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98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988A
KR20120119988A KR1020120009408A KR20120009408A KR20120119988A KR 20120119988 A KR20120119988 A KR 20120119988A KR 1020120009408 A KR1020120009408 A KR 1020120009408A KR 20120009408 A KR20120009408 A KR 20120009408A KR 20120119988 A KR20120119988 A KR 2012011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ground terminal
signal terminal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0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988A/ko
Publication of KR2012011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커넥터는 몸체부(100)와 단자군(C)을 구비한다. 단자군(C)은, 몸체부(100)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된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및 접지 단자(330G)를 가진다.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이웃한다. 접지 단자(330G)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한쪽의 제1신호 단자(310S)와 한쪽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 배치된다. 접지 단자(330G)의 제1방향(X)의 폭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제1방향(X)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다. 접지 단자(330G)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Z)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제3방향(Z)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신호(signal) 단자 및 접지(ground)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복수의 단자가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단자는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각 열에 있어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신호 단자에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의 누화(crosstalk)를 억제하기 위하여, 접지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가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의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3 참조).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배열 방향이란, 각 열에 있어서의 단자의 배열 방향이다.
JPH07-161414 A
그러나, 접지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가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의 2배 이상일 경우, 커넥터의 상기 배열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누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단자의 배열 방향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닌 몸체부와,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군은, 상기 몸체부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1쌍의 제1신호 단자,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1쌍의 제1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상기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1쌍의 제1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상기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제1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다.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두께 치수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커지고 있다.
상기 제1의 커넥터는, 접지 단자의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제1신호 단자의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지만,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므로, 접지 단자의 도체저항 및 접지(GND) 전위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커넥터는, 접지 단자에 의해 제1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2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의 커넥터의 제1방향의 폭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단자군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1쌍의 상기 제2신호 단자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상기 1쌍의 제2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접지 단자는 다른 쪽의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양 이웃 중 상기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반대쪽에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접지 단자가 1쌍의 제1신호 단자의 양 이웃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의 양 이웃에 배치되어, 제1, 제2신호 단자의 누설 전계에 대한 차폐벽으로서 기능하므로, 제1의 커넥터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지 단자가 1쌍의 제1신호 단자의 양 이웃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의 양 이웃에 배치됨으로써, 1쌍의 제1신호 단자 사이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신호 단자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1쌍의 제1신호 단자 사이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제1, 제2신호 단자의 전송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를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으므로, 상기 제1의 커넥터의 제1방향의 폭 치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을,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두께가 다른 도전판이 같은 금형에서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접지 단자와 제1,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의 커넥터의 저 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1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3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방향으로 연장된 도전판인 것에 대해서, 상기 접지 단자가 상기 제2, 3방향으로 연장된 도전판이므로, 상기 접지 단자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누설 전계에 대한 높은 차폐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닌 몸체부와,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군은 상기 몸체부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다.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두께 치수는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커넥터는 접지 단자의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신호 단자의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지만,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므로, 접지 단자의 도체저항 및 GND 전위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 커넥터는, 접지 단자에 의해 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의 커넥터의 제1방향의 폭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 중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신호 단자의 이웃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접지 단자가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의 이웃에 배치되어, 신호 단자의 누설 전계에 대한 차폐벽으로서 기능하므로, 제2의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지 단자가 신호 단자 사이뿐만 아니라, 신호 단자의 양 이웃에 배치됨으로써, 모든 신호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신호 단자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신호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고, 해당 신호 단자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를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으므로, 상기 제2의 커넥터의 제1방향의 폭 치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을, 상기 신호 단자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상에 의한 경우, 두께가 다른 도전판을 같은 금형에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의 커넥터의 저 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1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3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1, 제2방향으로 연장된 도전판인 것에 대해서, 상기 접지 단자가 상기 제2, 3방향으로 연장된 도전판이므로, 상기 접지 단자가 신호 단자의 누설 전계에 대한 높은 차폐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 중의 2A-2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 중의 2B-2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도 3 중의 4-4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상기 접지 단자의 설계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 및 해당 접지 단자의 모식적 단면도;
도 7은 상기 접지 단자의 다른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8a는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8b는 상기 커넥터의 단자군의 다른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커넥터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실장가능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몸체부(100)와 외장부(shell)(200)와 단자군(C)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폭 방향이면서도 단자군(C)의 배열 방향인 제1방향을 (X), 상기 커넥터의 전후 방향이면서도 제1방향(X)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Y), 상기 커넥터 상하 방향이면서도 제1, 제2방향(X), Y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Z)로서 표시하고 있다.
몸체부(100)는 절연 수지제의 직방체이다. 이 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볼록부(120)를 지니고 있다. 본체부(110)의 제2방향(Y)의 앞면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분리가능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 구멍(111)이 개설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111)의 제2방향(Y)의 안쪽면에 볼록부(12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120)는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볼록부(120)의 상부면에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복수의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외장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으로 구성된 각진 통이며, 몸체부(100)의 외주를 덮고 있다.
단자군(C)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와, 복수의 접지 단자(330G)를 가지고 있다. 이 단자군(C)은,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330G), (310S), (310S), (330G), (320S), (320S), (330G)의 순서로, 몸체부(100) 내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즉, 단자군(C)은 몸체부(100)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는, 도 2a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1㎓ 이상의 고속 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쌍을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제1신호 단자(310S)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이다. 각각의 제1신호 단자(310S)는 중간부(311S)와 접촉부(312S)와 절곡부(折曲部)(313S)와 테일(tail)부(314S)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311S)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판으로서, 몸체부(100)의 본체부(110)에 매설되어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311S)는, 제2방향(Y)의 제1, 제2단부를 지니고 있고, 상기 제1단부에 접촉부(312S)가, 상기 제2단부에 절곡부(313S)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312S)는 중간부(311S)에 연속해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된 판이다. 이 접촉부(312S)는 몸체부(100)의 볼록부(120)의 홈(121)에 삽입되어 있다. 접촉부(312S)는 제3방향(Z)의 위쪽에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지니고 있다. 상기 만곡부가 상기 플러그 신호용의 컨택트(contack)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곡부(313S)는, 중간부(311S)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본체부(110)의 제2방향(Y)의 후면을 따라서 제3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부(314S)는, 절곡부(313S)의 제3방향(Z)의 하단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절곡부(313S)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부(314S)는 상기 기판의 신호선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1㎓ 이상의 고속 차동신호 전송용의 차동쌍을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제2신호 단자(320S)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이며 또한 제1신호 단자(310S)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제2신호 단자(320S)는 중간부(321S)와 접촉부(322S)와 절곡부(323S)와 테일부(324S)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신호 단자(320S)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제1신호 단자(310S)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접지 단자(330G)는, 도 2b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으로서, 접지 단자(330G)의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이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접지 단자(330G)의 제1방향(X)의 치수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제1방향(X)의 치수와 같다. 접지 단자(330G)의 두께 치수(판 두께)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 1.5배 이상 크다. 접지 단자(330G)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와, 다른 쪽의 제1신호 단자(310S)의 양 이웃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310S)의 반대쪽과, 다른 쪽의 제2신호 단자(320S)의 양 이웃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320S)의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접지 단자(330G)는 중간부(331G)와 접촉부(332G)와 절곡부(333G)와 테일부(334G)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331G)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판으로서, 몸체부(100)의 본체부(110)에 매설되어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331G)의 두께 치수(판 두께)는, 제3방향(Z)에 있어서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중간부(311S), (321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도 1.5배 이상 크게 되어 있다. 중간부(331G)(즉, 접지 단자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부분의 일부)의 중심(O3)과, 중간부(311S), (321S)(즉,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O1), (O2)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방향(Z)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부(331G)는, 제2방향(Y)의 제1, 제2단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제1단부에 접촉부(332G)가, 상기 제2단부에 절곡부(333G)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332G)는, 중간부(331G)에 연속해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된 판으로서, 접촉부(332G)의 두께 치수(판 두께)가 제3방향(Z)에 있어서 접촉부(312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도 1.5배 이상 크다. 이 접촉부(332G)는 몸체부(100)의 볼록부(120)의 홈(121)에 삽입되어 있다. 접촉부(332G)는, 제3방향(Z)의 위쪽에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만곡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만곡부가 상기 플러그 접지용의 컨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곡부(333G)는, 중간부(331G)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본체부(110)의 제2방향(Y)의 후면을 따라서 제3방향(Z)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곡부(333G)의 두께 치수(판 두께)는 제2방향(Y)에 있어서 절곡부(313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도 1.5배 이상 크다.
테일부(334G)는, 절곡부(333G)의 제3방향(Z)의 하단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절곡부(333G)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판으로서,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부(334G)의 두께 치수(판 두께)는 제3방향(Z)에 있어서 테일부(314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도 1.5배 이상 크다. 테일부(314S)는 상기 기판의 접지선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을 준비한다. 그 후, 상기 금속판을 소정의 금형을 이용해서 프레스 성형하여,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를 작성한다. 한편, 상기 금속판보다도 판 두께가 1.5배 이상 큰 도전성을 지닌 금속판을 준비한다. 그 후, 상기 금속판을, 상기 금형을 이용해서 프레스 성형하여, 접지 단자(330G)를 작성한다.
그 후, 절연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몸체부(100)를 작성한다. 이때, 제1신호 단자(310S)의 중간부(311S), 제2신호 단자(320S)의 중간부(321S) 및 접지 단자(330G)의 중간부(331G)가 본체부(110)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330G), (310S), (310S), (330G), (320S), (320S), (330G)의 순서로, 몸체부(100) 내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그 후, 몸체부(100)를 외장부(200)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커넥터는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다. 이때, 외장부(200)가 상기 기판의 접지선에, 테일부(314S), (324S)가 상기 기판의 신호선에, 테일부(334G)가 상기 기판의 접지선에 땜납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접지 단자(330G)의 제1방향(X)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제1방향(X) 및 제2방향(Y)의 치수와 같지만, 접지 단자(330G)의 두께 치수(판 두께)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두께 치수(판 두께)보다 1.5배 이상 크므로, 접지 단자(330G)의 도체저항 및 GND 전위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에 배치된 접지 단자(330G)에 의해,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해서, 접지 단자(330G)의 제1방향(X)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제1방향(X)의 치수와 같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제1방향의 폭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판 두께가 큰 접지 단자(330G)는, 판 두께가 작은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의 양 이웃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의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접지 단자(330G)가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누설 전계에 대한 차폐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접지 단자(330G)는, 1쌍의 제1신호 단자(310S)의 양 이웃 및 1쌍의 제2신호 단자(320S)의 양 이웃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접지 단자(330G)의 중간부(331G)의 중심(O3)과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중간부(311S), (321S)의 중심(O1), (O2)이 제3방향(Z)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신호 단자(310S) 사이 및 제2신호 단자(320S)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고,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는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신호 단자의 형상과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르도록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과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르도록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신호 단자의 형상과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르고, 또한,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과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르도록 설계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는, 중간부(311S), (321S), 접촉부(312S), (322S), 절곡부(313S), (323S) 및 테일부(314S), (324S)를 가지는 것으로 했지만, 적어도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 부재인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신호 단자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는,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연장된 도전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중간부(311S'), (321S'), 접촉부(312S'), (322S') 및 테일부(314S'), (324S')는, 제1방향(X) 및 제2방향(Y)으로 연장된 판이다. 절곡부(313S'), (323S')는 중간부(311S'), (321S')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L자 형상으로서, 제1방향(X) 및 제3방향(Z)으로 연장된 판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단자(330G)는, 중간부(331G)와 접촉부(332G)와 절곡부(333G)와 테일부(334G)를 가지고 또한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이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지 단자는, 하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조건은, 접지 단자가 제2방향으로 연장된 도전 부재인 것이다. 제2조건은,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제1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인 것이다. 제3조건은,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것이다. 또한, 제3조건에 관해서는,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신호 단자의 형상과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를 경우,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과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형상이 다를 경우 또는 그 양쪽이 다를 경우, 접지 단자는, 그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을 1쌍의 제1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 또는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접지 단자는, 도 6에 나타낸 접지 단자(330G')와 같이, 제1방향(X)의 폭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310S), (320S)의 제1방향(X)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는 제1, 제2신호 단자의 어느 한쪽의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접지 단자 및 제1, 제2신호 단자가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 등일 경우에는, 접지 단자 전체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를 제1, 제2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의 중간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만을 제1, 제2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또, 접지 단자는, 도 7에 나타낸 접지 단자(330G")와 같이, 제2방향(Y) 및 제3방향(Z)으로 연장된 도전판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중간부(331G"), 접촉부(332G"), 절곡부(333G") 및 테일부(334G")는 제2방향(Y) 및 제3방향(Z)으로 연장된 판이다. 접지 단자(330G")는,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중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 또는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중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접지 단자(330G")는,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양 이웃 중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반대쪽 또는 다른 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양측 중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반대쪽에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단자(330G)의 중간부(331G)의 중심(O3)과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의 중간부(311S), (321S)의 중심(O1), (O2)이 제3방향(Z)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지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1, 제2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부분(일부)의 중심과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접지 단자 및 제1, 제2신호 단자의 중간부 이외의 중심의 높이 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다른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중간부가 몸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몸체부에 유지되고, 적어도 일렬로 배열되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몸체부에 제2방향(Y)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의 중간부가 삽입되어, 유지되도록 설계변경 할 수 있다.
전술한 접지 단자는, 1쌍의 제1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1쌍의 제2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 사이와, 다른 쪽의 제1신호 단자의 양 이웃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의 반대쪽과, 다른 쪽의 제2신호 단자의 양 이웃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의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지 단자는, 적어도, 이웃하는 2개의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지 단자가, 1쌍의 제1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상기 1쌍의 제2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 사이에만 배치된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지 단자는,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별도의 신호 단자(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된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접지 단자는, 차동쌍의 한쪽과 다른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접지 단자는, 복수의 싱글 엔드용 등의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지 단자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접지 단자(G), (G')와 같이, 싱글 엔드용 등의 신호 단자(S) 사이 및 신호 단자(S) 중 제1방향(X)에 있어서 양단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S)의 이웃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a 중의 (C')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몸체부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된 접지 단자(G) 및 신호 단자(S)를 가지는 단자군이다. 도 8b 중의 (C")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몸체부에 제1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된 접지 단자(G') 및 신호 단자(S)를 가지는 단자군이다.
신호 단자(S)는 제1방향(X)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해당 신호 단자(S)의 형상을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단자(S)는 제1, 제2신호 단자(310S), (320S), (310S'), (320S')와 마찬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접지 단자(G), (G')는, 하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임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조건은, 상기 접지 단자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된 도전 부재인 것이다. 제2조건은,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인 것이다. 제3조건은,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8a에 나타낸 접지 단자(G)와 같이,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을 신호 단자(S)와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b에 나타낸 접지 단자(G')와 같이, 제1방향(X)의 폭 치수가 신호 단자(S)의 제1방향(X)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조건에 관해서는,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지 단자(G), (G') 및 신호 단자가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 등일 경우에는, 접지 단자(G), (G') 전체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를 신호 단자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접지 단자(G), (G')의 중간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만을 신호 단자의 중간부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G), (G')는 접지 단자(330G), (330G') 또는 접지 단자(330G")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단자(G), (G')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신호 단자(S)의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부분(일부)의 중심과, 신호 단자(S)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지 단자(G), (G')의 상기 중심과 신호 단자(S)의 상기 중심이 제3방향에 있어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단자군은, 몸체부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1, 제2신호 단자(또는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몸체부에 적어도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자군은, 제1, 제2신호 단자(또는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몸체부에 2열 이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자군이,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와 복수의 접지 단자를 가지는 것으로 했지만, 복수조의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와 복수의 접지 단자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지 단자는 1쌍의 제1신호 단자와 1쌍의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부가해서, 접지 단자는 1쌍의 제1, 제2신호 단자 중 제1방향의 양단의 단자의 이웃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는 리셉터클인 것으로 했지만, 플러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제2신호 단자 또는 신호 단자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 및 그 주파수는 적절하게 설정가능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고속 차동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몸체부
110: 본체부 120: 볼록부
200: 외장부
C: 단자군
310S: 제1신호 단자
311S: 중간부 312S: 접촉부
313S: 절곡부 314S: 테일부
320S: 제2신호 단자
321S: 중간부 322S: 접촉부
323S: 절곡부 324S: 테일부
330G: 접지 단자
331G: 중간부 332G: 접촉부
333G: 절곡부 334G: 테일부
X: 제1방향
Y: 제2방향
Z: 제3방향

Claims (15)

  1. 절연성을 지닌 몸체부; 및
    단자군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군은, 상기 몸체부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1쌍의 제1신호 단자, 제2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1쌍의 제1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으며,
    상기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1쌍의 제1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상기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제1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고,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군은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1쌍의 상기 제2신호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한쪽의 제1신호 단자와, 상기 1쌍의 제2신호 단자 중 한쪽의 제2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지 단자는 다른 쪽의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양 이웃 중 상기 한쪽의 제1, 제2신호 단자의 반대쪽에도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 것인 커넥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이,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것인 커넥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1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이며,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3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인 커넥터.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제1, 제2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인 커넥터.
  9. 절연성을 지닌 몸체부; 및
    단자군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군은, 상기 몸체부에 제1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의 2배 미만이고,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것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신호 단자 중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신호 단자의 이웃에도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의 중심과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1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작은 것인 커넥터.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두께 치수를 제외한 외형이, 상기 신호 단자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것인 커넥터.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1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이며,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2방향에 부가해서, 상기 제3방향으로도 연장된 도전판인 것인 커넥터.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가 상기 신호 단자의 상기 제3방향의 두께 치수보다도 1.5배 이상 큰 것인 커넥터.
KR1020120009408A 2011-04-20 2012-01-31 커넥터 KR20120119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08A KR20120119988A (ko) 2011-04-20 2012-01-3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4396 2011-04-20
KR1020120009408A KR20120119988A (ko) 2011-04-20 2012-01-31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88A true KR20120119988A (ko) 2012-11-01

Family

ID=4750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08A KR20120119988A (ko) 2011-04-20 2012-01-3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9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27025A (ja) コネクタ
KR101178622B1 (ko) 커넥터
JP5059898B2 (ja) 電気コネクタ
JP5756110B2 (ja) シールドすることを含むプラグイン接続
KR101413531B1 (ko) 전기 커넥터
TWI500220B (zh) A shielded housing and a connector with the housing
TWM505714U (zh) 具有接地導體的高頻連接器結構
KR20110074660A (ko) 커넥터
KR101901461B1 (ko) 커넥터
CN110854572B (zh) 连接器
US20130337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function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JP5747653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20089745A (ko) 플러그 어댑터
TWM575208U (zh) 電連接器
EP2949010A1 (en) Connector assembly
JP6097165B2 (ja) コネクタ
US7611361B2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CN101796696B (zh) 相邻电触头之间具有变化偏移的电连接器
US20120329322A1 (en)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KR20120119988A (ko) 커넥터
JP5893782B2 (ja) コネクタ
CN103682720A (zh) 连接器
JP6615447B2 (ja) 電気コネクタ
CN203288879U (zh) 连接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