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390B1 -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390B1
KR101901390B1 KR1020170009611A KR20170009611A KR101901390B1 KR 101901390 B1 KR101901390 B1 KR 101901390B1 KR 1020170009611 A KR1020170009611 A KR 1020170009611A KR 20170009611 A KR20170009611 A KR 20170009611A KR 101901390 B1 KR101901390 B1 KR 10190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te
base plate
sides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921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일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3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격벽(102)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구동장치(1)를, 타측에는 작동장치(2)와 필름고정장치(3)를 구분 구성한 본체(101)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동장치(1)에 의해 필름의 타단(a2)을 고정하는 작동장치(2)가 필름의 일단(a1)을 고정한 필름고정장치(3)로 회전작용하여 필름(a)을 폴딩방식(접는방식)으로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 필름으로 단면 혹은 양면으로 폴딩(folding)방식의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필름 및 그 표면의 박막물질 구조적 특성을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Folding tester}
본 발명은 플렉시블 필름(플렉시블 유리기판 포함) 및 그 필름에 증착/코팅된 박막물질의 기계적 신뢰성을 정밀테스트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필름으로 단면 혹은 양면으로 폴딩(folding)방식의 물리적 스트레스를 연속적으로 가하면서 필름 및 그 표면의 박막물질 구조적 특성변화를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필름(이하 '필름'이라 약칭함)이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하이브리드, 압전소자를 설치한 발전필름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연성 기판을 말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 전도성 코팅물,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ITO(Indium Tin Oxide), IZO, 메탈 혹은 기능성 유기 혹은 무기 코팅물을 증착/코팅하여 필름의 기능, 전기적 고유 특성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상기 목적의 필름으로 물리적 스트레스(최소에서 최대의 곡률반경을 구현)를 연속적으로 가하여 필름 및 그 필름에 증착된 박막물질의 구조적 한계를 테스트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종래 물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필름 및 그 박막물질에 대한 신뢰성 평가는 크게 필름을 롤에 반복적으로 감아 테스트하는 롤링방식과 필름의 양단을 대칭방향으로 비틀어 테스트하는 트위스트방식이 있다.
그러나 위 방식들은 단순히 필름의 유연성 테스트에 한정된 것으로 필름의 구조적 한계 즉, 굽힘 응력의 한계가 얼마인지 정밀하게 알아보는 테스트 또는 필름과 박막물질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최대 굽힘응력의 신뢰성 테스트가 불가능하였던 실정이었다.
한편,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근래 "유연기판과 유연표시소자의 곡률반경에 따른 벤딩테스트장치"(특허출원 제2014-0110927호 : 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선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필름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필름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부려졌다 펴졌다 하는 곡률반경에 따른 벤딩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는바, 실제 사용환경에서의 사용 결과에 근접된 필름테스트 결과를 정밀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었고 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로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가 수직방향 일정길이 구성되어 있어 위와 같은 벤딩 테스트시 필름의 양단을 내측 방향으로 밀어 필름 굽힘에 의한 곡률반경을 최대 2.5mm까지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필름 및 그 필름에 증착된 박막물질의 구조적 특징을 테스트할 수 있었던 효과가 있었다.
단, 선행기술은 필름의 테스트를 위해 구현하는 곡률반경을 단순히 필름의 양단부를 구부려 그 작동범위에 의해 자연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장시간 동안 물리적인 스트레스(굽힘과 펼침)를 지속적으로 가하였을 때, 그 곡률반경이 꺾임(부러짐) 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고, 더욱이 근래 필름 및 박막물질의 기술발달로 곡률반경 0.5mm이내의 테스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위 구성으로는 위 곡률반경을 구현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또 곡률반경을 정확하게 설정 구현 및 그에 따른 올바른 결과를 도출하기가 어려웠을 뿐 아니라 필름과 그 표면에 증착된 박막물질의 종류에 따라 곡률반경의 형성 오차가 발생하였던 미비함이 있었다.
또 선행기술은 필름의 양단을 중심선상으로 마주보게 이동시켜 필름 중심부에 곡률반경을 형성하는 테스트방식이므로 상부방향(인너벤딩) 또는 하부방향(아웃터 벤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실시할 수밖에 없었던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0110927호
본 발명은 전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folding)방식의 필름테스트장치를 통해 필름 및 박막물질의 특성평가에 요구되는 다양하면서도 정확한 곡률반경(물리적 스트레스)을 구현하여 테스트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름의 폴딩 방향 및 그 각도를 다양하게 제어하여 다변화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의 물리적 스트레스 테스트와 동시에 면저항 변화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구동장치(1)와;, 작동장치(2)와;, 필름고정장치(3);,를 구분 구성한 본체(101)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동장치(1)는;, 회전축(11)을 가지는 구동모터(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장치(2)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1)과 일단을 연결하는 회전플레이트(21)와, 일측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과 연결하면서 타측에 설치대(22)를 가지도록 하는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와, 상부클립(24)을 하부클립(24)의 중심 안착홈(24")에 볼트결합하고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설치토록 하는 상,하부클립(24)(24')으로 구성하고,
상기 필름고정장치(3)는;, 양측으로 일정깊이의 안치홈(31)을 가지는 필름고정블럭(32)과, 양단을 필름고정블럭(32)의 안치홈에(31) 각각 위치고정 시키는 필름고정플레이트(33)와, 필름고정플레이트(33) 상부 길이 선상으로 결합하는 필름조인트플레이트(34)와, 필름고정블럭(32) 양측부에 설치하는 가이드바블럭(35)(35')과, 양측 가이드바블럭(35)(35')에 양단을 각각 위치 고정하는 한쌍의 가이드바(36)(3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상,하부클립(24)(24')을 텐션장치(4)를 통해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에 결합구성하여 상,하부클립(24)(24')이 일정한 텐션 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텐션장치(4)는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고정하는 스프링블럭(41)(41')과,
스프링블럭(41)(41')과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일정길이로 각각 설치하는 LM샤프트(42)(42')와,
양단을 LM샤프트(42)(42') 선상으로 관통 위치시키고 동시에 일측면 양쪽에 샤프트브래킷(43)(43')을 각각 설치하여 앞에 게재한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이 상기 샤프트브래킷(43)(43')에 각각 축 결합 되게 한 텐션플레이트(44)와,
양측 스프링블럭(41)(41')과 텐션플레이트(44)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 및 텐션플레이트(44) 양측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으로 각각 설치하는 스프링(45)과,
일단을 텐션플레이트(44) 일측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를 관통시킨 가이드LM샤프트(4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름 및 그 필름에 증착/코팅된 박막물질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를 상기 수단을 통해 폴딩방식으로 구현하여 보다 정확하면서도 정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그로 인한 양질의 결과를 도출하여 필름과 박막물질 개발에 크나큰 발전을 도모한다.
또 본 발명은 폴딩방식에 의한 필름의 굽힘 각도를 다양하면서도 다중적으로 설정테스트할 수 있어 다변화 스트레스에 의한 필름 특성평가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나아가 위와 같은 필름의 물리적 스트레스 테스트와 동시에 필름에서 발생되는 면저항 변화테스트를 동시에 정밀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 - 가'부 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필름 고정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부분 확대예시도,
도 5는 나 - 나'부 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가'부 부분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의한 필름의 폴딩상태도.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에 대한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고 동일 작용을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하나의 명칭과 부호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동장치, 작동장치, 필름고정장치를 가지는 본체를 입체 표현한 도 1을 아래 설명(구성 및 실시 예)의 기준도면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본 발명의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2에서와 같이 격벽(102)을 사이에 두고 그 일측에 구동장치(1)를, 타측에는 작동장치(2) 및 필름고정장치(3)를 구성하여 본체(101)를 완성함에 특징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구동장치(1)는;, 회전축(11)을 가지는 구동모터(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동장치(1)는 그 회전축(11)으로 센서브래킷(13)을 설치하여 모터제어센서(14)에 의한 구동모터(12)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장치(2)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1)과 직교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일단을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회전플레이트(21)와, 회전플레이트(21)와 직교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일측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과 연결하고 타측에는 설치대(22)를 가지도록 하는 일정길이의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와, 상부클립(24)을 하부클립(24')의 중심 안착홈(24")에 볼트결합하고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설치토록 하는 일정길이의 상,하부클립(24)(2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고정장치(3)는;, 가로바(32a)와 세로바(32b)로 이루어지면서 양측 가로바(32a)로 일정깊이의 안치홈(31)을 형성한 필름고정블럭(32)과, 양단을 필름고정블럭(32)의 안치홈에(31) 각각 위치고정 하는 필름고정플레이트(33)와, 필름고정플레이트(33) 상부 길이 선상으로 결합하는 필름조인트플레이트(34)와, 결합부(35a)와 설치부(35b)로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35a)를 필름고정블럭(32)의 일측 세로바(32b) 양측에 볼트 결합시키고 상기 설치부(35b)는 상기 세로바(32b) 일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 가이드바블럭(35)(35')과, 양측 가이드바블럭(35)(35')에 양단을 각각 위치 고정하는 한쌍의 가이드바(36)(3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름고정장치(3)는 가이드바(36)와 가이드바(36') 사이 및 가이드바(36)(36')와 가이드바블럭(35)(35')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하여 가이드바(36)와 가이드바(36')의 간격조절 및 가이드바블럭(35)(35')으로부터 가이드바(36)(36')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블럭(37)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름고정장치(3)는 필름고정블럭(32) 일측에 설치부재를 마련하여 본체(101)에 위치 고정되게 하고 동시에 가이드바블럭 중 구동장치 방향에 위치한 일측 가이드바블럭(35)을 회전플레이트(21) 일단과 축 결합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고 하기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한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본 발명의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필름을 폴딩방식으로 테스트하여 필름의 구조적 한계 즉, 굽힘응력의 한계가 얼마인지 정밀하게 알아보는 테스트 및 필름과 박막물질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최대 굽힘응력의 신뢰성 테스트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필름의 준비단계와 테스트단계의 실시 예를 가진다.
먼저, 필름의 준비단계는 도4에서와 같이 테스트하고자 하는 필름(a)을 필름고정장치(3)의 가이드바(36)와 가이드바(36')사이로 경유시킨 다음 필름의 일단(a1)을 필름고정프레이트(33) 상부에서 필름조인트플레이트(34)로 가압고정하고,
필름의 타단(a2)은 작동장치(2)의 하부클립(24')에 형성된 안치홈(24")에 위치시켜 상부클럽(24)으로 가압고정 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필름 준비단계가 완료되며 필름의 테스트단계를 실시한다.
필름 테스트단계는 해당 필름(a)의 테스트 조건 즉, 필름의 폴딩각도, 폴딩횟수, 폴딩속도, 등의 테스트 조건 값을 마이컴(103)을 통해 입력하여 해당 조건 값으로 테스트를 실시한다.
상세하게 필름에 필요한 위 테스트조건 값이 부여되면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를 가지는 회전플레이트(21)가 구동모터(12)에 의해 구동축(11)을 회전중심으로하여 도면상(도 5 기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 또는 상,하부방향으로 번가라 회전하면서 상,하부클립(24)(24')에 고정한 필름의 타단(a2)을 반대편 필름의 일단(a1)으로 접어 물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특성테스트를 실시한다.
이때, 본 발명은 필름의 타단(a2)을 그 필름의 일단(a1)으로 폴딩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도 6을 참고하였을 때, 기준 시작점 0°에서 ±180°이내 이다.
일 예를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필름(a)을 0°시작지점에서 +180°지점까지 폴딩테스트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 마이컴(103)의 제어를 통해 구동장치(1)로 회전플레이트(21)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그리고 상,하부클립(24)(24')을 필름의 0°의 시작지점에서 +180°위치까지 n속도와 n시간동안 연속 반복회전하여 필름의 타단(a2)을 그 필름의 일단(a1)으로 폴딩테스트 한다.
이때, 구동장치(1)는 모터제어센서(14)와 센서브래킷(13)으로 구동모터(12)를 제어하여 작동장치가 필름의 0°시작지점에 정위치 및 테스트조건인 +180°지점까지 정확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한다.
또 상기 필름의 타단(a2)을 고정하는 상,하부클럽(24)(24')은 회전플레이트(21)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5)에 그 양측 설치축(25)이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 상,하부클럽이 위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와 함께 회전할 때, 필름(a) 탄발력에 의해 공전이 이루어지면서 필름의 타단(a2) 꺾임 현상이 방지되도록 필름의 타단(a2)을 상시 직선상태로 유지하여 준다.
또 상기 필름의 타단(a2)이 필름의 일단(a1)으로 폴딩 될 때, 필름의 접힘 경계지점에 형성되는 굽힘부위(aa)는 한쌍의 가이드바(36)(36') 중 상부 위치의 가이드바(36)에 의해 걸림 형성되고 동시에 가이드바(36)의 지름에 따라 필름(a)의 굽힘부위(aa: 물리적스트레스 발생부위) 지름이 항상 일정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필름(a)의 신뢰성 테스트가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설명한 굽힘부위(aa)란 필름의 타단(a2)을 필름의 일단(a1)으로 폴딩 하였을 때, 그 접힘의 경계지점 즉, 구부러져 물리적스트레스가 발생하는 부위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필름(a)을 폴딩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바(36)(36')로 항상 일정한 굽힘부위를 제공함에 따라 필름 테스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필름의 타단(a2)을 필름의 일단(a1) 방향으로 0°에서 ±180°이내 어떠한 조건 값으로도 위와 같은 폴딩테스트가 가능하고 또 필름의 폴딩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연속반복적으로 각도 다변화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바(36)(36')의 지름(두께) 선택에 따라 필름(a)의 굽힘부위(aa) 지름을 다양하게 형성 테스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앞서 게재한 작동장치(2)에 있어서, 상,하부클립(24)(24')을 텐션장치(4)를 통해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에 결합구성하여 상,하부클립(24)(24')이 일정한 텐션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텐션장치(4)는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고정하는 스프링블럭(41)(41')과, 스프링블럭(41)(41')과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일정길이로 각각 설치하는 LM샤프트(42)(42')와, 양단을 LM샤프트(42)(42') 선상에 관통 위치시키고 동시에 일측면 양쪽에 샤프트브래킷(43)(43')을 각각 설치하여 앞에 게재한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이 상기 샤프트브래킷(43)(43')에 각각 축 결합 되게 한 텐션플레이트(44)와, 양측 스프링블럭(41)(41')과 텐션플레이트(44)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 및 텐션플레이트(44) 양측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으로 각각 설치하는 스프링(45)과, 일단을 텐션플레이트(44) 일측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를 관통시킨 가이드LM샤프트(4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LM샤프트(46)는 텐션플레이트(44)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로부터 안전한 이송과 안내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한 역할을 한다.
또 상기 후술한 스프링(45) 즉, 텐션플레이트(44) 양측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의 스프링(45)은 상술한 스프링(45) 즉, 양측 스프링블럭(41)(41')과 텐션플레이트(44)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선상의 스프링(45)에 비해 상태적으로 탄성력이 약한 스프링을 채용하여 텐션플레이트(44)가 일측 스프링블럭(41)(41') 방향보다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방향으로 보다 높은 탄발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그에 의해 회전베이스플레이트 방향으로 편심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한 실시 예는 필름(a) 폴딩시, 가이드바(36)(36')에 걸림되어 필름(a) 중심부로 굽힘부위(aa)가 발생하면 그 굽힘부위(aa)의 발생지름만큼 필름(a)의 양단 또는 어느 한쪽 단이 당김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하여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작동장치(2)에 부가하여 필름의 당김 현상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예는 양측 샤프트브래킷(43)(43')에 안내되면서 스프링(45)에 의해 일정한 텐션을 가지는 텐션플레이트(44)로 필름의 타단(a2)을 고정하는 상,하부클립(24)(24')을 위 구성과 같이 설치하여 필름(a)의 상시 장력 유지를 도모하고 동시에 위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필름(a)으로 굽힘부위(aa)가 발생되어 그 굽힘부위(aa)의 지름만큼 필름(a)의 한쪽 단(필름의 타단(a2))이 당김되었을 때, 필름의 타단(a2)을 고정하고 있는 상,하클립(24)(24')의 위치를 상기 텐션플레이트(44)가 텐션력으로 보정하여 필름(a)이 뜻하지 않게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보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 텐션플레이트(44)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면으로 접점스위치(201)를 더 구성하여 필름 테스트 도중 필름의 뜻하지 않은 끊어짐에 의해 상,하부클립 및 텐션플레이트가 회전베이스플레이트로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필름의 끊어짐에 따른 테스트오류로 긴급보고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 중 어느 하나의 설치축으로 정극성단자용 컨넥터(301)를 설치하고 필름고정플레이트(33)의 일측부에는 부극성단자용 컨넥터(302)를 설치하여 위 필름의 물리적 스트레스 테스트와 동시에 폴딩되는 필름의 면 저항 변화 테스트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정극성단자용 컨넥터(301)는 필요에 따라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회전작용에 방해되지 않는 작동장치(2)의 어떠한 위치에 구성하여도 무관하고 상기 부극성단자용 컨넥터(302) 또한 필름고정장치(3)의 어떠한 위치에 구성하여도 위와 동일한 작용을 가질 수 있어 상기 구성에 한정될 필요성은 없다, 할 것이다.
단 상기 정극성단자용 컨넥터와 부극성단자용 컨넥터를 통해 필름의 면 저항 변화 값을 얻을 때, 위 작동장치와 필름고정장치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 구동장치 11 : 회전축
12 : 구동모터 13 : 센서브래킷
14 : 모터제어센서 2 : 작동장치
21 : 회전플레이트 22 : 설치대
23 : 회전베이스플레이트 24 : 상부클립
24' : 하부클립 24" : 안치홈
25 : 설치축 3 : 필름고정장치
31 : 안치홈 32 : 필름고정블럭
32a : 가로바 32b :세로바
33 : 필름고정플레이트 34 : 필름조인트플레이트
35,35' : 가이드바블럭 35a : 결합부
35b : 설치부 36,36' : 가이드바
37 : 위치조절블럭 4 : 텐션장치
41,41' : 스프링블럭 42,42' : LM샤프트
43,43' : 샤프트브래킷 44 : 텐션플레이트
45 : 스프링 46 : 가이드LM샤프트
101 : 본체 102 : 격벽
103 : 마이컴 201 : 접점스위치
301 : 정극성단자용 컨넥터 302 : 부극성단자용 컨넥터
a : 필름 a1 : 필름의 일단
a2 : 필름의 타단 aa : 굽힘부위

Claims (6)

  1. 격벽(102)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구동장치(1)를, 타측에는 작동장치(2)와 필름고정장치(3)를 구분 구성한 본체(101)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동장치(1)에 의해 필름의 타단(a2)을 고정하는 작동장치(2)가 필름의 일단(a1)을 고정한 필름고정장치(3)로 회전작용하여 필름(a)을 폴딩방식(접는방식)으로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101)를 구성하는 구동장치(1)는 회전축(11)을 가지는 구동모터(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장치(2)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1)과 일단을 연결하는 회전플레이트(21)와, 일측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과 연결하면서 타측에 설치대(22)를 가지도록 하는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와, 상부클립(24)을 하부클립(24')의 중심 안착홈(24")에 볼트결합하고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을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설치토록 하는 상,하부클립(24)(2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장치(2)의 상,하부클립(24)(24')을 텐션장치(4)를 통해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에 결합구성하여 상,하부클립(24)(24')이 일정한 텐션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텐션장치(4)는 회전플레이트(21) 타단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의 설치대(22)에 각각 고정하는 스프링블럭(41)(41')과, 스프링블럭(41)(41')과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일정길이로 각각 설치하는 LM샤프트(42)(42')와, 양단을 LM샤프트(42)(42') 선상에 관통 위치시키고 동시에 일측면 양쪽에 샤프트브래킷(43)(43')을 각각 설치하여 앞에 게재한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이 상기 샤프트브래킷(43)(43')에 각각 축 결합 되게 한 텐션플레이트(44)와, 양측 스프링블럭(41)(41')과 텐션플레이트(44)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 및 텐션플레이트(44) 양측부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 양측부 사이에 위치하는 LM샤프트(42)(42') 선상으로 각각 설치하는 스프링(4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고정장치(3)는 양측으로 일정깊이의 안치홈(31)을 가지는 필름고정블럭(32)과, 양단을 필름고정블럭(32)의 안치홈에(31) 각각 위치고정 시키는 필름고정플레이트(33)와, 필름고정플레이트(33) 상부 길이 선상으로 결합하는 필름조인트플레이트(34)와, 필름고정블럭(32) 양측부에 설치하는 가이드바블럭(35)(35')과, 양측 가이드바블럭(35)(35')에 양단을 각각 위치 고정하는 한쌍의 가이드바(36)(3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
    상기 구동장치(1)의 회전축(11)으로 센서브래킷(13)을 설치하여 모터제어센서(14)에 의한 구동모터(12)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
    상기 하부클립(24')의 양측 설치축(25) 중 어느 하나의 설치축으로 정극성단자용 컨넥터(301)를 설치하고 필름고정플레이트(33)의 일측부에는 부극성단자용 컨넥터(302)를 설치하여 필름의 물리적 스트레스 테스트와 동시에 폴딩되는 필름의 면 저항 변화 테스트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
    상기 텐션플레이트(44)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23)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면으로 접점스위치(201)를 더 구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09611A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10190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11A KR101901390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611A KR101901390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21A KR20180085921A (ko) 2018-07-30
KR101901390B1 true KR101901390B1 (ko) 2018-09-28

Family

ID=6304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611A KR101901390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13B1 (ko) 2018-12-04 2020-03-12 주식회사 코보텍 멀티 폴딩 테스트기
KR20220071816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스피텍 폴더블 디스플레이 유니버셜 폴딩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147B1 (ko) * 2019-05-13 2021-05-24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67B1 (ko) *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531177B1 (ko) * 2014-12-01 2015-06-24 (주)원텍코리아 플렉시블 투명전극 시편의 폴더블 테스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08B1 (ko) 2012-01-10 2020-12-22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코팅용 조성물, 다공질막, 광 산란막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67B1 (ko) *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531177B1 (ko) * 2014-12-01 2015-06-24 (주)원텍코리아 플렉시블 투명전극 시편의 폴더블 테스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13B1 (ko) 2018-12-04 2020-03-12 주식회사 코보텍 멀티 폴딩 테스트기
KR20220071816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스피텍 폴더블 디스플레이 유니버셜 폴딩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21A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90B1 (ko)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CN110178011B (zh)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CN108088753B (zh) 材料的挠曲性能的评价装置和使用其的评价方法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JP5279103B2 (ja) 線状体の曲げ、捩じり同時試験機
KR101514296B1 (ko) 비틀림 스프링 토크 검사장치
US20070184679A1 (en) Electrical contact-making apparatus as well as an electrical contact-making method
KR101649330B1 (ko) 유연기판과 유연 표시소자의 곡률반경에 따른 벤딩 테스트 장치
KR101601396B1 (ko) 범용재료시험기 치구
JP2006214795A (ja) ねじり試験装置
CN107003335A (zh) 接触测试装置
US83932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CN110631891B (zh) 一种弯折测试治具
KR20170011311A (ko) 다목적 기계적 변형 시험기
KR102017564B1 (ko)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20200038718A (ko) 와이어 특성 평가장치
KR102086705B1 (ko)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KR20170106010A (ko) 일체형 다목적 기계적 변형 시험기
KR100973976B1 (ko)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코팅 박막의 벤딩 시험 장치
CN205426690U (zh) 一种弯曲测试装置
JP4708575B2 (ja) 歯車測定装置及び歯車測定方法
JP3754180B2 (ja) シート状試料の曲げ特性測定装置
JP4530068B2 (ja) 長尺材の曲げ剛性評価方法
CN215725816U (zh) 一种漆包扁线的检测装置
KR20170099136A (ko) 회전축의 모멘트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