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521B1 -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 Google Patents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521B1
KR101851521B1 KR1020150130151A KR20150130151A KR101851521B1 KR 101851521 B1 KR101851521 B1 KR 101851521B1 KR 1020150130151 A KR1020150130151 A KR 1020150130151A KR 20150130151 A KR20150130151 A KR 20150130151A KR 101851521 B1 KR101851521 B1 KR 10185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maxillary sinus
bone
rod
osteot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614A (ko
Inventor
정재봉
Original Assignee
정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봉 filed Critical 정재봉
Priority to KR102015013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동 거상술시 처음 설정된 위치에서 상악동 하부 뼈를 동심원으로 확장하며 파절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는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손잡이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봉; 봉의 말단에 구비되어 치조골의 천공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더; 및 가이더의 말단으로 돌출되어 뼈를 파절하는 원기둥 형상의 작업 팁;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는 천공된 홀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가이더에 의해 오스테오톰을 교체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중심에 작업 팁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악동 하부 뼈를 동심원으로 확장하며 파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이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파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guider osteotome for lifting of maxillary sinus}
본 발명은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동 거상술시 처음 설정된 위치에서 상악동 하부 뼈를 동심원으로 확장하며 파절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오스테오톰은 상악 치조골의 작은 홀을 점차 확장시키거나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지름별로 보통 4 ~ 5 개가 한 세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오스테오톰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에 적극 사용하고 있다.
상악동이란 사람의 코 옆과 광대뼈의 아래쪽에 비어있는 공간을 말한다.
상악동은 상악 임플란트 수술시 임플란트 길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악동은 선천적으로 쳐져 내려온 경우와 구치 상실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상악동 하부가 치조정(alveolar crest) 가까이 위치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치조골 두께 부족으로 인하여 임플란트 고정력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상악동 하부의 치조골 두께를 증대하기 위해 치조정에서 상악동 하부 뼈 1mm 전까지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한 후 상악동 막과 밀착한 치밀골인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한 다음 상악동 막을 밀어올리고 인공 뼈를 삽입함으로써 상악동 하부의 치조골 골량을 수직적으로 증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천공한 홀을 점차 확장하며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하는 기구가 오스테오톰이다.
종래의 오스테오톰의 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로부터 길게 연장된 봉(20)과, 봉(20)에 연장되며 눈금이 표시된 작업 봉(20a), 작업 봉(20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스토퍼(50)로 구성되며, 작업봉(20a)의 지름별로 여러 개 구비하여 한 세트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릴(C)을 이용하여 치조정(1b)에서 상악동 하부 뼈(2) 방향으로 천공하되, 상악동 하부 뼈(2)로부터 1mm 남겨둔 깊이까지 천공한다. 이때, 천공되는 깊이는 미리 촬영한 엑스레이의 자료를 기초로 한다.
그리고 제일 작은 지름의 오스테오톰을 천공된 홀(H)에 삽입한 후 말렛을 이용하여 손잡이(10)를 반복 타격하면 오스테오톰의 작업 봉(20a) 말단부 지름에 해당하는 사이즈로 상악동 하부 뼈(2)가 파절된다. 이때, 오스테오톰의 봉(20)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40)를 장착하여 상악동 하부 뼈(2)만 파절하고 그 내부의 상악동 막(3)은 뚫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다음으로, 두번째로 작은 지름의 오스테오톰을 천공된 홀(H)에 삽입한 후 말렛으로 수차례 반복 타격하면 치조골 측벽으로부터 저항력을 느끼고 이때 홀(H) 확장이 이루어지고 상악동 하부 뼈(2)는 좀더 크게 파절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일 큰 오스테오톰까지 이용함으로써, 천공된 홀(H)을 확장시키고 상악동 하부 뼈(2)를 점차 크게 파절시킨다.
상악동 하부 뼈(2)의 파절이 완료되면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천공된 홀(H)로 인공 뼈(4) 알갱이를 적당량 밀어 넣는다. 이때, 삽입되는 인공 뼈(4)는 상악동 막(3)을 들어올리며 채워진다. 마지막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시술이 완료되면, 상악동 하부 뼈(2)와 인공 뼈(4)에 의해 임플란트는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상악동 거상술은 말렛팅하는 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면 상악동 막(3)을 파손시킬 수 있어 매우 조심스러운 시술이고, 그만큼 정교한 파절 및 말렛팅이 중요하여 임플란트 시술 중에서도 가장 고난도에 해당한다.
시술하는 과정에서 상악동 막(3)이 파손되는 것을 우려하여 말렛팅시 상악동 하부 뼈(2)를 파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는 천공된 홀(H)에 혈액이 차있는 상태여서 파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고, 천공된 홀(H)에 기구를 삽입하여 얇은 상악동 막(3)의 말랑말랑한 촉감을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인공 뼈(4)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이 안 될 때 비로소 파절되지 않음을 감지하게 된다.
만약, 상악동 하부 뼈(2)를 파절하지 못한 경우, 마지막에 사용했던 가장 큰 오스테오톰의 스토퍼(50)를 봉 쪽으로 살짝 이동시킨 후 상악동 하부 뼈(2)를 파절하거나, 초기에 사용했던 가장 작은 오스테오톰의 스토퍼(50)를 봉 쪽으로 살짝 이동시킨 후 상악동 하부 뼈(2)를 조금씩 확장시키며 파절한다.
하지만, 큰 오스테오톰을 사용할 경우 넓은 부위를 한번에 파절함에 따라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크므로 이 경우는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작은 오스테오톰을 사용할 경우 오스테오톰이 천공된 홀(H)의 지름보다 급격히 작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된 홀(H)의 중앙을 정확히 파절하기 어렵다. 이는 치조골 측벽과 기구 간의 유격 때문에 홀의 중앙을 수직선으로 일관성 있게 타격하지 못하여 기구의 길이가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하는데 정확한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사선으로 빗나가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하지 못한다. 또한, 이미 잘못된 경로로 작업된 상태에서 그 다음 크기의 오스테오톰으로 작업시 동일한 경로를 따름으로써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두 방식 모두 시술시간의 연장과 환자의 머리 진동을 유발하며 상악동 막(3)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KR 등록실용신안 제20-0231173호(2001.05.03)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치조골의 천공된 홀에서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할 때 모든 오스테오톰이 자연스럽게 동심원으로 정확히 뼈를 파절함으로써 신속 간편하면서도 안정되게 시술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는,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손잡이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봉;
봉의 말단에 구비되어 치조골의 천공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더; 및
가이더의 말단으로 돌출되어 뼈를 파절하는 원기둥의 작업 팁;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더는 눈금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 팁은 가이더의 중앙 또는 편심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더는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도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내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봉의 말단에 걸림되는 단턱이 돌출 형성되어 봉에 탈부착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는 넓게 천공된 홀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오스테오톰을 교체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중심에 작업 팁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악동 하부 뼈를 동심원으로 확장하며 파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이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파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종래의 오스테오톰 세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상악동 하부 뼈를 파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오톰 세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작업 팁이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스테오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오톰 세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는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10)와, 손잡이(10)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봉(20)과, 봉(20)의 말단에 구비되어 치조골(1)의 천공된 홀(H)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더(30)와, 가이더(30)의 말단에 형성되어 뼈를 파절하는 원기둥의 작업 팁(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는 통상의 오스테오톰과 같이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기다란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봉(20)은 손잡이(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종류에 따라 직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가이더(30)는 봉(20)의 말단으로부터 동일 축선 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곧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더(30)는 치조골(1)의 넓게 천공된 홀(H)에 삽입된다. 따라서 천공된 홀(H)과 동일한 사이즈 또는 약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므로 최종 드릴(D)의 사이즈와 오스테오톰의 가이더(30) 사이즈는 동일해야 한다.
그리고 가이더(30)의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눈금(31) 및 수치가 표기되어 스토퍼(5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토퍼(50)는 가이더(30)의 외경에 해당하는 내경이 형성되고 내경의 일측은 개방되면서 개방된 부분을 좁히거나 넓히는 조임 나사가 체결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스토퍼(50)는 가이더(30)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조임 나사가 조여지면 고정된다. 이때, 고정되는 눈금(31) 및 치수를 보고 모든 오스테오톰의 스토퍼(50)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업 팁(40)은 가이더(30)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돌출 길이는 상악동 하부 뼈(2)를 파절할 수 있을 정도로 약간만 돌출 형성한다. 이러한 작업 팁(40)은 가이더(30)의 중심에 위치함이 기본이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시킬 수 있다. 편심시키는 이유는 상악동 최저부가 엑스레이상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있을 경우 편심된 작업 팁(40)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타측의 상악동 하부 뼈(2)는 파절되지 않고 머리 진동만 가중된다. 이와 같이 편심된 오스테오톰은 별도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 팁(40)의 말단은 볼록하게 돌출시키거나 오목하게 함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의 바람직한 시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오스테오톰을 사용하기 전에 드릴(C)을 이용하여 치조골(1)을 천공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작은 드릴(C)로 시작하여 최종 드릴(D)까지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더(30)와 동일한 지름의 천공된 홀(H)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공된 홀(H)의 깊이는 상악동 하부 뼈(2)로부터 1mm 이격된 부분까지 천공하는데, 이는 미리 촬영한 엑스레이 자료를 기초로 한다.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오스테오톰에 스토퍼(50)를 장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스토퍼(50)의 위치는 상악동 하부 뼈(2)에 작업 팁(40)이 닿을 때 스토퍼(50)가 치조골(1)에 닿을 수 있는 위치면 된다. 이 또한, 미리 촬영한 엑스레이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며, 모든 오스테오톰에 동일한 위치로 스토퍼(50)를 장착 고정한다.
스토퍼(50)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일 작은 작업 팁(40)을 가지는 오스테오톰을 천공된 홀(H)에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가이더(30)의 말단에 형성된 작업 팁(40)이 두께가 1mm인 잔존 치조골에 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렛을 이용하여 손잡이(10)를 타격하면 상악동 하부 뼈(2)가 파절된다. 이 과정에서 스토퍼(50)가 치조골(1)에 닿을 정도만 말렛팅하여 상악동 막(3)이 작업 팁(4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3e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큰 작업 팁(40)을 가지는 오스테오톰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악동 하부 뼈(2)를 조금씩 확장하며 파절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더(30)는 천공된 홀(H)에 삽입되어 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모든 작업 팁(40)은 동일 축 선상으로 삽입되어 상악동 하부 뼈(2)를 파절한다. 즉, 동심원으로 확장되면서 파절되기 때문에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파절이 이루어지므로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파절할 수 있다.
상악동 하부 뼈(2)의 파절이 완료되면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뼈(4)를 천공된 홀(H)에 삽입한 후 마지막에 사용한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인공 뼈(4)를 밀어 넣으면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인공 뼈(4)에 의해 상악동 막(3)이 들어 올려지며 공간에 인공 뼈(4)가 채워진다.
마지막으로,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5)를 천공된 홀(H)에 삽입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임플란트(5)는 그 말단과 주변을 인공 뼈(4)가 견고히 감쌈으로써, 임플란트(5)를 상악동 하부 뼈(2)에 시술함에도 견고히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오스테오톰은 종래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시술시 상악동 하부 뼈(2)가 파절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미 넓게 천공된 상태의 치조골(1)에 본 발명의 작은 작업 팁(40)을 가지는 오스테오톰부터 큰 작업 팁(40)을 가지는 오스테오톰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상악동 하부 뼈(2)의 중심에서부터 동심원으로 확장하면서 파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스테오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존의 오스테오톰에 가이더(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이더(30)는 천공된 홀(H)과 동일한 사이즈 즉, 최종 드릴(D)과 동일한 사이즈로 제조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내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경사면(32)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2)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살짝 형성함이 장탈착이 용이하다.
이러한 가이더(30)를 종래의 오스테오톰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경사면(32)이 형성된 부분을 먼저 오스테오톰의 봉(20)에 삽입되도록 한다. 봉(20)에 끼워지는 가이더(30)는 그 내부의 단턱(33)이 봉(20)의 말단에 걸림되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32)에 의해 가이더(30)는 봉(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가이더(30)의 말단으로는 작업 팁(40)이 살짝 돌출된다.
이와 같은 가이더(30)는 모든 오스테오톰의 봉(20) 사이즈가 동일하므로 종래의 오스테오톰에 적용할 수 있어 별도의 오스테오톰을 제조할 필요 없으며, 임플란트 지름에 상응되는 특정 가이더(30) 하나만으로도 종래의 오스테오톰(도 1a) 세트에 적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1 : 치조골 2 : 상악동 하부 뼈
3 : 상악동 막 4 : 인공 뼈
5 : 임플란트 10 : 손잡이
20 : 봉 20a : 작업 봉
30 : 가이더 31 : 눈금
32 : 경사면 33 : 단턱
40 : 작업 팁 50 : 스토퍼
C : 드릴 D : 최종 드릴
H : 천공된 홀

Claims (4)

  1.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10); 손잡이(10)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봉(20); 봉(20)의 말단에 구비되어 치조골(1)의 천공된 홀(H)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더(30); 및 가이더(30)의 말단으로 돌출되어 뼈를 파절하는 원기둥 형상의 작업 팁(40);으로 이루어진 오스테오톰을 다수 구비하되,
    모든 오스테오톰의 가이더(30)는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하고,
    각 오스테오톰의 작업 팁(30)은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30)는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내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경사면(32)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봉(20)의 말단에 걸림되는 단턱(33)이 돌출 형성되어 봉(20)에 탈부착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30)는 다수의 눈금(31)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팁(40)은 가이더(30)의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KR1020150130151A 2015-09-15 2015-09-15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KR10185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51A KR101851521B1 (ko) 2015-09-15 2015-09-15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51A KR101851521B1 (ko) 2015-09-15 2015-09-15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14A KR20170032614A (ko) 2017-03-23
KR101851521B1 true KR101851521B1 (ko) 2018-04-24

Family

ID=5849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151A KR101851521B1 (ko) 2015-09-15 2015-09-15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92B1 (ko) 2008-06-27 2009-07-08 우재현 상악동 내 골막 거상술용 안전드릴조립체
JP2014500744A (ja) 2010-11-09 2014-01-16 イェーダ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ガイドエレメントおよび骨孔を作孔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73Y1 (ko) 2001-02-03 2001-07-03 권성오 임플란트 시술용 오스테오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92B1 (ko) 2008-06-27 2009-07-08 우재현 상악동 내 골막 거상술용 안전드릴조립체
JP2014500744A (ja) 2010-11-09 2014-01-16 イェーダ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ガイドエレメントおよび骨孔を作孔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14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9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 compressing plate
EP1639953A1 (en) Intramedullary nail for the treatment of proximal femur fractures
WO1997043981A1 (en) A drill guide
WO2005081863B1 (en) Method for improving pedicle screw placement in spinal surgery
KR20140061369A (ko) 치과이식술을 위한 외과용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21532845A (ja) 経皮ターゲティングデバイス
KR101851521B1 (ko) 위치 결정용 가이더를 구비한 오스테오톰 셋트
JP6450946B2 (ja) 固定ピン
JP6887329B2 (ja) 骨整復鉗子
KR10137336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공구
CN204133625U (zh) 一种螺旋式上颌窦内提升装置及内提升系统
KR1012658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JP2010125322A6 (ja) 固定ピン
KR20150143065A (ko)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CN204839717U (zh) 一种椎弓根螺钉置钉定位导向器
CN203852417U (zh) 椎弓根螺钉套管
US20140243830A1 (en) Apparatus and systems for rotary osteotomy
CN202235665U (zh) 一种骨内断钉取出器
CN205433876U (zh) 一种骨科滑丝螺钉取出工具
CN210301134U (zh) 可调节脊柱锥板骨刀
CN104161598A (zh) 一种螺旋式上颌窦内提升装置及提升系统
CN209863956U (zh) 组配式限深截骨器
CN216535425U (zh) 一种椎弓根探子
JP2007215912A (ja) 施術用器具
KR101047188B1 (ko) 임플란트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