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006B1 -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006B1
KR101900006B1 KR1020160180397A KR20160180397A KR101900006B1 KR 101900006 B1 KR101900006 B1 KR 101900006B1 KR 1020160180397 A KR1020160180397 A KR 1020160180397A KR 20160180397 A KR20160180397 A KR 20160180397A KR 101900006 B1 KR101900006 B1 KR 10190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mbustion furnace
dropping
as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201A (ko
Inventor
이재정
성동제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10201601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0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2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의 재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과 다른 기기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연소재를 재배출 이송관로 내 체류시간을 최소화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 상기 낙하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낙하부(100)를 통해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 및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냉각부(200) 내에서 이송되면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ASH DRAINAGE DEVICE OF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의 재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과 다른 기기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연소재를 재배출 이송관로 내 체류시간을 최소화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소로에는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펠릿 형태로 압축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형연료를 비성형으로 활용하거나, 폐자동차, 파쇄잔재물, 전자폐기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연료까지 확대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형연료(성형, 비성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나 열병합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경유/B-C 유 등(고가의 화석연료)을 사용하지 않아 연료비가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설비라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에너지 다소비 업체에서 자체적으로 이용하는 전용 보일러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발전설비나 열병합발전과 같은 곳에서도 널리 확산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게되면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발생되고, 그 재를 원활하게 연소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연소로의 측면이나 하부로 이송된 후 장시간 잔류되면서 재의 열기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거나 주변의 연소로 부품들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고형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연소시 많은 재와 고형연료 속에 포함된 유리가루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연소로의 고열에 용융되면서 서로 뭉쳐 슬래그 및 클린커가 발생하게 되는데, 재가 연소로 주변에서 장시간 머무르면서 서서히 냉각되면서 재 내의 이물질들이 상호 융착되어 뭉쳐지면서 재의 이송 및 배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연소 중 미연소된 고형연료가 재배출되는 경우에는 배출관로 내에서 연소되어 설비의 열화 및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재 내의 이물질들이 상호 융착되어 뭉쳐진 상태로 연소로의 외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재의 배출통로를 막아 병목현상으로 인해 재의 배출이 어렵고, 융착된 채로 경화된 재의 잔류물의 날카로운 부분으로 인해 연소로 이송통로 부위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로 내에서 재가되어 연소로의 하부로 낙하 이송되는 부위에 과다한 재가 적층되면서 재가 배출통로를 통해 이송되는 작업에 과부하가 걸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10300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낙하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연소로에서 낙하됨과 동시에 냉각되어 재의 열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와 주변 부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낙하되는 재들이 상호 뭉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재가 재 배출통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재가 연소로로부터 낙하된 후 상호 융착되기 전에 냉각된 후 실시간으로 배출통로를 통해 연소로의 외부로 완전 배출됨으로 인해 배출통로에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 내에서 발생된 재가 다수의 통로를 통해 낙하되면서 한 부위에 과다하게 재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가 원활하게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 상기 낙하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낙하부(100)를 통해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 및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냉각부(200) 내에서 이송되면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낙하부(100)는,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다수 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된 재(30)가 상기 냉각부(200)로 낙하시 분산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낙하몸체(110)는, 상기 낙하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연소로(10)의 재(30)가 낙하몸체(1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112)와,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0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상기 투입구(112)로 진입된 재(30)가 냉각부(2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구(114)와, 상기 투입구(112)와 낙하구(114)의 사이에는 상기 재(30)가 미끄러지면서 낙하될 수 있도록하는 경사면(111)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112)의 천공된 면적은 낙하구(114)의 천공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연소로(10) 내부에 발생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연소로재점검창(16)이 구비되고,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낙하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낙하재점검창(116)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연소로(10)의 재(30)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간을 갖고 밀폐되게 형성되는 사각관 형태의 냉각몸체(210)와,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냉각몸체(210)로 진입된 재(30)를 냉각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220)와, 상기 냉각몸체(210)의 외부에 배치되면서 냉각몸체(210)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의 양을 확인한 후 냉각수(50)의 양이 설정된 양보다 적어질 경우, 외부에서 냉각몸체(210) 내부로 냉각수(50)를 충진 시키면서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수조(230)와, 상기 냉각몸체(210)에 형성되어, 냉각몸체(210) 내부에서 냉각된 재(30)가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배출공(24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반복 회전되면서 냉각부(200) 내부의 재(30)가 냉각된 상태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배출체인(310)과, 상기 배출체인(310)과 연결되어 배출체인(3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어(320)와, 상기 배출체인(310)에 다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배출체인(310)과 연동되고,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스크랩퍼(3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냉각수(5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물레방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침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전유도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에서 배출된 재(30)가 유입되어 이송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이송관(350)과, 상기 이송관(350)의 내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350) 내부로 유입된(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크랩퍼(330)는, 상기 스크랩퍼(330)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탄력을 갖으며 형성되어 재(30)를 가압하면서도 상기 스크랩퍼(330)가 냉각부(200)의 내부 밀착에 의한 마모가 방지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케이스(3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 점검시 냉각몸체(210)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완전 배수되도록 개폐가능한 드레인홀(21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냉각수(50)의 수면상에 하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물래방아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유동되도록 가압하는 침전날개(342)와, 상기 침전날개(342)의 중심에서 축을 이루면서 회전을 통하여 침전날개(342)가 연동되도록 하는 회전축(344)과, 상기 회전축(344)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4)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346)와, 상기 회전모터(346)의 동력을 회전축(344)에 전달하여 회전축(344)이 회전되도록 하는 밸트(3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발생된 재의 열기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거나 주변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로의 생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재들이 연소로에서 낙하된 후 상호 융착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가 연소로로부터 낙하된 직후 바로 냉각되도록 하면서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은 부피의 재가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미연소된 고형연료가 체류하면서 연소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재배출 공간에서 부분연소 되도록하여 설비의 열화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연소로 내에서 발생된 재가 다수의 통로를 통해 낙하되도록 하기 때문에 재가 재 배출통로 내에 분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그 재를 배출함으로써 연소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냉각부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연소로 내의 재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과 다른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특히, 낙하부, 냉각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냉각부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와,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와, 상기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로(10) 내부에서는 고형연료가 연소되고, 그 고형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 재(30)는 연소로(10) 내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집진되게 되는데, 상기 낙하부(100)는, 상기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낙하부(100)는,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다수 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된 재(30)가 상기 냉각부(200)로 낙하시 분산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몸체(110)는 상기 연소로(10)에 연결된 채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연소로(10) 내의 재(30)가 냉각부(200)로 낙하 시 분산되어, 냉각부(200)에서 냉각되는 재(30)가 넓게 퍼진 상태로 단시간에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로(10)에서 고형연료가 연소 된 재(30)가 적층 되는 공간이 생략된 채로 연소로(10)에서 바로 냉각부(200)로 낙하됨에 따라, 재(30)가 연소로(10)의 하부 공간에 적층 되는 것을 차단하여, 재(30)가 연소로(10)의 하부에 적층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열화 및 손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낙하몸체(110)는 사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각부(200)는 한 쌍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2개의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하나의 냉각부(200)가 배치되고, 다른 2개의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냉각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상기 낙하몸체(110)와 복수개의 냉각부(200)의 구조를 통하여 연소로(10) 내부에서 냉각부(200)로 낙하되는 재(30)가 분산되면서 냉각부(200) 내에서 단시간에 냉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낙하몸체(110)는, 상기 낙하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연소로(10)의 재(30)가 낙하몸체(1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0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상기 투입구(112)로 진입된 재(30)가 냉각부(2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112)와 낙하구(114)의 사이에는 상기 재(30)가 미끄러지면서 낙하될 수 있도록하는 경사면(111)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112)의 천공된 면적은 낙하구(114)의 천공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소로(10) 내부의 재(30)는 연소로(10)에서 냉각부(200)로 낙하 시, 상기 낙하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연소로(10)와 연결되게 형성된 투입구(112)로 진입되어 상기 경사면(111)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냉각부(200)와 연결되는 상기 낙하구(114)를 통하여 냉각부(20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2)의 천공된 면적이 낙하구(114)의 천공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투입구(112)와 낙하구(114)의 사이에는 경사면(111)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경사면(111)이 하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투입구(112)로 진입된 재(30)는 상기 경사면(11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냉각부(200)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낙하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낙하부(100)를 통해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게 된다.
즉, 상기 냉각부(200)의 냉각수(50)는 상기 냉각부(200) 내부로 유입되는 재(30)가 단시간에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냉각부(200)가 상기 연소로(10)로부터 유입되고 고열을 갖는 재(30)를 단시간에 냉각시키기 위해서,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연소로(10)의 재(30)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간을 갖고 밀폐되게 형성되는 사각관 형태의 냉각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냉각몸체(210)로 진입된 재(30)를 냉각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냉각몸체(210)의 외부에 배치되면서 냉각몸체(210)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의 양을 확인한 후 냉각수(50)의 양이 설정된 양보다 적어질 경우, 외부에서 냉각몸체(210) 내부로 냉각수(50)를 충진 시키면서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수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200)는, 상기 냉각몸체(210)에 형성되어, 냉각몸체(210) 내부에서 냉각된 재(30)가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배출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몸체(21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4개가 배치되는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게 되는데, 2개의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하나의 냉각몸체(210)가 배치되고, 다른 2개의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냉각몸체(210)가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하여 낙하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재(30)가 상기 낙하구(114)를 통하여 상기 낙하몸체(110)에서 냉각몸체(210)로 낙하되어 냉각몸체(210)에 수용된 냉각수(50)에 의해 단시간에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몸체(210)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과 타측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중앙부위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는 냉각몸체(210)의 중앙부위에 수용되고, 상기 냉각몸체(210)의 중앙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일측과 타측 부위는 냉각수(50)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순환수조(230)는 상기 냉각몸체(2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순환수조(230)와 별도로 배치되어 상기 냉각몸체(210) 내의 냉각수(50)가 설정된 양과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수(50)가 순환수조(230)와 냉각몸체(210)를 실시간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220)는, 상기 냉각수(50)가 순환수조(230)와 냉각몸체(210)를 실시간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240)은 상기 배출유도부(300)에 의해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에서 냉각된 재(30)가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냉각몸체(210)에 천공되게 된다.
상기 냉각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 점검시 냉각몸체(210)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완전 배수되도록 개폐가능한 드레인홀(2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레인홀(212)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는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냉각몸체(210)와 순환수조(230)의 사이에는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냉각몸체(210)와 순환수조(230) 간 냉각수(5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몸체(210) 내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냉각몸체(210) 내에서 이송되면서 상기 배출공(240)을 통하여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반복 회전되면서 냉각부(200) 내부의 재(30)가 냉각된 상태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배출체인(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체인(310)과 연결되어 배출체인(3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어(320)와, 상기 배출체인(310)에 다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배출체인(310)과 연동되고,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스크랩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320)가 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배출체인(310)이 기어(320)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배출체인(310)의 회전에 따라, 배출체인(310)에 구비되어 배출체인(3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스크랩퍼(330)가 연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랩퍼(330)가 연동되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랩퍼(330)는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에 수용된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배출공(240)을 통하여 재(30)가 냉각몸체(2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연소로(10)에서 낙하부(100)를 통해 냉각부(200)에 유입된 고열을 갖는 재(30)는 상기 냉각부(200)에서 냉각된 후 상기 배출유도부(300)를 통해 냉각몸체(210) 내에서 이송된 후 배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와,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와, 상기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냉각수(5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물레방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침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전유도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낙하몸체(110)와 냉각몸체(210)의 사이에 밀폐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냉각몸체(210)에 충진된 냉각수(50)의 수면 상에 부분적으로 잠기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낙하몸체(110)에서 냉각몸체(210)로 낙하되는 재(30)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낙하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재(30)는 상기 낙하구(114)를 통하여 상기 낙하몸체(110)에서 냉각몸체(210)로 낙하되어 냉각몸체(210)에 수용된 냉각수(50)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몸체(210)의 냉각수(50)에 낙하된 재(30) 중에 일부인 분진물(70)은 냉각수(50)의 상부인 수면상으로 떠오르게 되는데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이러한 분진물(70)의 냉각수(50)의 하부인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침전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냉각수(50)의 수면상에 하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물래방아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유동되도록 가압하는 침전날개(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침전날개(342)의 중심에서 축을 이루면서 회전을 통하여 침전날개(342)가 연동되도록 하는 회전축(344)과, 상기 회전축(344)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4)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346)과, 상기 회전모터(346)의 동력을 회전축(344)에 전달하여 회전축(344)이 회전되도록 하는 밸트(3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전날개(342)는 상기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유동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면, 프로펠라 형태나 물레방아형태 또는 판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34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346)에 의해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침전날개(34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침전유도기(340)의 구성을통하여 상기 냉각수(50) 상의 분진물(70)은 원활하게 냉각수(50)의 하부인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유동되어 상기 배출유도부(300)의 스크랩퍼(330)를 통해 재(30)와 함께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와,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와, 상기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유도기(340)의 구성을통하여 상기 냉각수(50) 상의 분진물(70)은 원활하게 냉각수(50)의 하부인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유동되어 상기 배출유도부(300)의 스크랩퍼(330)를 통해 재(30)와 함께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냉각몸체(210)에서 냉각된 재(30)는 상기 스크랩퍼(330)에 의해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냉각몸체(210)에서 배출되는 재(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집진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에서 배출된 재(30)가 유입되어 이송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이송관(350)과, 상기 이송관(350)의 내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350) 내부로 유입된 재(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관(350)에는 상기 냉각몸체(210)에서 냉각된 재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352)와, 상기 스크류(360)를 통해 이송관(350) 내에서 이송된 재가 이송관(3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354)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350)은 원통 형태의 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되고, 상기 스크류(360)는 상기 이송관(350) 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관(350) 내의 재(30)가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로 집진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360)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되고, 상기 스크류(360)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을 통하여 이송관(350) 내의 재(30)를 가압하여 그 재(30)가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출구(354)를 통하여 이송관(350)의 외부로 배출된 재(3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집진되어 버려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와,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와, 상기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로(10)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30)는 연소로(10)의 하부에 적층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적층되는 재(30)는 낙하부(100)를 통하여 냉각부(200)로 낙하되어 냉각되게 되는데,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적층되는 재(30)의 양은 실시간으로 연소로(10)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적층되는 재(30)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와 낙하부(100) 사이가 재로 인하여 막혀 연소로(10)의 주변 기기들이 가열됨으로 인해 훼손되거나 불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낙하부(100)의 낙하몸체(110)로 유입되는 재(30)의 양은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낙하몸체(110)에 재(30)가 과하게 적층되어 낙하부(100) 및 연소로(10)의 주변 기기들이 가열됨으로 인해 훼손되거나 불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연소로(10) 내부에 발생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연소로재점검창(16)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낙하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낙하재점검창(11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소로재점검창(16)과 낙하재점검창(116)을 통하여 외부에서 연소로(10)의 하부와 낙하몸체(100) 하부의 적층되는 재(3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낙하부(100) 및 연소로(10)의 주변 기기들이 가열됨으로 인해 훼손되거나 불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와,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와, 상기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도부(300)의 스크랩퍼(330)는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에 수용된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이송되도록 한 후 냉각된 재(30)가 냉각몸체(2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연소로(10)에서 낙하부(100)를 통해 냉각부(200)에 유입된 고열을 갖는 재(30)는 상기 냉각부(200)에서 냉각된 후 상기 배출유도부(300)를 통해 냉각몸체(210) 내에서 이송된 후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랩퍼(330)는 냉각몸체(210) 내부에 수용된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이송되도록 하는데, 상기 스크랩퍼(330)가 재(3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랩퍼(330)가 냉각몸체(210)의 내부 하면에 밀착된 채로 유동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크랩퍼(330)가 냉각몸체(21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유동되는 동작으로 인해 상기 스크랩퍼(330)와 냉각몸체(210)의 하면이 동시에 마모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랩퍼(330)는, 상기 스크랩퍼(330)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탄력을 갖으며 형성되어 재(30)를 가압하면서도 상기 스크랩퍼(330)가 냉각부(200)의 내부 밀착에 의한 마모가 방지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케이스(370)를 더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압케이스(370)는, 상기 스크랩퍼(330)에 간편하게 끼움결합 된 후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랩퍼(330)에 가압케이스(370)를 결합하여 가압케이스(370)가 상기 냉각몸체(210) 하부의 재(30)를 가압하면서 이송되도록 함으로 인해 상기 스크랩퍼(3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케이스(370)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열에 강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케이스(370)가 재(30)를 가압하면서 냉각몸체(210)의 내부 하면에 밀착되어도 냉각몸체(210)의 내부 하면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크랩퍼(330)에 간편하게 끼움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가압케이스(370)로 인해, 상기 스크랩퍼(330)와 냉각몸체(210) 내부 하면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가압케이스(370)가 마모될 경우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됨으로써 상기 스크랩퍼(330)와 냉각몸체(210)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연소로에서 발생된 재의 열기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거나 주변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로의 생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들이 연소로에서 낙하된 후 상호 융착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가 연소로로부터 낙하된 직후 바로 냉각되도록 하면서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은 부피의 재가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미연소된 고형연료가 체류하여 연소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재배출 공간에서 부분연소 될 수 있도록 하여 열화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상의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연소로 내에서 발생된 재가 다수의 통로를 통해 낙하되도록 하기 때문에 재가 재 배출통로 내에 분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그 재를 배출함으로써 연소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연소로 16 : 연소로재점검창
30 : 재 50 : 냉각수
70 : 분진물
100 : 낙하부 110 : 낙하몸체
111 : 경사면 112 : 투입구
114 : 낙하구 116 : 낙하재점검창
200 : 냉각부 210 : 냉각몸체
220 : 순환펌프 230 : 순환수조
240 : 배출공 212 : 드레인홀
300 : 배출유도부 310 : 배출체인
320 : 기어 330 : 스크랩퍼
340 : 침전유도기 342 : 침전날개
344 : 회전축 346 : 회전모터
348 : 밸트
350 : 이송관 352 : 입구
354 : 출구
360 : 이송관 370 : 가압케이스

Claims (12)

  1.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인 연소로(10) 내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연소로(10) 하측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부(100);
    상기 낙하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낙하부(100)를 통해 낙하되는 재(30)가 유입되면서 냉각되도록 내부에 냉각수(50)가 충진되는 냉각부(200); 및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냉각부(200) 내에서 이송되면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배출유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부(100)는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 다수 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된 재(30)가 상기 냉각부(200)로 낙하시 분산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200)는,
    복 수개로 배치되는 상기 낙하몸체(11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소로(10)의 재(30)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간을 갖고 밀폐되게 형성되는 사각관 형태의 냉각몸체(210)와,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냉각몸체(210)로 진입된 재(30)를 냉각시키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220)와, 상기 냉각몸체(210)의 외부에 배치되면서 냉각몸체(210)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의 양을 확인한 후 냉각수(50)의 양이 설정된 양보다 적어질 경우, 외부에서 냉각몸체(210) 내부로 냉각수(50)를 충진 시키면서 냉각몸체(210) 내부의 냉각수(50)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수조(230)와, 상기 냉각몸체(210)에 형성되어, 냉각몸체(210) 내부에서 냉각된 재(30)가 냉각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천공되는 배출공(24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도부(300)는 상기 냉각부(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반복 회전되면서 냉각부(200) 내부의 재(30)가 냉각된 상태로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배출체인(310)과, 상기 배출체인(310)과 연결되어 배출체인(3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기어(320)와, 상기 배출체인(310)에 다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배출체인(310)과 연동되고,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재(30)를 가압하면서 재(30)가 냉각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스크랩퍼(330)와, 상기 스크랩퍼(330)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탄력을 갖으며 형성되어 재(30)를 가압하면서도 상기 스크랩퍼(330)가 냉각부(200)의 내부 밀착에 의한 마모가 방지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케이스(370)와, 상기 냉각부(200) 내부의 냉각수(5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물레방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침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전유도기(340)와, 상기 냉각부(200)에서 배출된 재(30)가 유입되어 이송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 형태의 이송관(350)과, 상기 이송관(350)의 내부에 배치된 채로 회전되고,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350) 내부로 유입된 재(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36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350)에는 상기 냉각몸체(210)에서 냉각된 재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352)와, 상기 스크류(360)를 통해 이송관(350) 내에서 이송된 재가 이송관(3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354)가 형성되어 상기 출구(354)를 통하여 이송관(350)의 외부로 배출된 재(3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집진되어 버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몸체(110)는,
    상기 낙하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로(1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연소로(10)의 재(30)가 낙하몸체(1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112)와,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00)와 연결되면서 천공되어 상기 투입구(112)로 진입된 재(30)가 냉각부(2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구(114)와,
    상기 투입구(112)와 낙하구(114)의 사이에는 상기 재(30)가 미끄러지면서 낙하될 수 있도록하는 경사면(111)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112)의 천공된 면적은 낙하구(114)의 천공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연소로(10) 내부에 발생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연소로재점검창(16)이 구비되고,
    상기 낙하몸체(110)의 하부에는,
    외부에서 낙하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재(3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되는 낙하재점검창(1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몸체(210)의 내부 점검시 냉각몸체(210)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50)가 완전 배수되도록 개폐가능한 드레인홀(212)이 더 포함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유도기(340)는,
    상기 냉각수(50)의 수면상에 하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물래방아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냉각수(50)의 수면상으로 떠오르는 분진물(70)이 냉각몸체(210)의 하부로 침전되게 가압하는 침전날개(342)와,
    상기 침전날개(342)의 중심에서 축을 이루면서 회전을 통하여 침전날개(342)가 연동되도록 하는 회전축(344)과,
    상기 회전축(344)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4)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346)와,
    상기 회전모터(346)의 동력을 회전축(344)에 전달하여 회전축(344)이 회전되도록 하는 밸트(348)를 포함하는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KR1020160180397A 2016-12-27 2016-12-27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KR10190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97A KR101900006B1 (ko) 2016-12-27 2016-12-27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97A KR101900006B1 (ko) 2016-12-27 2016-12-27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01A KR20180076201A (ko) 2018-07-05
KR101900006B1 true KR101900006B1 (ko) 2018-09-18

Family

ID=6292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97A KR101900006B1 (ko) 2016-12-27 2016-12-27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061A (zh) * 2019-01-30 2019-04-16 孙建涛 一种采暖锅炉的除渣装置及采暖锅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814A (ja) * 1999-01-28 2000-08-08 Kubota Corp ゴミ焼却炉
JP3140351B2 (ja) * 1995-10-13 2001-03-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電場印加水処理装置
JP2003329225A (ja) * 2002-05-07 2003-11-19 Ebara Corp 溶融炉装置、その運転方法及び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2007170685A (ja) * 2005-12-19 2007-07-05 Takuma Co Ltd 湿式灰押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351B2 (ja) * 1995-10-13 2001-03-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電場印加水処理装置
JP2000220814A (ja) * 1999-01-28 2000-08-08 Kubota Corp ゴミ焼却炉
JP2003329225A (ja) * 2002-05-07 2003-11-19 Ebara Corp 溶融炉装置、その運転方法及びガス化溶融システム
JP2007170685A (ja) * 2005-12-19 2007-07-05 Takuma Co Ltd 湿式灰押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01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7718B2 (ja) 廃棄物プラスチック固体燃料焼却炉
KR101798355B1 (ko) 자동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KR101228423B1 (ko) 공냉식 연소로 설비
EP2921776B1 (en) Device for centrifugal combustion by area using flow of combustion air
KR101228421B1 (ko) 연소로 연료투입장치 및 연료투입장치를 구비하는 연소로 설비
CN102575847B (zh) 用于对热材料进行输送、冷却和能量回收的方法和装置
KR101900006B1 (ko) 연소로의 재 배출장치
JP2013224810A (ja) 有機汚泥の処理装置と処理方法
KR101232866B1 (ko)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939492B1 (ko) 자동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KR101371235B1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CN106090942B (zh) 采用炉渣风冷工艺的危废物焚烧系统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RU149124U1 (ru) Твё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ёл "кузбасс"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KR101739094B1 (ko) 연소효율을 향상한 농업용 온수보일러
KR20150118328A (ko) 생물질 반기화 자동제어 연소장치
KR101557870B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KR102049894B1 (ko) 급속 고온 살균 건조 장치
KR101267024B1 (ko) 펠릿 연소 보일러
SE532393C2 (sv) Brännare för förbränning av granulärt, fast bränsle
CN107420904B (zh) 垃圾燃烧系统
KR102015550B1 (ko)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122069B1 (ko) 저온 열분해 시스템
KR101934209B1 (ko) 자동 재 처리기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