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220B1 -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220B1
KR102519220B1 KR1020220136919A KR20220136919A KR102519220B1 KR 102519220 B1 KR102519220 B1 KR 102519220B1 KR 1020220136919 A KR1020220136919 A KR 1020220136919A KR 20220136919 A KR20220136919 A KR 20220136919A KR 102519220 B1 KR102519220 B1 KR 10251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ing
mobile
vehicle
interior
camping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화신
Original Assignee
차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신 filed Critical 차화신
Priority to KR102022013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형태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형태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으로 한지나 볏짚 중에서 선택되는 펄프와 다공성 광물과 용융소금과 잔량을 황토로 채워 100wt%를 이루어서 프레스나 롤러압착방법으로 10±0.3㎜ 두께로 압착 후 건조하여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를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이동숙박차량의 바닥면에 온수배관호스 내장구조를 갖는 단열재를 깔고 온수배관호스가 배열된 후 단열재 상부로 열전도판재가 깔리며 열전도판재 상부로 매쉬망이 깔리며 매쉬망 상단부로 바인더가 도포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진행된 후 제1단계 공정으로 얻은 바닥재가 깔리는 제3단계 공정과, 별도의 공정으로 이동숙박차량의 측벽부에 바이오실리콘이 도포되고 바이오실리콘 외측에서 측벽 저부로는 황토판재가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편백판재가 부착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적용되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Remodeling method for car camping trailer 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형태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관련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매니아들이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 경관이 좋은 위치에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를 정착시키고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에는 습기가 많은 흡습분위기가 강하므로 캠핑카나 캠핑트레일러 내부가 눅눅한 분위기로 변하게 되고, 흡습분위기가 강한 장소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고 나면 다음날은 기력 및 활력이 떨어져서 매사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원기술은 캠핑카나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관련 기술이다.
최근에는,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캠핑을 즐기는 문화가 보편화됨으로써, 캠핑을 위한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레저형 차량, 즉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가 다양한 모델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는 구입가격 및 유지비용이 큰 반면, 내부에 주거공간, 침실, 주방, 화장실 등의 공간을 확보하여 편리성이 뛰어나 최근에는 사용량이 구입량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는 제한된 크기의 내부에 주거공간, 침실, 화장실, 주방 등이 구비됨에 따라 잠시 여행기간 동안의 삶에 큰 불편함이 없고, 최근에는 주 5일 근무가 생활화됨에 따라 가족끼리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 경관이 좋은 곳을 찾아 캠핑 문화를 즐기고자 레저형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는 별도의 숙박업소를 예약하지 않아도 차량 내 차체적으로 숙박 가능한 장점을 가지므로 젊은 층에서 한 때 큰 인기를 누리기도 했으나, 현실적으로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의 계곡 주변 등에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를 정착시기고 휴식을 취하는 경우 주변이 습윤 분위기가 강하므로 숙박차량 내부의 눅눅한 분위기에서 어린아이들이 감기에 걸리기 쉽고 건강한 사람도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에서 몇일간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 기력 및 활력이 떨어지는 느낌을 갖고, 즐거움으로 활력을 회복해야할 여행길이 오히려 지치고 피로감이 가중된 상태로 돌아올 때가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동안 캠핑카와 관련 개시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990732호에서 공간 확장형 캠핑카 관련 기술이 개시된바 있는바, 위 선행기술은 몸체 내부에 수납된 측면이동박스와 후면이동박스가 몸체의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캠핑트레일러 관련 기술로 등록특허 10-2124003호에서는 캠핑트레일러 의 전력시스템 및 제어방법 관련 기술에서 배터리의 충전량 및 잔존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들의 사용량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저전압에 의한 전력기기 사용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써 캠핑트레일러에 구비되는 전력장치 및 각종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통합제어장치(1)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2) 및 통합제어장치(1)와의 접속을 통하여 정보를 확인하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단말기(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트레일러 전력시스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캠핑트레일러를 이용하여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 경관이 좋은 곳을 찾아 잠시 캠핑 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시설에 고가의 태양광을 설치하여 난방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설치비용 대비 편익부분은 너무 낮아서 현실화에 어려움이 있다.
또 다른 캠핑카 관련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14959호 "캠핑카용 에어컨"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773015호 "캠핑카용 난방장치" 등의 관련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바, 위 선행기술들은 모두 캠핑카의 내·외부에 에어컨이나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차량용 배터리와 연결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캠핑카의 내부를 쾌적하게 조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캠핑카 자체적으로 설치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만족할 수준의 온도 조절 기능을 감당하기에 비효율적이며, 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배터리의 방전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회피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캠핑카의 장점은 극대화하면서 주택과 같은 기존 건축물의 생활 인프라를 살린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형태로 캠핑카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캠핑카 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활력이 떨어지지 않는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캠핑카의 개선 내장구조가 요구된다.
본원은 기존의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등으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의 장점은 극대화되도록 외장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내장구조를 새집증후군 등과 같은 독성물질에 의한 호흡기 장애나 기타 알러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히려 다공성 광물 및 황토를 사용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 및 무기재료 물성에 따른 온습도 조절기능을 통해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이동숙박차량 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활력이 떨어지지 않는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의 새로운 내장재 구조를 이루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내장구조를 변경시키는 내장재 및 내장재를 이용한 내장재 리모델링 방법에 의해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의 바닥재(내장재)로 한지나 볏짚 중에서 선택되는 펄프 10~20wt%, 다공성 광물 15~30wt%, 용융소금 1~5wt에 잔량을 황토로 채워 100wt%를 이루어서 프레스나 롤러압착방식으로 10±0.3㎜ 두께로 압착 후 건조하여 이동숙박차량의 바닥재를 얻는 제1단계 공정을 적용하고자 하였는바, 이동숙박차량의 바닥재를 얻을 때 한지나 볏짚 등의 펄프를 10~20wt% 사용하여 바닥재 재질 자체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앉거나 눕거나 움직일 때 외부 충격(하중)에 금이가거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펄프가 일정 함량으로 함유된 바닥재(내장재)로 제공되어 딱딱하지 않고 소프트(soft)한 질감을 제공하도록 사용되였고, 다공성 광물을 일정 함량으로 함유된 바닥재(내장재)로 제공되도록 하여 바닥재의 무게를 경량화하면서도 함께 사용되는 황토와 연합해서 캠핑카용 바닥재에 원적외선 방사 기능 및 항균, 탈취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황토는 주변 환경을 정화시켜 줌과 동시에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생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바닥재(내장재)를 통하여 황토입자의 미세공극을 통한 습도 조절기능을 갖도록 사용되었다.
본원에서는 다공성 광물과 황토가 함께 고온으로 소성(塑性)되면서 가벼워지면서 동시에 견고해져 굽힘과 휨강도가 강화되며 또한 내화성(耐火性)을 가지게 되므로 만약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해가스를 발생함이 없이 친환경 불연내장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용융소금을 사용하여 접착력을 높이면서 항균성도 확보하고자 하였는바, 일반적으로 가공을 하지 않은 일반소금이나 암염, 죽염 등은 상온에서 조해성을 가지며 물에 쉽게 용해되고 접착력이나 점착력이 없지만,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은 일반소금과는 전혀 상이한 성질, 즉 조해성도 없고 물에도 녹지 않으며 수분의 침투도 거의 없는 성질을 가지면서, 이를 분말화 하여 물을 가하면 접착력도 생기고 항균력도 부여하는 특성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이 펄프와 다공성 광물과 용융소금 및 황토가 혼합된 후 프레스나 롤러압착 수단으로 10±0.3㎜ 두께로 압착 후 100~120℃ 범위를 유지하는 건조로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숙박차량의 바닥면에 온수배관호스 내장구조를 갖는 단열재를 깔고 온수배관호스가 배열된 후 온수배관호스 상부를 마개캡으로 덮은 상태로 단열재 상부로 0.5~1㎜ 범위의 얇은 열전도(Al)판재가 깔리며 열전도판재 상부로 매쉬망이 깔리며 매쉬망 상단부로 바인더가 도포된 후 상기의 이동숙박차량의 바닥재가 깔리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제3단계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온수보일러에 의한 난방구조를 제공하도록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공정으로 제공되는 바닥재(내장재)는 이동숙박차량의 바다면에 원적외선 발생구조를 이루면서 가온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공정으로 설명될 수 있고, 별도의 공정으로 캠핑카의 측벽부에 황토의 다공구조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발생구조 및 습도 조절구조를 이루기 위해 캠핑카의 측벽부에는 먼저 바이오실리콘이 도포되고 바이오실리콘 외측에 황토판재 또는 목재판재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부착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구조로 적용되는 경우 캠핑카 바닥면에 설치된 바닥재(내장재) 및 측벽에 설치된 황토판재로 인하여 황토의 미세다공구조에 실내 습기가 높을 경우 이를 흡입하여 적절한 습도조절을 통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즉, 본원의 바닥재(내장재)나 황토판재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파장 영역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기 화합물 분자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 이와 쉽게 공진(共振) 하기 때문에,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생체 내로 잘 흡수되어 생체 내의 분자를 자극하여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갖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의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광물은 운모광석, 화산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를 600∼900℃ 범위에서 고온소성하고 고온소성된 제품을 발포하여 비중을 0.25∼0.50g/㎤ 범위로 만드는 발포공정을 거치고 발포된 제품을 80∼100메쉬(mesh)로 분쇄시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캠핑카 바닥재의 무게 중량을 가능한 줄여주고 다공성 광물과 황토와의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해 황토도 600℃ 범위로 소성시킨 소성황토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바인더는 찹쌀풀에 석회가 5~10 wt% 범위로 혼합된 식물성 바인더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석회의 항균효과로 찹쌀풀의 변질을 막아주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원의 상기 제3단계 공정에서 기존의 캠핑카 측벽부에 단열재가 없는 경우 하절기에는 외부의 더위나 동절기에는 외부의 찬 기운을 차단하기 위해 얇은 단열재판재를 대고 그 안쪽에 석고보드를 부착시킨 후 바이오실리콘이 도포되고 측벽 저부쪽에는 황토판재가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편백판재가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 기술사상은 상기와 같이 새로운 기술구성에 입각하여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의 바닥재가 만들어져 이동숙박차량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적용된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를 통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황토의 물성에 따른 습도 조절기능을 통해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함으로 이동숙박차량 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활력이 떨어지지 않는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종래의 내장재 구조를 갖는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를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과 같은 경관이 좋은 위치에 정착하여 휴식을 취하는 경우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의 습윤분위기로 인해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눅눅한 분위기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한 후 오히려 기력 및 활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용 내장재가 적용되는 경우 이동숙박차량 주변의 습윤분위기를 황토 및 다공성 무기물의 독특한 물성에 따른 온습도 조절기능을 통해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고 오히려 원적외선 방사료과를 제공함으로 이동숙박차량 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 활력을 높이고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통상의 이동숙박차량(캠핑트레일러) 및 그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진도.
도 2 : 본 발명의 캠핑트레일러용 내장 바닥재의 설치예시도.
도 3 : 본 발명의 캠핑트레일러용 내장 바닥재 및 벽체의 설치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기술은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등의 이동숙박차량 매니아들이 전국의 유명산이나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 경관이 좋은 위치에 캠핑카를 정착시키고 휴식을 취하는 사례가 많은데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에는 습기가 많으므로, 이동숙박차량 내부가 눅눅한 분위기로 변하면 침구에 곰팡이도 생기고, 흡습분위기가 강한 장소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고 나면 다음날은 기력 및 활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본원기술의 일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원 기술은 하기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서 본원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제시되는 실시예 이외에도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료준비공정
본원발명자는 (주)청우산업에서 제공되는 황토를 600℃ 범위에서 고온 소성하여 소성황토를 얻고, 석보광물로부터 구입한 운석광물 및 일라이트 광물을 700℃ 범위에서 고온 소성하고 고온소성된 제품을 발포시켜 비중을 0.35 g/㎤ 범위로 제공되는발포 제품을 분쇄하여 100메쉬(mesh) 입도크기로 분쇄된 운석광물 및 일라이트 광물을 준비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버미큘라이트 광물을 가열로에 넣고 80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고온에 의해 가열되면서 팽창하게 되며, 이처럼 팽창된 버미큘라이트는 롤러분쇄기를 이용 분쇄하여 100메쉬(mesh) 입도크기로 분쇄된 버미큘라이트 광물을 준비하였다.
천연 식물성 바인더 제조실시예
본원 발명자는 항균성을 확보하는 식물성 바인더를 얻기 위해 증류수 1000㎖ 속에 염화나트륨 9g을 함유하는 멸균 식염수에 아교를 약 10 : 1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약 100∼500 rpm에서 약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액을 얻고 혼합액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pH 5.5∼7.0의 편백정유를 혼합액의 약 1~5 wt% 중량비율로 호모믹서에 넣고 약 7000∼8000rpm으로 교반하면서 우무가사리, 다시마, 미역과 같은 해초 분말을 혼합액의 약 5~15 wt% 중량 비율로 첨가하여 접착성을 높인 천연바인더를 얻어 이용하고자 원료를 준비하였다.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 제조실시예
소성 황토 50kg,
운모광석 분말 10kg,
일라이트 광석분말 10kg,
버미큘라이트 광석분말 10kg,
전통한지 제조업체 온고을 한지로부터 구입한 한지펄프 15kg,
용융소금 5kg
합계 100kg
본원 발명자는 상기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 원료조성물 100kg에 식물성 바인더 10kg을 추가한 조성으로 캠핑카용 바닥재로 제공되었을 때의 물성을 예측하기 위해 원외선 방사특성 시험, 물리적 특성 및 항균성 실험 등에서 발명자가 원하는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조건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 원적외선 방사특성 시험
원적외선 방사특성 시험은 미국 Madac사 M4500 FT-IR Spectrometer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는바, 시험은 40℃에서 수행하였고,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측정결과로 표시한 것이다.
시 료 명 방사율(5~20㎛) 방사에너지(W/㎡ ㎛) 비 고
바닥재조성물 0.920 3.72×102 중심파장 9.3㎛
2. 물리적 특성 시험
본원 기술이 적용된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 조성물의 수분, 비표면적, 부피비중, 겉보기 비중에 대한 실험결과는 표 2와 같았다.
항 목 분석결과 시험분석 방법
수분(wt%) 1.13 무게분석
비표면적(㎡/g) 1.10 무게분석
부피비중 1.09 KRL3114:2005
겉보기 비중 1.95
3. 항균성 시험
본원 기술이 적용된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 조성물의 항균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성 시험을 행하였으며 시료를 넣지 않은 blank 상태와 시료를 넣은 상태에서 초기 농도와 24시간 경과 후의 세균감소율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1) 시험방법 : KICM-FIR-1002
2)사용균주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시험항목 시료구분 초기농도
(CFU/4OP)
24시간 후 농도
(CFU/4OP)
세균감소율(%)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
Blank 236 615 -
본 발명 성형체 236 1 99.6
녹농균에 의한
항균시험
Blank 353 908 -
본 발명 성형체 353 1 99.7
(주) 1)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CFU : Colony Forming Unit
3) 40p=0.04㎖
4) 배지상의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임.
본원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원 바닥재 조성물이 항균 및 원적외선 특성을 제공하는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원 기술이 구체적으로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로의 적용을 위해 1000 kg 압력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가로*세로*두께 = 30㎝* 30㎝* 0.8㎝ 규격으로 압착 후 120±5℃를 유지하는 건조로에서 12시간을 건조하여 캠핑카용 바닥재(40)를 얻었다.
이하에서는 본원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캠핑트레일러(100)에서 적용되어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40)가 어떻게 설치되어 구현될 것인지 일 적용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캠핑트레일러(100)의 외형 사진도를 나타낸 것으로 캠핑트레일러의 앞면(a)과 후면(b) 사이에 출입문(c)을 갖고 출입문 상단위치에 비가림 차단막(d)을 갖는 구조의 캠핑트레일러(100)의 외형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캠핑트레일러(100) 내부에서 침대용으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 후면(b) 위치에서 목재침상(10) 위에 직물지바닥재(20)가 깔려진 형태의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c는 캠핑트레일러(100 앞면(a) 위치에서 양측부로 의자대용 목재받침부(11) 상부에 직물지바닥재(20)가 깔려 있고 양측면의 목재받침부(11)사이 중앙부에 응접용 테이블(12)을 갖는 형태의 캠핑트레일러 앞면(a)의 내부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 표시된 캠핑카(100)의 외형은 이미 다 알려져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이 필요 없는 부분이고, 도 1b에서의 캠핑카 내부의 후면(b)에 마련된 침상은 바닥면에서 20~30㎝높이로 목재침상(10)이 마련되고 목재침상 상부에 직물바닥재(20)가 깔려진 구조를 이루고 있고, 도 1c에서의 캠핑카 내부의 앞면(a)쪽에 마련된 중앙테이블 양 측부의 의자대용 받침부에도 바닥면에서 20~30㎝높이로 목재받침부(11)가 마련되고 목재받침대 상부에 작물지바닥재(20)가 깔려진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캠핑카(100)를 새로 구입했을 때는 도 1b 또는 도 1c의 사진도와 같이 직물지질의 침대시트 또는 바닥시트가 저가 제품이 깔려있을 때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에 의한 호흡기 장애나 기타 알러지의 발생이 우려됨과 동시에 바닷가나 호수가 숲속 등 주변에 습기가 많은 지역에 이동숙박차량을 정착시키고 하룻밤을 지나게 되면 이동숙박차량 내부가 눅눅한 분위기로 변하게 되고, 흡습분위기가 강한 차량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고 나면 다음날은 천재질의 침대시트 또는 바닥시트를 외부로 반출하여 햇빛에 말리지 않으면 축축한 느낌으로 가까이 가기가 꺼려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몇 일의 휴가를 지내고 나면 캠핑이고 뭐고 빨리 집에 가고 싶은 생각이 절로 날 정도로 기력과 활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많은 이동숙박차량 이용 매니아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문제점이다.
도 2는 도 1b에서의 목재침상(10) 상부에 설치된 직물지바닥재(20)를 없애고 본원 기술을 적용시키기 위해 목재침상(10)은 그대로 활용하여 그 상부에 온수배관호스(32) 내장구조를 이루기 위한 오목홈(31)을 갖는 단열재(30)를 깔고 원하는 가온열로 조절되는 온수보일러장치에서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배관호스(32)가 오목홈(31)에 끼움되도록 배열된 후 단열재 상부로 0.5~1.5㎜ 두께의 얇은 열전도판재(33)가 깔리며 열전도판재 상부로 매쉬망(34)이 깔리며 매쉬망 상단부로 찹쌀풀에 석회가루가 5~10 wt% 범위로 혼합된 항균성바인더(35)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40)가 깔리게 되어 원하는 가온구조를 이루면서 쾌적함을 회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a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의 바닥면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오목홈(31) 및 온수배관호스(32)가 내장된 단열재(30) + 열전도판재(33) + 매쉬망(34) + 항균성바인더(35) + 캠핑카용 바닥재(40)가 깔린 구조를 이루어서 바닥면을 완성시키고, 이동숙박차량의 내부 측벽(50)에는 바이오실리콘(51)이 먼저 도포되고 바이오실리콘(51) 외측에서 측벽 저부쪽에는 황토판재(60)가 부착되고, 측벽의 황토판재(60) 상부로는 편백판재(70)가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이동숙박차량의 내부 측벽부에서 황토판재를 이용하여 습도조절기능을 높이고 편백판재를 통하여 이동숙박차량의 내부에 편백나무에서 발산하는 피톤치드의 은은한 향을 통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여 강가나 산림을 찾은 여행객이 쉼과 안식으로 건강을 회복하는 이동숙박차량으로 캠핑트레일러(100)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것이다.
도 3b는 도 1c에서의 중앙테이블(12)을 치우고 중앙테이블 양 측부의 목재받침대(11)를 중앙부까지 연결하여 도 1b에서와 같은 목재침상(10) 상부로 단열재 + 열전도판재 + 매쉬망 + 항균성바인더 + 캠핑카용 바닥재(40)가 깔린 구조를 이루어서 바닥면을 완성시키고, 이동숙박차량의 내부 측벽(50)에 바이오실리콘(51)이 먼저 도포되고 바이오실리콘(51) 외측에서 측벽 저부쪽에는 황토판재(60)가 부착되고, 측벽의 황토판재(60) 상부로는 편백판재(70)가 부착된 상태의 완성구조를 이룬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동숙박차량인 캠핑트레일러(100)의 내부 앞면(a)을 침실로 꾸며 침실로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우측면 측벽은 생략된 상태에서 좌측벽에 측면창(d)을 갖고 후면벽에 후면창(e)을 가지며 전면쪽은 벽체가 없이 실내공간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원에서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의 측벽부에 황토판재(60)나 편백판재(70)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출원인의 선 출원 기술로 등록특허 10-2089751호 기술(발명의 명칭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을 이용한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 및 그 내장구조) 기술에서 적용되는 쫄대는 이용하는 방법 등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원기술에서와 같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오실리콘(51)은 (주)한수도료산업에서 E-7100 상품명으로 제공되는 친환경제품인 바이오실리콘은 곰팡이 서식 방지용으로 습도에 의한 갈라짐이 없고 반복되는 고습도 분위기에 노출되어도 접착력 및 신축력이 훼손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바이오실리콘(51)이 이용되는 경우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의 상기 제3단계 공정에서 기존의 캠핑카 또는 캠필트레일러 측벽부에 단열재가 없이 제공되는 차량의 경우 하절기에는 외부의 더위 때문에 견디기 힘들고 동절기에는 외부의 찬 기운을 차단하기 어려우므로 벽체 내부에 단열재판재를 부착하고 그 안쪽에 석고보드를 부착시킨 후 바이오실리콘을 도포하고 측벽부 저부쪽에는 황토판재가 부착되고, 황토판재 상부로는 편백판재가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황토판재의 하중이 부담되는 경우에는 본원의 제조실시예로 얻은 캠핑카용 바닥재(40)를 벽체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기술로 제공되는 캠핑카용 내장재가 적용되는 경우 캠핑카 주변의 습윤분위기를 황토의 독특한 물성에 따라 습도 조절기능을 통해 캠핑카 또는 캠필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고 오히려 원적외선 방사료과를 제공함으로 캠핑카 또는 캠필트레일러 내부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 활력을 높이고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즐겁고 건강한 캠핑여행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여 특허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10 : 캠필트레일러의 목재침상 11 : 목재받침대
20 : 직물지바닥재 30 : 단열재
31 : 오목홈 32 : 온수배관호스
33 : 열전도판재 34 : 매쉬망
35 : 항균성바인더 40 : 캠핑카용 바닥재
50 : 캠핑트레일러의 벽체 51 : 바이오실리콘
60 : 황토판재 70 : 편백판재
100 : 캠핑트레일러

Claims (5)

  1.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형태로 제공되는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이동숙박차량의 바닥재로 한지나 볏짚 중에서 선택되는 펄프 10~20wt%, 다공성 광물 15~30wt%, 용융소금 1~5wt%에 잔량을 황토로 채워 100wt%를 이루어서 프레스나 롤러압착방법으로 10±0.3㎜ 두께로 압착 후 건조하여 이동숙박차량용 바닥재를 얻는 제1단계 공정과
    이동숙박차량의 바닥면에 온수배관호스 내장구조를 갖는 단열재를 깔고 온수배관호스가 배열된 후 단열재 상부로 열전도판재가 깔리며 열전도판재 상부로 매쉬망이 깔리며 매쉬망 상단부로 바인더가 도포되되, 바인더는 찹쌀품에 석회가 5~10 wt% 범위로 혼합된 식물성 바인더가 도포되도록 적용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진행된 후 제1단계 공정으로 얻은 바닥재가 깔리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후 이동숙박차량의 측벽부에 바이오실리콘이 도포되고 바이오실리콘 외측에 황토판재 또는 목재판재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부착되는 제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동숙박차량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광물은 운모광석, 화산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를 600∼900℃ 범위에서 고온소성하고 고온소성된 제품을 발포하여 비중을 0.25∼0.50g/㎤ 범위로 만드는 발포공정을 거치고 발포된 제품을 80∼100메쉬(mesh)로 분쇄시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공정에서 이동숙박차량의 측벽부에 단열재판재나 석고보드가 먼저 부착된 후 바이오실리콘이 도포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이 선택되는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이동숙박차량.
KR1020220136919A 2022-10-21 2022-10-21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KR10251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19A KR102519220B1 (ko) 2022-10-21 2022-10-21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19A KR102519220B1 (ko) 2022-10-21 2022-10-21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220B1 true KR102519220B1 (ko) 2023-04-06

Family

ID=8591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19A KR102519220B1 (ko) 2022-10-21 2022-10-21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2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27A (ko) * 2001-09-18 2003-03-26 김홍범 다공성을 띤 운모광석 및 세라믹광물을 이용한 기능성우레탄폼
KR101604071B1 (ko) * 2015-06-18 2016-03-1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삼베 및 황토를 이용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00833U (ko) * 2015-08-26 2017-03-08 황봉익 건축자재용 타일
KR101875450B1 (ko) * 2017-03-22 2018-07-09 이병호 황토패널
KR20220059295A (ko) * 2020-11-02 2022-05-10 차화신 온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항균성 황토방 건축물 및 그 제조,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27A (ko) * 2001-09-18 2003-03-26 김홍범 다공성을 띤 운모광석 및 세라믹광물을 이용한 기능성우레탄폼
KR101604071B1 (ko) * 2015-06-18 2016-03-16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삼베 및 황토를 이용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00833U (ko) * 2015-08-26 2017-03-08 황봉익 건축자재용 타일
KR101875450B1 (ko) * 2017-03-22 2018-07-09 이병호 황토패널
KR20220059295A (ko) * 2020-11-02 2022-05-10 차화신 온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항균성 황토방 건축물 및 그 제조,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73B1 (ko) 숯을 포함하는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9052B1 (ko) 왕겨를 포함하는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9220B1 (ko)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KR100754424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천매암을 함유한 탄성 바닥재,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0387283B1 (ko) 건강 기능 벽돌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101517933B1 (ko) 건축물의 내벽을 내장하는 친환경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811857B1 (ko) 바다머드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CA2584554A1 (en) Finishing material panel for construction material
KR101252586B1 (ko) 펄라이트를 사용한 친환경 실내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1106564A (ja) 調湿タ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調湿タイル
JP7364678B2 (ja) バイオセラミックを用いた温熱器兼用座薫器
KR100822637B1 (ko) 시멘트몰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33578B1 (ko) 건축용 황토 판넬의 제조방법
KR101600543B1 (ko)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JPH102044A (ja) 調湿セラミックス建材
KR100560861B1 (ko) 감람석(올리빈)을 이용한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제조방법
KR102146794B1 (ko) 바이오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KR200190750Y1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KR100674644B1 (ko) 건물용 황토방
WO2003001008A1 (fr) Panneau mural capable de produire des ions negatifs, reposant sur l'utilisation de cendre volcanique naturelle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060104643A (ko) 건축물의 친환경적 내장 몰탈 제조방법 및 그 몰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