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57B1 -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557B1
KR101899557B1 KR1020180006201A KR20180006201A KR101899557B1 KR 101899557 B1 KR101899557 B1 KR 101899557B1 KR 1020180006201 A KR1020180006201 A KR 1020180006201A KR 20180006201 A KR20180006201 A KR 20180006201A KR 101899557 B1 KR101899557 B1 KR 10189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upport
bevel gear
rotation
transmis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학
문종원
박태신
황호성
Original Assignee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01F15/002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i.e.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and about a su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2Measuring of the driving system data, e.g. torque, speed or power data
    • B01F7/18
    • B01F7/22
    • B01F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215/00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대형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의 고정지지대와 상부의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대형솥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암(arm)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암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대형솥에 담긴 음식을 교반하기 위한 임펠러부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부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전달샤프트를 갖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아이들(Idle)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전달샤프트의 중심이 상기 대형솥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Stirring Cooker}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음식점, 호텔을 포함하여 학교, 병원과 같이 단체급식이 필요하거나 많은 양의 음식을 한꺼번에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대용량의 음식 조리에 적합한 다양한 대형 조리기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대형 조리기구 중에서, 국, 탕 또는 볶음 등의 음식물을 가열하에서 교반하면서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대형솥, 대형솥을 덮는 뚜껑, 대형솥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장치, 대형솥의 하부에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가 일체화된 교반조리장치가 있다.
그런데, 기존의 교반조리장치는 대형솥과 교반장치가 일체형이어서 교반장치를 대형솥의 형태와 규격에 맞게 제작하므로, 음식물의 교반 기능은 우수한 반면, 주방에 설치된 교반조리장치가 노후화되어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 신규로 대형솥과 교반장치가 일체화된 교반조리장치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 교반조리장치를 철거하는 비용 및 신규 교반조리장치를 구입하는 비용 등을 감안할 때,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비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교반조리장치에서 교체해야 할 대형솥 또는 교반장치를 제조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조사 마다 대형솥 또는 교반장치의 형상이나 규격이 상이하여 상호 호환되지 않아 교반조리장치의 고유 기능인 음식물의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형솥과 교반장치 상호간의 형상 및 규격을 맞추기 위해 동일 제조사 또는 별도의 주문방식을 통해 구입하더라도, 기존 교반조리장치에서 대형솥과 교반장치를 강제로 분리해야 하고, 구입한 대형솥 또는 교반장치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시켜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솥에 대한 교반장치의 센터링을 맞추기가 쉽지 않고, 센터링 오류가 발생할 경우 임펠러에 의한 음식물의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센터링 오류가 심할 경우 임펠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형솥과 교반장치가 일체화된 기존의 교반조리장치는, 음식물의 교반 기능은 우수할지 모르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교체가 필요할 경우 다양한 문제가 수반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이고, 운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교반조리장치라 할 수 있다.
현재 경제적으로 열악한 대부분의 단체급식 주방에는 대형솥에 교반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음식물을 조리자가 수작업으로 교반함에 따른 피로감, 안전사고 등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솥과 교반장치가 일체화된 교반조리장치로 대체하려 해도,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쉽게 과도한 투자를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며, 대형솥 내부 형상에 맞게 수직으로 교반샤프트와 임펠러를 연결하여 대형솥내 임펠러가 자전운동만을 하는 단순 구조의 교반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음식물의 교반 기능 저하로 조리자의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사 마다 상이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다양한 대형솥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장치 설치 시 임펠러부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의 전달샤프트 중심이 대형솥의 중심에 일치되지 않더라도 운전 중에 자동으로 센터링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부를 동력전달부로부터 장탈착 가능하게 하여 임펠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반장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대형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의 고정지지대와 상부의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대형솥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암(arm)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암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대형솥에 담긴 음식을 교반하기 위한 임펠러부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부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전달샤프트를 갖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아이들(Idle)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전달샤프트의 중심이 상기 대형솥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지지대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대를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센터링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조정부는, 상기 고정지지대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어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멈춤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링조정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을 상기 대형솥의 중심에 맞추기 위해, 상기 대형솥에서 음식물을 교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스위치를 작동 온 시켜 상기 회전멈춤핀을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회전지지대가 아이들 회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상기 임펠러부가 자전공정하게 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과 상기 대형솥의 중심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대형솥 바닥면과의 마찰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회전지지대가 마찰 압력을 보상하게 위해 상기 대형솥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과 상기 대형솥의 중심이 맞춰지게 되고, 센터링 조정이 완료되면 조작스위치를 작동 오프 시켜 상기 회전멈춤핀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대형솥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이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전도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하전도부는, 상기 암부의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부의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신축 가능한 에어쿠션; 및 상기 암부를 원하는 각도로 상하 회전 및 고정하도록, 상기 암부의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며, 끝단에 상기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샤프트 단부에 마련되는 제1베벨기어; 제1전달샤프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와 90도 각도의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1전달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베벨기어; 및 제2전달샤프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3베벨기어와 편각을 갖도록 연결되는 제4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전달샤프트는, 일단부가 상기 암부의 타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상기 암부의 타측 하면 및 베벨기어하우징 중앙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벨기어하우징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에 전달하면서 상기 제3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제2전달샤프트에 전달하고, 상기 제2전달샤프트는, 일단부가 상기 베벨기어하우징 일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편각방향으로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의 일측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3베벨기어에 연결되는 상기 제4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타단부가 상기 임펠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부를 자전 운동시키고,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은, 상기 암부의 타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전달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달샤프트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부를 공전 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임펠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부를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장탈착 가능하게 하는 임펠러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제2전달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 형태의 결합홈과, 하단부에 절곡 형태의 잠금홈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임펠러부에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장탈착 가능한 결합봉과,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잠금 가능한 잠금봉과, 타단부에 상기 임펠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운동과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플라인샤프트; 및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하단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플라인 기어 구동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상기 임펠러부가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임펠러부가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봉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잠금봉은, 상기 결합봉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부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임펠러연결부의 상기 연결브라켓과 일정 각도로 회전 유동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 각각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임펠러힌지로 연결되며,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임펠러각도조정홀과,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헤라각도조정홀이 형성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함께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 각각에 임펠러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각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방지스토퍼; 및 상기 임펠러의 양측 각각에 헤라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헤라각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헤라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봉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회전관절; 상기 임펠러각도조정홀과 상기 제1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회전관절; 및 상기 헤라각도조정홀과 상기 제2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라브라켓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3회전관절을 포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대형솥과 일체화로 제작하지 않고 별개로 제작하되, 대형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사 마다 상이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다양한 대형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에 설치된 대형솥의 추가 제작 또는 교체가 필요 없어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설치 시 임펠러부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의 전달샤프트 중심이 대형솥의 중심에 일치되지 않더라도 운전 중에 자동으로 센터링을 맞출 수 있는 메커니즘을 센터링조정부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대형솥에 대하여 동력전달부의 센터링 불일치로 인한 음식물 교반 기능 저하 및 임펠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임펠러부를 동력전달부로부터 장탈착 할 수 있는 임펠러연결부를 동력전달부와 임펠러부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대형솥에서 조리되는 다양한 조리내용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의 임펠러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는, 임펠러부가 대형솥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접촉할 수 있고, 다양한 대형솥에 따라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임펠러부가 항상 대형솥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할 수 있는 임펠러연결부를 동력전달부와 임펠러부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교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대형솥에 대한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설치된 교반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상하전도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센터링조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동력전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센터링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설치된 교반조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상하전도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센터링조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동력전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서 임펠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센터링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는, 국, 탕 또는 볶음 등의 음식물 교반에 사용되는 장치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대형솥(2), 대형솥(2)을 덮는 뚜껑(3), 대형솥(2)의 하부에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4)가 주방에 설비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자동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대형솥(2)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본 발명의 교반장치(10)를 대형솥(2)과 간접 연결되도록 설치함에 의해 주방에 교반조리장치(1)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교반장치(10)는, 제조사 마다 상이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다양한 용량의 대형솥(2)에 적용될 수 있으며, 지지부(100), 암부(200), 구동부(300), 동력전달부(400), 임펠러연결부(500), 임펠러부(600), 센터링조정부(700), 상하전도부(800), 조작부(9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대형솥(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후술할 암부(200)를 지지하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지지대(110), 회전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는 대형솥(2)가 일체형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부(100)는 대형솥(2)하고 바닥면을 통해 간접 연결될 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고정지지대(110)는,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회전지지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지지대(110)는, 주방에 설치되는 대형솥(2)의 높이가 다름을 고려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120)는, 고정지지대(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암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대(120)는, 고정지지대(11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후술할 센터링조정부(700)에 의해 좌우로 회전될 수 있으며, 조리자가 수작업을 필요로 할 때 후술할 암부(200)를 좌우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회전지지대(120)는, 후술할 센터링조정부(700)에 의해 고정지지대(110)에 대하여 아이들(Idle)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후술할 임펠러부(600)의 자전 및 공전 회전 운동에 의하여 후술할 동력전달부(400)를 구성하는 전달샤프트의 중심이 대형솥(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암(arm)부(200)는, 지지부(100)의 회전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지지부(100)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대형솥(2)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부(200)는, 회전지지대(120)를 축으로 후술할 센터링조정부(700) 및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에 의해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암부(200)는, 몸체(210), 지지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210)는, 회전지지대(120)에 의해 지지 될 수 있으며, 지지부(100)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대형솥(2)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210)는, 후술할 구동부(300) 및 후술할 동력전달부(400)의 일부 구성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 공간이 마련되는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회전지지대(120)를 축으로 상하좌우로 회전 가능하며, 일측 하면이 후술할 지지브라켓(220)에 의해 회전지지대(12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 하면에 후술할 동력전달부(400)의 다른 일부 구성을 수용하는 베벨기어하우징(470)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20)은, 몸체(210)의 일측 하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지지대(120)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몸체(210)를 지지하면서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에 의해 몸체(210)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지지브라켓(220)에는,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에 의해 몸체(210)가 상하로 회전한 상태에서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의 고정핀(821)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고정핀(821)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221)이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암부(200)는, 지지부(100)의 회전지지대(12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에 의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조리자가 수작업을 필요로 할 때 상하로 회전 이동된다. 즉, 조리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수작업으로 음식물을 손질해야 하거나 음식물을 대형솥(2)으로부터 퍼내야 할 경우, 후술할 상하전도부(800)에 의해 암부(2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후술할 센터링조정부(700)에 의해 회전지지대(1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조리자가 대형솥(2)을 대상으로 수작업 함에 있어 교반장치(10)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30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300)는, 암부(200)의 몸체(2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동력전달부(400)를 통해 후술할 임펠러부(600)로 동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자전공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암부(200)의 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동부(300)는, 후술할 조작부(900)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310), 구동샤프트(321, 322, 323), 유니버셜조인터(330), 지지베어링(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31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암부(200)의 몸체(210) 일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310)는, 후술할 조작부(900)의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전기모터와 감속기 일체형인 기어드 감속모터일 수 있다.
구동샤프트(321, 322, 323)는, 구동모터(31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0)에서 발생된 동력을 후술할 동력전달부(4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예를 들어, 제1구동샤프트(321), 제2구동샤프트(322), 제3구동샤프트(323)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구동샤프트(321)는 구동모터(3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제2구동샤프트(322)는 제1구동샤프트(321)와 어긋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3구동샤프트(323)는 제2구동샤프트(322)와 어긋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구동샤프트(323)의 단부에는 후술할 동력전달부(400)의 제1베벨기어(4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3개의 구동샤프트(321, 322, 323)에 의해 구동모터(310)의 동력을 후술할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구동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연결구성 또한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니버셜조인터(330)는, 복수 개의 샤프트가 어긋난 상태에서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연결부재로, 제1구동샤프트(321)와 제2구동샤프트(322) 사이 및 제2구동샤프트(322)와 제3구동샤프트(323)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지베어링(340)은, 후술할 동력전달부(400)에 최종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샤프트(32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0)는,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0)는, 암부(200의 전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대형솥(2)에 담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부(3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할 임펠러부(600)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복수 개의 베벨기어와 복수 개의 전달샤프트를 갖는다.
동력전달부(400)는, 구동부(3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임펠러부(6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이 암부(200)의 몸체(210) 타측 내부에 수용되어 마련되고, 다른 일부 구성이 몸체(210)의 타측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0)는, 복수 개의 베벨기어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베벨기어(410), 제2베벨기어(420), 제3베벨기어(430), 제4베벨기어(440), 제1전달샤프트(450), 제2전달샤프트(460), 베벨기어하우징(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베벨기어(410)는, 구동부(300)의 구동샤프트(321, 322, 323) 중에서 제3구동샤프트(323)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베벨기어(420)와 90도 각도의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베벨기어(410)는, 구동부(300)의 동력을 후술할 제2베벨기어(4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베벨기어(420)는, 후술할 제1전달샤프트(45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베벨기어(410)와 90도 각도의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베벨기어(420)는, 제1베벨기어(41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제1전달샤프트(4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베벨기어(410) 및 제2베벨기어(420) 각각은, 암부(200)의 몸체(210) 타측 내부에 수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는 직각베벨기어로서 구동부(300)의 동력이 수직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제3베벨기어(430)는, 후술할 제1전달샤프트(45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4베벨기어(440)와 일정각도의 기울기 예를 들어, 10도 내지 25도의 편각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3베벨기어(430)는, 후술할 제1전달샤프트(45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제4베벨기어(4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4베벨기어(440)는, 후술할 제2전달샤프트(46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3베벨기어(430)와 일정각도의 기울기 예를 들어, 10도 내지 25도의 편각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4베벨기어(440)는, 후술할 제1전달샤프트(45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제2전달샤프트(4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3베벨기어(430) 및 제4베벨기어(440) 각각은,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 내부에 수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베벨기어(430) 및 제4베벨기어(440) 각각은, 상호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연결되는 편각베벨기어로서 구동부(300)의 동력이 편각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며, 이로써,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대형솥(2) 내에서 자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게 한다.
제1전달샤프트(450)는, 일단부가 암부(200)의 몸체(210) 타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몸체(210) 타측 하면 및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 중앙 상면을 관통하여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1베벨기어(410)에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420)를 통해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고, 그 회전력을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베벨기어(430)를 통해 후술할 제2전달샤프트(4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전달샤프트(450)에는, 제2베벨기어(420), 제3베벨기어(430)가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제2전달샤프트(460)는, 일단부가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 일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편각방향으로 후술할 베벨기어하우징(470)의 일측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제3베벨기어(430)에 연결되는 제4베벨기어(440)를 통해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고, 타단부가 후술할 임펠러연결부(500)에 연결되어 그 회전력을 후술할 임펠러연결부(500)를 통해 후술할 임펠러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전달샤프트(460)에는, 제4베벨기어(440)가 설치될 수 있다.
베벨기어하우징(470)은, 암부(200)의 몸체(210) 타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전달샤프트(450)에 연결될 수 있다. 베벨기어하우징(470)의 내부에는 제1전달샤프트(450)의 일부, 제3베벨기어(430), 제4베벨기어(440), 제2전달샤프트(46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벨기어하우징(470)은, 제1전달샤프트(45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대형솥(2) 내에서 공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러연결부(500)는, 동력전달부(400)와 후술할 임펠러부(6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임펠러연결부(500)는, 동력전달부(400)와 후술할 임펠러부(600)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전달부(40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임펠러부(600)로 전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임펠러부(600)를 동력전달부(400)로부터 장탈착 가능하게 하여 후술할 임펠러(6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임펠러연결부(500)는, 편각방향으로 경사진 제1연결부재(510), 제2연결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10)는, 일단부가 동력전달부(400)의 제2전달샤프트(46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후술할 제2연결부재(520)와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10)는, 후술할 제2연결부재(520)가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결합홈(511), 잠금홈(512)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511)은, 후술할 제2연결부재(520)의 결합봉(521)이 삽입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제1연결부재(51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홈(512)은, 후술할 제2연결부재(520)의 잠금봉(522)이 삽입되어 잠금 가능하도록 제1연결부재(510)의 하단부에 절곡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 형태의 끝단부가 후술할 제2연결부재(520)의 잠금봉(522)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아래로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연결부재(510)는, 일단부가 제2전달샤프트(46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부위로 동력전달부(400)에 사용되는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위에 베어링 및 오일씰을 장착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520)는, 일단부가 제1연결부재(510)의 타단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부가 후술할 임펠러부(6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봉(521), 잠금봉(522), 연결브라켓(5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봉(521)은, 제1연결부재(5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홈(511)에 삽입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제2연결부재(52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재(520)를 제1연결부재(510)와 장탈착 가능하게 한다.
잠금봉(522)은, 제1연결부재(510)의 잠금홈(512)에 삽입되어 잠금 가능하도록 제2연결부재(520)의 일부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봉(521)이 결합홈(511)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봉(522)은, 제2연결부재(520)를 제1연결부재(510)와 장탈착 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523)은, 후술할 임펠러부(6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연결부재(520)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연결부재(520)는, 후술할 임펠러부(600)를 동력전달부(400)로부터 장탈착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형솥(2)에 따라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대형솥(2)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접촉할 수 있고,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항상 대형솥(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한 결합봉(521), 잠금봉(522), 연결브라켓(523)에 더하여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 스플라인샤프트(252), 완충부재(5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재(520)는, 스플라인 기어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은, 후술할 스플라인샤프트(252) 및 후술할 완충부재(526)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연결브라켓(523)은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스플라인샤프트(252)는,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의 내부에서 회전운동과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결합봉(521)은 스플라인샤프트(252)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잠금봉(522)은 결합봉(521)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526)는,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의 내부에 마련되며, 스플라인샤프트(252)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완충부재(526)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연결부재(520)를 스플라인 구동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스플라인샤프트(252)와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간에 원활한 유동을 위해 윤활유를 넣게 되는데, 식품 조리 위생상 윤활유의 유출방지를 위해 스플라인샤프트(252)와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524)간에 플레시블 호스(도시하지 않음)로 커버를 씌울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스플라인샤프트(252)가 상하운동이 가능하고 또한 완충부재가 하단에 장착되어 있어,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대형솥(2)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접촉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대형솥(2)에 따라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후술할 임펠러부(600)가 항상 대형솥(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될 수 있게 한다.
임펠러부(600)는, 제2연결부재(520)의 연결브라켓(523)에 연결되어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을 하면서 대형솥(2)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으며, 대형솥(2)에서 조리되는 다양한 조리내용에 적합하도록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임펠러부(600)는, 지지봉(610), 고정브라켓(620), 임펠러(630), 회전방지스토퍼(640), 헤라브라켓(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봉(610)은, 후술할 임펠러(6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봉(610)의 중앙 부분에는 후술할 고정브라켓(6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610)의 양 단부에는 후술할 회전방지스토퍼(640) 및 후술할 임펠러(630)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620)은, 지지봉(610)의 중앙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620)은, 후술할 임펠러연결부(500)의 제2연결부재(520)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523)과 결합되어 지지봉(61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620)은, 연결브라켓(523)과 일정 각도로 회전 유동을 두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봉(610)이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620)과 연결브라켓(523)은 지지봉(610)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임펠러부(600)의 제1회전관절이라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관절에 의해 지지봉(61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임펠러(630) 및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에 장착되는 헤라(HR)의 각도에 변화를 줄 수 있어, 다양한 대형솥(2)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상이하더라도 음식물의 교반 기능 저하 없이 조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형솥(2)에 대한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임펠러(630)는, 지지봉(610)의 양단부 각각에 임펠러힌지(631)로 힌지 결합되어 지지봉(610)의 양단부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임펠러(630) 각각은, 임펠러힌지(631)와 힌지 결합되므로,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데,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후술할 회전방지스토퍼(640)와 함께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임펠러(630) 각각에는, 후술할 회전방지스토퍼(640)의 제1돌출부(641)에 대응되는 임펠러각도조정홀(632)이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각도조정홀(632)은, 후술할 제1돌출부(6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태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돌출부(641)는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임펠러각도조정홀(6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함에 따라 임펠러(630)가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회전방지스토퍼(640)의 제1돌출부(641)와 임펠러각도조정홀(632)은, 임펠러(630)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임펠러부(600)의 제2회전관절이라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회전관절 뿐만 아니라 제2회전관절에 의해 임펠러(63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에 장착되는 헤라(HR)의 각도에 더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다양한 대형솥(2)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상이하더라도 음식물의 교반 기능 저하 없이 조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형솥(2)에 대한 호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한 쌍의 임펠러(630) 각각에는,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의 제2돌출부(652)에 대응되는 헤라각도조정홀(633)이 형성될 수 있다. 헤라각도조정홀(633)은, 후술할 제2돌출부(6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태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돌출부(652)는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헤라각도조정홀(6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함에 따라 헤라브라켓(650)이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의 제2돌출부(652)와 헤라각도조정홀(633)은,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임펠러부(600)의 제3회전관절이라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회전관절 및 상기한 제2회전관절 뿐만 아니라 제3회전관절에 의해 헤라브라켓(65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헤라브라켓(650)에 장착되는 헤라(HR)의 각도에 더더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다양한 대형솥(2) 바닥면의 곡률반경이 상이하더라도 음식물의 교반 기능 저하 없이 조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형솥(2)에 대한 호환성을 더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회전방지스토퍼(640)는, 지지봉(610)의 양단부 각각에서 임펠러힌지(631)로 힌지 결합되는 임펠러(630)가 360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임펠러(630)와 함께 지지봉(610)의 양단부 각각에서 임펠러힌지(631)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스토퍼(640)는, 임펠러(6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제1돌출부(64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돌출부(641)는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임펠러각도조정홀(6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함에 따라 임펠러(630)가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헤라브라켓(650)은, 음식물을 교반하는 헤라(HR)가 장착될 수 있으며, 임펠러(630)의 양측 각각에 헤라힌지(651)로 힌지 결합되어 임펠러(63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헤라브라켓(650) 각각은, 헤라힌지(651)와 힌지 결합되므로,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데, 헤라브라켓(65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2돌출부(65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돌출부(652)는 임펠러(630)에 형성되는 헤라각도조정홀(6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함에 따라 헤라브라켓(650)이 일정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임펠러부(600)는, 야채 및 고기류 볶음 조리시 적용되는 것이며, 이외에도 대형솥(2)에서 조리되는 다양한 조리 내용에 적합하도록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부(600)는 짜장, 카레 등 소스류 볶음용, 볶음밥류 조리용, 고기와 양념 혼합 조리용 등 여러 조리 내용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센터링조정부(700)는, 지지부(100)의 고정지지대(110)와 회전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지지대(120)가 아이들(idle)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터링조정부(700)는, 교반장치(10)의 설치 시 임펠러부(600)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6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이 대형솥(2)의 중심에 일치되지 않더라도 운전 중에 자동으로 센터링을 맞출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710), 회전멈춤핀(720), 조작스위치(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링조정부(700)는, 임펠러부(600)의 센터링 조정뿐만 아니라, 암부(200)를 좌우로 회전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재(710)는, 지지부(100)의 고정지지대(110)와 회전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회전판과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조작스위치(730)의 조작으로 회전지지대(120)가 아이들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회전멈춤핀(720)은, 회전부재(710)에 마련되어 후술할 조작스위치(730)의 조작에 의해 회전부재(710)의 회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케이블(740)에 의해 후술할 조작스위치(730)와 연결되어 후술할 조작스위치(730)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멈춤핀(720)은, 후술할 조작스위치(730)가 작동 오프 상태일 때에는 회전부재(7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할 조작스위치(730)가 작동 온 상태일 때에는 원격 조정되어 회전부재(7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조작스위치(730)는, 회전멈춤핀(720)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스위치(730)는 조리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리자가 작업하는 대형솥(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센터링조정부(700)는, 다음과 같은 센터링 메커니즘에 의해 임펠러부(600)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을 대형솥(2)의 중심에 맞출 수 있는데,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교반장치(10)를 대형솥(2)에 새롭게 설치하거나, 교반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대(120)의 이동에 의해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이 대형솥(20)의 중심과 일치되지 않을 경우, 암부(200)는 대형솥(2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을 대형솥(2)의 중심에 맞추기 위해, 먼저 조리자가 대형솥(2)에서 음식물을 교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조작스위치(730)를 작동 온 시켜 회전멈춤핀(720)을 회전부재(710)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회전부재(710)가 아이들(idle)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회전지지대(120) 역시 고정지지대(110)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부(300)를 구동시키면 임펠러부(600)가 자전공정하게 되고, 임펠러부(600)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과 대형솥(2)의 중심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을 기준으로 임펠러부(600)가 최초 공전하는 공전궤적이 대형솥(2)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져 있어, 최초 공전궤적에서 임펠러부(600)는 대형솥(2) 바닥면과 마찰 압력 차이가 심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때, 아이들 회전 상태의 회전지지대(120)가 마찰 압력을 보상하게 위해 대형솥(2)의 중심 이동하게 됨에 따라,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임펠러부(600)는 최초 공전궤적에서 대형솥(2)의 중심으로 옮겨지면서 최종적으로 동력전달부(400)의 제1전달샤프트(450) 중심과 대형솥(2)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는 최종 공전궤적을 그리게 되며, 최종 공전궤적에서는 대형솥(2) 바닥면과 접촉된 임펠러부(600)의 마찰 압력이 동일하게 되어, 그 공전궤적을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센터링 조정이 완료되면 조리자가 조작스위치(730)를 작동 오프 시켜 회전멈춤핀(720)으로 회전부재(71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센터링 조정은 회전지지대(120)를 좌우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단 1회의 조정 작업으로 마무리될 수 있으며, 만약 조리자가 암부(200)를 좌우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지지대(120)를 회전 시킬 경우에만 상기한 센터링 조정을 다시 실시하면 된다.
상하전도부(800)는, 지지부(100)의 회전지지대(120)와 암부(200)의 지지브라켓(2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암부(200)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하전도부(800)는, 에어쿠션(810), 핸들레버(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쿠션(810)은, 암부(200)의 지지브라켓(220)과 지지부(100)의 회전지지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하여 암부(200)를 용이하게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핸들레버(820)는, 암부(200)를 용이하게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암부(200)의 지지브라켓(220)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핸들레버(820)는 조리자가 작업하는 대형솥(2)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핸들레버(820)의 끝단에는 고정핀(821)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핀(821)은, 지지브라켓(22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22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으며, 암부(200)를 원하는 각도로 상하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조작부(900)는, 구동부(30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900)는, 구동모터(310)의 속도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와 작동시간 조절하는 타이머, 누전차단기, 전기 릴레이 및 각종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310)의 과부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정지되거나 작업상 문제 발생시 긴급 정지할 수 비상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교반장치(10)를 대형솥(2)과 일체화로 제작하지 않고 별개로 제작하되, 대형솥(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사 마다 상이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다양한 대형솥(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에 설치된 대형솥(2)의 추가 제작 또는 교체가 필요 없어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교반장치(10)의 설치 시 임펠러부(600)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동력전달부(400)의 전달샤프트(450) 중심이 대형솥(2)의 중심에 일치되지 않더라도 운전 중에 자동으로 센터링을 맞출 수 있는 메커니즘을 센터링조정부(700)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대형솥(2)에 대하여 동력전달부(400)의 센터링 불일치로 인한 음식물 교반 기능 저하 및 임펠러부(6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임펠러부(600)를 동력전달부(400)로부터 장탈착 할 수 있는 임펠러연결부(500)를 동력전달부(400)와 임펠러부(600)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대형솥(2)에서 조리되는 다양한 조리내용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의 임펠러부(6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임펠러부(600)가 대형솥(2)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접촉할 수 있고, 다양한 대형솥(2)에 따라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임펠러부(600)가 항상 대형솥(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할 수 있는 임펠러연결부(500)를 동력전달부(400)와 임펠러부(600)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교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대형솥(2)에 대한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교반조리장치 2: 대형솥
3: 뚜껑 4: 버너
10: 교반장치 100: 지지부
110: 고정지지대 120: 회전지지대
200: 암부 210: 몸체
220: 지지브라켓 221: 각도조절홀
300: 구동부 310: 구동모터
321. 322, 323: 구동샤프트 330: 유니버셜조인터
340: 지지베어링 400: 동력전달부
410: 제1베벨기어 420: 제2베벨기어
430: 제3베벨기어 440: 제4베벨기어
450: 제1전달샤프트 460: 제2전달샤프트
470: 베벨기어하우징 500: 임펠러연결부
510: 제1연결부재 511: 결합홈
512: 잠금홈 520: 제2연결부재
521: 결합봉 522: 잠금봉
523: 연결브라켓 524: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
525: 스플라인샤프트 526: 완충부재
600: 임펠러부 610: 지지봉
620: 고정브라켓 630: 임펠러
631: 임펠러힌지 632: 임펠러각도조정홀
633: 헤라각도조정홀 640: 회전방지스토퍼
641: 제1돌출부 650: 헤라브라켓
651: 헤라힌지 652: 제2돌출부
700: 센터링조정부 710: 회전부재
720: 회전멈춤핀 730: 조작스위치
740: 케이블 800: 상하전도부
810: 에어쿠션 820: 핸들레버
821: 고정핀 900: 조작부
HR: 헤라

Claims (10)

  1.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대형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의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에 대하여 아이들(Idle)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임펠러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전달샤프트의 중심이 상기 대형솥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회전되는 상부의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대형솥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암(arm)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암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대형솥에 담긴 음식을 교반하기 위한 상기 임펠러부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임펠러부를 자전 또는 공전시키는 상기 전달샤프트를 갖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고정지지대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대를 아이들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센터링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조정부는,
    상기 고정지지대와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멈춤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조정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을 상기 대형솥의 중심에 맞추기 위해, 상기 대형솥에서 음식물을 교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조작스위치를 작동 온 시켜 상기 회전멈춤핀을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회전지지대가 아이들 회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상기 임펠러부가 자전공정하게 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과 상기 대형솥의 중심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대형솥 바닥면과의 마찰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회전지지대가 마찰 압력을 보상하게 위해 상기 대형솥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전달샤프트 중심과 상기 대형솥의 중심이 맞춰지게 되고,
    센터링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조작스위치를 작동 오프 시켜 상기 회전멈춤핀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대형솥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이 회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전도부에 의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하전도부는,
    상기 암부의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부의 상기 회전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신축 가능한 에어쿠션; 및
    상기 암부를 원하는 각도로 상하 회전 및 고정하도록, 상기 암부의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며, 끝단에 상기 복수 개의 각도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핸들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샤프트 단부에 마련되는 제1베벨기어;
    제1전달샤프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와 90도 각도의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1전달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3베벨기어; 및
    제2전달샤프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3베벨기어와 편각을 갖도록 연결되는 제4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샤프트는,
    일단부가 상기 암부의 타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상기 암부의 타측 하면 및 베벨기어하우징 중앙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벨기어하우징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베벨기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에 전달하면서 상기 제3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제2전달샤프트에 전달하고,
    상기 제2전달샤프트는,
    일단부가 상기 베벨기어하우징 일측 내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편각방향으로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의 일측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3베벨기어에 연결되는 상기 제4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타단부가 상기 임펠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부를 자전 운동시키고,
    상기 베벨기어하우징은,
    상기 암부의 타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전달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달샤프트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부를 공전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임펠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부를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장탈착 가능하게 하는 임펠러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제2전달샤프트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 형태의 결합홈과, 하단부에 절곡 형태의 잠금홈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임펠러부에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장탈착 가능한 결합봉과,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잠금 가능한 잠금봉과, 타단부에 상기 임펠러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운동과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플라인샤프트; 및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하단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플라인 기어 구동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이 깊어지거나 얕아지더라도 상기 임펠러부가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임펠러부가 상기 대형솥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길이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봉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잠금봉은, 상기 결합봉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스플라인샤프트하우징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임펠러부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임펠러연결부의 상기 연결브라켓과 일정 각도로 회전 유동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 각각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임펠러힌지로 연결되며,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임펠러각도조정홀과, 장공의 형태로 가공된 헤라각도조정홀이 형성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함께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 각각에 임펠러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각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방지스토퍼; 및
    상기 임펠러의 양측 각각에 헤라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헤라각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로 일정 각도로 유동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헤라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봉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회전관절;
    상기 임펠러각도조정홀과 상기 제1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회전관절; 및
    상기 헤라각도조정홀과 상기 제2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라브라켓을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3회전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KR1020180006201A 2018-01-17 2018-01-17 교반장치 KR10189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01A KR101899557B1 (ko) 2018-01-17 2018-01-17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01A KR101899557B1 (ko) 2018-01-17 2018-01-17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557B1 true KR101899557B1 (ko) 2018-09-17

Family

ID=6372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201A KR101899557B1 (ko) 2018-01-17 2018-01-17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5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03B1 (ko) * 2021-10-18 2022-03-11 홍혜정 조리유닛의 선택적 고정 구조를 가지는 브래킷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KR102375796B1 (ko) * 2021-10-18 2022-03-17 홍혜정 편심 회전식 조리용 툴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KR102458217B1 (ko)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자동 교반기가 장착된 수동 회전형 인덕션 볶음솥
KR102458220B1 (ko)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자동 교반기가 장착된 자동 회전형 인덕션 볶음솥
KR102533059B1 (ko) * 2022-08-24 2023-05-16 조승환 식품 볶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069A (ja) * 2005-01-28 2006-08-10 Kajiwara Kogyo Kk 撹拌装置
KR101480761B1 (ko) * 2014-04-09 2015-01-09 홍성훈 국솥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069A (ja) * 2005-01-28 2006-08-10 Kajiwara Kogyo Kk 撹拌装置
KR101480761B1 (ko) * 2014-04-09 2015-01-09 홍성훈 국솥 교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03B1 (ko) * 2021-10-18 2022-03-11 홍혜정 조리유닛의 선택적 고정 구조를 가지는 브래킷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KR102375796B1 (ko) * 2021-10-18 2022-03-17 홍혜정 편심 회전식 조리용 툴을 포함하는 자동조리장치
KR102458217B1 (ko)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자동 교반기가 장착된 수동 회전형 인덕션 볶음솥
KR102458220B1 (ko) * 2022-08-23 2022-10-24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자동 교반기가 장착된 자동 회전형 인덕션 볶음솥
KR102533059B1 (ko) * 2022-08-24 2023-05-16 조승환 식품 볶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57B1 (ko) 교반장치
US960997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JP5857162B2 (ja) 鍋内の食品加工アセンブリを駆動するための駆動アセンブリを有する調理用コンロ
US5613425A (en) Stirring apparatus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WO1996033799A1 (en) Free-standing stirrer appliance
EP3108781B1 (en) Stand mixers
EP2772160B1 (en) Multi cooker and stir tower with docking station
WO2013072783A1 (en) Preparing foodstuff
CN106724735B (zh) 一种滚筒式烹饪器具
GB2322271A (en)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KR102542301B1 (ko) 교반 조리 장치
WO2011047545A1 (zh) 一种多功能炒炉
CN107174110B (zh) 煮粥机
US9975097B2 (en) Food preparation device with stirring system
CN203676891U (zh) 一种带有倾斜锁定装置的烤炉
CN113828195A (zh) 一种预制菜生产用肉制品搅拌装置
CN209377297U (zh) 烹饪器具
US20040196736A1 (en) Food stirring apparatus
CA2992697A1 (en) Multi-purpose frying pan
CN220588101U (zh) 一种空气炸、烤一体机的烤盘转动结构
CN210124310U (zh) 烹饪物料搅拌装置及卤菜设备
CN218105626U (zh) 烹饪器具
CN215820553U (zh) 烹饪器具
CN217772077U (zh) 一种智能炒菜机搅拌机构及智能炒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