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33U - 건축자재용 타일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33U
KR20170000833U KR2020150005695U KR20150005695U KR20170000833U KR 20170000833 U KR20170000833 U KR 20170000833U KR 2020150005695 U KR2020150005695 U KR 2020150005695U KR 20150005695 U KR20150005695 U KR 20150005695U KR 20170000833 U KR20170000833 U KR 201700008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oard
heat insulating
main body
fixing member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봉익
이은상
Original Assignee
황봉익
이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봉익, 이은상 filed Critical 황봉익
Priority to KR2020150005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833U/ko
Publication of KR20170000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자재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는 건축자재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건축자재용 타일은, 다수개의 타일을 상호 결합시켜 시공하는 건축자재용 타일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적층되어 결합된 평판 형상의 단열보드와;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보드에는 상기 본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자재용 타일 { TILE FOR CONSTRUCTION MATERIAL }
본 고안은 건축자재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는 건축자재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제로하우스와 같은 개념의 에너지 절약 건축물이 각광을 받고 있어 건축물에 대한 단열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축물의 단열은 크게 외단열과 내단열로 구분할 수 있다.
외단열은 건축물의 벽체를 기준으로 외부를 단열하는 것이며, 내단열은 건축물의 벽체를 기준으로 내부의 생활공간을 단열하는 것이다.
이중 외단열은 건축물의 외벽 외부를 단열하는 것으로서, 건축물 내부의 구성에 관계없이 창문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공간을 단열하는 것이고, 단열성능 면에서도 효과가 높아 건축물 전역에 고르게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내단열은 건축물의 내부 생활공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거실, 방, 주방, 욕실 등으로 구분하여 시공되고, 사용하는 재료에 구분이 되며 단열이 손쉬운 곳과 매우 까다로운 곳으로 나뉜다.
이중 거실과 방 등은 단열이 손쉬운 공간이고 욕실은 평상시보다 사용시에는 월등히 높은 실내온도를 필요로 하는 특성 때문에 단열요건이 매우 까다로운 공간에 속한다.
즉, 욕실의 경우는 거실이나 방과 같은 단열을 하였을 경우에는 필요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없는 관계로 그 효과가 무의미해져 버린다.
이의 해결을 목적으로 단열타일이라는 것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 역시도 표피재의 열용량이 커서 그 효과가 지극히 미미하여 거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타일을 이용하여 벽면 등의 지지면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시멘트,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축자재용 타일은 각각의 타일을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깨어진 타일을 교체하는데에도 상당한 시간과 인건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3342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단열의 효과를 얻으면서 동시에 환경호르몬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한 건축자재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건축자재용 타일은, 다수개의 타일을 상호 결합시켜 시공하는 건축자재용 타일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적층되어 결합된 평판 형상의 단열보드와;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보드에는 상기 본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편에서 이웃한 단열보드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면에 결합되되,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킨다.
상기 본체와 단열보드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와 단열보드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와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는 이웃한 단열보드의 본체가 덮어 외부로 비노출된다.
상기 단열보드는 흡음단열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보드는 고밀도의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보드는 합성수지섬유를 열압착하여 형성한다.
또는, 상기 단열보드는 합성수지를 발포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단열보드는 PET(폴리에스터) 또는 PP(폴리프로필렌)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이 결합된 일반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본체는 내부에 컬러가 착색된 일반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본체는 상면에 고경도 컬러층이 인쇄된 친환경 세라믹, 규산칼슘, 비석면섬유시멘트, 비석면칼슘실리케이트, 석고, 황토, 마그네슘,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본체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자재용 타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열보드에 의해 단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환경호르몬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시공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과정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단면구조도.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과정도이다.
본 고안의 건축자재용 타일은 다수개의 타일을 상호 결합시켜 건축물의 바닥면, 측벽 등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단열보드(20)와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사각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이 아닌 육각 또는 팔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는 하면에 인쇄층(12)가 결합된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쇄층(12)의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0)는 강화유리가 아닌 일반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인쇄층(12)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컬러가 착색된 강화유리 또는 일반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인쇄층(12)를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컬러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표면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본체(10)에서 컬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보드(20)는 대략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단열보드(20)는 친환경의 우레탄계 및/또는 아크릴계의 접착제, 점착제, 부틸러버, 실리콘 등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단열보드(20)는 흡음 성능을 갖는 흡음단열보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보드(20)에는 상기 본체(10)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1)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관통하여 상기 단열보드(20)를 지지면 즉 벽면, 바닥면, 천정 등에 고정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21)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1)가 형성된 반대편에서 이웃한 상기 단열보드(20)의 돌출부(21)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와 단열보드(20)는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와 단열보드(2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열보드(20)의 돌출부(21)위는 상기 돌출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1)가 형성된 반대편에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끼움부(11)가 형성된다.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본체(10)의 2개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11)는 상기 본체(10)의 나머지 2개 모서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보드(20)는 단열의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지지면으로부터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지지면으로부터 뜨거운 열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열보드(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밀도의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열보드(20)는 PET(폴리에스터) 또는 PP(폴리프로필렌)재질의 합성수지섬유를 열압착하여 형성한다.
위와 같이 상기 단열보드(20)가 고밀도의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보드(20)가 PET(폴리에스터) 또는 PP(폴리프로필렌)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열보드(20)가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세미와 같이 섬유가닥 사이에 많은 기공이 존재하게 되는바, 이를 통해 지지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타일이 지지면으로부터 슬립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지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역할의 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단열보드(20)는 합성수지를 발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단열보드(20)의 구조에 의해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0)없이 타일을 조립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단열보드(20)를 지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30)는 못, 타카, 나사 등의 일반적인 체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21)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보드(20)를 지지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단열보드(20)가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30)를 상기 단열보드(20)에 쉽게 장착하여 지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보드(20)의 돌출부(21)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21)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22)이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관통공(22)없이 상기 고정부재(30)가 상기 돌출부(21)에 강제로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돌출부(21)를 관통한 후 상기 지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를 상기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킨다.
상기 돌출부(21)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30)는 이웃한 단열보드(20)의 본체(10)가 덮어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타일을 지지면에 배치한다.
그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에 형성된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30)를 지지면에 삽입하여 고정결합한다.
이로 인해, 1개의 상기 타일은 지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타일을 조립한다.
이때, 첫번째 타일의 돌출부(21)와 두번째 타일의 끼움부(11)가 상호 끼워지면서 조립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수개의 타일을 연속적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조립구조 및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다수개의 타일을 실리콘, 시멘트 없이 고정된 상태로 조립할 수 있어,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0)는 친환경 우레탄계, 에폭시계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 점착제, 부틸러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21)를 상기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용 타일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상기 본체(10)가 친환경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친환경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고경도 컬러층(13)이 인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친환경 세라믹 대신에 비교적 저렴한 비석면섬유시멘트, 비석면칼슘실리케이트, 규산칼슘, 석고, 황토, 마그네슘,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본체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자재용 타일에 의해,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단열보드(20)에 의해 지지면 즉 바닥면 또는 측벽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인 건축자재용 타일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끼움부, 12 : 인쇄층, 13 : 고경도 컬러층,
20 : 단열보드, 21 : 돌출부, 22 : 관통공,
30 : 고정부재.

Claims (13)

  1. 다수개의 타일을 상호 결합시켜 시공하는 건축자재용 타일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적층되어 결합된 평판 형상의 단열보드와;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보드에는 상기 본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단열보드를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편에서 이웃한 단열보드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면에 결합되되,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단열보드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와 단열보드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와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는 이웃한 단열보드의 본체가 덮어 외부로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흡음단열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고밀도의 합성수지섬유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합성수지섬유를 열압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합성수지를 발포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9. 청구항7 또는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PET(폴리에스터) 또는 PP(폴리프로필렌)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이 결합된 일반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컬러가 착색된 일반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고경도 컬러층이 인쇄된 친환경 세라믹, 규산칼슘, 비석면섬유시멘트, 비석면칼슘실리케이트, 석고, 황토, 마그네슘,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1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타일.
KR2020150005695U 2015-08-26 2015-08-26 건축자재용 타일 KR201700008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95U KR20170000833U (ko) 2015-08-26 2015-08-26 건축자재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95U KR20170000833U (ko) 2015-08-26 2015-08-26 건축자재용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33U true KR20170000833U (ko) 2017-03-08

Family

ID=5841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95U KR20170000833U (ko) 2015-08-26 2015-08-26 건축자재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8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20B1 (ko) * 2022-10-21 2023-04-06 차화신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42A (ko) 2004-10-14 2006-04-19 박말용 건축물 내, 외장용 단열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342A (ko) 2004-10-14 2006-04-19 박말용 건축물 내, 외장용 단열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20B1 (ko) * 2022-10-21 2023-04-06 차화신 캠핑카 또는 캠핑트레일러 내부의 흡습 분위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숙박차량의 내장 리모델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757B1 (ko)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KR100761787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20170000833U (ko) 건축자재용 타일
KR20120111204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0911173B1 (ko) 차음 및 난방 기능을 가진 조립식 경량칸막이
KR200426680Y1 (ko) 다층건축물 층간차음판의 차음받침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KR20130110285A (ko) 건식 일체형 단열 벽체
KR101299680B1 (ko) 난방용 패널을 구비한 돔 하우스
KR101053198B1 (ko) 통나무 목재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KR101377647B1 (ko)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
KR101602608B1 (ko) 컨테이너 단열 시스템
KR20110094864A (ko)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KR100987293B1 (ko) 조립식 판넬의 결합구조
KR101917754B1 (ko) 방습 마루
JP6313723B2 (ja) 耐震断熱構造、耐震断熱パネル構造体の張設方法、並びに該構造及び方法に用いる固定部材
KR100926427B1 (ko) 전기온돌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5949B1 (ko) 난방용 바닥
KR102295568B1 (ko) 암면 패널을 이용한 타일 대용 사용 가능 벽체 시공 방법
JP5600196B1 (ja) 耐震断熱パネル構造体及び断熱構造体並びにこれらの構造体を用いた外張り耐震断熱構造
CN211817644U (zh) 减低楼板冲击音的浮动微楼板地板结构
KR20180122091A (ko) 단열재가 포함된 조립식 목재 패널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93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9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4

Effective date: 201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