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345B1 -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345B1
KR101899345B1 KR1020170018875A KR20170018875A KR101899345B1 KR 101899345 B1 KR101899345 B1 KR 101899345B1 KR 1020170018875 A KR1020170018875 A KR 1020170018875A KR 20170018875 A KR20170018875 A KR 20170018875A KR 101899345 B1 KR101899345 B1 KR 10189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ioleate
tes trioleate
tes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742A (ko
Inventor
박진오
이지원
전성현
이재영
권보경
박수남
하지훈
김문진
이난희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3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TES Trioleate는 자외선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또는 보호 효과 있으며, 상기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AINST ULTRAVIOLETRAY COMPRISING TES TRIOLEATE}
본 발명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자외선이나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인 인자들에 의해 야기되는 외인성 노화(exogenous aging)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자외선 노출 후 피부에서 라디칼 및 활성산소종의 생성은 주로 피부 내 광증감제 분자에 의한 자외선의 흡수로 시작된다. 광증감제에 의한 광증감 반응에는 Type I과 Type II 두가지 반응이 있다. Type I 반응에서는 광증감제가 흡수한 에너지를 생체 내 유기분자가 받아서 자유 라디칼, 라디칼 양이온 또는 라디칼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Type II 반응은 1O2 및 O2 ·-과 같은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상기 광증감 반응을 통하여 주 생성물로서 1O2을 비롯하여 O2 ·-, H2O2, 또는 ·OH 등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종이 생성된다. 상기 1O2과 ·OH은 피부 광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피부 항산화제의 파괴, 지질과산화반응의 개시, 단백질 및 DNA 산화,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등 세포 외 매트릭스 성분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에 참여하여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또한, 자외선은 피부에 과도하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면,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 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나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320~400nm), UVB(280~320nm), UVC(200~280nm)로 구분되며, 특히, UVA 및 UVB가 인체에 영향을 많이 끼치게 된다.
UVA는 피부 조기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피부의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면역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UVB는 피부의 표피층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성분 및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42292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갑상선 기능 등의 내분비 교란 물질로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16-0030658에는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자생지의 지역적 한계가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10-1390595에는 3-bromo-4, 5-dihydroxybenzaldehy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UVB에 대한 효과만 개시되어 있을 뿐, 피부의 진피까지 투과할 수 있는 UVA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이 실정이다.
UVA가 PLA2(Phospholipase A2)를 활성화 시켜 염증반응을 일으킴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Photochem. Photobiol. 57, 2, 1993, pp.383-390. 에서는, 포유동물 세포를 UVA에 노출하였을 때 PLA2가 활성화되어 아라키돈산을 방출시키고, polyclonal anti-PLA2 항체를 처리했을 때는 아라키돈산의 방출이 완벽하게 억제됨을 개시함으로써 UVA가 PLA2를 활성화시킴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PLA2란 세포막 인지질의 sn-2 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과 리소인지질(Lyso-PL)을 생성시키는 효소를 말하며, 그 종류는 세포내에 있는 cytosolic PLA2(cPLA2), Ca2+-independent PLA2(iPLA2)와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secretory PLA2(sPLA2)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sPLA2 억제활성 물질인 TES Trioleate (2-[tris(oleoyloxymethyl)methylamino]-1- ethane sulfonic acid)는 미국 등록특허 5859271에 의해 공지된 물질로서, 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과 2-[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1-에탄술폰산(2-[Tris(hydroxymethyl)-methylamino]-1-ethanesulfonic acid)의 합성에 의하여 합성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TES Trioleate가 자외선 및 활성산소종으로부터의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또는 보호 효과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상기 TES Trioleate는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이나, 또는 활성산소종(O2 ·-, H2O2, ·OH 또는 1O2 등)에 의한 산화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에 따라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그 적용이 안전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342292 B1 한국 공개특허 10-2016-0030658 A 한국 등록특허 10-1390595 B1 미국 등록특허 5859271 B
Photochem.Photobiol.57, 2, 1993, pp.383-390. Proc. Natl. Acad. Sci. U. S. A. 87, 23, 1990, pp.9383-9387. Free RadicBiol Med. 2007, Feb, 15, 42(4), pp.499-509.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적용함에 있어 안전하면서, 자외선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함에 있어 안전하면서, 자외선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 있는 TES Trioleate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ES Trioleate는 320 내지 400nm 파장 영역인 자외선 A 또는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피부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ES Trioleate는 PLA2 억제활성을 통해 피부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소종은 O2 ·-, H2O2,·OH 및 1O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노화 방지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ES Trioleate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3,4-메틸벤질리덴 켐퍼,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디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또는 유탁액 파운데이션의 형태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화 겔, 에멀전 크림, 리포솜 함유 수화 겔, 연고, 액제, 또는 현탁제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ES Trioleate는 자외선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또는 보호 효과 있으며, 상기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가 있다.
도 1은 UVA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 손상에서의 TES Trioleate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UVA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 손상에서의 4-BPB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H2O2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 손상에서의 TES Trioleate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H2O2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 손상에서의 4-BPB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은 Journal of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B: Biology, 164, 2016, pp.30-35.에 개재된 본 연구진의 논문에 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완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문헌의 내용 전부는 본 문헌의 내용 일부로 합체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일 수 있다.
상기 TES Trioleate는 320 내지 400nm 파장 영역인 자외선 A 또는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피부 보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어 보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광노화라고 하며, 특히 자외선 영역 중 320 내지 400nm 파장 영역의 자외선 A(또는 UVA)는 피부 조기 노화의 주요 원인에 해당한다. 피부가 UVA에 노출될 때, UVA의 작용으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알릴 자리의 수소를 탈취함으로써 지질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이 지질 라디칼에 산소 분자가 결합하여 퍼옥시 지질 라디칼이 생성되면 세포막에서는 지질과산화(Lipid peroxide)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 지질 산화물은 PLA2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막 인지질을 가수분해시킬 뿐 아니라 활성화된 PLA2는 NAD(P)H 옥시다제를 자극하여,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 내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유도하여 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TES Trioleate는 PLA2 활성을 억제 시킬 뿐만 아니라, UVA에 의하여 광산화되지 않으며, 활성산소종에 의하여 산화되지 않음에 따라 세포 생존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사산물들의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자외선 A(UVA) 또는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할 실험예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TES Trioleate는 PLA2 억제활성을 통해 피부 보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1O2로 인해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지질 산화 과정에서 PLA2의 활성화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지질과산화가 촉진되고, 결국 세포에 손상을 초래한다. 상기 TES Trioleate는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나 공명 구조를 갖는 특정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이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활성산소종으로부터 유도되는 PLA2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통해 탁월한 피부 보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TES Trioleate는 UVA의 작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PLA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UVA가 피부 세포 손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없도록 하여,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보호 효과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할 실험예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활성산소종은 1O2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O2, O2 ·-, H2O2, 또는·OH 등의 활성산소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TES Trioleate는 UVA로 인한 세포독성 및 이로 인한 세포 손상이나 세포 사멸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어 보면, UVA의 작용은 생체 분자나 세포에 대한 손상뿐만 아니라 유전자의 발현과 같은 보다 더 복잡한 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다. UVA에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주 생성물인 1O2을 비롯하여 O2 ·-, H2O2 및 ·OH 등의 활성산소종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 활성산소종은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반응을 일으킬 뿐 아니라, 막 단백질의 산화, 구조 단백질의 절단, 불포화 지방산의 손실, 막 투과성 변질, 이온전달의 변화, 지질히드로과산화물 유래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생성 등을 통하여 세포 손상 및 세포 사멸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TES Trioleate는 UVA 및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가 UVA에 노출되더라도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 보호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할 실험예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ES Trioleate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5%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TES Trioleate 의 함량이 0.01%미만이 되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세포 보호 효과 발현에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를 초과하면 제형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광노화는 외인성 노화에 있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의미한다. 상기 광노화 방지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또는 보호 효과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일 수 있다.
상기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ES Trioleate와 반응하여 피부 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3,4-메틸벤질리덴 켐퍼,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디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또는 유탁액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수화 겔, 에멀전 크림, 리포솜 함유 수화 겔, 연고, 액제, 또는 현탁제 등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 상술된 바를 종합하면, TES Trioleate는 UVA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PLA2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및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가 UVA 노출 시 광산화 반응에 안정하고,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 반응에도 안정하여, 피부 세포를 노화시킬 수 있는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TES Trioleate는 인체에 적용함에 있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부 내 적혈구 세포 또는 각질형성세포가 자외선, 특히 UVA, 및 활성산소종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 또는 보호함에 있어 매우 탁월한 물질이다.
UVA 및 활성산소종에 의해 피부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TES Trioleate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적용시키더라도 그 효과가 동일함은 자명하며, 그 용도로서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보호용 조성물, 예를 들어 광노화 방지에 의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등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고, 혹은 태닝, 또는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등에 포함되어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TES Trioleate 제조
2-[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1-에탄술폰산 7.0Kg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8.3Kg, 올레오일클로라이드(Oleoyl chloride) 37.0Kg을 교반기에 투입한 후, 65±5℃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물 70.0Kg과 초산에틸 62.8Kg을 투입하여 추출한 후,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아세톤 하에서 재결정하여 TES Trioleate 24Kg을 얻었다(수율: 77.8%).
실험예
실험예 1. 자외선으로부터의 사람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
1.1 사람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및 처리
사람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는 Dr. Fusenig(German cancer research center, DKFZ)로 부터 분양받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에 사용된 배지 DMEM(Dulbecco 's modified Eagle's medium)은 10% 우태아혈청(FBS, PAA, Austria),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PAA, Austria)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부착시킨 HaCaT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준비
상기 배양된 HaCaT 세포에 시료인 TES Trioleate 및 4-BPB를 여러 농도별로전처리 하였다. 그리고 PBS로 세척한 후, CL-1000 UV crosslinker(UVP Inc., USA)를 이용하여 UVA를 광량 15J/cm2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광조사 후 PBS로 세척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24시간 배양된 HaCaT 세포를 MTT 분석법을 통해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Abs대조군) 및 시료를 넣은 실험군의 흡광도(Abs실험군)를 각각 측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하여 HaCaT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TES Trioleate의 HaCaT 세포 생존율은 도 1에, 4-BPB의 HaCaT 세포 생존율은 도 2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1
1.3 평가 결과
도 1을 보면, TES Trioleate는 25 내지 125μM 농도에서는 HaCaT 세포 보호 효과가 특별히 관찰되지 않았으나, 250 내지 1,000μM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HaCaT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특히 1,000μM에서 TES Trioleate는 대조군 대비 약 14% 정도 증가된 HaCaT 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도 2를 참조하면 4-BPB는 3 및 6μM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HaCaT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나, 13μM에서는 오히려 HaCaT 세포 생존율이 확연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4-BPB의 경우에는 세포 보호 활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데이터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자외선 조사없이 13μM 농도로 4-BPB를 처리할 경우에, HaCaT 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82% 였으며, 25μM에서는 31.6%로 세포 생존률이 현저히 낮게 감소하였다.
실험예 2. H 2 O 2 로 유도된 사람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
2.1 실험군 및 대조군의 준비
상기 실험예 1의 1.1에 따라 배양된 HaCaT 세포에 TES Trioleate와 4-BPB를 HaCaT 세포에 1시간 동안 여러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PBS로 세척한 후, 4mM H2O2를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H2O2처리 후 PBS로 세척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H2O2처리 후 24시간 배양된 HaCaT 세포는 상기 실험예 1의 1.2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H2O2에 대한 TES Trioleate의 세포보호결과는 도 3, 4-BPB의 세포보호결과는 도 4와 같다.
2.2 평가 결과
도 3을 보면, TES Trioleate는 25μM 이상의 농도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HaCaT 세포 보호 증대 효과를 보였으며, 250μM 이상에서는 대조군인 대비 약 14% 이상이 향상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에는 4-BPB는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있어 3 및 6μM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나, 13μM에서는 오히려 HaCaT세포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4-BPB의 경우에는 세포 보호 활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과산화수소 하에서 4-BPB가 보호 효과가 없는 이유로는 4-BPB의 세포독성 효과가 과산화수소 처리에 상승적으로 더 증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1 O 2 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실험
적혈구 광용혈 실험은 광노화 모델 실험으로 적합한데, 천연물 등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대상으로 자외선 또는 활성산소종으로부터 피부 내 적혈구 세포를 보호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혈구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광증감반응제인 Rose-bengal을 사용하여 1O2를 높은 수율로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1O2에 의하여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을 수행하였다.
3.1 적혈구 현탁액의 제조
건강한 성인 남·여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헤파린이 첨가된 시험관에 넣은 후, 3,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적혈구와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을 제거하고 분리한 적혈구를 0.9% 인산염 완충식염수(Saline phosphate buffer, pH 7.4, Na2HPO4·12H2O 9.4 mM, NaH2PO4·2H2O 1.6mM)로 3회 반복 세척하였다. 앞의 모든 실험은 채혈 후 12시간 이내에 완료되었다. 또한,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 현탁액은 Spectronic 20D(Milton Roy Co., USA) 제품을 사용하여 측정했으며, 700nm에서 흡광도가 0.6이었으며 이때 적혈구 수는 약 1.5 X 107 cells/mL이었다.
3.2 광용혈 억제 효과
상기 적혈구 현탁액 3.5mL와 10, 50 및 100μM의 농도인 TES Trioleate와 비교물질인 4-BPB 또는 (+)-알파-토코페롤을 각각 50μL씩 시험관에 넣은 후 입구를 막아 30분 동안 암소에서 전배양(pre-incubation) 시켰다. 전배양(pre-incubation) 후 시험관에 광증감제인 Rose-bengal(11μM) 0.5mL를 가하고 다시 입구를 막은 후 16분 동안 6-channel LB9505 LT(Berthold, Germany)를 사용하여 광조사하였다. 광조사가 끝난 후 암소에서 후배양(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용혈 정도를 1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700nm에서 투광도(transmittance, %)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상온에서 진행하였다. 광용혈 억제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는, 암소에서 후배양(post-incubation) 시간에 따른 용혈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부터 적혈구가 50% 용혈되는 시간인 τ50을 측정하여 다음의 수학식 2로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여기서 실험군은 TES Trioleate 또는 비교물질을 넣은 경우이며, 대조군은 시료를 넣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2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3
3.3 평가결과
본 시험에서는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군의 적혈구 세포가 50% 파괴되는데 걸리는 시간(대조군 τ50)은 31.8 ± 1 min으로 재현성이 있음을 먼저 확인하였다.
상기 표 1를 보면, TES Trioleate는 비교물질인 4-BPB나 (+)-알파-토코페롤보다 현저히 높은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S Trioleate, 4-BPB 및 (+)-알파-토코페롤은 10 내지 100μM에서, TES Trioleate는 150% 내지 205%, 4-BPB는 113% 내지 145%, 및 (+)-알파-토코페롤은 127% 내지 151%로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보호 효과도 함께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BPB 보다는 (+)-알파-토코페롤이, (+)-알파-토코페롤 보다는 TES Trioleate가 세포 보호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원인을 파악하면, 먼저 4-BPB와 TES Trioleate가 10 내지 100μM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1O2으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4-BPB와 TES Trioleate는 모두 PLA2 저해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비교물질인 (+)-알파-토코페롤은 1O2을 소광(quench) 시킬 수도 있고, 산소라디칼과 같은 자유 라디칼들을 소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알파-토코페롤의 경우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1O2에 의하여 유도된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TES Trioleate와 4-BPB는 1O2을 소광시키거나 자유 라디칼들을 소거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항산화 활성이 미약하여 세포 보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TES Trioleate는 (+)-알파-토코페롤 보다 현저히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4-BPB는 예측대로 (+)-알파-토코페롤 보다 낮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였다.
앞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TES Trioleate의 세포 보호 효과는 항산화 활성에 의한 것이 아닌 PLA2 저해작용에 의해 기인된 것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4.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실험
실험예 1 내지 3에서와 같은 세포 보호 효과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에 기인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시료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인 DPPH에 대한 전자 주개를 통하여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DPPH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4.1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시험 준비 및 평가 방법
먼저, 메탄올에 용해시킨 0.2mM DPPH 용액 1mL에 에탄올과 시료로서 TES Trioleate, 및 비교물질로서 4-BPB, 항산화 물질인 (+)-알파-토코페롤 또는 루틴을 각각 1mL씩 첨가하여 섞은 다음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Abs)를 측정함에 있어, 상기 시료를 넣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고, 시료를 넣은 것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blank는 1mL의 메탄올과 2mL의 에탄올을 넣은 것으로 하였다. DPPH의 활성 저해율은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하여 산출하였으며, DPPH 소거활성에 따른 화합물의 항산화능은 DPPH의 농도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μM)로서 표기하였다. TES Trioleate, 4-BPB, (+)-알파-토코페롤 및 루틴 모두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FSC50) 값은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4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5
4.2 평가 결과
상기 표 2를 보면, TES Trioleate 및 4-BPB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1mM 농도에서 각각 10% 및 6%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데이터 미표시),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FSC50) 값은 구할 수 없었다. 반면, 비교물질인 천연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 및 플라보노이드계인 루틴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FSC50) 값은 각각 약 16.7μM 및 약 6.3μM이였다.
이는, TES Trioleate의 라디칼 소거능력은 매우 미미하여, Type I 반응에서 생성된 라디칼 종이나 1O2으로 유도되는 지질과산화연쇄 반응에서 생성되는 라디칼들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는 활성을 띄기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 실험
피부가 태양 자외선에 노출될 때의 광증감제에 의한 type II 반응에서는 주 생성물인 1O2 이외에도 O2 ·- 등의 활성산소종(ROS)이 생성된다. 다음과 같은 반응계에서 O2 ·- 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에 의해 H2O2로 전환되고, H2O2는 Fe2+에 의한 촉매반응으로 ·OH을 생성시킨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6
생명체에서 O2 ·-과 H2O2의 독성 작용은 철 의존성 ·OH의 생성에 기인된다고 제안되고 있다. 특히 Fe3+-EDTA계를 H2O2와 함께 반응시키면 ·OH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반응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Fe3+-EDTA/H2O2에서 존재할 수 있는 주 활성산소종(ROS)은 O2 ·-, H2O2와 ·OH이다.
루미놀은 O2·-, OH, 및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되어 들뜬 상태의 아미노프탈산이 된 후 발광(420~450nm)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반응계에 루미놀을 첨가할 경우,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의해 루미놀이 산화되어 들뜬 상태의 아미노프탈산이 되고, 아미노프탈산이 다시 바닥상태로 되면서 발광(420~450nm)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계에서 발광 세기의 감소는 각종 활성산소종에 대한 시료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5.1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 시험 준비 및 평가 방법
먼저, 화학발광 측정용 튜브에, 실험군(sample)으로서 증류수 1.78 mL를 넣고, 시료로서 다양한 농도의 TES Trioleate, 4-BPB, 루틴, 또는 (+)-알파-토코페롤을 첨가한 후, 2.5mM EDTA 40μL, 및 5mM FeCl3·6H2O 10μL를 가한 후 35mM 루미놀 80μL를 넣고 흔들어 섞어 화학발광기의 셀 홀더(cell holder)에 튜브를 설치하였다. 5분 동안 항온시킨 후, 펜톤(Fenton)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150mM H2O2 40μL를 넣은 후 25분 동안 화학발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는 시료용액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였고, 공시험(blank)은 실험군과 조건이 동일하나 H2O2와 FeCl3·6H2O를 첨가하지 않았다. 화학발광기 6-Channel LB9505 LT의 각 채널은 실험 전에 보정하여 채널간의 차이가 거의 없도록 하였다. 화학발광으로 측정한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은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하여 산출되었으며,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의 정도는 화학발광의 세기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SC50, μM)로 표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7
여기서, cpm은 count per minute로, 빛의 세기 또는 광량을 나타낸다.
5.2 평가 결과
도 5를 보면, TES Trioleate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OSC50)은 355μM이었으며, 비교물질로서 4-BPB는 465μM, 소수성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은 9.0μM, 루틴은 9.1μM로 나타났다.
실험예 6. UVA에 의한 광산화 또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 여부
6.1.1 UVA로 인한 TES Trioleate 및 4-BPB의 광산화율 평가
두 개의 투명한 시험관에 TES Trioleate 와 4-BPB를 각각 넣은 후, 2mL 증류수를 각각 추가하였다. 이 두 개의 용액에 UVA (5, 10 J/cm2)를 조사한 후, 시료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UVA 조사에 의한 광산화율(rate of photo oxidation)은 다음의 수학식 5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8
Figure 112017014191031-pat00009
6.1.2 평가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UVA (10 또는 15 J/cm2) 조사 후 TES Trioleate는 0% 및 0.25%로 광산화가 아주 미미하게 진행되거나 전혀 진행되지 않는 반면, 4-BPB가 15.5 및 23.5% 광산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4-BPB의 경우 UVA에 의해 광산화되어 세포독성 대사산물을 발생시켜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ume 42, Issue 4, 15 February 2007, Pages pp.499~509.에 의하면, 4-BPB를 0.1, 1, 10 및 100μM 농도로 사람 섬유아세포에 전 처리한 후 UVA(340 nm 보다 더 큰 장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에도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조사가 없는 가장 낮은 농도에서 조차도 독성을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앞의 결과들을 보면, TES Trioleate는 자외선 하에서, 특히 UVA하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여 세포 보호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광산화로 야기될 수 있는 세포독성 또한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6.2.1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TES Trioleate 및 4-BPB의 산화율 평가 방법
두 개의 투명한 시험관에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는 Fe3+-EDTA/H2O2계 용액, 및 TES Trioleate 또는 4-BPB를 각각 추가한 후, 처음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고, 3시간 및 6시간 경과 시 시료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율(rate of oxidation)은 다음의수학식 6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Figure 112017014191031-pat00010
Figure 112017014191031-pat00011
6.2.2 평가 결과
상기 표 4를 보면, TES Trioleate는 활성산소종(ROS) 발생 시스템인 Fe3+-EDTA/H2O2 계에서 6시간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4-BPB는 3시간 후에는 산화율이 약 7.6%로 증가하였으며, 6시간 후에는 약 19%까지 산화율이 증가하였다.
즉, TES Trioleate는 활성산소종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굉장히 안정한 물질인 반면, 4-BPB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쉽게 분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UVA에 피부가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어 활성산소종 등 부산물이 발생되어도 TES Trioleate는 상기 활성산소종에 의하여 산화되지 않음에 따라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 보호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앞의 실험예 6을 종합해 보면, TES Trioleate는 자외선, 특히 UVA에 의한 광산화 반응 또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 반응을 야기시키지 않으며, 이로 인해 생성될 수 있는 세포독성 대사산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 위의 상술한 실험예 1 내지 6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TES Trioleate는 피부가 UVA에 노출되었을 때, 세포막 인지질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PLA2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적혈구 세포와 사람 각질형성세포 내에서 활성산소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세포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으며, UVA 또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세포독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품예
제품예 1: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로션의 제조
TES Triloeate를 첨가하여 통상적인 로션 제조방법에 따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또는 피부 보호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품예 2: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핸드 크림의 제조
TES Trioleate를 첨가하여 통상적인 핸드 크림 제조방법에 따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또는 피부 보호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UV-A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7. TES Triole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UV-A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되는 광노화 방지용 외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노화 방지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되는 광노화 방지용 외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피부 내의 적혈구 세포 또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되는 광노화 방지용 외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ES Trioleate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3,4-메틸벤질리덴 켐퍼,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디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되는 광노화 방지용 외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또는 유탁액 파운데이션의 형태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A 자외선으로부터 야기되는 광노화 방지용 외용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18875A 2017-02-10 2017-02-10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89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75A KR101899345B1 (ko) 2017-02-10 2017-02-10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75A KR101899345B1 (ko) 2017-02-10 2017-02-10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42A KR20180092742A (ko) 2018-08-20
KR101899345B1 true KR101899345B1 (ko) 2018-09-17

Family

ID=6344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75A KR101899345B1 (ko) 2017-02-10 2017-02-10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809A (ko) 2020-09-18 2022-03-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4755A (ja) * 2001-08-02 2005-02-17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医薬調製物
WO2008070368A2 (en) 2006-11-01 2008-06-12 Living Proof,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kin care
WO2011020928A2 (en) 2009-08-21 2011-02-24 Blueshift Pharma Gmbh Photoresponsive sunscree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271A (en) 1996-04-15 1999-01-12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Cytoprotective compounds
KR101342292B1 (ko) 2011-09-05 2013-12-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0595B1 (ko) 2012-06-28 2014-04-3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3-브로모-4,5-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8190B1 (ko) 2014-09-11 2017-03-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4755A (ja) * 2001-08-02 2005-02-17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医薬調製物
WO2008070368A2 (en) 2006-11-01 2008-06-12 Living Proof,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kin care
WO2011020928A2 (en) 2009-08-21 2011-02-24 Blueshift Pharma Gmbh Photoresponsive sunscreen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809A (ko) 2020-09-18 2022-03-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42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4831B1 (de) Ahr-mediatoren
ES2241778T3 (es) Extracto de residuos procedentes de la produccion de vino.
US20090162305A1 (en) Formulations of low oil content comprising diphenylmethane derivatives
US8802117B2 (en) Melatonin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based compositions
US20090148391A1 (en) Synergistic active preparations comprising diphenylmethane derivatives and further skin and/or hair lightening and/or senile keratosis reducing compounds
EP1282395B1 (fr) Utilisation de l'acide ellagique comme agent cosmetique anti-pollution
US20160296438A1 (en) Protective action of lutein against blue light on human skin cell lines
KR102092595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907B1 (ko) 모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조성물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JP4814415B2 (ja) 化粧料組成物
JP2024524147A (ja) マイコスポリン様アミノ酸を含む日焼け防止化粧用組成物
US795608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nd wrinkle improver
JP4170198B2 (ja) 化粧料組成物
KR101899345B1 (ko) TES Trioleate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110009361A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rct et al. β-carotene in skin care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JP2004026743A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8217074B2 (en) Use of sargachromenol
KR20140056967A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8982B1 (ko) 이데베논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