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380B1 -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380B1
KR101901380B1 KR1020137014604A KR20137014604A KR101901380B1 KR 101901380 B1 KR101901380 B1 KR 101901380B1 KR 1020137014604 A KR1020137014604 A KR 1020137014604A KR 20137014604 A KR20137014604 A KR 20137014604A KR 101901380 B1 KR101901380 B1 KR 10190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lement
hole
shaft
hollow bod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766A (ko
Inventor
클라우스 에더
Original Assignee
예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예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46Dental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조직, 특히 턱뼈(24) 내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천공하도록 장치 상에 배치하기 위한 안내 요소(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압력 챔버(7)를 형성하는 중공체(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체(1)는 작업 개구(2)와, 이 작업 개구(2)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입구 개구(3)를 가지며, 상기 안내 요소(100)는 입구 개구(3) 내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입구 개구(3)는 안내 요소(1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안내 요소(100)는 연속적인 관통 홀(101)을 갖고, 이 관통 홀을 통해 작업 툴(6), 예컨대 밀링 툴의 샤프트(5)가 통과하여 중공체(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안내 요소(100)는 압력 챔버(7) 또는 중공체(1) 내의 내압을 확정하도록 작용 매체용 연결부(108)를 갖는다.

Description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GUIDE ELEMENT AND DEVICE FOR CREATING A HOLE IN A BO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안내 요소 및 청구항 15에 따른, 경질 조직, 특히 턱뼈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관통시키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뼈 보어의 연장부는 예컨대 상악동 거상술(sinus lift)로서 지칭되는 절차를 수행할 때에 치과 수술 분야에서 요구된다.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동의 점막 또는 상악동 멤브레인 또는 슈나이더 멤브레인을 부분적으로 분리하고 들어 올려 뼈와 상악동의 점막 사이에 공간을 생성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생성된 중공 공간 내로는, 예컨대 상악 융기(tuber maxillae), 하악골 사선(linea obliqua), 턱 구역으로부터, 또는 엉덩이뼈 융기(hip crest)(뼈 대체 재료, 뼈 그라프트) 또는 합성 뼈 대체 재료, 예컨대 자가 조직 뼈와 흔히 혼합되는 Geistlich AG사의 상표명 Bio-Oss®의 뼈 대체 재료로부터 자가 조직 뼈가 도입된다. 이 재료는 임플란트를 위한 솔리드 베이스를 보장하도록 6 개월 내에 뼈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종래의 방안은 구강에서 어금니 구역에 점막 골막판(mucoperiostalflap)을 준비하고 이에 따라 노출된 뼈로 안뜰창(oval window)을 상악동의 하지 점막에 피해를 입히는 일 없이 분쇄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악동의 점막에 부착되는 달걀형 골 디스크는 상악동의 방향으로 조심스럽게 압박되고, 상악동의 점막이 특별한 기구를 이용하여 안뜰창 둘레의 뼈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된다. 상악동의 점막은 달걀의 장막에 필적하게 매우 연약하기 때문에, 이 절차는 상악동의 점막을 손상시킬 우려로 인해 매우 조심스럽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악동에 생성되는 공간이 뼈 대체 재료로 충전되고 구강창(buccal window)은 필름에 의해 덮인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Geistlich AG사의 상표명 Bio-Gide®의 멤브레인과 같은 흡수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 후에, 점막 골막판은 조밀하게 봉합된다. 이 방법은 비교적 침입적이고 최대 10일간 심하게 붓고 변색되기 때문에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또한 고통을 수반할 수 있다. 이 수술 절차는 흔히 "개방형" 또는 "고전적" 상악동 거상술로도 지칭된다. 충분한 잔류 뼈 높이, 예컨대 5 mm의 높이가 남아 있는 경우에, 임플란트는 상악동 거상술과 동시에 식립될 수 있다(한번의 상악동 거상술). 임플란트는 뼈 대체 재료의 고형화 후에만 최대 부하에 노출될 수 있다. 잔류 뼈 높이가 너무 얇을 때에, 임플란트의 식립은 상악동 거상술 후 약 6-8 개월에 제2 절차에서 수행된다(제2 상악동 거상술).
더 새로운 방법은 골판의 폴딩 개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소위 치조정 상악동 거상술(crestal sinus lift)이다. 상악동에 대한 접근은 뼈 융기로부터 가능하다. 턱 융기의 치아 없는 부분에서, 구강 점막은 특별하게 마련된 펀치(제쉬 펀치)에 의해 뼈까지 천공되고 원통형 밀링 머신에 의해 상악동의 점막 바로 아래까지 뼈 내로 블라인드 홀이 밀링 가공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펀치는 뼈로부터 점막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들어올려 추가 보어 또는 밀링을 위한 중앙 관통 홀을 생성한다. 뼈는 예컨대 3.5 내지 약 1 mm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밀링 툴에 의해 융기로부터 시작하여 대체로 동공인 골질의 상악동 바닥 아래에서 밀링되고, 여기서 뼈 두께는 X선에 의해 미리 측정된다. 상악동의 점막은 밀링 툴에 의해 손상을 입으면 안되기 때문에, 턱뼈는 밀링 툴에 의해 완전히 드릴링되어서는 안되며, 이에 따라 블라인드 홀의 바닥에는 상악동의 점막이 안착되는 이면에 대해 얇은 골판이 남아 있다. 종래에, 이 얇은 골판은 원통형 기구에 의해 상악동의 방향으로 조심스럽게 압박되므로, 골판은 골 디스크 위에 부착되는 상악동의 점막과 함께 상악동의 방향으로 골 디스크의 상부까지 압박된다. 이러한 골 디스크의 "펀칭"은 절차를 위해 중요한 포인트인데, 그 이유는 골 디스크가 과도하게 압박되면 상악동의 점막이 텐트 형태로 들어올려져 텐션이 걸리기 때문인데, 이러한 점막의 텐션은 상악동의 점막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다음에, 상악동의 점막은 조심스럽게 들어올려지고 뼈 대체 재료는 뼈를 통해 새롭게 생성된 자유 공간 내로 도입된다. 임플란트는 대개 뼈 내에 직접 고착된다.
상악동의 점막을 가능한 한 조심스럽게 그리고 대개는 단지 약 4 mm의 직경을 갖는 작은 뼈를 통해 턱뼈로부터 충분히 멀리 분리하기 위해 매우 진보된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턱뼈가 천공되는 순간은 의사의 많은 경험과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여전히 중요한 순간이고, 모든 예방 조치를 취하더라도, 골판을 천공할 때에 상악동의 점막에 피해를 유발하는 잔존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 상악동 거상술 절차를 더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턱뼈 보어의 관통 연장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턱뼈 후방의 연약한 상악동 점막에 대한 손상 위험을 줄이는 수단이 요망된다.
그러한 유리한 수단은 국제 공개 제WO2010/048648호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이 공보에는 말단 수술 개구와 이 수술 개구에 대향하는 입구를 갖는 관형체를 구비하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입구는 작업 툴, 예컨대 밀링 툴의 샤프트가 가로지르는 밀봉 요소에 의해 폐쇄된다. 관형체 상에는 내압을 인가하는 연결부가 배치된다. 관형체는 턱뼈에 미리 도입된 블라인드 홀 내에 밀봉 가능하게 삽입되고, 말단 수술 개구는 블라인드 홀의 단부에 대해 안착됨으로써 대개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관형체 내의 작용 매체, 바람직하게는 NaCl 용액은 예컨대 연결부에 연결된 주사기에 의해 연결부를 통해 압축될 수 있다. 외측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작업 툴에 의해, 블라인드 홀과 상악동 사이에 남아 있는 골 디스크가 작동 개구의 구역에서 밀링 가공된다. 작업 툴의 헤드가 뼈를 관통하여 상악동 점막 아래의 구역으로 진입하는 순간에, 관형체의 내부의 과압으로 인해 작용 매체가 자유 개구를 통해 진입하게 되어 그 후방에 배치된 상악동 점막을 뼈로부터 멀리 압박하고 이에 의해 작업 툴의 수술 영역 밖으로 그리고 위험 영역 밖으로 압박하게 된다. 작용 매체의 방출은 압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뼈의 천공을 나타내며 또한 상악동 점막의 과도한 팽창을 방지한다.
그러한 장치는 수술하기에 안전하고, 그러한 장치에 의해 상악동의 점막에 대해 최소 위험을 갖는 우수한 수술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의 세정이 비교적 고가이고 어렵다는 어느 정도의 단점이 있다. 특히, 압력 매체가 관형체 또는 압력 챔버 내로 공급되는 얇은 연결 채널을 오염 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완전히 충분하게 세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분야에서 의료 장비 또는 제품의 각각의 재사용은 환자에 대한 어느 정도의 감염 위험을 지고 임의의 오염 물질은 환자의 건강 문제, 질병 또는 심지어는 죽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장치의 철저한 재살균은 우세한 세균 부분을 없애지만, 그러한 재살균은 시간 소모적이고, 재료를 응력에 노출시키며, 비용 집약적이고, 여전히 어느 정도의 미생물 오염의 잔존 위험을 배제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유리한 기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전술한 장치를 더 개량하는 것으로서, 장치에서 그 오염 안정성이 증대되고 환자의 감염 위험이 저하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특별하게 구성된 안내 요소를 안출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안내 요소는 수술 장치에 비용 절감 방식으로 교체 가능한 구성요소로서 배치될 수 있고 소모성의 일회용 물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안내 요소는 경질 조직, 특히 턱뼈 내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천공하기 위해 장치 상에 배치되도록 특히 적합하고, 그렇게 되도록 형성되며 구성된다. 그러한 장치는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중공체를 포함하고, 중공체는 작업 개구와, 이 작업 개구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입구 개구를 갖는다. 이 장치는 실질적으로 또한 국제 공개 제WO2010/048648 A1호로부터 공지된 장치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는 장치의 입구 개구 내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될 수 있어, 장치는 안내 요소를 삽입함으로써 밀봉 가능하게 폐쇄될 수 있다. 안내 요소는 또한 관통 홀을 갖고, 이 관통 홀을 통해 작업 툴, 예컨대 밀링 툴의 샤프트가 통과하여 그 아래에 있는 장치의 중공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챔버의 필수 내압을 확정하도록 작용 매체의 공급을 위한 연결부가 안내 요소에 마련된다. 이 압력은 뼈를 관통한 후에 상악동 멤브레인을 멀어지게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는, 정확하게 적용될 때에 제1 지점에 압력 챔버가 형성될 수 있거나 충분한 압력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압력 매체는 또한 압력 챔버 내로 직접 진입하고 세정하기 어려운 고정된 측방향 연결 소켓을 통해 압력 매체가 공급되는 국제 공개 제2010/048648호의 장치와 달리, 오로지 안내 요소를 거쳐 또는 안내 요소를 통해 공급된다. 이들 2개의 기능 외에, 안내 요소는 또한 작업 툴의 샤프트가 블라인드 홀 내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남아 있는 바닥판을 제거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중요한 이점은 안내 요소가 교체될 수 있고, 소기의 용도 후에 분리 및 해방될 수 있다는 점이고, 이는 수술 절차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환자에 대한 감염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 바늘과 유사하게 별개의 무균 포장된 구성요소로서 제조, 유통 및 보관되고, 수술 직전에 포장이 제거되어 수술 기구에 연결되며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10/048648호의 장치의 그러한 처분은 권장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장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고가의 정밀 구성요소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에서, 가능한 유효 기간이 관찰되거나 초과되지 않는 것이 보장되고 작업 안전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안내 요소가 입구 개구의 압력 밀봉식 및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식 폐쇄를 유발할 때에 특히 유리하다. 압력 매체의 어떤 사소한 유출 및/또는 누출은 허용할 수 있지만, 압력의 필수적인 생성 및 이 압력의 유지는 안내 요소가 입구 개구를 가능한 한 타이트하게 페쇄할 때에 상당히 양호하게 달성될 수 있다. 뼈를 천공할 때에 발생하는 압력 감소가 또한 보다 양호하고, 빠르며 보다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고, 밀링 툴이 적시에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요소의 관통 홀(101)이 제1 지점에서 보통 약 2 내지 2.5 bar의 내압을 압력 챔버에서 달성한 다음에 이 압력을 유지하도록 샤프트의 압력 밀봉식 및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식 지지 및 안내를 유발할 때에 매우 유리하다. 동시에, 관통 홀은 샤프트의 적어도 하나의 전진 운동, 구동 운동 및/또는 제어 운동, 예컨대 밀봉 특성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블라인드 홀의 바닥판을 제거할 때에 샤프트의 회전, 원 운동 및/또는 축방향 전방 운동이 보장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 상황에서, 밀봉 요소, 예컨대 O링이 샤프트를 추가 밀봉하도록 관통 홀 내에 배치될 때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시스템의 추가 기밀성을 보장한다. 종래에 회전 구동식 밀링 툴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밀봉 요소는 샤프트 밀봉으로서 기능하고 그 운동 자유도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일 없이 회전 샤프트를 밀봉해야 한다. 이는 비교적 높은 품질의 밀봉 요소를 필요로 하고 밀봉 요소의 빠른 마모를 유발한다.
밀봉 요소를 일체형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 특히 살균 가능한 일회용의 플라스틱 사출 몰딩된 부품으로서 구성하는 것은 쉽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오염없는 작업을 보장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안내 요소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적 형태에 있어서, 관통 홀은 안내 요소의 디스크형 헤드 구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센터링되고, 연결부는 튜브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작용 매체 또는 압력 매체의 신뢰성 있는 공급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측면이 폐쇄되는 내부 채널이 안내 요소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채널은 입구 개구에 이르는 출구 개구에 연결부를 연결한다.
이 상황에서, 채널이 그 전체 범위에 걸쳐서 관통 홀과 별개로 연장된다면 유리하다.
연결부에 가까운 채널의 제1 소구분이 관통 홀의 중앙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채널의 인접한 제2 소구분이 관통 홀의 중앙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에 특히 유리하다. 이 방식에서, 채널은 예컨대 또한 다음의 보링(boring)에 의해 매우 쉽게 안내 요소에 가공될 수 있다.
입구 개구 내에 안내 요소의 타이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전 가능한 삽입을 보장하기 위하여,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돌기가 입구 개구와 대면하는 안내 요소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그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 예컨대 O링에 의해 둘러싸인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입구 개구를 향해 대면하는 안내 요소의 측면 상에 바닥이 개방되고 테이퍼진 절두 원추형 슬리브가 형성되며, 이 슬리브는 그 중앙에서 관통 홀이 가로지른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는 관통 홀의 나머지 부분보다 샤프트에 대해 약간 더 가깝고 보다 밀봉 가능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슬리브, 특히 그 최전방 말단부는 대부분 밀봉에 기여하고 샤프트를 특히 밀접하고 타이트하게 둘러싼다. 관통 홀의 다른 부분도 또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잘 밀봉하지만 샤프트와 관통 홀의 내표면 사이에 특정한 유극이 남아 있다. 이는 샤프트가 약간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유리하게는 특정한 왜곡을 허용하는 안내 요소의 가요성 재료 특성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 작은 재료 두께로 인해, 슬리브는 어쨋든 약간 더 가요성을 갖고 샤프트의 텀블링 운동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슬리브는 밀링 툴의 기밀성 뿐만 아니라 가동성을 개선시킨다.
구성적으로, 슬리브가 원통형 돌기 상에 형성되고, 슬리브의 보다 큰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돌기의 직경보다 작을 때에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요소는 회전 및 피봇 운동에 의해 수술 기구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입구 개구와 대면하는 안내 요소의 바닥면이 평활하고 편평할 때에 유리하고, 이는 안내 요소의 용이한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래칭 요소가 마련되고, 이 래칭 요소는 장치의 대응하는 래칭 관통 홀 내로 가역적으로 래칭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때에 유리하고, 이는 안전한 작업 위치, 뿐만 아니라 용이한 제거를 보장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경질 조직, 특히 턱뼈 내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관통하기 위한 장치 또는 수술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작업 툴, 예컨대 밀링 툴과,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중공체를 포함한다. 이 중공체는 바람직하게는 말단 작업 개구와, 이 작업 개구에 대향하는 입구 개구를 갖는 원통형 내부 중공 공간을 포함한다. 입구 개구는 안내 요소에 의해 폐쇄되고, 또한 작업 툴의 샤프트가 통과되거나 관통 홀을 통해 통과될 수 있으며 중공체의 중공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챔버 내에 내압을 발생시키도록 유체 작용 매체를 도입하는 튜브 라인이 안내 요소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에서, 전술한 이점이 달성되고, 위험 영역, 즉 작업 툴의 작업 영역으로부터 상악동 멤브레인의 안전한 적시의 제거가 보장된다. 동시에, 안내 요소가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오염 위험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링 툴의 드릴 헤드는 블라인드 홀보다 상당히 작고, 격렬하게 만곡될 수 있으며, 작은 표면이 있는 팁을 갖는다. 이는 골판의 꿰뚫림 천공을 보장하여, 상악동 멤브레인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 방식에서, 유체는 드릴 헤드가 전체 직경을 이용하여 파괴하고 상악동 멤브레인과 접촉하게 되기 전에 작은 초기 개구를 통해 미리 유동할 수 있다. 평탄한 드릴 헤드를 갖는 경우와 같이 골판의 큰 표면적의 초기 관통이 유리하지 않다.
이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는 예컨대 안내 요소가 입구 개구를 폐쇄하고 이러한 폐쇄에 의해 압력 챔버를 압력 밀봉식 및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식으로 폐쇄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bar의 일정한 압력이 압력 챔버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된다.
샤프트가 관통 홀 내에서 압력 밀봉식 및 실질적으로 유체 밀봉식으로 지지 및 안내되고 바람직하게는 압력 챔버 내에 적어도 2 bar의 일정한 압력이 달성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의 적어도 전진 운동, 구동 운동 및/또는 제어 운동, 예컨대 샤프트의 회전, 원 운동 및/또는 축방향 전진이 보장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작업 툴의 가동성의 동시 보유에서 상악동 멤브레인을 멀리 압박하는 데에 필요한 압력에 도달하고 유지하게 한다.
안내 요소의 용이한 착탈성을 보장하고 안내 요소가 과실로 인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 요소가 가역적으로 그리고 비파괴식으로 중공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중공체로부터 쉽고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을 때에 유리하다.
핸들 요소가 중공체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매우 용이한 취급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과의 또는 치과의가 중공체를 블라인드 홀 내에 확실하게 배치하고 중공체를 다시 제거할 수 있다.
구성적으로 유리하고 사용이 용이한 실시예는 안내 요소가 핸들 요소의 말단부에 있는 오목한 구역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튜브 라인이 핸들 요소에 형성된 홈 내에 경우에 따라 고정 요소가 마련된 상태에서 연장될 때에, 튜브 라인이 확실하고 공간 효율적으로 지지되고 연결부로부터 벤딩 및 의도치않은 파열이 가능하지 않다.
안정적인 작업 위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한 개량에 따르면, 래칭 관통 홀이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구역의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래칭 관통 홀 내에 안내 요소의 대응하는 래칭 요소가 래칭 결합될 수 있고 안내 요소가 이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축으로서의 관통 홀과 약 30°내지 50°만큼 안내 요소의 회전 및 피봇에 의해 결합이 일어난다.
이 상황에서, 안내 요소가 유체 밀봉식으로 원통형 돌기에 의해 입구 개구 내로, 특히 정지부까지 삽입될 수 있을 때에 용이한 회전성을 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압력 매체를 공급하는 동시에 안내 요소를 통해 관통 홀을 샤프트가 통과하게 할 수 있도록, 슬리브의 외측 벽이 입구 개구의 깔때기형 내측 벽으로부터 이격될 때에 유리하다.
턱뼈 내로의 밀봉 삽입을 위해, 블라인드 홀 내로 삽입되는 중공체의 최상측 부분은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추형 구역은 손의 힘을 가함으로써 블라인드 홀 내로 압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입 구역에서 보어 내로 삽입된 기구의 회전을 방해하는 핸들 연장부가 제공될 때에 유리하다. 기구의 회전은 기구를 보어 내에 나사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홀 내로 도입되는 구역에서 중공체 상에 자체 절단 나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보어 내에 중공체의 확실한 끼워맞춤을 보장하고 보어의 내부 벽에 대한 밀봉을 향상시킨다.
밀봉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중공체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고, 중공체를 따라 조절되며 중공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플랜지는, 중공체와 블라인드 홀의 벽 사이에 도달하는 원추형 밀봉부를 갖는다. 이 플랜지는 원뿔에 의해 구강 점막에 대해 압박된 다음 예컨대 앨런 스크류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압력 챔버의 단부를 압력 밀봉식으로 폐쇄한다.
밀링 헤드의 서행 전방 공급을 달성하고 가능한 한 급격한 전진을 피하기 위하여, 안내 요소와 작업 툴 사이에 탄성 벨로우즈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툴은 회전 구동식 작업 툴, 예컨대 밀링 툴이거나, 비회전 작업 툴, 예컨대 초음파 오스테오톰(osteotome) 또는 레이저 절단 장치이다. 그러한 작업 툴은 국제 공개 제WO2010/048648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이에 의해 본 출원에 참조로 합체된다. 본 발명의 이 상황에서, 비회전은 작업 툴이 그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대 속도의 발생 없이 작업 툴과 밀봉 요소가 서로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회전 샤프트는 회전 샤프트 밀봉에 의해 밀봉되지 않아도 되며, 이는 밀봉 요소에 관한 응력을 저하시킨다.
작업 툴은 압전 수술 기구,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 범위에서 작동하는 초음파 오스테오톰일 수 있다. 별법으로서, 작업 툴은 펄스형 CO2 레이저 또는 고형 상태의 레이저를 갖는 레이저 절단 툴일 수 있고, 레이저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뼈 조직의 흡수 특성으로 조절되고 내시경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밀링 툴은 연결부를 통해 수동 또는 자동 제어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내압의 정확한 조절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뼈의 천공은 압력의 감소에 의해 즉시 인지될 수 있으며 밀링 툴이 필요에 따라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장치가 기계적 또는 전자기적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전달하는 장치를 가질 때에, 상악동 멤브레인의 탈착을 가속시키기 위해 추가의 진동, 바람직하게는 무압력 초음파 진동이 시스템 또는 작용 매체로 도입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직경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이용하여 드릴 헤드를 향해 감소된다. 압력 챔버의 구역에 놓이는 샤프트의 부분 섹션은 관통 홀의 구역에 밀봉 가능하게 놓이는 샤프트의 부분 섹션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 이 방식에서, 샤프트는 관통 홀 내에 밀봉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충분한 크기의 압력 챔버가 유지되고 샤프트는 남아 있는 골판을 가능한 한 완전히 제거하게 하기에 충분한 이동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와, 안내 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튜브 라인과, 선택적으로 필요한 내압을 발생시키는 주사기를 포함하는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 요소와 튜브 라인 뿐만 아니라 주사기는 살균되고 폐쇄된 용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백 내에 무균 포장된다. 이는 보관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오염 없는 작업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실시예는 설명 및 포함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을 이해하고 사실상 본 발명이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를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아래로부터 비스듬한 시야로 도 1에 따른 안내 요소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 중공체 및 작업 툴을 갖는 전체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장치의 준비 및 조립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4는 중공체 내에 안내 요소의 삽입을 도시하고,
도 5는 삽입된 안내 요소의 피봇 운동을 도시하며,
도 6은 안내 요소와 래칭 맞물림 후에 장치를 도시하고,
도 7은 골판을 통한 작업 툴의 천공 시점에 작업 툴의 샤프트가 삽입된 장치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요소(100)의 특히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안내 요소(100)는 의료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살균 가능한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안내 요소는 원피스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구성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후에 밀봉부 및 보어가 실행될 수 있다.
안내 요소(100)의 디스크형 헤드 구역(110)에서, 안내 요소(100)를 완전히 가로지르는 원통형 관통 홀(101)이 중앙에 형성된다. 수술 중에, 작업 툴(6), 예컨대 밀링 툴의 샤프트(5)가 이 관통 홀(101)을 통과한다. 관통 홀(101)의 직경은 작업 툴(6)의 샤프트(5)의 직경보다 약간 크므로, 밀링 툴(5, 6)은 중공체(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작용 매체는 밀링 툴(5, 6) 둘레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 헤드 구역(110)에 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튜브 라인(111)을 체결하기 위한 소켓 형태의 연결부(108)가 인접한다. 연결부(108)는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관통 홀(101)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중앙 종축은 표면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디스크형 헤드 구역(110)의 평면에 놓인다.
연결부(108)에 따르면, 연결부(108)에 평행하게 헤드 구역(110)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부(108) 위에서 높이 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노오즈(109)가 형성된다. 노오즈(109)는 한편으로 튜브 라인(111)의 연결을 고정하고 피봇 운동 중에 보다 양호한 그립을 위한 역할을 한다.
헤드 구역(110)과 연결부(108) 사이에 약간 하방으로 오프셋된 돌출 래칭 요소(107)가 몰딩되고, 이 요소에 의해 안내 요소(100)가 장치에 역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 홀(101) 둘레에 배치되는 원통형 상승부가 특히 안내 및 기밀성을 위해 안내 요소(10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아래로부터 비스듬하게 반대쪽으로부터의 안내 요소(100)를 도시한다. 안내 요소(100)의 바닥면(106) - 이 바닥면(106)은 수술 중에 뼈(24)와 대면함 - 은 매끄럽고 편평하고, 이는 양호한 활주성과 회전성과 피봇 운동성을 보장한다. 원통형 돌기(104)가 헤드 구역(110)에 형성되고 홈 내에 후퇴되는 O링 형태의 밀봉 요소(4)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에 의해, 안내 요소(100)는 이하의 도면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 내로 적당하게 삽입되는 형태이다.
상방으로 테이퍼진 절두 원추형 슬리브(105)는 돌기(104) 상에 몰딩된다. 슬리브(105)의 베이스 상의 가장 큰 직경은 원통형 돌기(104)의 직경보다 약 30 내지 40% 작다.
헤드 구역(110)과 같이, 원통형 돌기(104)와 슬리브(105)는 관통 홀(101)의 중앙 종축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그 중앙에서 관통 홀(101)이 가로지른다.
모든 측면이 폐쇄되고 안내 요소(100) 내측에 완전히 배치는 채널(102)이 연결부(108)로부터 연장되어 출구 개구(103)와 연결된다. 출구 개구(103)는 슬리브(105) 근처에서 원통형 돌기(104)의 바닥면에 이르게 되어 장치의 입구 개구(3) 내로 유체 작용 또는 압력 매체, 대부분의 경우에 생리적 식염액의 도입을 보장한다. 채널(102)은 그 전체 범위를 따라 관통 홀(101)로부터 분리된다. 채널(102)은 연결부(108) 근처에 있고 초기에 큰 직경을 가지며 관통 홀(101)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배향되는 제1 소구분을 갖는다. 이어서, 채널(102)의 직경이 감소되고 채널은 직각으로 전환된다. 인접한 제2 소구분은 관통 홀(101)의 중앙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방식에서, 채널(102)은 예컨대 2개의 연속적인 보어에 의해 일체형 안내 요소에 구성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턱뼈(24)에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관통하기 위한 이러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장치는 밀링 툴(6) 형태의 작업 툴(6)과, 중공체(1)와 고정 연결되는 전술한 안내 요소(100)를 포함한다.
중공체(1)는 평탄한 작은 봉의 형태를 갖는 핸들 요소(112) 상에 배치된다. 안내 요소(100)는 핸들 요소(112)의 전방 단부 상의 오목한 구역(113)에 배치된다. 중공체(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공간(12), 말단 작업 개구(2), 및 작업 개구(2)에 대향하는 입구 개구(3)를 갖는다. 이 입구 개구(3)를 통해 압력 매체 뿐만 아니라 작업 툴(6)의 샤프트(5)가 중공체(1)의 중공 공간(12) 내로 삽입된다. 중공체(1)는 실질적으로 국제 공개 제2010/048648호에 설명된 관형체로서 구성된다.
중공체(1) 내에 압력 챔버(7)를 형성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입구 개구(3)의 구역에서 중공체(1)의 중공 공간(12)과 밀링 툴(6)의 샤프트(5)를 밀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압력 챔버(7) 및 그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은 골판을 천공할 때에 상악동 멤브레인(26)이 위험 영역으로부터 적시에 밀려나가는 것을 보장한다.
형성된 압력 챔버(7)는 작업 개구(2)가 블라인드 홀의 바닥과 밀봉 가능하게 동일한 높이에 있을 때에, 중공체(1) 내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 챔버(7)는 또한 실제 중공체(1)의 외측 구역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블라인드 홀의 벽 및 원추형 밀봉 유닛 또는 플랜지(11)에 의해 한정된다. 작업 중에, 이들 특징부 모두는 시스템을 가능한 한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으로 유지하도록 서로 상보적이고 밀봉 효과를 갖는다.
압력 챔버(7)의 타단부 상의 입구 개구(3)는 타이트하게 그리고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된 안내 요소(100)에 의해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으로 폐쇄된다. 또한, 샤프트(5)는 미리 삽입되어 관통 홀(101)을 가로지르지만, 작업 개구(2)를 통해 아직 빠져나가지 않아 아직 작동 중이지 않다. 연결부(108)에서, 튜브 라인(111)은 미리 연결되고, 이에 따라 중공체(1)의 내측으로 압력 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튜브 라인(111)은 핸들 요소(112)로서 구성되는 오목한 홈(114) 내에서 연장된다. 이 홈은 튜브를 고정 요소(117) 상에 고정하도록 2개의 지점에서 사형으로 만곡된다. 튜브 라인(111)은 압력을 도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주사기나 수동 또는 자동 압력 제어 유닛으로 나아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절차를 위한 장치의 단계식 준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안내 요소(100)는 튜브 라인(111)과 미리 연결되지만, 중공체(1)에는 아직 부착되지 않는다. 핸들 요소(112)의 전방부에서, 안내 요소(100)가 배치되는 오목한 구역(113)이 인지될 수 있다. 오목한 구역(113)의 최전방 말단 구역에서, 중공체(1)의 내부 중공 공간(12)에 대한 접근을 규정하는 입구 개구(3)가 배치된다. 입구 개구(3)는 초기에 매우 넓고 관통 홀(101)에 대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정지부 또는 원주 정지면(119)까지 제1 섹션에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입구 개구(3)의 이 원통형 구역에서, 안내 요소(100)의 원통형 돌기(104)는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돌기(104)의 바닥면은 정지부(119) 상에 안착된다. 이는 확실한 회전성 또는 피봇성과 동시적인 안내와 기밀성을 보장하고, 중앙의 종방향 관통 홀(101)은 회전축을 형성한다.
입구 개구(3)는 하방을 향해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고 깔때기형 중공 구역을 형성한다. 중공체(1) 내에서 실질적으로 원통형 중공 공간(12)이 작업 개구(2)까지 연장된다.
도 5에서, 안내 요소(100)는 돌기(104)를 이용하여 입구 개구(2) 내로 미리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그리고 밀봉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어서, 안내 요소(100)는 연결부(108)가 실질적으로 홈(114)의 시작부를 향해 지향될 때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약 30°내지 40°만큼 회전 또는 피봇된다. 사실상, 피봇 운동은 노오즈(109)를 파지하고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래칭 요소(107)가 핸들 요소(112)의 대응하는 래칭 오목부(115) 내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목한 구역(113)의 수직 경계면 내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그리고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래칭 결합됨으로써, 안내 요소(100)를 적소에 고정시킨다.
도 6에서, 이 결합은 미리 일어나고 튜브 라인(111)은 또한 홈(114) 내에 이미 삽입 및 고정되어 있다. 이제 장치가 준비되어 사실상 중공체(1)는 환자의 턱뼈(24)에 미리 드릴링된 블라인드 홀 내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7은 상악의 턱뼈(24)의 골판을 작업 툴(6)이 천공하는 시점에 상악동 거상술 중에 작업 툴(6)의 샤프트(5)가 삽입되어 있는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실상 환자에 대해 공간적으로 정확한 위치 결정 상태에 있는 장치를 도시한다.
종래의 치조정 상악동 거상술에서와 같이, 블라인드 홀은 턱 융기로부터 시작하여 종래의 절차에서 턱뼈(24) 내로 도입되고, 블라인드 홀의 단부와 상악동(25) 사이에는 대략 1 mm 깊이의 골판이 남아 있다. 이는 상악동(25)에서 턱뼈(24)에 대해 안착되는 상악동(26)의 점막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어서, 중공체(1)는 작업 개구(2)가 골판과 접할 때까지 준비된 블라인드 홀 내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된다. 절차 중에 여전히 세워져 있는 중공체(1)는 적소에 고정되고 심지어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밀봉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플랜지(10)가 턱뼈(24)를 향해 관형체(1) 상에서 변위됨으로써, 플랜지(10) 상에 배치되는 원추형 밀봉부(11)가 블라인드 홀의 외측 경계에서 구강 점막(27)에 대해 강하게 압박되어 블라인드 홀이 밀봉된다. 선택적으로, 임시 물막이(cofferdam)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챔버(7) 내에, 약 0.5 내지 3 바아의 정수압이 확정될 수 있다.
압력 챔버(7) 내의 작용 매체는 밀링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산하는 동시에 회전 샤프트(5)용 윤활유로서 기능한다. 회전 샤프트(5)를 따라 누출될 수 있는 소량의 작용 매체는 장치의 기능성에 관하여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작용 매체의 압력은 연결부(108)를 통해 압력 챔버(7) 내에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밀봉 특성이 매우 유리한데, 그 이유는 골판의 천공 순간에서의 압력 강하는 압력 챔버가 타이트하게 밀봉될 때에 더 쉽게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에, 작업 툴(6)의 샤프트(5)는 관통 홀(101)과 입구 개구(3)를 통해 중공체(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샤프트(5)의 직경은 팁을 향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샤프트(5)의 직경은 입구 개구(3)의 진입 지점 구역에서 약 1/4 만큼 감소된다. 그 결과로서, 샤프트(5)와 중공 공간(12)의 내표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어 압력 챔버(7)를 형성하고 텀블링 운동을 수행하도록 밀링 툴에 대해 충분한 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 밀링 툴(6)의 드릴 헤드의 단부측 구역에서, 직경은 다시 1/4 만큼 감소된다. 또한, 밀링 툴(6) 또는 샤프트(5)의 최외측 팁 또는 드릴 헤드는 비교적 심하게 만곡되거나 실질적으로 꿰뚫림 형태로 형성되어 골판을 통해 가능한 한 꿰뚫린 작은 표면 천공을 보장한다.
샤프트(5)는 관통 홀(101), 입구 개구(3) 및 중공체(1)의 내부 중공 공간(21)을 완전히 가로지르고 작업 개구(2)를 통해 빠져나가서, 남아 있는 골판에 대해 작업할 수 있다.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5)의 말단 구역은 비교적 쉽게 관통 홀(101)을 통해 안내될 수 있고,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후방 구역은 관통 홀(101) 내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안착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5)는 이 구역에서 관통 홀(101)의 내표면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안착되거나 또한 원통형 돌기(104)와 슬리브(105)의 구역에서 추가로 밀봉, 안내 및 지지된다. 관통 홀(101) 내에는 추가 밀봉, 예컨대 O링이 또한 제공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본 실시예의 경우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프트(5)는 축방향으로, 즉 화살표를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턱뼈(24)의 골판을 통해 밀링하는 데에 필요한 전방 전진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된다. 또한, 예컨대 안내 요소(100)의 재료의 가요성으로 인해, 샤프트(5)를 회전 또는 텀블링 운동으로 이동시키고 골질의 바닥판을 가능한 한 팽창식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회전 운동은 또한 샤프트(5)가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업 툴을 이용할 때에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프트(5)는 특히 슬리브(105)의 구역에서 유체 밀봉식 및 압력 밀봉식으로 지지되고, 중공체(1)가 블라인드 홀 내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될 때에 압력 챔버(7) 내에 충분한 압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제, 연결부(108)를 통해, 작용 매체, 예컨대 생리적 식염액이 입구 개구(3)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슬리브(105)의 외측 벽은 깔때기형 입구 개구(3)의 내측 벽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헹군 매체는 외측으로 슬리브(105)를 따라 그리고 샤프트(5)를 따라 내측 공간(12) 또는 압력 챔버(7) 내로 유동한다.
이어서, 도 7의 밀링 툴(6)이 점진적으로 더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링 헤드는 작업 개구(2)를 통해 하단부가 빠져나가 바닥판과 접촉하는데, 여기서 샤프트(5)의 전진은 매우 느리고, 예컨대 약 1 mm/min이다.
바닥판이 한 지점에서 최소로 천공되자마자 - 이는 꿰뚫림 드릴 또는 밀링 헤드에 의해 용이해짐 -, 압축된 작용 매체는 최소의 개구를 통해 바로 빠져나가고 상악동 멤브레인(26)은 드릴 헤드로부터 멀어지게 위험 영역 밖으로 바로 압박되어 턱뼈(24)로부터 약간 분리되며, 그 후에 드릴 헤드가 개구를 완전히 가로지를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상황에 대응한다.
다음에, 밀링 툴은 턴오프되고 상악동 멤브레인(26)은 국제 공개 제WO2010/048648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더 분리되어, 예컨대 압력 매체의 추가 공급에 의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진동을 도입함으로써 뼈 대체 재료를 위한 공간을 증가시킨다.
샤프트(5)는 관통 홀(101) 내에 당분간 밀봉 요소로서 남아 있을 수 있다. 별법으로서, 샤프트(5)가 또한 제거될 수 있고 관통 홀(101)은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밀봉 가능하게 폐쇄될 수 있다. 이는 추가로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악동 멤브레인(26)의 추가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매체에 진동, 예컨대 초음파 진동이 도입될 수 있다.
절차 후에 안내 요소(100)를 교체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 안내 요소(100)는 노오즈(109)에서 파지되어 도 5의 화살표에 지시된 방향의 반대로 피봇 회전된다. 핸들 요소(112)의 최전방 구역에서, 바닥면(106)과 상호 작용하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외측 경계(116)가 형성되어, 안내 요소(100)를 피봇시키는 동안에 궁극적으로는 안내 요소(100)를 입구 개구(3) 밖으로 들어올리는 동안에 안내 요소(100)를 상방으로 강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요소(100)는 자체로 또는 튜브 라인(111)과 조합하여 살균된 그리고 특히 포장된 일회용 물품 또는 의료 제품으로서 유통된다. 절차를 시작하기 바로 전에, 외과의 또는 치과의는 포장을 찢어서 개봉하고 보증된 오염없는 안내 요소(100)와 튜브 라인(111)을 착탈하여 중공체(1)에 고정한 다음 상응하게 작업 툴을 배치한다. 장치의 기능성, 특히 환자에 대한 적용을 위해, 국제 공개 제WO2010/048648 A1호의 논의를 참조한다.

Claims (44)

  1. 경질 조직 내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천공하도록 장치 상에 배치하기 위한 안내 요소(100)로서, 상기 장치는 압력 챔버(7)를 형성하는 중공체(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체(1)는 말단 작업 개구(2)와, 이 작업 개구(2)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입구 개구(3)를 갖는 안내 요소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입구 개구(3) 내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입구 개구(3)는 안내 요소(1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안내 요소(100)는 연속적인 관통 홀(101)을 갖고, 이 관통 홀을 통해 작업 툴(6)의 샤프트(5)가 통과하여 중공체(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안내 요소(100)는 압력 챔버(7) 또는 중공체(1) 내의 내압을 확정하도록 작용 매체용 연결부(108)를 갖고,
    모든 측면이 폐쇄되는 내부 채널(102)이 안내 요소(100) 내에 형성되어 입구 개구(3)에 이르는 출구 개구(103)에 연결부(108)를 연결하며,
    상기 내부 채널(102)은 그 전체 범위를 따라 관통 홀(101)과 별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입구 개구(3)의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 폐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은 샤프트(5)의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 지지 및 안내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샤프트(5)의 적어도 전진 운동, 구동 운동 또는 제어 운동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의 내부에는 샤프트(5)의 추가 밀봉을 위한 밀봉 요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일체형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은 안내 요소(100)의 디스크형 헤드 구역(110)에 배치되고, 연결부(108)는 튜브 라인(111)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채널(102)은 연결부(108)에 가깝고 관통 홀(101)의 중앙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소구분과, 관통 홀(101)의 중앙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접한 제2 소구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 중에 입구 개구와 대면하는 안내 요소(100)의 측면 상에는 원통형 돌기(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 중에 입구 개구와 대면하는 안내 요소(100)의 측면 상에는 바닥이 개방되고 테이퍼진 절두 원추형 슬리브(105)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서 관통 홀(101)이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5)는 돌기(104)에 바로 인접하고, 슬리브(105)의 가장 큰 직경은 돌기(104)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 중에 입구 개구(3)와 대면하는 안내 요소(100)의 측면은 평활하고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래칭 요소(107)가 마련되고, 이 래칭 요소는 장치의 대응하는 래칭 오목부(115) 내로 가역적으로 래칭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15. 턱뼈(24)를 포함하는 경질 조직 내로 도입되는 블라인드 홀의 연장부를 관통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 툴(6)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안내 요소와, 압력 챔버(7)를 형성하는 중공체(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체(1)는 블라인드 홀 내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중공 공간(12)과, 작업 중에 턱뼈(24)에 근접한 말단 작업 개구와, 작업 개구(2)에 대향하는 입구 개구(3)를 갖고, 입구 개구(3)는 안내 요소(100)에 의해 폐쇄되며, 작업 툴(6)의 샤프트(5)는 관통 홀을 통해 통과하여 중공체(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압력 챔버(7) 내에 내압을 확정하기 위한 작용 매체용 튜브 라인(111)이 안내 요소(100)의 연결부(108)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인 관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입구 개구(3)를 폐쇄하고 이러한 폐쇄에 의해 압력 챔버(7)를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으로 폐쇄하며, 압력 챔버(7) 내에는 1.5 bar의 압력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는 관통 홀(101) 내에서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으로 지지 및 안내되고 압력 챔버(7) 내에 적어도 1.5 bar의 압력이 달성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5)의 전진 운동, 구동 운동 또는 제어 운동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가역적으로 그리고 비파괴식으로 중공체(1)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중공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1) 상에 핸들 요소(11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핸들 요소(112)의 말단부에 있는 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구역은 나머지 표면에 대해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라인(111)은 핸들 요소(112)에 형성되는 홈(114) 내에서 연장되고, 고정 요소(11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래칭 관통 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관통 홀(115) 내에 안내 요소(100)의 대응하는 래칭 요소(107)가 가역적으로 래칭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안내 요소(100)가 적소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축으로서 관통 홀(101)과의 상호 작용이 30°내지 50°만큼 안내 요소(100)의 피봇 회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유체 밀봉식으로 돌기(104)에 의해 입구 개구(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입구 개구(3)의 적어도 일부는 넓은 시작 구역으로부터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중공 깔때기형 구역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슬리브(105)의 외측 벽이 입구 개구(3)의 깔때기형 내측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1)의 외측에 플랜지(10)가 마련되고, 이 플랜지(10)는 중공체(1)를 따라 조절되며 중공체(1)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중공체(1)와 블라인드 홀의 벽 사이에 도달하는 원추형 밀봉부(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와 작업 툴(6) 사이에 탄성 벨로우즈(11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툴(6)은 회전 샤프트(5)가 있는 작업 툴이거나, 비회전 작업 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관통 장치는 연결부(108)를 통해 수동 또는 자동 압력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30. 제15항에 있어서, 관통 장치는 기계적 또는 전자기적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압력 챔버(7) 내의 작용 매체로 전달하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3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의 직경은 드릴 헤드를 향해 단차적으로 감소되고, 압력 챔버(7)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5)의 부분 섹션은 관통 홀(101)의 구역에 밀봉 가능하게 놓이는 샤프트(5)의 부분 섹션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3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툴(6)의 드릴 헤드는 급격한 곡선이 있는 작은 표면을 갖는 팁을 가짐으로써 골판을 통한 꿰뚫림 및 작은 표면에서의 관통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3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안내 요소(100)와, 적어도 하나의 튜브 라인(111)과, 주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소(100)와 튜브 라인(111)과 주사기는 살균되고 폐쇄된 용기 내에 무균 포장되는 것인 세트.
  3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은 샤프트(5)의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 지지 및 안내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샤프트(5)의 회전, 회전 또는 텀블링 운동, 또는 축방향 전진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의 내부에는 샤프트(5)의 추가 밀봉을 위한 O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10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살균 가능한 일회용 구성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101)은 안내 요소(100)의 디스크형 헤드 구역(110)에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8)는 튜브 라인(111)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구성되고 디스크형 헤드 구역(110)의 평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3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돌기(104) 측면은 밀봉 요소(4)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요소.
  4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공간(12)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4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는 관통 홀(101) 내에서 압력 밀봉식 및 유체 밀봉식으로 지지 및 안내되고 압력 챔버(7) 내에 적어도 1.5 bar의 압력이 달성될 수 있는 동시에, 샤프트(5)의 회전, 회전 또는 텀블링 운동, 또는 축방향 전진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관통 홀(115)은 오목한 구역(113)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4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5)가 있는 작업 툴은 밀링 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4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작업 툴은 초음파 오스테오톰(osteotome) 또는 레이저 절단 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 장치.


KR1020137014604A 2010-11-09 2011-09-30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 KR101901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839/2010 2010-11-09
ATA1839/2010A AT510402B1 (de) 2010-11-09 2010-11-09 Führungselement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r knochenbohrung
PCT/AT2011/000406 WO2012061854A1 (de) 2010-11-09 2011-09-30 Führungselement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r knochenbo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766A KR20140044766A (ko) 2014-04-15
KR101901380B1 true KR101901380B1 (ko) 2018-09-27

Family

ID=4486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604A KR101901380B1 (ko) 2010-11-09 2011-09-30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130344453A1 (ko)
EP (1) EP2637596B8 (ko)
JP (1) JP5868415B2 (ko)
KR (1) KR101901380B1 (ko)
CN (1) CN103260542B (ko)
AT (1) AT510402B1 (ko)
AU (1) AU2011326346B2 (ko)
BR (1) BR112013011569A2 (ko)
IL (1) IL226269B (ko)
RU (1) RU2558451C2 (ko)
WO (1) WO2012061854A1 (ko)
ZA (1) ZA201303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1888A1 (de) * 2011-04-07 2012-10-11 Marcus Abbou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ührungskanals in einer Bohrschablone
AT513103B1 (de) * 2012-06-28 2014-07-15 Jeder Gmbh Einrichtung zum durchdringenden Verlängern einer in hartes Gewebe, insbesondere den Kieferknochen, eingebrachten Sackbohrung
JP6423585B2 (ja) * 2012-10-01 2018-11-14 株式会社インプラントデント 歯科用インプラント埋設穴形成補助装置
ES2684083T3 (es) * 2013-08-26 2018-10-01 Elos Medtech Timmersdala Ab Dispositivo de cirugía dental
US10085819B2 (en) 2013-08-26 2018-10-02 Elos Medtech Timmersdala Ab Dental drill system
KR101645090B1 (ko) * 2014-07-24 2016-08-12 김래회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1851521B1 (ko) 2015-09-15 2018-04-24 정재봉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IL243401A (en) * 2015-12-29 2017-12-31 Zion Karmon B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lifting Schneider membrane
CN107496041B (zh) * 2017-08-08 2020-07-31 青岛市中心医院 一种口腔种植牙可重构导板
RU186276U1 (ru) * 2018-04-13 2019-01-15 Алексей Евгеньевич Ябло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и забора аутокостноплас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его пептиды памяти и обогащенного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м кровяным свертком с prp-фактором,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ной костной регенерации или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й костной пластики
WO2020000073A1 (en) * 2018-06-25 2020-01-02 Angelus Industria De Produtos Odontologicos S/A Injection systems in the radicular canal system and use thereof
CN113518595A (zh) * 2019-01-04 2021-10-19 维亚克斯牙科技术有限公司 具有用于限制三维运动的侧向尖头的牙齿制备系统
CN110507437A (zh) * 2019-08-23 2019-11-29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牙科种植体窝洞制备系统及窝洞制备方法
CN112168384B (zh) * 2020-10-30 2022-03-15 深圳市速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复合运动模式的根管治疗装置
CN113662691A (zh) * 2021-03-16 2021-11-19 梁光强 一种上颌窦内提升工具盒
AT524563B1 (de) 2021-04-09 2022-07-15 Eder Dr Klaus Vorrichtung zur Verwendung bei einem crestalen Sinuslift
CN114948280B (zh) * 2022-05-13 2023-02-03 四川大学 一种牙科用的钻针可变定位装置及定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9312A1 (en) 2006-05-08 2007-11-15 Miambe Ltd. An assembly for lifting the sinus membrane for use in dental implant surgery
US20080319466A1 (en) 2006-12-11 2008-12-25 Klaus Eder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improving a crestal sinus lift
WO2009062225A2 (de) 2007-11-15 2009-05-22 Medizinische Universität Wi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percrestalen sinusliftes
WO2010048648A1 (de) * 2008-10-28 2010-05-06 Eder Klaus Fräseinrichtung zum einbringen einer knochenbohrung
US20100178631A1 (en) 2009-01-13 2010-07-15 Antonio Jose Gordils Wallis Maxillary Bone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821274A (fr) * 1974-10-18 1975-02-17 Procede de nettoyage, sechage et remplissage de tubes capillaires ou autres conduits fermes a une de leurs extremites et de fin diametre
PL147087B1 (en) * 1986-04-01 1989-04-29 Advice for making channels in bone
SU1644922A1 (ru) * 1989-04-03 1991-04-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физики им.акад.А.А.Расплетина Кондуктор дл перфорации костной ткани
CH685852A5 (fr) * 1991-10-18 1995-10-31 Meditec Sa Appareil d'obturation par le vide de canaux radiculaires dentaires
EP0553712A1 (de) * 1992-01-29 1993-08-04 Kaltenbach & Voigt Gmbh & Co. Laser-Behandlungsgerät, insbes. für ärztliche oder zahnärztliche Zwecke
DE4435927C1 (de) * 1994-08-19 1996-02-22 Uwe Dr Richter Aufsatz zum bohrerseitigen Aufstecken auf das Handstück einer Bohrvorrichtung zur Explantation und zum Zerkleinern von Knochen
DE10129948B4 (de) * 2001-06-21 2012-11-22 Christian Edlhuber Osteotom
CN2516125Y (zh) * 2002-01-08 2002-10-16 郑州市一美牙科工业有限公司 适用于电动牙科钻机头的自旋式空心传动轴
US7510397B2 (en) * 2004-10-15 2009-03-31 Hochman Mark 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WO2007065978A1 (fr) * 2005-12-08 2007-06-14 Georges Antoine Creps Dispositif et procede de forage pour l' insertion d'un implant dentaire
DE202006004954U1 (de) * 2006-03-28 2006-06-01 Bauer, Florian, Dr.med.dent. Medizinisches Bohrführungssystem
US7803159B2 (en) * 2006-11-29 2010-09-28 Mi4Spine, Llc Disc space preparation device for spinal surgery
CN201058047Y (zh) * 2007-01-26 2008-05-14 蒋毅 一次性使用胸腔穿刺包
WO2009000052A1 (fr) * 2007-06-27 2008-12-31 Roland Dricot Structure pour former de l'os
EP2346416A4 (en) * 2008-05-23 2013-07-03 Spine View Inc METHOD AND DEVICES FOR TREATING SPINAL STENOSIS
AT507208B1 (de) * 2008-10-28 2010-03-15 Eder Klaus Dr Fräseinrichtung zum einbringen einer knochenbohrung
JP5554129B2 (ja) * 2010-04-13 2014-07-23 医療法人社団進盛会 上顎洞粘膜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9312A1 (en) 2006-05-08 2007-11-15 Miambe Ltd. An assembly for lifting the sinus membrane for use in dental implant surgery
US20080319466A1 (en) 2006-12-11 2008-12-25 Klaus Eder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improving a crestal sinus lift
WO2009062225A2 (de) 2007-11-15 2009-05-22 Medizinische Universität Wi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s percrestalen sinusliftes
WO2010048648A1 (de) * 2008-10-28 2010-05-06 Eder Klaus Fräseinrichtung zum einbringen einer knochenbohrung
US20100178631A1 (en) 2009-01-13 2010-07-15 Antonio Jose Gordils Wallis Maxillary Bone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1854A1 (de) 2012-05-18
KR20140044766A (ko) 2014-04-15
RU2558451C2 (ru) 2015-08-10
JP2014500744A (ja) 2014-01-16
US20170105812A1 (en) 2017-04-20
EP2637596B1 (de) 2018-03-28
ZA201303901B (en) 2018-12-19
CN103260542A (zh) 2013-08-21
IL226269B (en) 2018-05-31
US20130344453A1 (en) 2013-12-26
CN103260542B (zh) 2017-04-05
US10080625B2 (en) 2018-09-25
JP5868415B2 (ja) 2016-02-24
AT510402B1 (de) 2012-04-15
EP2637596A1 (de) 2013-09-18
AU2011326346A1 (en) 2013-06-27
BR112013011569A2 (pt) 2016-08-09
AU2011326346B2 (en) 2016-04-21
IL226269A0 (en) 2013-07-31
EP2637596B8 (de) 2018-05-23
AT510402A4 (de) 2012-04-15
RU2013126188A (ru) 201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80B1 (ko) 안내 요소 및 뼈에 홀을 생성하는 장치
US9615841B2 (en) Device for making a borehole into a bone
US8398643B2 (en) Maxillary bone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2509092A6 (ja) 骨に穿孔を作成するためのフライス装置
US8388343B2 (en)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bone augmentation
US20150320522A1 (en) Angular connector/milling cutter
US20080182225A1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JP6894438B2 (ja) シュナイダー膜を挙上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Schwarz et al. Novel devices to prevent membrane perforation in transcrestal sinus floor augmentation surgery
KR20090102261A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ITPD20130167A1 (it) Metodo e dispositivo chirurgico odontoiatrico per il sollevamento del seno mascell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