 2010-08-26 Brother Ind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1111A2 (en) 2013-03-20
US9106026B2 (en) 2015-08-11
US20130065451A1 (en) 2013-03-14
JP5727902B2 (ja) 2015-06-03
CN103001070B (zh) 2016-04-27
JP2013062138A (ja) 2013-04-04
EP3157106A1 (en) 2017-04-19
US20150311637A1 (en) 2015-10-29
TW201701548A (zh) 2017-01-01
KR20130029010A (ko) 2013-03-21
US8936491B2 (en) 2015-01-20
US20150038012A1 (en) 2015-02-05
TW201330414A (zh) 2013-07-16
EP3157106B1 (en) 2018-03-28
TWI562472B (ko) 2016-12-11
EP2571111A3 (en) 2014-12-03
CN103001070A (zh) 2013-03-27
US9225119B2 (en) 2015-12-29
TWI604672B (zh) 2017-11-01
EP2571111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461B1 (ko) 커넥터
US977411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layered circuit board
US9306336B2 (en) High frequency connector
US10084271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outer cas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9444192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communication connector
US906521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contact with a solder portion and a pair of grounding contact portions
US8684770B2 (en) Cable end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8672691B2 (en) Connector
US932511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pacitor with low cross talk
CN102801011A (zh) 电连接器
US7798854B2 (en) Connector
JP6097165B2 (ja) コネクタ
CN102315560A (zh) 电连接器
JP5893782B2 (ja) コネクタ
US8123536B1 (en) Connector with isolated grounds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10827603B2 (en) Printed circuit substrate
KR20120119988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