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639B1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639B1 KR101899639B1 KR1020157019629A KR20157019629A KR101899639B1 KR 101899639 B1 KR101899639 B1 KR 101899639B1 KR 1020157019629 A KR1020157019629 A KR 1020157019629A KR 20157019629 A KR20157019629 A KR 20157019629A KR 101899639 B1 KR101899639 B1 KR 101899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cillation
- wafer
- sample
- foreign
- data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2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556 factor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0866 Protein SCO1 homolog,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5546 Protein SCO2 homolog,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4 evalu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61—Details
- H01J37/265—Controlling the tube; circuit arrangements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not otherwise provided, e.g. bright-field-dark-field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18—Vacuum locks ;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0—Means for supporting or positioning the object or the material; Means for adjusting diaphragms or lenses associated with the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8—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with scanning bea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02—Details
- H01J2237/022—Avoiding or removing foreign or contaminating particles, debris or deposits on sample or tube
- H01J2237/0225—Detecting or monitoring foreign part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18—Vacuum control means
- H01J2237/184—Vacuum 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0—Positioning, supporting, modifying or maintaining the physical state of objects being observed or treated
- H01J2237/204—Means for introducing and/or outputting obje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 H01J2237/28—Scanning microsc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발진하는 기구부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동작 기구부의 근처에 웨이퍼를 배치하여 기구부를 동작시키고, 웨이퍼면에 이물질을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서비스 엔지니어가 행하는 방법은, 웨이퍼를 장치 내의 특정 위치에 수동으로 배치한 후, 수동으로 기구부를 동작시킨다. 현재의 방식은, 수동에 의한 작업이기 때문에, 발진의 원인 구명까지의 효율이 나쁘다. 장치에 있어서의 각 특정 부위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고의로 발진을 촉진하여 웨이퍼에 이물질을 부착시키는 구조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어 장치와 시료를 처리하는 시료실과 시료실에 시료를 반입 및 반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기구는 복수의 부위를 갖고, 제어 장치는 스크립트를 갖고 있고, 제어 장치가 스크립트를 실행함으로써 기구의 복수의 부위 중 특정한 부위가 반복 동작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와, 이물질 발생원을 도출시키는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노광, 현상을 행한 후, CD-SEM(Critical Dimen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등에 의해, 패턴 폭 등을 측정함으로써, 프로세스의 평가를 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CD-SEM으로 대표되는 반도체 검사 장치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 등의 시료 상에 형성된 패턴이 적정하게 형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최근 들어, 반도체 웨이퍼 등의 시료 상에 형성된 패턴의 미세화에 수반하여, 미소한 부착 이물질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유저는, 매일 이물질 체크를 행하여 웨이퍼 상에 부착된 이물질의 개수가 규정 개수보다 적으면, 프로세스 평가의 공정을 개시한다. 이물질의 부착을 검사하기 위해 더미 웨이퍼가 사용된다(특허문헌 1). 그러나, 규정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장치의 사용을 금지하여 서비스 엔지니어를 콜한다. 서비스 엔지니어는, 이물질의 발진원과 원인을 조사하여 발진부를 특정한 후, 클리닝 또는 부품 교환을 실시한다. 또한, 장치를 일정 기간 운전시키고, 이물질의 발진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유저에게 건네준다.
반도체 검사 장치 등, 반도체 웨이퍼 등의 시료를 취급하는 장치에서는, 시료를 검사하는 시료실 또는 시료를 처리하는 처리실(이하, 간단히 「시료실」이라고 함)에 한창 반입하고 있는 도중에, 또는 시료를 원래의 위치로 회수하는 반출 중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은, 진공 배기 기구로부터의 발진, 스테이지 기구의 마찰에 의한 발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동작의 조합에 의해 발진하는 경우도 있고, 원인 구명은 곤란하다. 웨이퍼 카세트인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 등의 시료 저장·운반 상자로부터 시료실로의 반입 또는 시료실로부터 시료 저장·운반 상자로의 반출은, 다양한 기구부가 동작한다. 발진은, 어느 하나의 기구가 동작하였을 때에 일어나고, 시료면 상에 이물질로서 부착된다.
발진하는 기구부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동작 기구부의 근처에 시료를 배치하여 기구부를 동작시키고, 시료면에 이물질을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서비스 엔지니어가 행하는 방법은, 시료를 장치 내의 특정 위치에 수동으로 배치한 후, 수동으로 기구부를 동작시킨다. 현재의 방식은, 수동에 의한 작업이기 때문에, 발진의 원인 구명까지의 효율이 나쁘다. 여기서, 수동에 의한 작업이란, 서비스 엔지니어가 조작 단말기로부터 코맨드 라인을 입력하면서 하나하나의 동작을 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 외의 과제와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장치는, 각 특정 부위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고의로 발진을 촉진하여 시료에 이물질을 부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장치 내로부터 발진한 이물질의 발진원과 발진 원인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의 일람표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효율을 고려한 발진용 반복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 레시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이물질 발진 레시피를 한창 실행하고 있는 도중의 GUI에 의해 나타내어진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의 발진 원인을 특정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진 요인 가능성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유수명품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과 발진 원인의 가능성을 알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과 발진 원인의 가능성을 알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을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입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의 일람표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효율을 고려한 발진용 반복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 레시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이물질 발진 레시피를 한창 실행하고 있는 도중의 GUI에 의해 나타내어진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의 발진 원인을 특정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진 요인 가능성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유수명품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과 발진 원인의 가능성을 알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과 발진 원인의 가능성을 알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을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입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형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치(200)는 제어 장치(201)와, 시료를 처리하는 시료실(212)과, 시료실(212)에 상기 시료를 반입 및 반출하는 기구(254)를 구비하고, 기구(254)는 복수의 부위를 갖고, 제어 장치(201)는 스크립트(246)를 갖고 있고, 제어 장치(201)가 스크립트(246)를 실행함으로써 기구(254)의 복수의 부위 중 특정한 부위가 반복 동작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고의로 발진을 촉진하여 이물질을 시료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발진한 이물질의 발진원과 발진 원인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246)는 소프트웨어 부품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는 통일성 있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간이 프로그램이며, 소프트웨어 부품은, 반입 동작 및 반출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단체(單體)로 실행 가능하게 한 단위이다.
실시예
이하의 설명에서는 CD-SEM을 사용한 반도체 검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하전 입자선을 사용한 장치(예를 들어, 투과 전자 현미경,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전자선 묘화 장치, 이온 현미경, 집속 이온 빔 가공 장치 등), 하전 입자선을 사용하지 않는 장치(예를 들어, 검사 장치, 제조 장치, 가공 장치, 평가 장치, 계측 장치)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시료로서는, 반도체 웨이퍼 외에, 노광 장치의 노광광을 마스크하는 레티클, 액정이나 유기 EL의 표시 장치의 TFT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는 광학계를 격납하는 통(42)과 시료실(12)과 로드 로크실(9)과 미니 인바이런먼트(41)와 제어계(43)와 표시/편집 장치(26)를 갖는다.
제어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부터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가속 전압, 시료(반도체 디바이스) 정보, 측정 위치 정보, 웨이퍼 카세트 정보 등을 바탕으로, 광학계 제어 장치(2), 스테이지 제어 장치(3), 시료 반송 제어 장치(4) 및 시료 교환실 제어 장치(5)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어 장치(1)로부터 명령을 받은 시료 반송 제어 장치(4)는 미니 인바이런먼트(41) 내에 있는 반송용 로봇(8)을 FOUP(6)로부터 임의의 웨이퍼(7)가 로드 로크실(시료 교환실)(9)의 홀더(50)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FOUP(6)에는 도어(40)가 있고, 개폐 기구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1)는 FOUP(6)의 도어(4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시료 교환실 제어 장치(5)는 로드 로크실(9)에의 웨이퍼(7)의 출입에 연동하여, 게이트 밸브(10, 11)가 개폐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시료 교환실 제어 장치(5)는 시료 교환실(9) 내를 진공 배기하는 진공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고, 게이트 밸브(11)가 개방될 때에는, 시료실(12)과 동등한 진공을, 시료 교환실(9) 내에서 형성한다. 시료 교환실(9)에 들어간 웨이퍼(7)는 게이트 밸브(11)를 통해, 시료실(12)에 보내지고, 스테이지(13) 상에 고정된다. 시료 반송 제어 장치(4) 또는 시료 교환 제어 장치(5)로 제어되는 기구를 반입/반출 기구라고도 한다.
광학계 제어 장치(2)는 제어 장치(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고전압 제어 장치(14), 콘덴서 렌즈 제어부(15), 증폭기(16), 편향 신호 제어부(17) 및 대물 렌즈 제어부(18)를 제어한다.
인출 전극(19)에 의해, 전자원(20)으로부터 인출된 전자 빔(21)은 콘덴서 렌즈(22), 대물 렌즈(23)에 의해 집속되고, 시료 스테이지(13) 상에 배치된 웨이퍼(7)에 조사된다. 전자 빔(21)은 편향 신호 제어부(17)로부터 신호를 받은 편향기(24)에 의해 웨이퍼(7) 상을,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주사된다.
웨이퍼(7)에의 전자 빔(21)의 조사에 기인하여, 웨이퍼(7)로부터 방출되는 2차 하전 입자(25)는 2차 전자 변환 전극(27)에 의해, 2차 전자(35)로 변환되고, 그 2차 전자(35)는 2차 하전 입자 검출기(36)에 의해 포착되고, 증폭기(16)를 통해 표시/편집 장치(26)의 표시 화면의 휘도 신호로서 사용된다.
또한, 표시/편집 장치(26)의 편향 신호와, 편향기(24)의 편향 신호를 동기시킴으로써, 표시/편집 장치(26)에는 웨이퍼 상의 패턴 형상을 재현할 수 있다.
<동작>
(1) 반입 동작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입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검사 장치의 반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 로크실(9)을 복수 갖는 구성이며, FOUP(6)를 복수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이다. FOUP(6) 내의 웨이퍼(7)가 시료실(12)로 반입된다(이후, 「반입 동작」이라고 한다). 반입 동작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의 동작을 순서대로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FOUP(6)의 도어(40)를 개방한다(스텝 SCI1). FOUP(6) 내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스텝 SCI2). 반송용 로봇(8)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게이트 밸브(10)의 바로 앞까지 이동한다(스텝 SCI3). 로드 로크실(9) 내를 대기 상태로 한다(스텝 SCI4). 게이트 밸브(10)를 개방한다(스텝 SCI5).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홀더(50)에 반입한다(스텝 SCI6). 게이트 밸브(10)를 폐쇄한다(스텝 SCI7). 로드 로크실(9)을 진공 상태로 한다(스텝 SCI8). 로드 로크실(9)의 게이트 밸브(11)를 개방한다(스텝 SCI9). 스테이지(13)를 로드 로크실(9)측으로 이동한다(스텝 SCI10). 홀더(50)의 웨이퍼(7)를 스테이지(13)에 반입한다(스텝 SCI11). 게이트 밸브(11)를 폐쇄한다.
(2) 계측 동작
그 후, 웨이퍼(7) 상에 존재하는 패턴의 치수를 계측한다.
(3) 반출 동작
시료실(12) 내에서 계측이 종료된 웨이퍼(7)는 FOUP(6)에 회수된다(이후, 「반출 동작」이라고 한다). 반출 동작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의 동작을 순서대로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테이지(13)를 로드 로크실(9)측으로 이동한다(스텝 SCO1). 게이트 밸브(11)를 개방한다(스텝 SCO2). 스테이지(13)의 웨이퍼(7)를 홀더(50)에 반출한다(스텝 SCO3). 게이트 밸브(11)를 폐쇄한다(스텝 SCO4). 로드 로크실(9) 내를 대기 상태로 한다(스텝 SCO5). 게이트 밸브(10)를 개방한다(스텝 SCO6). 홀더(50) 상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스텝 SCO7). 게이트 밸브(10)를 폐쇄한다(스텝 SCO8). 로드 로크실(9)을 진공 상태로 한다(스텝 SCO9).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FOUP(6)에 회수한다(스텝 SCO10). FOUP(6)의 도어(40)를 폐쇄한다(스텝 SCO11).
<발진원의 특정 방법>
웨이퍼면 상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반입 동작 또는 반출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중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특정 부위의 동작을 고의로 반복함으로써 발진을 촉진하여 발진원을 특정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의 일람표(라이브러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부품이란, 반입 동작 및 반출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단체로 실행 가능하게 한 단위이다. 이들 소프트웨어 부품은, 제어 장치(1) 내의 하드 디스크나 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억 장치(44)에 등록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부품의 기억 장치(44)에의 등록은, 장치를 유저에게 납입하기 전에, 늦어도 후술하는 스크립트의 편집이나 실행을 하기 전까지 등록된다. 반입 동작이나 반출 동작 내의 특정 부위를 반복하는 동작을 만들기 위해서는, 표시/편집 장치(26) 상에서 소프트웨어 부품을 편집하여 스크립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스크립트라 함은, 소프트웨어 부품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는 통일성 있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간이 프로그램이다. 스크립트도 소프트웨어 부품과 마찬가지로 기억 장치(44)에 등록해 둘 수도 있다. 스크립트의 기억 장치(44)에의 등록은, 장치를 유저에게 납입하기 전에, 늦어도 서비스 엔지니어가 발진원의 특정을 위해 스크립트의 실행을 하기 전까지 등록된다. 스크립트는, 제어 장치(1) 내의 CPU(중앙 처리 장치)(45)에 의해 실행된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합하여 작성한 스크립트와 발진용 반복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 스크립트(스크립트 a)(46a)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도어(40)를 개방한다(FP-OP). FOUP(6) 내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FP-RO pos). 여기서, 「pos」는 FOUP(6) 내의 웨이퍼의 위치(Slot 번호)를 지정한다. 반송용 로봇(8)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게이트 밸브(10)의 바로 앞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RO-LB1). 로드 로크실(9) 내를 대기 상태로 한다(LC1-AR). 게이트 밸브(10)를 개방한다(GB11-OP).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홀더(50)에 반입한다(RO-LC1). 본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10)를 개방하는 동작(GB11-OP)과 게이트 밸브(10)를 폐쇄하는 동작(GB11-CL)을 지정 횟수 반복한다. 제1 스크립트(46a) 내의 REPEAT count와 NEXT의 소프트웨어 부품을 실행함으로써, 지정 횟수를 반복한다. 지정 횟수는, 스크립트 작성자가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제1 스크립트(46a)의 동작의 목적은, 게이트 밸브(10)의 개폐 동작에 의한 발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게이트 밸브(10)의 개폐 동작으로 이물질이 발진한 경우에는, 홀더(50)에 있는 웨이퍼(7)에 이물질이 부착된다. 이물질이 부착된 웨이퍼(7)는 지정 횟수의 반복 동작 종료 후에 다음의 동작에 의해 FOUP(6)에 회수된다. 홀더(50)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LC1-RO). 게이트 밸브(10)를 폐쇄한다(GB11-CL). 로드 로크실(9)을 진공 상태로 한다(LC1-EV).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FOUP(6)에 회수한다(RO-FP pos). 도어(40)를 폐쇄한다(FP-CL).
도 5에 나타내는 제2 스크립트(스크립트 b)(46b)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도어(40)를 개방한다(FP-OP). FOUP(6) 내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FP-RO pos). 반송용 로봇(8)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게이트 밸브(51)의 바로 앞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RO-LB1). 로드 로크실(52) 내를 대기 상태로 한다(LC2-AR). 게이트 밸브(51)를 개방한다(GB21-OP).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홀더(53)에 반입한다(RO-LC2). 게이트 밸브(51)를 폐쇄한다(GB21-CL). 로드 로크실(52)을 진공 상태로 한다(LC2-EV). 스테이지(13)를 로드 로크실(52)측으로 이동한다(ST-MV2). 게이트 밸브(54)를 개방한다(GB22-OP). 본 상태에서, 홀더(53) 상의 웨이퍼(7)를 스테이지(13)에 반입한다(LC2-SC). 스테이지(13)의 웨이퍼(7)를 홀더(53)에 반출한다(SC-LC2). 동작을 지정 횟수 반복한다. 제2 스크립트(46b)의 동작의 목적은, 홀더(53)의 반입과 반출을 반복함으로써 발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지정 횟수의 반복 동작 종료 후, 웨이퍼(7)는 FOUP(6)에 회수된다. 웨이퍼(7)가 FOUP(6)에 회수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스크립트 b의 NEXT 이후의 소프트웨어 부품의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 동작은,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제3 스크립트(스크립트 c)(46c)는,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도어(40)를 개방한다(FP-OP). FOUP(6) 내의 웨이퍼(7)를 반송용 로봇(8)으로 취출한다(FP-RO pos). 반송용 로봇(8)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게이트 밸브(51)의 바로 앞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RO-LB1). 로드 로크실(52) 내를 대기 상태로 한다(LC2-AR). 게이트 밸브(51)를 개방한다(GB21-OP). 반송용 로봇(8)에 보유 지지하고 있는 웨이퍼(7)를 홀더(53)에 반입한다(RO-LC2). 게이트 밸브(51)를 폐쇄한다(GB21-CL). 로드 로크실(52)을 진공 상태로 한다(LC2-EV). 스테이지(13)를 로드 로크실(52)측으로 이동한다(ST-MV2). 본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54)를 개방한다(GB22-OP). 홀더(53) 상의 웨이퍼(7)를 스테이지(13)에 반입한다(LC2-SC). 스테이지(13)의 웨이퍼(7)를 홀더(53)에 반출한다(SC-LC2). 게이트 밸브(54)를 폐쇄한다(GB22-CL). 동작을 지정 횟수 반복한다. 제3 스크립트(46c)의 동작의 목적은, 홀더(53)의 반입, 반출 동작과 게이트 밸브(54)의 개폐 동작을 조합한 경우의 발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지정 횟수의 반복 동작 종료 후, 웨이퍼(7)는 FOUP(6)에 회수된다. 웨이퍼(7)가 FOUP(6)에 회수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의 제3 스크립트(46c)의 LC2-AR 이후의 소프트웨어 부품은 도 5의 제2 스크립트(46b)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스크립트(46b)와 도 6에 나타내는 제3 스크립트(46c)의 차이와 같이, 반복하는 기구의 조합을 바꿈으로써, 발진 부위와 원인 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효율을 고려한 발진용 반복 동작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동작은, 도 4에 나타내는 제1 스크립트(46a)와 도 5에 나타내는 제2 스크립트(46b)를 조합한 것이다.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도 7과 같이 반복 동작은, 복수의 동작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처리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 레시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라 함은, FOUP(6) 내의 각 웨이퍼에 대해 도 4, 도 5, 도 6 등에 나타낸 스크립트를 할당하여, 하나의 실행 형식으로서 기억 장치(44)에 등록한 것이다. FOUP(6) 내에 복수의 웨이퍼가 존재하고, 하측으로부터 Slot 1, Slot 2∼Slot n과 같이 오름차순으로 번호 부여가 이루어져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Slot 1에 스크립트 a, Slot 5에 스크립트 b, Slot n에 스크립트 c를 할당함으로써, 그것을 하나의 레시피로 한다. 본 레시피를 실행하면, Slot 1의 웨이퍼를 FOUP(6)로부터 취출하여, 도 4에 나타낸 스크립트 a의 동작을 지정 휫수분 반복한다. 스크립트 a의 동작의 개시와 동시에 Slot 5의 웨이퍼를 FOUP(6)로부터 취출하여, 도 5에 나타낸 스크립트 b의 동작을 지정 횟수분 반복한다. Slot 5의 웨이퍼에 대한 동작이 종료되고, FOUP(6)에 회수(스크립트 b의 동작이 종료) 후, Slot n의 웨이퍼를 FOUP(6)로부터 취출하고 도 6에 나타낸 스크립트 c의 동작을 지정 횟수분 반복한다. 스크립트 c의 동작이 종료되어 FOUP(6)에 웨이퍼가 회수되면 레시피는 종료로 된다.
도 9는 도 8의 이물질 발진 레시피를 한창 실행하고 있는 도중의 표시/편집 장치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편집 장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화면(26D)에는, FOUP(6) 내의 Slot 번호와 Slot 번호에 할당한 스크립트 명칭과 현재의 동작 횟수를 표시한다. 현재의 동작 횟수는, 1회의 반복 동작이 행해질 때마다 갱신된다. 또한,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서 현재 반복 동작을 행하고 있는 부위를 표시한다. GUI에 의해 화면(26D)에 표시한 정보로부터,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부위와 레시피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GUI에 의해, FOUP(6) 내의 Slot 번호에 할당하는 스크립트와 동작 횟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에 있어서, 복수의 부위를 포함하는 반입 및 반출 기구의 각각의 부위의 동작을 반복하는 스크립트를 각 Slot에 할당한다. 각 Slot에 저장된 웨이퍼를 이물질 검사 장치로 조사하여, 이물질이 부착된 웨이퍼를 발견하였을 때는, 그 웨이퍼가 저장된 Slot에 대응하는 스크립트로부터, 발진 부위(발진원)를 특정할 수 있다.
<발진 원인 특정 시스템>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의 발진 원인을 특정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시스템(DFA)은, 반도체 검사 장치(제1 장치)(101)와 이물질 검사 장치(제2 장치)(102)와 발진 요인 분석 장치(제3 장치)(103)를 포함한다. 발진 요인 분석 장치는, CPU와 기억 장치와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된다. 단, 이물질 검사 장치(102)의 기능과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의 기능을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 집약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의 기능을 반도체 검사 장치(101)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의 기능을 반도체 검사 장치(101) 및 이물질 검사 장치(102) 등의 장치를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 내의 CPU와 기억 장치와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는, 도 8에 기재한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를 갖고 있고,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의 동작을 종료하면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웨이퍼(7WFO)를 출력한다. 웨이퍼(7WFO)는, 이물질 검사 장치(102)에 의해 처리되고, 웨이퍼(7WFO)에 대한 Slot 번호와 이물질 맵과 원소 분석 결과 등의 데이터 IDATA1을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에 출력하는 데이터 IDATA1은,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의 입력으로 된다.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 내에는,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제1 데이터베이스)(104)와 장치 유수명품(有壽命品) 관리 데이터베이스(제2 데이터베이스)(105)가 있다. 장치 유수명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05)는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와는 별도의 장치(제4 장치) 내에 있어도 된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는 Slot 번호와 스크립트 명칭과 장치 유수명품 관리 정보 등의 데이터 IDATA2를 발진 요인 분석층(103)에 출력한다. 장치 유수명품 관리 정보에는 유수명품의 장치 구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진 요인 가능성 데이터베이스(104)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는 이물질 맵(1041)과, 원소 분석 결과(1042)와, 원소 분석 결과에 대한 발진 기구·원인(1043)과, 대처 방법(1044)이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에는, 과거에 발생한 이물질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는 이물질 검사 장치(102)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인 이물질 맵 및 원소 분석 결과와,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에 축적되어 있는 이물질 맵(1041) 및 원소 분석 결과(1042)를 대조하여, 발진 개소와 가능성이 있는 발진 기구·원인과 대처 방법(대책의 후보)을 포함하는 분석 결과(AR)를 출력한다(표시한다). 이물질 맵에서는, 웨이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의 분포, 이물질의 크기와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되어 있는 이물질의 분포, 이물질의 크기를 대조한다. 원소 분석에서는, 웨이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의 원소와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되어 있는 이물질의 원소의 대조를 행한다. 본 대조에 의해, 이물질의 발진 부위(발진 개소)와 발진 원인을 용이하게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 발진원을 특정할 때까지의 프로세스가 확립되므로, 원인 구명과 처치(대처)에 다대한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유수명품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기재된 도면이다.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는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의 기구의 유수명품(1051)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1052)을 등록한 것이다.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를 설정한 이유는,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지 않는 경우, 그 수명품의 마모가 계기로, 이물질을 발진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이다. 예를 들어,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는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의 유수명품 A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 ea와 반도체 검사 장치(101)로부터 취득한 장치 구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nn을 비교하고, nn이 ea 이상이면, 유수명품 A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유수명품 B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 eb와 nn을 비교한다. nn이 eb 이상이면, 유수명품 B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의 유수명품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과 장치 구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비교하여,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메인터넌스 대상 유수명품)(MP)을 아나운스한다(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수명품의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발진원과 발진 원인의 가능성을 알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 내에서,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를 실행한다(스텝 S1). 1 슬롯(Slot)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Slot 번호와 스크립트 명칭을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에 전송한다(스텝 S2). 다음으로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의 실행이 전체 Slot분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3). 이것은, 도 9에 나타내는 스크립트가 모두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모두 종료되면, 이물질 발진 레시피(100)의 실행이 종료된 FOUP(6)를 이물질 검사 장치(102)에 반입한다(스텝 S4). 이물질 검사 장치(102)에서는, FOUP(6) 내 모든 웨이퍼에 대한 이물질 검사를 실시한다(스텝 S5). 웨이퍼 상의 이물질수는, 규정수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규정수는 유저에 의해 상이하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웨이퍼 상의 이물질수가 규정수 이상인 경우에는, 웨이퍼의 Slot 번호와 웨이퍼 상의 이물질 맵 데이터와 이물질 원소 분석 결과를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에 전송한다(스텝 S7). 본 처리(스텝 S5, S6, S7)는 FOUP(6) 내 모든 웨이퍼에 대한 이물질 검사가 종료될 때까지 행한다(스텝 S8). 모든 웨이퍼에 대해 웨이퍼 상의 이물질 맵, 이물질 원소 분석 결과와 발진 요인 데이터베이스(104) 내의 이물질 맵, 이물질 원소 분석 결과 데이터의 대조를실시하고(스텝 S9),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 내에 발진 기구·원인·대처 방법을 표시한다(스텝 S10).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을 추출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반도체 검사 장치(101)로부터 현재의 반도체 검사 장치의 구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취득한다(스텝 S20). 다음으로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과 스텝 S20에서 취득한 시간을 비교한다(스텝 S21). 반도체 검사 장치(101)로부터 취득한 장치 구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 이상의 유수명품이 있는지를 판단하고(스텝 S22). 수명 시간을 초과한 유수명품이 있으면, 메인터넌스를 권장하는 유수명 품명을 표시한다(스텝 S23). 상기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의 추출은, 발진 요인 분석 장치(103)가 행하지만, 장치 유수명 시간 관리 데이터베이스(105)를 별도의 장치(제4 장치) 내에 설정하여, 그 장치(제4 장치)에서 행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200 : 장치
201 : 제어 장치
212 : 시료실
246 : 스크립트
254 : 반입/반출 기구
201 : 제어 장치
212 : 시료실
246 : 스크립트
254 : 반입/반출 기구
Claims (14)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물질 발진원의 발진 원인을 특정하는 시스템은,
이물질 발진 레시피를 갖는 제1 장치와,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2 장치와,
제1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제3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과거에 발생한 이물질 맵과 원소 분석 결과와 발진 기구와 원인이 축적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치는, 제어 장치와, 시료를 처리하는 시료실과, 상기 시료실에 상기 시료를 반입 및 반출하는 기구를 갖고,
상기 기구는 복수의 부위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복수의 부위에 동작을 실행시키는 복수의 스크립트로 구성되는 상기 이물질 발진 레시피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이물질 발진 레시피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구의 복수의 부위 중 특정한 부위가 반복 동작하게 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립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부위가 반복 동작하여, 상기 시료에 이물질을 부착시키고,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시료의 이물질을 분석하고, 이물질 맵과 원소 분석 결과를 상기 제3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3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과거에 발생한 이물질 맵 및 원소 분석 결과와, 상기 전송된 이물질 맵 및 원소 분석 결과를 비교하고, 발진 기구와 원인을 도출하는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는 또한 과거에 발생한 이물질의 대처 방법이 축적되어 있고,
상기 제3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과거에 발생한 발진 기구 및 원인과, 상기 도출한 발진 기구 및 원인을 비교하여, 대처 방법을 도출하는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장치는, 상기 제1 장치 내의 각 기구에 있어서의 유수명품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기억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장치 수명품 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유수명품 권장 시간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취득한 장치 수명품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치 내에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 부품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을 표시하는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제4 장치를 더 갖고,
상기 제4 장치는, 상기 제1 장치 내의 각 기구에 있어서의 유수명품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기억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장치 수명품 관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유수명품 권장 시간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취득한 장치 수명품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장치 내에 메인터넌스 권장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 부품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메인터넌스 권장 부품을 표시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15938 | 2013-01-30 | ||
JP2013015938A JP6383522B2 (ja) | 2013-01-30 | 2013-01-30 | 異物を発塵させる装置および発塵要因分析装置 |
PCT/JP2014/051522 WO2014119483A1 (ja) | 2013-01-30 | 2014-01-24 | 異物を発塵させる装置および発塵要因分析装置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0793A Division KR101950659B1 (ko) | 2013-01-30 | 2014-01-24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9813A KR20150099813A (ko) | 2015-09-01 |
KR101899639B1 true KR101899639B1 (ko) | 2018-09-17 |
Family
ID=512621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0793A KR101950659B1 (ko) | 2013-01-30 | 2014-01-24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KR1020157019629A KR101899639B1 (ko) | 2013-01-30 | 2014-01-24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0793A KR101950659B1 (ko) | 2013-01-30 | 2014-01-24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748742B2 (ko) |
JP (1) | JP6383522B2 (ko) |
KR (2) | KR101950659B1 (ko) |
TW (1) | TWI532072B (ko) |
WO (1) | WO20141194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207767A (ja) * | 2015-04-20 | 2016-12-08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基板処理システム |
KR102560322B1 (ko) * | 2020-09-18 | 2023-07-28 |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 진공 처리 장치의 이물 측정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9108A (ja) * | 1999-03-15 | 2000-09-29 | Sharp Corp | 半導体製造装置の管理システム |
JP2005197437A (ja) * | 2004-01-07 | 2005-07-21 | Trecenti Technologies Inc | 検査データ処理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検査データ処理システム |
JP2006121030A (ja) * | 2004-03-05 | 2006-05-11 | Tokyo Electron Ltd |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06237365A (ja) * | 2005-02-25 | 2006-09-07 | Agilent Technol Inc | 半導体特性評価装置の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50409B1 (en) * | 1991-04-02 | 2003-11-18 | Hitachi, Ltd. | Semiconductor device producing metho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and semiconductor work process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same system |
JPH08111441A (ja) | 1994-10-07 | 1996-04-30 | Sony Corp | 異物の落下又は付着検査方法 |
JP3870052B2 (ja) * | 2001-09-20 | 2007-01-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欠陥検査データ処理方法 |
EP1563381A4 (en) * | 2002-11-12 | 2009-10-28 | Fei Co | DEFECT ANALYZER |
US20050233477A1 (en) | 2004-03-05 | 2005-10-20 | Tokyo Electron Limited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WO2011155122A1 (ja) * | 2010-06-07 | 2011-12-15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回路パターン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
US20140014036A1 (en) * | 2011-03-30 | 2014-01-16 | Sharp Kabushiki Kaisha | Deposition particle emitting device, deposition particle emission method, and deposition device |
US8888086B2 (en) * | 2011-05-11 | 2014-11-18 | Sematech, Inc. | Apparatus with surface protector to inhibit contamination |
US9746849B2 (en) * | 2012-11-09 | 2017-08-29 | Tokyo Electr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tool parameter impact identifica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US9405289B2 (en) * | 2012-12-06 | 2016-08-02 | Tokyo Electr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identification of particle contamination due to isolated process events and systematic trends |
-
2013
- 2013-01-30 JP JP2013015938A patent/JP6383522B2/ja active Active
- 2013-12-04 TW TW102144413A patent/TWI532072B/zh active
-
2014
- 2014-01-24 WO PCT/JP2014/051522 patent/WO20141194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1-24 KR KR1020187020793A patent/KR1019506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24 KR KR1020157019629A patent/KR1018996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24 US US14/762,689 patent/US1074874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9108A (ja) * | 1999-03-15 | 2000-09-29 | Sharp Corp | 半導体製造装置の管理システム |
JP2005197437A (ja) * | 2004-01-07 | 2005-07-21 | Trecenti Technologies Inc | 検査データ処理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検査データ処理システム |
JP2006121030A (ja) * | 2004-03-05 | 2006-05-11 | Tokyo Electron Ltd |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06237365A (ja) * | 2005-02-25 | 2006-09-07 | Agilent Technol Inc | 半導体特性評価装置の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0659B1 (ko) | 2019-02-20 |
US20150371817A1 (en) | 2015-12-24 |
WO2014119483A1 (ja) | 2014-08-07 |
US10748742B2 (en) | 2020-08-18 |
KR20150099813A (ko) | 2015-09-01 |
JP2014146764A (ja) | 2014-08-14 |
KR20180085070A (ko) | 2018-07-25 |
JP6383522B2 (ja) | 2018-08-29 |
TWI532072B (zh) | 2016-05-01 |
TW201443974A (zh) | 2014-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52653B2 (en) | Single tool defect classification solution | |
KR102088734B1 (ko) | 검사 장치 | |
TWI491873B (zh) | 檢查方法、檢查裝置及電子線裝置 | |
US7157703B2 (en) | Electron beam system | |
TWI397096B (zh) | 試料表面檢查方法及檢查裝置 | |
US10970834B2 (en) | Defect discovery using electron beam inspection and deep learning with real-time intelligence to reduce nuisance | |
JP6152281B2 (ja) | パターン検査方法及びパターン検査装置 | |
US20220253999A1 (en) | EBeam Inspection Method | |
KR101899639B1 (ko) | 이물질을 발진시키는 장치 및 발진 요인 분석 장치 | |
US10134560B2 (en) | Multi-stage/multi-chamber electron-beam inspection system | |
US9727799B2 (en) | Method of automatic defect classification | |
JP4279689B2 (ja) | 電子ビーム装置 | |
JP6511570B2 (ja) | 異物を発塵させる装置および発塵要因分析装置 | |
US20100211202A1 (en) | Method and machine for examining wafers | |
CN105702597A (zh) | 多工作台或多腔体检测系统 | |
KR20230052849A (ko) | 어레이를 위한 설계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 앵커링 | |
KR20230052902A (ko) | 하전 입자 검사 장치 | |
JP2014211417A (ja) | パターン検査装置及びパターン検査方法 | |
JP2012243831A (ja) | パターン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
US20050048678A1 (en) | Radiation damage reduction | |
Satake et al. | Electron beam inspec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wafer based on projection electron microscopy | |
Bordogna et al. | Novel post-lithography macro inspection strategies for advanced legacy fab challenges | |
JP2008147679A (ja) | 電子線応用装置 | |
US20190005638A1 (en) | Broad band plasma inspection based on a nuisance map | |
Lee et al. | Accelerating litho technology development for advanced design node flash memory FEOL by next-generation wafer inspection and SEM review platfor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