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042B1 -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042B1
KR101899042B1 KR1020160068281A KR20160068281A KR101899042B1 KR 101899042 B1 KR101899042 B1 KR 101899042B1 KR 1020160068281 A KR1020160068281 A KR 1020160068281A KR 20160068281 A KR20160068281 A KR 20160068281A KR 101899042 B1 KR101899042 B1 KR 10189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ed
weight
parts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121A (ko
Inventor
최용학
최승희
고강호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어랩
Publication of KR2017001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황토분말 20-4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20-4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조성물에 물 20-4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는 많은 미세 공극을 가지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최대가 되는 효과가 있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영역인 37-40℃에서 침대 구조체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인체의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The composition of bed, the bed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composition of bed}
본 발명은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영역인 37-40℃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영역인 37-40℃에서 발생된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영향을 주는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은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히(F. W. Herchi)가 최초로 발견한 이래로 독일의 슈팡크 등이 다공의 세라믹 버너등에 이 적외선을 사용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모든 유기제품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소정의 파장을 가진 적외선 즉,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원적외선 방출물질 내부의 분자운동에 의한 전자력선의 진동파이며 그 발생형태는 냉방사와 열방사 등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그 성질상 전자파의 일종이므로 물체에 충돌하면 반사된다.
적외선은 에너지파로서 파장대가 0.76~1000 ㎛의 빛을 말하는데, 파장에 따라 0.76 ~ 1.5㎛ 범위를 근적외선, 1.5 ~ 5㎛ 범위를 중적외선이라 하고, 5~1000㎛ 범위를 원적외선이라 부르고 있다. 이 중에서도 5~15㎛ 범위의 원적외선이 우리 생활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이 갖는 유용한 잇점에 착안하여 황토 또는 천연대리석이나 광물을 이용한 침대가 종래에도 여러 제조사로부터 제시되어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데, 이들 기술을 간략히 살펴보면, 침대내부에 유리섬유인 글래스울과 단열판, 전기히터 또는 온수관, 열전달판, 천연대리석 또는 황토판 등을 차례로 적층 내장하여 전기히터 또는 온수관에 의한 온도조절 및 그 열에 의한 원적외선을 방사케 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원적외선 방사 침대들의 일부는 전기히터방식의 열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전자기파가 발산되어 인체의 구성물질인 철분을 응집하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한 건강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천연대리석, 황토판 등의 원적외선 방사 침대들은 공통적으로 가열된 상태(50∼60℃)에서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이 되어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원할하게 하는 공지의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37-40℃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천연대리석, 황토판을 가열하기 어려워 충분한 원적외선 방출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06837호의 '찜질용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펄라이트와 황토가 주재료로 투입되는 단열층과 황토가 주재료로 투입되는 가열층이 일체로 적층되고, 상기 단열층의 내측에 히터가 내장되는 구성으로 경량이면서 찜질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찜질용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발명에서도 가열된 상태(50∼60℃)에서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37-40℃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되고 더운 여름철에 가열이 어려워 충분한 원적외선 방출이 되지 않는 문제가 여전히 잔존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입자크기와 특정 비율로 구성요소를 혼합하여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대 구조체를 제조함으로써, 다수의 미세공극을 가지며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이 최대가 되며, 여름철에 별도의 가열 없이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을 발명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068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최대로 되는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침대 구조체에서 방출된 원적외선을 인체에 조사하여 인체 내의 NO(Nitric Oxide)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가 포함되는 침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황토분말 20-4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20-4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조성물에 물 20-4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서, 침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침대 구조체는 많은 미세 공극을 가지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최대가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여름철에 별도의 가열 없이도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원적외선이 최대로 방출되는 효과가 있고, 겨울철에는 침대 구조체에 내재한 관체에 37-40℃의 온수를 순환시켜 원적외선을 최대로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름철에 별도의 가열 없이도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원적외선이 최대로 방출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계절에 상관없이 활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영역인 37-40℃에서 침대 구조체로부터 발생된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침대 구조체는 별도의 압착과정 없이도 구조물의 강도를 장기간 유지가능하고, 천연물질과 재료로 자연 건조의 숙성과정을 거치므로 다수의 미세 공극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유익한 파장범위인 5-20㎛ 범위의 원적외선의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침대 구조체는 상부가 규화목으로 이루어져서 인체의 전후좌우의 모든 방향에서 고르게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원적외선 조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하여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37℃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6은 Neogenis Test Strips의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보여주는 기준 사진이다.
도 7은 침대 구조체를 사용하기 전, 사용 30분 경과 후, 사용 60분 경과 후에 실험대상자의 타액(침)을 묻힌 Neogenis Test Strips의 색상을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은 기본적으로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가 포함되는 구성을 갖는다.
황토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50-350 메시 입자크기를 갖는다. 황토분말 입자가 250 메시 미만이면 공극의 수가 너무 많아져 침대 구조체에 깨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50 메시 초과하면 침대 구조체에서 공극 형성이 충분하지 않아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황토분말은 300 메시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황토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부가 혼합된다. 황토분말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성에 문제가 있고 침대 구조체에서 부스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황토분말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공극의 수가 감소하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황토분말은 3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규사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50-350 메시 입자크기를 갖는다. 규사분말 입자가 250 메시 미만이면 공극의 크기와 수가 너무 커져 침대 구조체에 깨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50 메시 초과하면 침대 구조체에서 공극 크기와 수가 충분하지 않아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규사분말은 300 메시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규사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부가 혼합된다. 규사분말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공극의 수가 감소하고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는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규사분말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성에 문제가 있고 침대 구조체에서 깨짐이나 부스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규사분말은 3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토르말린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50-350 메시 입자크기를 갖는다. 토르말린분말 입자가 250 메시 미만이면 공극의 크기와 수가 너무 커져 침대 구조체에 깨짐이나 갈라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50 메시 초과하면 침대 구조체에서 공극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토르말린분말은 300 메시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토르말린분말은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부가 혼합된다. 토르말린분말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의 원적외선 방출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토르말린분말은 1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바인더인 CMC(Carboxymethyl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분말은 바람직하게는 2-6 중량부가 포함되는 구성을 갖는다. CMC분말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구성요소 간의 결합력이 약해져 침대 구조체에 부스러짐이나 갈라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CMC분말이 6 중량부를 초과하면 구성요소 간의 결합력이 너무 강해져 침대 구조체의 성형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MC분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의 원적외선 방출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인더로는 CMC 이외에도 아밀로이드팩틴, 전분, 아교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바인더는 초기 황토가 마르지 않은 경우에는 입자 안에서 입자간 결합을 강하게 유지하며 공극을 모두 막아 잡고 있으나, 황토가 수분을 잃고 마르는 시간 동안 그 체적이 줄어들어 결합을 유지하면서 미세 공극을 만들어 주게 된다. 이러한 미세 공극은 바인더의 체적이 줄어들어 생기는 공극으로서 그 비율을 바인더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CMC분말은 3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의 입자크기나 중량이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이 최대로 방출되는 효과가 저하되고, 37-40℃ 범위에서 원적외선의 최대 조사로 인해 인체의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는 효과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0-40 중량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조성물에는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일라이트분말 20-40 중량부와 1-4cm 길이의 파쇄된 천연섬유소 0.1-0.7 중량부가 추가로 혼합되고,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일라이트분말 30 중량부와 1-4cm 길이의 파쇄된 천연섬유소 0.4 중량부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일라이트분말 20-40 중량부와 1-4cm 길이의 파쇄된 천연섬유소 0.1-0.7 중량부가 추가로 혼합된 경우에도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최대의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상기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인체의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는 효과에는 영향이 없었다.
도 1은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하여 침대 구조체 제조하는 방법은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황토분말 20-4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20-4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2-6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조성물(Toloese)에 물 20-4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되고, 방출된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인체의 NO(Nitric Oxide) 농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얻기 위해 각각 250-350 메시 입자크기를 갖는 황토분말, 규사분말,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고, 지정된 비율로 건식으로 혼합한다. 여기에 지정된 비율의 CMC분말을 추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별된 250-300 메시 입자크기를 갖는 일라이트와 1-4cm 길이로 파쇄된 천연섬유소가 지정된 비율로 추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가 혼합된 침대용 조성물(Toloese)에 물 20-40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한다. 침대용 반죽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기 위해 침대용 반죽을 토련기에 넣고 토련반죽을 제조한다. 토련반죽을 가로X세로가 20cmX20cm로 절단하고, 절단된 토련반죽 블록을 내부에 관체를 구비한 형틀에 차곡차곡 쌓는다. 절단된 토련반죽 블록을 형틀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토련반죽 블록 표면에 물이 도포될 수 있고 미장작업이 병행될 수 있다.
형틀에 구비된 관체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로는 동파이프 등의 금속관, 엑셀파이프 및 PVC관 등의 플라스틱관 또는 고무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형틀에 구비된 관체에는 외부의 보일러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관체를 대신해 띠형태의 탄소 나노 필름(면상발열체 등)도 사용될 수도 있다.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한 후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은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며 숙성시킨다. 습도는 20-3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성형물은 부피가 감소하고, 성형물 내에 미세한 공극이 다수 형성된다.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한다. 성형물 내부의 관체를 이용하여 건조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외부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물 내에 다수의 미세 공극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하여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에 의하면 자연건조하는 숙성과정과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켜 건조하는 과정을 모두 거친 침대 구조체는 내부에 다수의 미세 공극을 가진다.
숙성과정과 건조과정을 거쳐 건조된 성형물은 표면을 샌딩하고, 한지를 부착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표면을 샌딩하고 한지를 부착하는 과정이 추가됨으로써 표면 갈라짐과 먼지 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에 규화목이 직접 부착 또는 결합되고, 편백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구조를 한지가 부착된 성형물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덮개구조가 한지가 부착된 건조된 성형물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한지가 부착된 건조된 성형물은 프레임 위에 위치될 수 있고, 덮개구조를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다. 내부에 규화목이 결합된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상부 덮개구조에서도 일정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든 방향에서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균일하게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덮개구조가 결합된 침대 구조체에는 조명과 카메라 등이 장착되어 온열 치료 대상자의 발한 특징을 촬영하여 신경계의 이상부위를 알아내는 발한 진단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다량 방출된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한 인체의 발한 특징을 촬영하여 신경계 이상 등을 파악하고 건강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1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고 상기 황토분말 3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3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조성물(Toloese)에 물 3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25℃의 온수를 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양을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40℃에서 5-20㎛ 범위의 원적외선이 0.916 방사율로 방출되고, 방사에너지가 3.69×10²(W/㎡ㆍ㎛, 40℃)이 방사되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고 상기 황토분말 3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3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조성물(Toloese)에 물 3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25℃의 온수를 24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양을 측정하였다.
도 4는 실시예 2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40℃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40℃에서 5-20㎛ 범위의 원적외선이 0.918 방사율로 방출되고, 방사에너지가 3.70×10²(W/㎡ㆍ㎛, 40℃)이 방사되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고 상기 황토분말 3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3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조성물(Toloese)에 물 3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48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25℃의 온수를 48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37℃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양을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시예 3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의 37℃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에서 5-20㎛ 범위의 원적외선이 0.921 방사율로 방출되고, 방사에너지가 3.55×10²(W/㎡ㆍ㎛, 37℃)이 방사되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를 이용하여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에서 원적외선을 인체에 방사한 후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를 조사하였다.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 조사를 위해 Neogenis Test Strips(미국 Neogenis사)을 이용하였다. 실험대상자가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에서 원적외선을 인체에 방사하는 침대 구조체를 사용하기 전, 사용 30분 경과 후, 사용 60분 경과 후에 깨끗한 종이 위에 Neogenis Test Strips을 올려 놓고 실험대상자의 타액(침)을 묻혀 색상을 비교하였다.
도 6은 Neogenis Test Strips의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보여주는 기준 사진이다.
도 7은 침대 구조체를 사용하기 전, 사용 30분 경과 후, 사용 60분 경과 후에 실험대상자의 타액(침)을 묻힌 Neogenis Test Strips의 색상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7에 의하면 침대 구조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가 25-100(Ч㏖/L) 범위 내에 있어 Low(부족)상태에 있었다. 하지만 37℃에서 실시예 3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를 30분 사용한 경우에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가 100-300(Ч㏖/L) 범위 내에 있어 Normal(정상)상태로 상승하였고, 37℃에서 실시예 3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를 60분 사용한 경우에는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가 300(Ч㏖/L)을 초과하는 범위로 상승하여 Optimal(최적)상태가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에서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에서 다량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를 상승시키고 최적의 혈액 순환 유지, 혈관내피 보호, 강력 항산화제 생성, 순환계, 면역계, 신경계 등의 기능 활성화 촉진,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라는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인 침대용 조성물(Toloese)을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대 구조체는 지정된 구성요소, 지정된 입자크기 범위, 지정된 비율 범위, 규정된 제조방법에 의해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5-20㎛ 원적외선 방출이 최대가 되는 특유의 효과를 가지며, 인간의 체온과 유사한 37-40℃ 범위에서 최대 방출되는 5-20㎛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해 인체 내 NO(Nitric Oxide) 농도를 상승시키는 이질적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침대 구조체는 구조물의 강도를 장기간 유지가능하고, 유익한 파장범위인 5-20㎛ 범위의 원적외선의 조사가 충분하도록 기공구조를 균일하게 다량으로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으로 황토침대는 수백톤의 프레스로 압축하여 갈라짐이 없게 만드는데, 이 경우 압력에 의한 눌림에 의해, 황토 자체의 공극이 사라져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원활히 되지않아 공기 정화작용과 습도조절 기능, 원적외선 방출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침대 구조체는 원적외선 방출량이 우수하고, 덮개 구조를 통한 원적외선의 입체치료가 가능한 효과와 아울러 천연물질과 재료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공극이 살아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 정화작용과 습도조절 기능, 보온 기능 등의 보조 효과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 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30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30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30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황토분말 3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3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조성물에 물 3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성형물 표면을 샌딩하고 한지가 부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2. 300 메시 입자크기의 황토분말, 300 메시 입자크기의 규사분말, 300 메시 입자크기의 토르말린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황토분말 30 중량부, 상기 규사분말 30 중량부, 상기 토르말린분말 1 중량부에 250-350 메시 입자크기의 일라이트분말 30 중량부와 1-4cm 길이의 파쇄된 천연섬유소 0.4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바인더로 CMC분말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침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조성물에 물 30 중량부를 가하고 교반하여 침대용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대용 반죽을 토련하여 물질의 조직이 치밀하게된 토련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토련반죽을 관체가 배치된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관체가 내재된 판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상온에서 24-72 시간 자연건조하고 숙성시켜 숙성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성형물에 내재된 상기 관체로 18-40℃의 온수를 24-72 시간 순환시키고 건조하여 건조된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성형물 표면을 샌딩하고 한지가 부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가 부착된 건조된 성형물 상부에 내부에 규화목이 부착되고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덮개구조가 결합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인체의 발한 특징을 촬영하여 신경계 이상을 파악하는 발한진단기가 설치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68281A 2015-07-29 2016-06-01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KR101899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77 2015-07-29
KR20150107177 2015-07-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71A Division KR20180056592A (ko) 2018-04-04 2018-04-04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121A KR20170015121A (ko) 2017-02-08
KR101899042B1 true KR101899042B1 (ko) 2018-09-14

Family

ID=5815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81A KR101899042B1 (ko) 2015-07-29 2016-06-01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0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71B1 (ko) * 2004-07-21 2007-03-28 안문효 복합 황토매트
KR100955901B1 (ko) * 2008-02-05 2010-05-03 고재근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2012A (ko) * 2008-04-23 2009-10-28 유한회사 청호가구아울렛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성 매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사용한 침대
KR101631457B1 (ko) 2014-07-09 2016-06-20 이병호 찜질용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121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73B1 (ko) 숯을 포함하는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9042B1 (ko)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KR20180056592A (ko) 침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침대 구조체 제조방법
KR20070076552A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1745769B1 (ko) 황토 난방 매트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100359327B1 (ko) 참숯판재를 이용한 전열 휄스 매트
KR101071243B1 (ko) 침대용 황토보드 제조방법
KR101176820B1 (ko) 한지장판보드 및 한지장판보드의 시공방법
KR20150054130A (ko) 전도성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과 조성물
KR101141751B1 (ko) 침대매트리스와 온열보료 병용 숯판 및 숯편의 제조방법
KR101450754B1 (ko) 건축용 보드 제조용 무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제조방법
KR101077953B1 (ko) 숯이 포함된 천정 마감용 황토패널 제조방법 및 그 황토패널
KR101361168B1 (ko) 친환경 황토타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황토타일
KR20070075620A (ko) 감람석을 사용한 건축 판넬용 원적외선 방사 보드 및 제조방법, 방사 판넬
KR101977618B1 (ko) 암염 침대
KR101482771B1 (ko) 가변시간 및 가변압력을 적용한 친환경 황토 천장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황토 천장재
KR100934386B1 (ko) 탄소복합성형체 패널의 제조방법
KR102173648B1 (ko) 칠보석 및 황토가 혼합된 원적외선 방출볼이 내장된 전기매트
KR102546727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가지는 블랙 알루미나 세라믹 매트리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90463A1 (zh) 一种含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33075B1 (ko)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KR102519220B1 (ko)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KR101061929B1 (ko) 흙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281B1 (ko) 열보존성이 우수한 황토 판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토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