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859B1 - 드론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859B1
KR101900859B1 KR1020170092205A KR20170092205A KR101900859B1 KR 101900859 B1 KR101900859 B1 KR 101900859B1 KR 1020170092205 A KR1020170092205 A KR 1020170092205A KR 20170092205 A KR20170092205 A KR 20170092205A KR 101900859 B1 KR101900859 B1 KR 10190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unit
marker
modu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경
정용범
Original Assignee
(주)프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뉴 filed Critical (주)프리뉴
Priority to KR1020170092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1/00Race-courses; Race-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Abstract

드론 게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레이싱 서킷에서 센서 및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설정함으로써,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코스를 통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드론 게임 시스템{DRONE GAME SYSTEM}
본 발명은 드론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싱 서킷에서 센서 및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설정함으로써,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코스를 통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한다. 초창기 드론은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또는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2015년 들어 급격하게 RC 멀티콥터가 매스컴을 타고 '남자의 취미'로 각광 받았고, 대부분 이 RC 멀티콥터를 드론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모양에 관계없이 무인비행체는 전부 드론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품군으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 드론(target drone), 정찰 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 드론(surveillance drone) 등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드론은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 추락할 우려가 있으며, 추락 시 여러 고가의 부품들이 파손되어 경제적 피해가 발생되거나,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동반될 수 있는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성을 갖는 드론은 이미 시장에 널리 확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미숙련자의 경우 조종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습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고, 재난 재해의 대형화, 방사능 화재, 붕괴, 화학 재난 등 극한 상황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드론은 위험성과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인으로 하여금 쉽게 접하기가 어렵고, 취미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연습을 위한 마땅한 장소를 찾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취미나 오락용으로 드론을 이용하는 자의 실력을 구체적으로 검증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전무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는 스마트기기의 모션 감지 신호를 중계하여 무선조종비행기를 조종하게 하고,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가 사이를 지나가도록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수직으로 지면에 세우고, 사전 약속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발신하는 위치신호 발신기(12)를 2개의 폴대(11)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 임무수행대(10)를 이용하여서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에 대해 채점하며, 채점 결과를 스마트기기에 통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조종비행기 조종평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위하기 어려우며,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세운 위치를 사람이 직접 옴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을 통하여 레이싱 게임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드론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드론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목적은 브라우징 서버를 통해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드론 레이싱에 새로운 즐거움을 줄 수 있고, 드론 초보자들의 경우에도 부담 없이 드론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드론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싱 서킷,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브라우징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가상 오브젝트를 합성하고,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드론은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부 및 상기 제1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브라우징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상기 마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마커 정보 저장부, 제1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트래킹부 및 상기 트래킹부의 검토 결과,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마커 정보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상기 마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매칭하는 마커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싱 서킷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엘이디부,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부,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마커 매칭부의 매칭에 의하여 도출된 마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상기 렌더링부에 의하여 렌더링된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 및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 및 상기 드론이 이동 과정에서 상기 마커를 통과함으로써, 획득하는 점수를 측정하는 점수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싱 서킷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드론 게임 시스템에 의하면, 첫 번째로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로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브라우징 서버를 통해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드론 레이싱에 새로운 즐거움을 줄 수 있고, 드론 초보자들의 경우에도 부담 없이 드론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게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드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싱 서킷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브라우징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싱 서킷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추가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게임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출력하는 내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게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드론 게임 시스템은 관제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드론(30), 레이싱 서킷(100) 및 브라우징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30)은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브라우징 서버(200)로 송신한다.
그리고 브라우징 서버(200)는 레이싱 서킷(100)에 설치된 마커를 이용하여, 드론(3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가상 오브젝트를 합성할 수 있고, 브라우징 서버(200)는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10)는 브라우징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
레이싱 서킷(100)은 드론(3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엘이디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싱 서킷(100)은 드론(30)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고, 드론(30)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10)는 후술할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점수 측정 모듈(115)이 측정한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10)는 후술할 통신 모듈(111)로부터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식별한 드론(30)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10)는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사용자 단말(20)을 후술할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식별한 드론 사용자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10)는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식별한 드론(30)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해당 드론의 사용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다.
관제 서버(10)는 해당 드론의 사용자가 누군지 확인한 뒤, 저장하고 있는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1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20)로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서버(10)는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내용 및 제2통신부(260)로부터 수신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함으로써,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레이싱 또는 게임을 공간적 제약없이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함으로써, 동일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 또는 게임을 즐기지 않더라도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수신한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점수 측정 모듈(115)이 측정한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드론(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드론(30)은 제1카메라부(31) 및 제1통신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부(31)는 외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부(32)는 제1카메라부(31)가 촬영한 영상을 브라우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싱 서킷(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레이싱 서킷(100)은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제2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통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고, 드론(3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드론(30)이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할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드론(30)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고, 드론(30)이 이동 과정에서 마커를 통과함으로써, 획득하는 점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부(120)는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카메라부(130)는 드론(30)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는 드론(30)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설정부(140)는 레이싱 서킷(100)에서 드론(30)이 움직일 하나 이상의 코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드론(30)이 움직일 하나 이상의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는 레이싱 서킷(100)에서 드론(30)이 도착해야 할 하나 이상의 최종 목적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최종 목적지 중 특정 최종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설정부(140)는 설정한 특정 코스 및 특정 최종 목적지를 드론 게임 진행 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특정 코스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특정 최종 목적지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코스 설정부(140) 및 엘이디부(120)를 통해 레이싱 서킷의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물리적인 변경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후술할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후술할 점수 측정 모듈(115)이 측정한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2카메라부(130)가 촬영한 드론(30)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0)는 후술할 이탈 알림 모듈(112)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후술할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식별한 각각의 드론 사용자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통신 모듈(111)이 제1통신부(32)로부터 수신한 제1카메라부(31)가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통신 모듈(111)이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센서부(110)는 통신 모듈(111), 이탈 알림 모듈(112), 사용자 식별 모듈(113), 시간 측정 모듈(114) 및 점수 측정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 알림 모듈(112)은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드론(30)이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식별 모듈(113)은 드론(30)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측정 모듈(114)은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시간 측정 모듈(114)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드론 간에 기록 경쟁과 같은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점수 측정 모듈(115)은 드론(30)이 이동 과정에서 마커를 통과함으로써, 획득하는 점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점수 측정 모듈(115)을 통해 레이싱 게임뿐만 아니라 점수 내기 등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1)은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30)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점수 측정 모듈(115)이 측정한 드론(30)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111)은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식별한 드론(30)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브라우징 서버(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브라우징 서버(200)는 마커 정보 저장부(210), 트래킹부(220), 마커 매칭부(230), 렌더링부(240), 영상 합성부(250) 및 제2통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커 정보 저장부(210)는 레이싱 서킷(100)에 설치된 마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킹부(220)는 제1통신부(32)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확인하여, 드론(30)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마커 매칭부(230)는 트래킹부(220)의 검토 결과, 드론(30)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마커 정보 저장부(210)가 저장하고 있는 마커에 대한 정보와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240)는 마커 매칭부(230)의 매칭에 의하여 도출된 마커에 대한 정보를 이용히여, 가상 오브젝트를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합성부(250)는 렌더링부(240)에 의하여 렌더링된 가상 오브젝트를 제1통신부(32)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합성부(250)는 레이싱 서킷(100)에 설치된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영상에 합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합성부(250)는 레이싱 서킷(100)에 설치된 마커의 좌표를 이용하여, 마커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250)는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 여부 확인 결과,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영상에 재합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오브젝트를 영상에 합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고,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에 가상 오브젝트를 영상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는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은 영상 합성부(250)가 가상 오브젝트 간의 간섭을 제거한 영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이싱 서킷(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추가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동일한 센서부(110), 동일한 엘이디부(120) 및 동일한 제2카메라부(130)가 설치되었음에도, 코스 설정부(140)의 코스 변경에 의해, 물리적인 구조 변경 없이 레이싱 서킷(100)에서 드론(30)이 움직일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센서부(110)는 코스 설정부(140)가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변경한 경우, 이를 반영하여, 드론(30)이 코스 설정부(140)가 변경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게임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이 출력하는 내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이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가상 오브젝트(251)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게임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관제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드론 31: 제1카메라부
32: 제1통신부 100: 레이싱 서킷
110: 센서부 111: 통신 모듈
112: 이탈 알림 모듈 113: 사용자 식별 모듈
114: 시간 측정 모듈 115: 점수 측정 모듈
120: 엘이디부 130: 제2카메라부
140: 코스 설정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브라우징 서버 210: 마커 정보 저장부
220: 트래킹부 230: 마커 매칭부
240: 렌더링부 250: 영상 합성부
260: 제2통신부

Claims (11)

  1. 레이싱 서킷,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엘이디부;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부;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은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을 브라우징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가상 오브젝트를 합성하고,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부;및
    상기 제1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브라우징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
    를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상기 마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마커 정보 저장부;
    제1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트래킹부;및
    상기 트래킹부의 검토 결과,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마커 정보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상기 마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매칭하는 마커 매칭부;
    를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서버는
    상기 마커 매칭부의 매칭에 의하여 도출된 마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상기 렌더링부에 의하여 렌더링된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및
    상기 가상 오브젝트가 합성된 영상을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및
    상기 드론이 이동 과정에서 상기 마커를 통과함으로써, 획득하는 점수를 측정하는 점수 측정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및 상기 점수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획득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게임 시스템.
KR1020170092205A 2017-07-20 2017-07-20 드론 게임 시스템 KR10190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05A KR101900859B1 (ko) 2017-07-20 2017-07-20 드론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205A KR101900859B1 (ko) 2017-07-20 2017-07-20 드론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859B1 true KR101900859B1 (ko) 2018-09-20

Family

ID=6371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205A KR101900859B1 (ko) 2017-07-20 2017-07-20 드론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625A (ko) * 2019-10-28 2021-05-10 주식회사 지엠아이컨설팅그룹 드론 골프 경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550A (ja) * 2008-02-04 2009-08-20 Gwangju Inst Of Science & Technology 拡張現実におけるハプティック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1740265B1 (ko)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550A (ja) * 2008-02-04 2009-08-20 Gwangju Inst Of Science & Technology 拡張現実におけるハプティック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1740265B1 (ko)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게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625A (ko) * 2019-10-28 2021-05-10 주식회사 지엠아이컨설팅그룹 드론 골프 경기 시스템.
KR102434723B1 (ko) 2019-10-28 2022-08-23 주식회사 지엠아이컨설팅그룹 드론 골프 경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159B1 (ko)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US10341162B2 (en)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CN110917619B (zh) 互动道具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408133B (zh) 互动道具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7145976B2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の情報表示方法並びに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装置、端末及びサーバ
US11944904B2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1955368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드론 경기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89124B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054059B (zh) 使用光学窄播的游戏系统及方法
CN111035918A (zh) 基于虚拟环境的侦察界面显示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0507994A (zh) 控制虚拟飞行器飞行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342024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CN113041622B (zh) 虚拟环境中虚拟投掷物的投放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2138383A (zh) 虚拟道具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53285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light-modulated signals in a video stream
KR101900859B1 (ko) 드론 게임 시스템
CN112704875B (zh) 虚拟道具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85708B (zh) 虚拟环境中从飞行器着陆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717410A (zh)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659122A (zh) 虚拟资源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11181A (zh) 虚拟环境中道具的设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738738A (zh) 三维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标记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512162B1 (ko) 서바이벌 게임용 리스폰장치
KR20190124079A (ko) 드론 비행 연습 시스템
CN114100128A (zh) 道具特效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