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319B1 - 배선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319B1
KR101901319B1 KR1020180027349A KR20180027349A KR101901319B1 KR 101901319 B1 KR101901319 B1 KR 101901319B1 KR 1020180027349 A KR1020180027349 A KR 1020180027349A KR 20180027349 A KR20180027349 A KR 20180027349A KR 101901319 B1 KR101901319 B1 KR 10190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uct
opening
curved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8002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의 설치구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덕트, 덕트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커버, 덕트에 통공되어 커버가 덕트의 개방측을 덮은 상태로 배선이 가능한 배선홀부, 및 커버를 덕트의 개방측에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개방 허용하고 닫힘 상태를 지지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에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개방 가능한 전선 정렬용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덕트 내측에 멀티탭 등의 수납 방향성을 확대할 수 있고, 배선홀부를 덕트에 통공 형성하여 배선 안내함에 따라 커버로 닫힌 상태의 덕트 외측으로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안내장치{WIRING DEVICE}
본 발명은 배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에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개방 가능한 전선 정렬용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덕트 내측에 멀티탭 등의 수납 방향성을 확대할 수 있고, 배선홀부를 덕트에 통공 형성하여 배선 안내함에 따라 커버로 닫힌 상태의 덕트 외측으로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 가능한 배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에는 회의용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고, 최근에는 회의 참석자들이 개인용 랩탑 컴퓨터(노트북) 또는 OHP(Over Head Project) 등의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추세 속에 회의용 테이블 또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Electric Wire)이 회의용 테이블의 가운데에 상하로 개구된 설치구를 통하여 배선되도록 함과 아울러 멀티 콘센트 또는 네트워크 접속 케이블이 내장되도록 전선 덕트 조립체가 구비되도록 형상이 진일보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덕트 조립체는 회의용 테이블에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된 설치구에 구비된 덕트 본체의 상단 일측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설치구를 개폐시키는 단수개의 덕트 커버가 구비된다.
전선 덕트 조립체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1410153호(발명의 명칭: 개폐식 케이블 덕트)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전선 덕트 조립체는 덕트 상부 방향으로 플러그를 삽입함에 따라 배선이 노출되어 미감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전선 덕트 조립체는 링크구조 등 복잡한 구성을 통해 덮개를 양측으로 개폐함에 따라 개폐 작동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에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개방 가능한 전선 정렬용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덕트 내측에 멀티탭 등의 수납 방향을 다양하게 적용하고자 하는 배선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선홀부를 덕트에 통공 형성하여 배선 안내함에 따라 커버로 닫힌 상태의 덕트 외측으로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고자 하는 배선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안내장치는: 패널의 설치구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덕트에 통공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덕트의 개방측을 덮은 상태로 배선이 가능한 배선홀부; 및 상기 커버를 상기 덕트의 개방측에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개방 허용하고, 닫힘 상태를 지지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설치구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패널의 하측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는 필요시 제거되면서 연통홀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라인을 따라 막음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덕트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힌지돌기; 상기 제 1힌지돌기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1개구부를 갖는 제 1수용부; 상기 덕트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힌지돌기; 및 상기 제 2힌지돌기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 2개구부를 갖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2힌지돌기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개구부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제 1곡면부; 상기 제 1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1곡면부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제 1평면부;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 1곡면부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을 개방시 상기 제 1곡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제 1라운딩부;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사이드플랫부; 및 상기 커버가 일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어퍼플랫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2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1힌지돌기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개구부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제 2곡면부; 상기 제 2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2곡면부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제 2평면부;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 2곡면부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을 개방시 상기 제 2곡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제 2라운딩부;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사이드플랫부; 및 상기 커버가 타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어퍼플랫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안내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에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개방 가능한 전선 정렬용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덕트 내측에 멀티탭 등의 수납 방향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선홀부를 덕트에 통공 형성하여 배선 안내함에 따라 커버로 닫힌 상태의 덕트 외측으로 배선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장착된 배선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배선안내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개폐부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커버가 양측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에 장착된 배선안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배선안내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개폐부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의 커버가 양측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안내장치(100)는 덕트(110), 커버(120), 배선홀부(130) 및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선안내장치(100)는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패널(2)에 설치되어 배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덕트(110)는 일측 특히,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덕트(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덕트(110)는 패널(2)에 설치된다. 특히, 패널(2)은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설치구(4)를 형성한다. 그리고, 덕트(110)는 설치구(4)에 수납된다.
이때, 덕트(110)는 설치구(4)의 하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덕트(110)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11)를 형성한다. 플랜지(111)는 설치구(4)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널(2)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덕트(110)는 설치구(4)의 하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아울러, 덕트(110)는 하측 또는 둘레면에 브라켓(112)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브라켓(112)은 패널(2)의 하측면에 결속된다. 이때, 브라켓(112)은 결속부재(113)에 의해 덕트(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속부재(113)에 의해 패널(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덕트(110)는 설치구(4)의 상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결속부재(113)는 볼트 또는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물론, 플랜지(111)와 브라켓(11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커버(120)는 덕트(110)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120)의 평면적은 덕트(110)의 개방측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120)가 덕트(110)의 개방측을 덮은 상태에서, 덕트(110)는 커버(120)의 양측으로 내부가 노출되는 파지공간(122)을 형성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커버(120)의 일측 가장자리의 파지공간(122)을 통해 커버(120)의 일측 가장자리를 들어 올려 개방하거나, 커버(120)의 타측 가장자리의 파지공간(122)을 통해 커버(120)의 타측 가장자리를 들어 올려 개방한다.
아울러, 배선홀부(130)는 덕트(110)의 바닥 또는 둘레면 또는 바닥과 둘레면에 걸쳐서 통공됨에 따라, 커버(120)가 덕트(110)의 개방측을 덮은 상태로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선 상태에서, 미감이 향상된다.
물론, 배선홀부(130)의 크기와 개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덕트(110)는 바닥 또는 둘레면에 일정한 궤적의 폐곡선을 이루는 절개라인(115)을 형성한다. 그래서, 절개라인(115)의 내측에 위치한 막음부재(114)가 제거시, 덕트(110)는 연통홀(116)을 형성한다. 물론, 막음부재(114)의 크기와 개수 및 형성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연통홀(116)은 랜선이나 USB를 꽂을 수 있는 잭이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덕트(110) 내측에 구비되는 멀티탭 등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을 외부로 빼낼 수 있는 역할 등을 한다.
또한, 개폐부(200)는 커버(120)를 덕트(110)의 개방측에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개방 허용하고, 닫힘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200)는 제 1힌지돌기(212), 제 1수용부(214), 제 2힌지돌기(216) 및 제 2수용부(218)를 포함한다.
제 1힌지돌기(212)는 덕트(110)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힌지돌기(216)는 덕트(110)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즉, 제 1힌지돌기(212)와 제 2힌지돌기(216)는 덕트(110)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에 함께 구비된다. 이때, 제 1힌지돌기(212)는 덕트(110)의 개방측을 덮고 있는 커버(120)의 일측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 2힌지돌기(216)는 덕트(110)의 개방측을 덮고 있는 커버(120)의 타측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물론, 제 1힌지돌기(212)와 제 2힌지돌기(216)는 굵기와 길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1수용부(214)는 제 1힌지돌기(212)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된다. 특히, 제 1힌지돌기(212)는 제 1수용부(214)의 하측으로 개방된 제 1개구부(215)를 통해 제 1수용부(214) 내측으로 억지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제 2수용부(218)는 제 2힌지돌기(216)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커버(120)의 타측에 형성된다. 특히, 제 2힌지돌기(216)는 제 2수용부(218)의 하측으로 개방된 제 2개구부(219)를 통해 제 2수용부(218) 내측으로 억지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 2힌지돌기(216)가 제 2수용부(218)에 수용된 상태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제 1힌지돌기(212)는 제 1개구부(215)를 통해 제 1수용부(214)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커버(120)는 일측 방향으로 덕트(110)의 개방측을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제 1힌지돌기(212)가 제 1수용부(214)에 수용된 상태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제 2힌지돌기(216)는 제 2개구부(219)를 통해 제 2수용부(218)에서 이탈된다. 그래서, 커버(120)는 타측 방향으로 덕트(110)의 개방측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커버(120)는 안정적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닫힌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 개폐부(200)는 제 1곡면부(221), 제 1평면부(222), 제 1라운딩부(223), 제 1사이드플랫부(224), 제 1어퍼플랫부(225), 제 2곡면부(231), 제 2평면부(232), 제 2라운딩부(233), 제 2사이드플랫부(234) 및 제 2어퍼플랫부(235)를 포함한다.
제 1곡면부(221)는 제 1힌지돌기(212)의 둘레면 중 덕트(110)의 동일측면에서 이웃한 제 2힌지돌기(216)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제 1힌지돌기(212)가 제 1개구부(215)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 1수용부(214)의 내측면에 접하여 커버(120)의 원활한 개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평면부(222)는 제 1힌지돌기(212)의 둘레면 중 덕트(110)의 동일측면에서 이웃한 제 2힌지돌기(216)를 향하는 둘레면 즉, 제 1곡면부(221)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특히, 제 1곡면부(221)는 제 1힌지돌기(212)의 둘레면 중 제 1평면부(222)를 제외한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라운딩부(223)는,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수용부(214)의 내측면 중 제 1곡면부(221)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 1라운딩부(223)는 커버(120)의 일측을 개방시에 제 1곡면부(221)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커버(120)는 더욱 원활하게 개폐 작동된다. 물론, 제 1곡면부(221)와 제 1라운딩부(223)의 곡률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사이드플랫부(224)는,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평면부(222)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20)를 지지하도록, 제 1수용부(214)의 내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제 1사이드플랫부(224)와 제 1평면부(222)가 면접됨에 따라, 덕트(110)의 개방측을 닫은 커버(120)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제 1어퍼플랫부(225)는, 커버(120)가 일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1평면부(222)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20)를 지지하도록, 제 1수용부(214)의 내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제 1어퍼플랫부(225)와 제 1평면부(222)가 면접됨에 따라, 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 2곡면부(231)는 제 2힌지돌기(216)의 둘레면 중 덕트(110)의 동일측면에서 이웃한 제 1힌지돌기(212)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제 2힌지돌기(216)가 제 2개구부(219)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제 2수용부(218)의 내측면에 접하여 커버(120)의 원활한 개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평면부(232)는 제 2힌지돌기(216)의 둘레면 중 덕트(110)의 동일측면에서 이웃한 제 1힌지돌기(212)를 향하는 둘레면 즉, 제 2곡면부(231)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특히, 제 2곡면부(231)는 제 2힌지돌기(216)의 둘레면 중 제 2평면부(232)를 제외한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2라운딩부(233)는,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수용부(218)의 내측면 중 제 2곡면부(231)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 2라운딩부(233)는 커버(120)의 타측을 개방시에 제 2곡면부(231)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커버(120)는 더욱 원활하게 개폐 작동된다. 물론, 제 2곡면부(231)와 제 2라운딩부(233)의 곡률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 2사이드플랫부(234)는,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평면부(232)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20)를 지지하도록, 제 2수용부(218)의 내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제 2사이드플랫부(234)와 제 2평면부(232)가 면접됨에 따라, 덕트(110)의 개방측을 닫은 커버(120)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제 2어퍼플랫부(235)는, 커버(120)가 타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2평면부(232)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커버(120)를 지지하도록, 제 2수용부(218)의 내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제 2어퍼플랫부(235)와 제 2평면부(232)가 면접됨에 따라, 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배선안내장치 110: 덕트
120: 커버 130: 배선홀부
200: 개폐부 212: 제 1힌지돌기
214: 제 1수용부 216: 제 2힌지돌기
218: 제 2수용부 221,231: 제 1,2곡면부
222,232: 제 1,2평면부 223,233: 제 1,2라운딩부
224,234: 제 1,2사이드플랫부
225,235: 제 1,2어퍼플랫부

Claims (6)

  1. 패널의 설치구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덕트에 통공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덕트의 개방측을 덮은 상태로 배선이 가능한 배선홀부; 및 상기 커버를 상기 덕트의 개방측에서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개방 허용하고, 닫힘 상태를 지지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덕트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힌지돌기; 상기 제 1힌지돌기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1개구부를 갖는 제 1수용부; 상기 덕트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힌지돌기; 및 상기 제 2힌지돌기를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 2개구부를 갖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2힌지돌기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개구부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제 1곡면부; 상기 제 1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1곡면부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제 1평면부; 및 상기 커버가 일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어퍼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2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1힌지돌기를 향하는 둘레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개구부의 내측면에 안내되는 제 2곡면부; 상기 제 2힌지돌기의 둘레면 중 상기 제 2곡면부의 반대측 둘레면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제 2평면부; 및 상기 커버가 타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어퍼플랫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가 일측으로 개방시, 상기 제 1어퍼플랫부가 상기 제 1평면부에 면접됨으로써, 상기 제 1힌지돌기가 상기 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커버가 타측으로 개방시, 상기 제 2어퍼플랫부가 상기 제 2평면부에 면접됨으로써, 상기 제 2힌지돌기가 상기 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설치구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패널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패널의 하측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필요시 제거되면서 연통홀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라인을 따라 막음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안내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 1곡면부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을 개방시 상기 제 1곡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제 1라운딩부; 및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사이드플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안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 2곡면부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타측을 개방시 상기 제 2곡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제 2라운딩부; 및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평면부에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수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사이드플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안내장치.
KR1020180027349A 2018-03-08 2018-03-08 배선안내장치 KR10190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49A KR101901319B1 (ko) 2018-03-08 2018-03-08 배선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49A KR101901319B1 (ko) 2018-03-08 2018-03-08 배선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319B1 true KR101901319B1 (ko) 2018-09-21

Family

ID=6372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49A KR101901319B1 (ko) 2018-03-08 2018-03-08 배선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35B1 (ko) 2019-03-20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배선안내구 안전캡
KR20210122993A (ko) * 2020-04-02 2021-10-13 이광훈 댐핑구리스부가 구비된 양방향 개폐 전선덕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93B1 (ko) * 2014-11-06 2015-05-11 장근대 전선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93B1 (ko) * 2014-11-06 2015-05-11 장근대 전선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35B1 (ko) 2019-03-20 2019-06-12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배선안내구 안전캡
KR20210122993A (ko) * 2020-04-02 2021-10-13 이광훈 댐핑구리스부가 구비된 양방향 개폐 전선덕트
KR102341569B1 (ko) 2020-04-02 2021-12-20 이광훈 댐핑구리스부가 구비된 양방향 개폐 전선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92B2 (en) Power and data station
KR101901319B1 (ko) 배선안내장치
US8944266B2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US7485804B2 (en) Multi-media recess data low voltage box with slide-away hidden cover
CN103403988B (zh) 配线箱及其安装方法
US8662905B2 (en) Card read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vable card insertion mechanism
CN101453842A (zh) 电子设备
KR200440437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US12096168B2 (en) Speaker mount with spring-loaded latch
KR20080099055A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US5754397A (en) Docking connector with height adjustment in a computer system
KR100875879B1 (ko) 책상용 전선정리장치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KR101782332B1 (ko) 양방향 회동 개폐 타입 전선 덕트 조립체
CN100511894C (zh) 盒子的闭合装置
JP2009112003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このためのスライディング/回転開閉モジュールとその部品
KR101930622B1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KR20190099925A (ko) 배전반
CA2631962C (en) Article of furniture with tambour modesty panel
US20200389989A1 (en) Lay-flat lid with hidden dual hinge
CA2639718C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JP2021014718A (ja) 蝶番、及び蝶番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H04334921A (ja) 渡りケーブル処理機構
CA2976631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KR20000004596U (ko) 서랍식 본체 케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