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122B1 -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122B1
KR101899122B1 KR1020170051156A KR20170051156A KR101899122B1 KR 101899122 B1 KR101899122 B1 KR 101899122B1 KR 1020170051156 A KR1020170051156 A KR 1020170051156A KR 20170051156 A KR20170051156 A KR 20170051156A KR 101899122 B1 KR101899122 B1 KR 10189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patitis
agrimon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넨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넨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넨셀
Priority to KR102017005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122B1/ko
Priority to PCT/KR2018/004403 priority patent/WO2018194335A1/ko
Priority to CN201880026024.0A priority patent/CN11053669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Y10S514/89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감염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C virus infectious disease}
본 발명은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감염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 이하 "HCV"라 함)는 주로 수혈 및 지역 특이적 감염 (community-acquired)에 의해 일어난다. HCV에 감염되면, 그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약 20%는 급성 간염으로 진행되고 약 80% 정도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고 이 중 약 30%가 간경화 및 간암으로 진행된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약 2억명 이상이 HCV에 감염되어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4백 5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며 (최대 천오백만 명까지 될 것으로 추정됨) 유럽에서도 5백만 명 이상이 C형 간염 환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C형 간염에 대한 탁월한 백신이나 효과적인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세계의 많은 제약회사와 연구소에서 C형 간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C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비교하여 전 세계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간경화와 간암으로 전이되는 비율이 B형 간염보다 월등히 높다. 그리고 만성 간염으로의 진행 비율이 훨씬 높은데 이러한 진행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또한, C형 간염은 수혈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정맥주사를 통한 약물 사용이나 문신을 하는 것에 의해서도 감염이 가능하지만 주로 직접적인 혈액 접촉에 의해서 감염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대부분의 환자가 만성으로 진행되며 다시 간경화와 간암으로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 HCV는 바이러스주(strain) 간에 그 유전형(genotype)이 다양하고 돌연변이(mutation)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HCV에 의한 만성간염이 된 경우 유전적 변이형(genetic variants)에 의해 재감염(reinfection), 동시감염(coinfection)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C형 간염의 효과적인 백신 개발은 성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현재 C형 간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인터페론-알파(interferon-α)와 리바비린(Ribavirin)을 병용 사용하는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그 치료율이 낮고 부작용이 매우 심한 편이다. 인터페론 요법의 경우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약 25%이고, 일시적으로 반응하다가 재발하는 경우가 약 25% 정도이다. 나머지 약 50%의 환자에서는 치료 종료 후까지 에이엘티(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되고 HCV RNA가 음성이 되는데 그 중에서 50% 정도는 치료 종료 후 3-6개월 내에 재발하므로 결국 25% 정도에서만 6개월 이상 치료효과가 유지되는 지속적 바이러스 반응(sustained viral response)을 보이는 셈이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에는 6가지 유전자형(genotype)이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1b형은 2, 3형에 비해 인터페론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리바비린과 병용요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치료 효과가 2배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바비린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거의 없고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주로 인터페론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재발한 경우에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HCV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C형 간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는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천연 식물 중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치료 효과나 일반적인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들로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카테친(catechin), 실리마린(silymarin) 등이 알려져 있는데,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고 간 보호 기능이 우수하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으나(Altern Med Rev 1999 Aug;4(4):220-38,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2 Aug;12) 치료제로 개발되지는 못했다.
따라서 비교적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우수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Altern Med Rev 1999 Aug;4(4):220-38,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2 Aug;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세포의 자가 소화 작용을 증가시켜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간 세포의 자가 소화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은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아초속 식물은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짚신나물 추출물은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luteolin 7-O-beta-D glucuron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은 5 : 5 내지 8 : 2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용아초속 식물의 자가 포식 유도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및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의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위는 짚신나물 추출물, 아래는 큰등골짚신나물 추출물의 스펙트럼임)
도 3은 오배자 추출물의 자가 포식 유도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의 제조 시 에탄올 농도에 따른 자가 포식 유도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이 혼합된 추출 혼합물의 중량비에 따른 자가 포식 유도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및 추출 혼합물의 시간에 따른 자가 포식 유도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 효율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아초는 야산이나 들판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짚신나물, 선학초, 황화초, 탈력초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민간에서 지혈제로 또는 지사제로 쓰인 예가 있고, 위궤양, 장염, 신장 및 관절염에도 치료약으로 활용된 예가 있다. 특히 용아초 속에 속하는 식물 중 일부 종은 기존에 항암 및 면역 조절 작용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용아초속 식물의 성분 중 하나인 아그리모닌(Agrimonin)은 면역조절 작용을 하는 탄닌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터루킨-1을 유도하여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오배자는 붉나무(Rhus javanica L.)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인 옻나무과(Anacardiaceae)의 잎에 오배자 진딧물(Melaphis chinensis Bell)의 자상에 의하여 생긴 벌레집으로서, 전체의 50~70%가 갈로탄닌류로 갈릭에시드(gallic acid), 펜타갈로일 글루코오즈(pentagalloyl glucose) 등이 주요성분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여 간 세포의 자가 소화 작용을 증가시킨다. 자가 소화(자가 포식, autophagy)는 조절과정에서 불필요하거나 기능하지 않는 세포 구성성분을 자연적으로 분해하는 파괴 기제로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자가 소화의 증가 또는 유도를 통하여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이라 함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C형 간염, 이러한 C형 간염 상태가 만성화 되어 발생될 수 있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섬유화, 간경화 및 간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모든 질병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은 공지된 식물 추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의 일 예로는, 용아초속 식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용성 분획을 제거하고 유기 용매 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는 식물의 전초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비수용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 유기용매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고, 계속해서 수용성 분획을 비수용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 각각의 유기용매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80 중량%의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용아초속 식물의 종으로는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 털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 for. pilosella Satake); 아그리모니아 글리포세팔라(Agrimonia gryposepala); 아그리모니아 로스텔라타(Agrimonia rostellata); 아그리모니아 푸베센스(Agrimonia pubescens); 아그리모니아 파비폴로라(Agrimonia parviflora); 아그리모니아 스트리아타(Agrimonia striata); 아그리모니아 오도라타(Agrimonia ordorata); 아그리모니아 인시사(Agrimonia incisa); 아그리모니아 폴리필라(Agrimonia polyphylla);아그리모니아 미크로카파(Agrimonia microcarpa); 아그리모니아 브락티아타(Agrimonia bracteata); 아그리모니아 레펜스(Agrimonia repens); 아그리모니아 프라티카파(Agrimonia platycarpa); 아그리모니아 푸밀라(Agrimonia pumila); 및 아그리모니아 아시아티카(Agrimonia asiatic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짚신나물 추출물은 다른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과는 달리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luteolin 7-O-beta-D glucuronide)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성분으로 인하여 C형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공지된 식물 추출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오배자 추출물 제조방법의 일 예로는, 오배자 식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용성 분획을 제거하고 유기 용매 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는 식물의 전초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비수용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 유기용매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분리하고, 계속해서 수용성 분획을 비수용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 각각의 유기용매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80 중량%의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은 5 : 5 내지 8 : 2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4 내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 혼합되는 경우, 간 세포의 자가포식 활성이 낮아져, C형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상기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의 추출 혼합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배합하여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총 일일 용량은 합리적인 의학적 판단 하에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은 누구나 이해할 것이다.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 및 이의 중증도; 사용된 추출물의 활성; 사용된 특정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및 규정식, 사용된 특정 추출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추출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당업자는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추출물의 용량을 정한 후 목적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은 통상의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 캡슐, 당의정 또는 필름 피막 정제, 액제 또는 현탁제의 경구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혼합되어 특정 용량형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보통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하고,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투여한다. 예를 들면, 경구용 고형제는 활성 화합물과 함께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자당, 셀룰로즈,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 활탁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결합제(예, 전분, 아라빅 검,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붕해제(예, 전분, 알긴산, 알기네이트 또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포르말 혼합물, 염료, 감미제, 습윤제(예,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및 일반적으로 약제에 사용되는 약물학적 불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약제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혼합, 과립화, 타정, 당의 또는 필름-피복 공정의 수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서, 액체 분산액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시럽, 유화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현탁액 및 유화액은 담체로서 예를 들면 천연 검, 한천, 나트륨 알기네이트, 펙틴, 메틸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여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영양제(nutrient), 파머푸드(pharmafood), 건강 식품(health food), 뉴트라슈티칼(nutraceutical), 디자이너 푸드(designer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tives) 등의 모든 형태에 해당한다. 당업자는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과 관련하여 통상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건강 식품은 주로 차, 쥬스, 젤리 및 드링크의 형태로 음용되는 것으로 민간 요법에서 흔히 이용되는 형태이다. 또한, 기능성 식품은 캔디, 요구르트, 비스켓, 버터, 마가린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식품 첨가제는 분말 또는 농축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및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의 전초를 각각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쇄물 20 kg 당 50 중량% 에탄올 200 L을 가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20 Brix로 농축 한 후, 분무 건조를 진행하여 용아초속 추출물을 1.5k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제주도 일대의 국내산 오배자를 입수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된 오배자를 음건 세절하고 세절한 오배자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쇄물 20 kg 당 50 중량% 에탄올 200L을 가하고, 20 Brix로 농축 한 후, 분무 건조를 진행하여 오배자 추출물을 11.5k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추출물들의 자가포식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살펴보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이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과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 추출물보다 상대적인 자가포식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및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을 대상으로 UV-vis 스펙트럼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에서는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추출물에 포함되지 않은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분석 결과 상기 화합물은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luteolin 7-O-beta-D glucuronide)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추출물은 동속 식물의 추출물이나,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와 같은 구성 성분 면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자가포식 활성 등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준비한 추출물의 함량(농도)에 따른 자가포식 유도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살펴보면, 오배자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자가포식 활성이 활발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를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의 추출 용매의 농도에 따른 자가포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제조예 1에 방법을 따랐으며, 에탄올의 농도를 0 중량%, 30 중량%, 50 중량%, 70 중량%, 100 중량%로 달리하여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살펴보면, 50 중량%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경우 자가포식 작용의 유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실험예 2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오배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을 얻었다.
실험예 5.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추출 혼합물의 자가포식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때,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교 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혼합 중량 비율은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이 0 ~ 10 : 10 ~ 0으로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상기 비교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살펴보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을 6 : 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자가 포식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를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5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을 6 : 4 중량 비율로 혼합한 추출 혼합물의 시간에 따른 자가포식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준비한 오배자 추출물의 활성을 같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살펴보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은 세포에 처리했을 때 8시간 이후부터 유도 활성이 나타나다가 48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도 6-a 참조), 오배자 추출물은 24시간 이 경과한 이후부터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b 참조). 그러나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8시간 이후부터 48시간 경과 시 까지 자가 소화 활성이 증가하여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c).
실험예 7.
생쥐 간암세포주인 hepa1c1c-7 세포(Korea Cell Line Bank, KCLB22026)에 HCV(hepatitis C virus) 감염자의 혈액 200 μL(중국인민해방군 제302병원)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트리졸 (Ambion by life technologies, TRIzol LS Reagent)을 처리하였다. 이어, 제조예 1에서 준비한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추출물,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에 포함된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 제조예 2에서 준비한 오배자 추출물, 그리고 실시예 1에 따른 추출 혼합물(실험예 3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을 6 : 4 중량비율로 혼합한 추출 혼합물임)을 각각 가하여 HCV의 억제 효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큰등골짚신나물 추출물 짚신나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Luteolin 7-O-beta-D glucuronide 실시예 1
바이러스 억제(EC50) 23.2±1.2 16.1±1.1 27.7±1.8 15.3±1.3 10.4±1.0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 및 이에 포함된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는 큰등골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 추출물이나 오배자 추출물에 비하여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 혼합물은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CV의 억제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HCV/β-actin 비율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살펴보면, C형 간염 환자의 혈액을 간세포에 처리한 샘플(1번)은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증식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C형 간염 환자의 혈액을 간세포에 처리한 후 상기 추출 혼합물을 처리한 샘플(2번)에서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 세포의 자가 소화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은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C1 ~ C4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은 루테오린 7-O-β-D 글루쿠로나이드(luteolin 7-O-beta-D glucuron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은 5 : 5 내지 8 : 2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170051156A 2017-04-20 2017-04-20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56A KR101899122B1 (ko) 2017-04-20 2017-04-20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8/004403 WO2018194335A1 (ko) 2017-04-20 2018-04-17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201880026024.0A CN110536690B (zh) 2017-04-20 2018-04-17 用于预防或治疗丙型肝炎病毒感染疾病的药学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56A KR101899122B1 (ko) 2017-04-20 2017-04-20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122B1 true KR101899122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156A KR101899122B1 (ko) 2017-04-20 2017-04-20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99122B1 (ko)
CN (1) CN110536690B (ko)
WO (1) WO20181943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8517B (zh) 2011-09-15 2016-06-01 香港中文大学 龙芽草抗肝癌活性组分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762B1 (ko) * 2000-01-25 2002-03-15 이영성, 권두한 짚신나물로부터 분리한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생성억제물질과 그 추출방법 및 용도
KR20010099494A (ko) * 2001-10-09 2001-11-09 이영성, 권두한 큰등골짚신나물로부터 분리한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억제물질과 그 추출방법 및 용도
RS53216B (en) * 2009-04-10 2014-08-29 Sleimen El Kettany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IRAL DISEASES TRANSMITTED BY THE BLOOD, AS DISEASES CAUSED BY HUMAN IMMUNODEFICIENCY (HIV) OR HEPATITIS C VIRUS
KR101176305B1 (ko) * 2009-10-14 2012-08-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상필터 및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4491766B (zh) * 2015-01-27 2015-08-26 李绵利 一种治疗黑色素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8517B (zh) 2011-09-15 2016-06-01 香港中文大学 龙芽草抗肝癌活性组分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6690B (zh) 2022-01-11
CN110536690A (zh) 2019-12-03
WO2018194335A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ra et al. Prospective multifunctional roles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dietary flavonoid narirutin
Yang et al.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licorice
Mishra et al. Phcog rev.: Plant review Andrographis paniculata (Kalmegh): A review
Karimi et al. “Silymarin”, a promising pharmacological agent for treatment of diseases
Thompson et al. Hepatotoxicity: treatment, causes and applications of medicinal plants as therapeutic agents
CN104906406B (zh) 一种防治酒精性肝损伤的天然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TWI300352B (en) Water soluble extract from plant of solanum genu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water soluble extract
CN106135891A (zh) 一种对酒精性肝损伤具有保护功能的保健食品
CN1985922A (zh) 一种治疗感冒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alili et al. An over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 traditionally valuable herb with a reach historical background
KR102091128B1 (ko) 암-관련 피로 치료용 조성물
KR20110026570A (ko) 면역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첨가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KR101899122B1 (ko)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6074662A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姜黄组合物
Ali et al. Immunogenetic disorders: Treatment with phytomedicines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Mostafa et al. After HCV eradication with Sovaldi®, can herbs regenerate damaged liver, minimize side effects and reduce the bill
CN106822152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应用
Alkushi Protective effect of sorrel extract on adult rats treated by carbon tetrachloride
EP2065049A1 (en) The use of solidago virgaurea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 virus
CN101112432A (zh) 一种治疗脂肪肝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DE10120627A1 (de) Verwendung von Phyllanthusbestandteilen zur Behandlung oder Prophylaxe von Infekten durch Hepatitis B-Viren
CN113101331B (zh) 一种百里香药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648281A (zh) 一种降血脂的冬虫夏草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