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82B1 -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82B1
KR101898282B1 KR1020160063600A KR20160063600A KR101898282B1 KR 101898282 B1 KR101898282 B1 KR 101898282B1 KR 1020160063600 A KR1020160063600 A KR 1020160063600A KR 20160063600 A KR20160063600 A KR 20160063600A KR 101898282 B1 KR101898282 B1 KR 10189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atty acid
antibiotic
peroxide
sus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566A (ko
Inventor
조은행
홍원익
허순복
김우진
정상희
민정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Priority to KR102016006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having two or more nitro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oxa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1Conjugates being cells, cell fragments, viruses, ghosts, red blood cells or 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l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과산화된 지방산에 항생제 유효성분을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항생제를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서방형 주사제로 활용 가능한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대상 동물에 주사 후 60시간 이상의 약물지속성을 가질 수 있어서 세균으로 인한 질환에 비교적 간단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치료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동물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도 저감할 수 있어서 약물로 인한 세균성 질환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기존의 치료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증체율, 사료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VETERINARY COMPOSITION COMPRISING SUSTAINED RELEASE ANTIBIOTICS FORMUL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서방형 주사제로 활용 가능한 항생제 성분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방형 주사 제형이란, 주사 시 체내에서 약물이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방출(서방출)될 수 있도록 제제화된 주사 제형을 말한다.
종래에 이와 같은 서방형 주사제제들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코아세르베이션 법, 용융 사출법, 분무 건조법, 용매 증발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 중 이중 유화증발법(W/O/W emulsion)과 단일 유화 증발법(O/W emulsion)으로 분류되는 용매증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다중 에멀젼법을 이용한 미립구는 초기 과다방출이 높다는 단점과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을 유기용매 또는 물에 용해시킬 경우 미립구를 형성하면서 약물의 물성변화, 안정성 소실, 낮은 봉입 효율 등의 단점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서방형 주사제제들의 약물 봉입률을 증가시키거나 제조공정이 쉽고 초기 과다 방출이 상대적으로 낮은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저널(Active self-healing encapsulation of vaccine antigens in PLGA microsphere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65 (2013) 62-74)에서는 이중 유화 증발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한 후 미립구의 미세공을 통해서 활성성분인 백신 안티젠을 로딩한 후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으로 가열하여 미세공을 막는 방법으로 초기방출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약물이 열에 의해 변성될 수 있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또한, 단백질 트래핑 작용제를 첨가하여 약물봉입효율을 상당히 높였으나(~97%), 활성 물질의 전체적인 봉입량(1.4~1.8%)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생리활성물질이 열에 의해서 변성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투여 용량이 많은 약물을 고용량으로 봉입하기 어렵다는 개선점이 있다. 또한,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퀴놀론(quinolone)계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항생제이다.
퀴놀론계 항생제 중 마보플록사신(9-플루오로-2,3-디하이드로-3-메틸-10-(4-메틸-1-피퍼라지닐)-7-옥소-7수소-피리돌(3,2,1-아이제이)(4,2,1)벤조아디아진-6 카르복실산)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제3세대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로 폭넓은 스팩트럼을 가지며,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그 중에서 특히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이며, 박테리아의 두 가지 타겟 단백질 DNA 자이레이즈(gyrase)와 토포이소머라아제 Ⅳ에 작용하여 균주 생성을 느리게 하는 작용을 한다.
퀴놀론계 약물은 콜로이드 상태로 제조하여 동물에게 근육주사를 한다. 일반적으로 현탁제는 치료상의 유효성, 제제 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 제제의 내구성 등의 성질을 갖추어야 하는데, 현재 시판되는 퀴놀론계 약물 제제는 약효 지속시간이 짧아 투여를 자주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입자들의 침전 속도가 빨라 재현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탁 주사제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암모늄 화합물을 이용한 플루오르 퀴놀론류를 함유하는 의약(국제공개특허 WO 2008-025380) 또는 니코틴 아미드를 보조제로 하는 수성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06603호)이 있다. 또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유성 현탁액의 안정화(국제공개특허 WO 2009-065514)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방형 주사제로 활용 가능한 항생제의 수의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과산화오일과 결합 가능한 항생제 성분을 담지하는 서방형 주사제 제형으로 활용 가능한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이 되도록 산화된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인 과산화오일을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과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산화오일 준비단계; 및 상기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과,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오일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을 함유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산화오일 준비단계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을 산화시켜,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인 과산화오일을 제조하는 산화단계;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상기 과산화오일과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단계의 산화는, 산소를 함유하는 공기를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에 주입하는 공기주입법으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인 것이 수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치아시드오일, 키위씨오일, 들깨씨오일, 아마씨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산화단계는 70 내지 120 ℃의 산화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생제 성분은 마보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이들 각각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상기 안정화오일은 상기 과산화오일과 상기 안정화오일의 합을 기준으로 50 내지 99 부피%로 적용되는 것이 수 있다.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에 함유되는 상기 항생제 성분의 함량은 300 mg/mL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제제 제조용 조성물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인 과산화오일;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 및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산의 쇄(chain)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항생제 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포함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상기 항생제 성분을 300 mg/mL 이하로 함유하며, 점도가 280 cP(2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주사용 제제로, 주사 후 60시간 이상 약물지속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치료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을 주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방형 제제는 항생제 성분과 과산화오일이 결합되어 형성된 산화 오일 복합체를 기반으로 하며 오일상 내(內) 약물의 봉입량 및 봉입 효율이 높고, 투여 후 체내의 효소 등에 의해 상기 산화 오일 복합체 또는 항생제 성분과과산화오일의 결합이 분해되면서 항생제 성분이 모세혈관으로 흡수되는 방식으로 약물을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약물 방출 거동을 나타내는 제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세균에 의한 질환(임상적 증상)을 완화 또는 없애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치료"는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증상 즉 발열, 염증, 기침, 설사 등의 증상 또는 상태의 완화 또는 개선, 증상 범위의 축소, 증상의 안정화 비확산, 증상 발생의 억제, 증상진행의 지연 또는 늦춤, 증상 상태의 개선 또는 경감, 및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증상 발생의 감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때, 명사의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 않으며, 단수는 문맥상 단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한 경우를 제외하면 단수표현은 단수와 복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또는", "및/또는"은 혼용되며,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화합물과 연관하여 설명하는 "이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염"이라 함은, 모계 화합물(parent compounds)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고, 1회 용량(dosage)이 투여될 때,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해롭지 않은 염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염"는 특정 화합물의 염기 부가 염일 수 있고, 무기 및 유기 염기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무기 염기들로부터 유도된 염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염기들로부터 유도된 염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치환된 아민들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들; 및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procaine), 히드라바민(hydrabamine), 콜린(choline), 베타인(betaine),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N-알킬글루카민, 테오브로민(theobromine),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및/또는 N-에틸피페리딘을 포함하는 시클릭 아민들의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카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카르복사미드(carboxamides), 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디(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등을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아미드도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이 되도록 산화된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인 과산화오일을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과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산화오일 준비단계; 및 상기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과,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오일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있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을 함유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산화오일 준비단계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을 산화시켜,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인 과산화오일을 제조하는 산화단계;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상기 과산화오일과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의 산화와 안정화오일과의 혼합은, 그 순서를 달리하여 혼합 후 산화의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단계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에 이후 결합단계에서 항생제 성분의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카르복실기, 아민기, 케톤기 등의 기능기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불포화 지방산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 분자 내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결합을 산소(O2)와 반응시켜 과산화기(예를 들어, -OOH, -OO-, -OH 등)를 형성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산화 오일은 과산화기 또는 지방산의 카르복실기 등은, 위의 항생제 성분의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기와 결합하여, 에스테르 결합 및/또는 아마이드 결합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포화 지방산의 활성화는 산화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불포화 지방산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에 제공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air Sparging, O2 Sparging).
이때, 산화의 대상이 되는 오일은 불포화지방산를 함유하는 것이 적용되며, 구체적으로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 메타크릴산, 아라키돈산, 아크릴산 등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짝수개의 탄소를 갖는 불포화지방산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지방산으로는 분자 내에 이중결합을 1개 가지고 있는 올레산 등 보다는, 분자 내에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리놀레산, 분자 내에 3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리놀렌산과 같이 분자 내에 2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이 적용되는 것이, 초기 약물의 다량 방출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리놀레산의 함량과 리놀렌산의 함량의 합이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인 것이 적용될 수 있고, 리놀레산의 함량과 리놀렌산의 함량의 합이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65 중량% 이상인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레놀렌산의 함량이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불포화 지방산을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오일을 상기 산화단계의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로 적용하는 경우, 항생제 (유효)성분의 서방형 방출 특성이 더 잘 조절된 서방향 항생제 담지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화의 과정은,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을 가열하여 비교적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단계는 70 내지 120 ℃의 산화온도에서 진행되거나, 75 내지 110 ℃의 산화온도에서 진행되거나, 85 내지 105 ℃의 산화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로 아마씨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95 내지 105 ℃의 산화온도를 유지하면서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주입하며 산화과정을 거치는 경우 산화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단계에서 상기 산화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15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2 내지 8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고, 상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의 과산화물가 변화를 측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산화단계를 거친 과산화오일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일 수 있고, 400 meq/kg 이상일 수 있으며, 450 meq/kg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오일의 과산화물가는 300 meq/kg 내지 1500 meq/kg일 수 있고, 300 meq/kg 내지 1200 meq/kg일 수 있으며, 400 meq/kg 내지 1100 meq/kg일 수 있다.
상기 산화된 과산화오일의 과산화물가는, 이후 단계에서 항생제의 유효성분과 오일 성분과의 화학적 결합이 진행되는 자리가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나, 과산화도가 높을 경우 오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의 활용에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의 투여가 기존에 사용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진행되기 위해서는 너무 높은 점도를 갖지 않으면서 동시에 단위 부피(또는 단위 중량)당 고함량의 항생제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장시간의 서방형 방출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정도의 과산화물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가는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이 충분하게 산화되어 불포화지방산 내의 이중결합이 항생제 성분의 결합 자리가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통상의 과산화물가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산화물가 측정 방법은, 샘플 1 g을 취하여 초산·클로로포름 혼합액(3 : 2) 25mL를 가하여 녹이고, 금방 제조한 포화 KI 용액 1mL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암소에 10분간 방치한 다음 증류수 30mL를 가하여 진탕 혼합하고, 이 액을 0.01N Na2SO3·5H2O 용액으로 적정한 다음 별도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한 값(지시약 : 전분시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과산화물가(단위: meq/kg) ={(a-b)×f )/S × 10
a : 본시험의 0.01N Na2SO3 ·5H2O 용액의 소비량(mL) b : 공시험의 0.01N Na2SO3 ·5H2O 용액의 소비량(mL) f : 0.01N Na2SO3 ·5H2O 용액의 역가 S : 샘플의 채취량(g)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로 천연물 유래 오일을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치아시드오일, 키위씨오일, 들깨씨오일, 아마씨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들은 레놀렌산 함량이 비교적 높은 오일로, 상기 산화의 방법으로 오일의 과산화물가 상승이 비교적 용이하며, 이후 제조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의 서방형 특성이 비교적 잘 나타나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큰 올리브오일의 경우나,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으나 그 대부분이 리놀레산인 면실유의 경우와 비교해서, 위의 오일들은 리놀렌산의 함량이 비교적 많아서 과산화물가 상승이 비교적 빠르며, 이후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제조 시에 초기 방출되는 항생제 성분의 양이 비교적 적다는 장점도 갖는다. 다만, 상기 과산화물가가 과다하게 높을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이후 안정화단계에서 혼합되는 안정화오일의 함량 등을 일부 점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과산화 오일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내지 1,500 meq/kg 의 범위에서 조절되어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안정화단계는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상기 과산화오일과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오일을 안정화시킨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과산화오일에 함유된 과산화기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반응을 최소화하고, 이후 첨가되는 항생제 성분과의 화학적 결합이 잘 유도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후 결합단계에서 첨가되는 항생제 성분과 상기 과산화오일의 과산화기와의 화학 결합 반응이 진행되기 전에 상기 과산화기가 지방산 기타 다른 성분들과의 반응이 진행을 상기 안정화오일이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으며, 이후 제조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의 점도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오일로는, 포화지방산, 중성지방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탄소들이 모두 단일결합(C16:0, C1:0)으로 연결되어 산소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지방산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우유지방이나 코코넛유에서 추출되는 중간사슬지방산(medium chain triglyceride, Miglyol)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상기 안정화오일의 함량은, 상기 과산화오일과 상기 안정화오일의 합을 전체로 보았을 때에, 50 내지 99 부피%일 수 있고, 60 내지 99 부피%, 70 내지 97 부피%, 또는 80 내지 97 부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후 과산화오일의 과산화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화학반응을 상기 함량의 안정화오일이 충분하게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으며, 이후 제조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의 점도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과 항생제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오일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화학적으로 결합 되어 제조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을 함유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항생제 성분(항생제 유효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의 기능기를 포함하여, 이들 기능기는 상기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과산화오일의 쇄(chain)에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과산화기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생제 성분으로는 마보플록사신(6-fluoro-2,3-dihydro-3-methyl-10-(4-methyl-1-piperazinyl)-7-oxo-7H-pyridol(3,2,1-ij)(4,2,1)benzoxadiazin-6 carboxylic acid), 다노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이들 각각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의 기능기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단계에서 과산화오일의 과산화기와 기능기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공유결합과 같은 결합이 일어나고, 과산화오일의 지방산의 탄소 체인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화학결합을 통해 매달린 형태 등을 포함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서방형 항생제 담지 지방산 함유 오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은 상기 항생제 성분과 상기 과산화오일에 포함되는 지방산은 서로 공유결합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지방산들 사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위치하는 형태의 물리적인 방법이나 이온결합, 수소결합 등 다른 화학적 결합의 형태를 배제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 방출 실험에서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방출이 어느 정도 제어되면서 3 이상 또는 5일 이상 꾸준하게 상기 항생제의 유효성분과 생물학적 동등성이 인정되는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을 적용한 동물에 혈장 내에서 일정 수준 이상 검출 가능한 결합이면 족하다.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에 함유되는 상기 항생제 성분의 함량은 300 mg/mL 미만일 수 있고, 280 mg/mL 이하일 수 있으며, 80 내지 260 mg/mL일 수 있다.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에 함유되는 상기 항생제 성분의 함량이 300 mg/mL 이상인 경우에는, 체내에서(in vivo)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자체에서 상기 항생제 성분의 방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제제에 함유되는 상기 과산화오일의 함량은 상기 서방형 제제 1 mL를 기준으로 300 mg 이하일 수 있고, 150 m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오일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자체의 점도가 상승하여 주사제로 활용이 어렵거나 주사 시 개체의 반항 또는 근육주사 부위의 경질감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은 점도가 280 cP(20 ℃, centipoise) 이하일 수 있고, 230 cP(20 ℃) 이하일 수 있으며, 200 cP(20 ℃) 이하일 수 있고, 100 내지 200 cP일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점도가 280 cP 초과의 경우에는 근육주사 후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로부터 항생제 유효성분 방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용도는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에 담지되는 항생제와 생물학적 동등성이 인정되는 범위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세균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균성 질환은 세균성 폐렴 또는 세균성 장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균성 질환은 흉막폐렴, 파스튜렐라 폐렴, 글래서씨병, 또는 대장균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균성 질환의 원인이 외든 세균은 액티노바실러스 플루로뉴모니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헤모필루스 파라수이스(Haemophilus parasuis), 및 대장균(E. col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은, 지방산의 쇄(chain)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항생제 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포함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포함하여, 항생제의 유효성분을 3일 이상 또는 5일 이상 유효농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고, 투약 회수를 줄이면서도 지속적인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에 함유되는 항생제 성분의 종류, 함량, 특성, 용도 등에 대한 설명은 위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주사용 제제로 활용 가능하며, 근육주사 등의 방법으로 주사한 후에는 60 시간 이상 약물지속성(유효농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약물이 방출되는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고, 80 시간 이상 약물지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120간 이상 약물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제제 제조용 조성물은, 과산화물가가 300 meq/kg 이상인 과산화오일;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 및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과산화오일의 제조에 적용되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되는 과산화오일, 안정화 오일, 항생제 유효성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은, 지방산의 쇄(chain)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항생제 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포함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불화퀴놀론계 항생제 성분 담지 오일, 및 포화 오일(oil)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불화퀴놀론계 항생제 성분은 과산화 오일과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불화퀴놀론계 항생제 성분 담지 오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 오일의 과산화물가(불포화도)에 대한 설명, 과산화오일과 포화오일의 적용함량, 항생제 성분에 대한 내용 및 함량,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의 점도, in vivo에서 지속시간 등에 대한 설명은 위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전술한 서방형 제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약제학적(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서방형 제제를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활성 성분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유효용량 수준은 대상 개체(동물)의 질병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동물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제제화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제제 및/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근육 주입,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고 근육 주입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방형 제제 및/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동물)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방형 제제 및/또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제제 및/또는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항생제 조성물인 것이며 또한, 이는 주사제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돼지, 소, 말, 양 등의 가축 또는 가금류 등의 투여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치료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을 주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며 본 방법으로 세균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경우에는 서방형 제제의 특성상 5일 내지 7일 간격으로 1회 또는 2회 이상 주사하는 방법(근육주사 등)으로 항생제 성분을 치료 또는 예방 객체에 제공할 수 있고, 기존의 매일 주사하던 방법과 비교하여 간이한 방법으로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항생제 치료가 가능하고, 동물의 주사 주입에 대한 스트레스 등도 저감하여 사료섭취량, 증체량 등의 감소를 미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 서방형 주사제 제형의 항생제를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대상 동물에 주사 후 60시간 이상의 약물지속성을 가질 수 있어서 세균으로 인한 질환에 비교적 간단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치료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동물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도 저감할 수 있어서 약물로 인한 세균성 질환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기존의 치료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증체율, 사료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일별 과산화도를 측정한 실시예 중 실험예 1에서 오일별 산화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오일별 과산화도를 측정한 실시예 중 실험예 3에서 아마씨유의 과산화물가 변화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in vitro 약물방출 거동을 테스트한 실시예 중 실험예 1에서 오일배합제제의 in-vitro 약물 방출 거동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서 돼지를 이용한 in vivo 약물 활성 및 방출 거동을 시험한 실시예의 경시별 혈중 Marbofloxacin 농도 분석 결과 중에서 혈장 내 마보플록사신의 평균 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 내지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험약 1 내지 시험약 3의 PK/PD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 오일별 과산화도의 측정>
실험예 1: 오일별 산화도 측정
샘플 1 g을 취하여 초산·클로로포름 혼합액(3 : 2) 25 mL를 가하여 녹인 후, 제조한 포화 KI 용액 1 mL을 가하여 잘 혼합하고, 암소에 10분간 방치한 다음 증류수 30mL를 가하여 진탕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0.01N Na2SO3·5H2O 용액으로 적정한 후 아래 식을 이용해 과산화물가를 계산하였다. 별도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하였고 지시약으로는 전분시액을 적용하였다.
과산화물가(meq/kg) ={(a-b)×f)/S × 10
a: 0.01N Na2SO3 ·5H2O 용액의 소비량(mL), b: 공시험의 0.01N Na2SO3 ·5H2O 용액의 소비량(mL), f: 0.01N Na2SO3 ·5H2O 용액의 역가, S: 샘플의 채취량(g)
샘플로는 아마씨유, 올리브유 및 면실유 각 100 ml에 대해 100 ℃에서 고순도 산소(95%)를 1 L의 비율로 오일에 직접 주입하여 8시간 이상 동안 반응시켜 오일별 시간별 과산화 오일 샘플을 제조하고 위의 방법으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오일에 포함된 지방산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중량%).
식물성 오일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다중불포화지방산 올레산
리놀렌산 리놀레산
아마씨유 6-9 10-22 56-71 12-18 10-22
면실유 25.9 17.8 1 54 19
올리브오일 14 72.0 1.5 9-20 -
도 1을 참고하면, 올리브오일의 경우 장시간 산화를 하여도 과산화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아마씨유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산화도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으로 산소를 주입했을 때 면실유에 비해 산화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올리브유는 분자사슬 내 이중결합이 1개인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72 %로 과산화도를 높이기 힘들고, 분자 내 이중 결합이 2개가 있는 리놀레산(ω-6)의 함량이 54 %에 이르는 면실유의 경우에도 의도한 일정한 과산화도를 나타내는데 과도한 시간이 필요하며, 분자 내 이중 결합이 3개가 있는 리놀렌산(ω-3)의 함량이 56-71%로 큰 아마씨유의 경우에는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다른 오일에 비해 신속하게 산화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과산화오일의 과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오일의 불포화도에 따라 과산화 정도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다음 단계에서 마보플록사신와 같은 항생제와의 반응에 영향을 주어 결국 서방출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오일 배합 제제의 안정성 확인
아마씨유(과산화물가: 978.24 mEq/kg)와 면실유(과산화물가:835.66 mEq/kg)의 과산화물가 변화를 약 한 달간 측정한 결과를 확인했고, 과산화오일의 과산화물가값은 오차범위 내에서 한 달 이상 유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상온에 방치해도 오일 배합 제제의 서방출 속도는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아마씨유의 과산화물가 변화에 따른 방출 거동 평가
아마씨유(Linseed oil)의 과산화물가 변화에 따른 방출거동 측정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아마씨유는 미글리올 대비 5 %(v/v)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과산화물가값이 높아질수록 초기방출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이 유사한 실험을 진행한 면실유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면실류에 대한 데이터 미도시).
과산화물가 값이 약 400 mEq/kg 이상인 샘플은 초기방출이 약 10 %이하로 측정됐으며 3일(72시간) 내에 전체약물의 60%정도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서방형제제로써 적합한 특성을 갖는 것을 보여주며, 아마씨유의 과산화물가값에 따라 방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특히, 과산화물가값이 1000 mEq/kg 이상인 샘플은 방출속도가 극대로 조절되어 3 일내에 전체약물의 20 %정도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 in vitro 약물방출 거동 시험>
실시예 1: 마보플록사신이 결합된 산화오일 복합체의 제조
아마씨유를 100 ℃에서 고순도 산소(95 v/v%)를 주입하면서 과산화 오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아마씨유 100 ml에 대하여 산소 1 L의 비율로 하였으며, 주입 시간은 8 시간 이하로 적용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과산화오일(1277.9(±5.4) mEq/kg) 0.5 ml에 미디움 체인 트리글리세라이드인 Miglyol 9.5 ml를 넣어준 후(5:95, v/v%)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1 혼합액을 얻었다.
상기 제1 혼합액에 마보플록사신(Zhejiang Guobang Pharmaceutical Co. Ltd.. micronized) 1 g을 투입하여 100 mg/ml 농도의 제2 혼합액을 만들고 6 시간 동안 자력교반기로 교반하여 에스테르 반응을 유도하여 마복플록사신 항생제의 주사제용 서방형 제제 형태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마보플록사신이 결합된 산화오일 복합체의 제조
위의 실시에 1에서 아마씨유 대신 면실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마복플록사신 항생제의 주사제용 서방형 제제인 수의학적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미산화 오일 복합체를 이용한 제조
산화시키지 않은 아마씨유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주사제용 서방형 제제 형태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포화오일을 이용한 제조
미디움 체인 트리글리세라이드(Miglyol) 10 ml에 마보플록사신(Zhejiang Guobang Pharmaceutical Co. Ltd.. micronized) 1 g을 투입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6 시간 동안 자력교반기로 교반하여 주사제용 서방형 제제 형태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얻었다.
위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성분 및 함량을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구분 불포화오일(산화여부) 포화오일 마보플록사신
실시예1 아마씨유 (산화) Miglyol 100g/ml
실시예2 면실유 (산화) Miglyol 100g/ml
비교예1 - Miglyol 100g/ml
비교예2 아마씨유 (미산화) Miglyol ±100g/ml
실험예 1: 수의학적 조성물의 in-vitro 약물 방출 거동 측정
위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실시 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30 ml의 PBS(phosphate buffer saline, pH 7.4)에 각각 1.4 ml씩 총 4 mg/ml이 되도록 넣고 37 ℃ 등온기에 보관하였으며, 시간대별로 샘플을 채취했다. 채취한 샘플을 100배 희석하여 디스포져블(disposable) 큐벳에 넣고 UVvis 측정기를 사용하여 335 nm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값을 환산하여 방출된 약물의 농도를 구하였으며, 각 샘플의 전체 약물 대비 각 시간대별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누적 백분율로 계산하여.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오일배합제제는 본 실험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2에서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특성을 보였고 이는 비교예1과 비교예2과 비교하여 서방향 제제로써의 특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보인다. 또한,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2의 경우는 실시예 1에 비해 약물의 초기방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초기 방출량도 효과적으로 제어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약물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제어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씨유의 과산화도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3일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오일기반 서방형 주사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한편, 불포화오일의 리놀렌산의 함량이(ω-3) 50% 이하인 오일의 경우(올리브오일, 면실유 등) 시간에 따른 약물방출은 어느 정도 제어되나 in vitro에서 초기에 다소 과량이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 in vivo 약물 활성 및 방출 거동 시험>
제조예 1: 서방형 마보플록사신 제제를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
과산화물가가 460 meq/kg 이상이 되도록 아마씨유를 100 ℃에서 Air로 약 6시간 동안 산화시키면서 아래 표 3에 기재된 과산화된 불포화오일을 각각 제조하였다(Sparging).
상기 과산화된 불포화오일에 포화오일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일부 넣고 교반한 후, 마보플록사신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였고, 이후 잔량의 트리클리세라이드를 넣어 시험약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각각 시험약 1 내지 3의 제조에 적용된 오일과 항생제의 함량은 아래 표 3에 표시된 것과 같다.
구분 불포화오일 적용량
(과산화도, meq/kg)
포화오일 적용량
(mg/mL)
마보플록사신 함량
(mg/mL)
점도
(20 ℃, cP)
시험약1 150 mg/mL
(1,000 이상)
Miglyol 약 850 160 mg/ml 167.4cP
시험약2 150 mg/mL
(500)
Miglyol 약 850 250 mg/ml 182.4cP
시험약3 150 mg/mL
(500)
Miglyol 약 850 300 mg/ml 283.7cP
(1. 위의 시험약 1 내지 3은 각각 제조 및 보관 후 함량시험을 실시했으며, 시험약 1은 각각 152.277, 152.232, 152.843, 152.451 mg/ml, 시험약 2는 각각 246.561, 245.863, 254.074, 248.833 mg/ml 그리고 시험약 3은 각각 301.338, 299.167, 299.024, 299.843 mg/ml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포화오일은 포화오일 적용양의 약 80 부피%를 과산화된 불포화오일에 혼합하고 마복플록사신을 투여하여 반응을 진행시킨 후 잔량을 투여하되, 상기 세 가지 성분이 모두 투여된 조성물의 총 부피가 1,000 mL가 되도록 조절하여 적용하였다.)
실시예 : 돼지를 이용한 in vivo 약물 활성 및 방출 거동 시험
<실험방법>
(실험동물의 준비) 랜드레이스 9두(Male, 5~6 주령, 평균체중 10~15 kg)의 돼지를 주식회사 하나바이오에서 구입하여 2주 동안 동물실에서 순화한 후 실험이 적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2±3 ℃, 상대습도 55±5 %, 환기횟수 15 회/시간, 조도 150~300 Lux, 조명주기 12 시간의 환경조건으로 설정된 동물사육실 환경이 적용되었다.
(공시물질 투여방법 및 용량) 아래 표 4와 같은 방법과 용량으로 실시하였다.
시험군 투여 방법 및 투여용량 투여 용량 동물수
시험약 1 돼지 체중 16 kg 당 본제 1mL를
이근부에 1회 근육주사
Marbofloxacin으로서
10 mg/체중 kg
3두
시험약 2 돼지 체중 25 kg 당 본제 1mL를
이근부에 1회 근육주사
Marbofloxacin으로서
10 mg/체중 kg
3두
시험약 3 돼지 체중 30 kg 당 본제 1mL를
이근부에 1회 근육주사
Marbofloxacin으로서
10 mg/체중 kg
3두
(시료 채취) 시험물질 투여 전, 시험물질 투여 후 1 h, 3 h, 6 h, 12 h, 24 h, 2일, 3일, 5일, 7일 및 10일에 돼지의 경정맥에서 혈액을 10 mL씩 채취한 후 상온에서 응고시켰다. 응고 된 혈액은 3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석 전까지 -80 ℃에 보관하였다.
(정량 Bioassay 시험) 혈청 중 Marbofloxacin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량 Bioassay를 실시하였다. 시험 당일 보관 된 혈청을 상온에서 녹인 후 E. coli ATCC 25922를 이용하여 MIC를 실시하였다.
(혈청희석) 준비된 microplate의 첫 well을 제외한 모든 well에 cation-adjusted MH 배지를 0.05 mL씩 분주하였다. 첫 well에 혈청 0.1 mL를 분주한 후 이 중 0.05 mL를 취하여 다음 well에 분주되어 있는 broth와 혼합하여 2배 계단희석 하였으며, 1/1024배까지 희석하였다.
(균액 희석) E. coli ATCC 25922를 5 % sheep blood agar에 도말하여 37 ℃, 5 % CO2배양기에서 18 ~ 24 시간 배양한 후 4 ~ 6개의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cation-adjusted MH 배지에 접종하고, 37 ℃ 진탕배양기(180 rpm)에서 2 ~ 6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의 탁도를 MacFarland No. 0.5 에 맞추어 균수가 약 1.5 108 CFU/mL이 되도록 조정한 후 배지로 100배 희석하여 약 1.5 106 CFU/mL의 접종 균액을 준비하였다.
(균 접종 및 배양) 혈청이 2배 계단 희석 된 각 well 에 약 1.5106 CFU/mL 로 조정한 균액 0.05 mL씩 분주한 후 37℃, 배양기에서 20~24시간 배양한 후 균의 생육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약물동태분석) 약물동태 분석은 BA-Calc 2007 1.0.0(식품의약품안전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IC 및 MBC 시험) MIC 시험은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Document, M31-A3 (2008)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공시 균주) 본 실험의 MIC 시험에 사용된 균은 표 5와 같다.
균주명 분리원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돼지
Pasteurella multocida 돼지
Haemophilus parasuis 돼지
E. coli 돼지
(시험물질의 조제 및 공시농도) 각 시험물질 1 mL를 95 % EtOH (0.22μm filtered) 9 mL에 혼합하여 Stock solution을 조제한 후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marbofloxacin 유효성분이 1 mg/mL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의 공시 농도는 표 6과 같다.
시험물질 용매 희석용매 공시 균주 배지 공시 농도범위
(?μg/mL)
시험약 1
시험약 2
시험약 3
95% EtOH 멸균
증류수
A. pleuropneumoniae BHIa 0.001~3.75c
P. multocida CAMHBb 0.001~3.75 c
H. parasuis BHIa 0.001~3.75 c
E. coli CAMHB 0.001~3.75 c
a : BHI containing 0.01% NAD, b: Cation-adjusted Muller Hiton broth, c : Marbolfoxacin concentration
(균액준비) 각 세균을 적정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7 ℃, 5 % CO2배양기에서 18 ~ 24 시간 배양한 후 4 ~ 6개의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아래 표 7에 제시된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7 ℃, 5 % CO2 배양기 또는 37 ℃ 진탕배양기(150 rpm)에서 2 ~ 6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의 탁도를 MacFarland No. 0.5 에 맞추어 균수가 약 1.5 108 CFU/mL이 되도록 조정한 후 배지로 100 배 희석하여 약 1.5 106 CFU/mL의 접종 균액을 준비하였다.
균주명 배양배지 배양조건
고체배지 액체배지
A. pleuropneumoniae Cocholate agar BHIa 37℃, 5% CO2
P. multocida 5% sheep blood agar CAMHBb 37℃
H. parasuis Cocholate agar BHIa 37℃, 5% CO2
E. coli 5% sheep blood agar CAMHB 37℃
a : Brain heart infusion broth, b : cation-adjusted MH broth
(균액 접종 및 배양) 멸균된 96-well microplate(F bottom, SPL)를 미리 준비하여 균주명을 기입한 후 각 시험물질 농도군에 대하여 8 개의 반복 well을 사용하였다. 즉, 준비된 microplate에 각각의 배지를 well에 0.05 mL씩 분주하였다. 최고 농도군의 well에 시험물질 0.05 mL를 분주하여 혼합한 후 이 중 0.05 mL를 취하여 다음 농도군의 well에 분주되어 있는 broth와 공비 2로 단계별 희석하여 총 9단계의 시험물질 농도군으로 구성하였다. 각 well 에 1.5106 CFU/mL로 조정한 균액 0.05 mL씩 분주한 후 37 ℃, 5 % CO2배양기 또는 37 ℃에서 18 ~ 24시간 배양하였다.
(MIC [최소억제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결정) 18 ~ 24 시간 경과한 후 해당 농도에서의 균의 생육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MBC [최소살균농도,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결정) MIC 시험 진행 후 육안적으로 균이 자라지 않는 well에서 0.05 mL를 취한 후 항생제가 첨가되어 있지 않는 Chocolate agar에 도말하여 37 ℃, 5 % CO2 배양기에서 18 ~ 24 시간 배양한 후 colony수를 측정하였다. 초기 접종세균에 비하여 세균수가 99.9 %가 감소 된 농도를 MBC농도로 결정하였다. Marbolfoxacin 에 대한 MIC 시험의 QC로 사용된 E.coli ATCC 25922의 MIC값이 0.0156 μg/mL로 이는 CLSI에서 제시한 기준 (MIC range: 0.008~0.03 μg/mL)에 합당하였다. 그러므로 모든 MIC 결과는 유효하다고 인정되었다.
<실험결과>
각 실험군의 돼지에 위의 시험약 1 내지 3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였으며, 그 용량은 아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군 평균 체중(kg) 평균 투여량(mL) 접종 시 특이사항
시험약 1 18.3±0.5 1.14±0.03 주사가 잘되며 주사 시 개체 반항이 없었음
시험약 2 18.4±1.1 0.74±0.04 비교적 주사가 어려운 편이나 개체 반항은 없었음
시험약 3 18.2±1.3 0.61 ±0.04 주사가 어렵고 개체 반항이 있었으며, 주사부위 경결감이 2일 정도 관찰되었음
(정량 Bioassay validation 및 검출농도 측정 결과) E. coli ATCC 25922에 대한 marbofloxacin MIC 농도가 0.0156 μg/mL로 확인되었다. (CLSI 기준: 0.008~ 0.03 μg/mL).
(혈중 Marbofloxacin 농도 분석 결과) 경시별로 채취 분리 된 돼지 혈청을 가지고 MIC 시험을 실시한 결과 혈중 내 Marbofloxacin 농도는 표 9 및 도 4와 같이 확인되었다.
제품명 개체
번호
경시별 혈중 농도(μg/mL)
1h 6h 12h 24h 48h 72h 120h 168h 240h
시험약 1 1 0.998 3.994 1.997 1.997 0.499 0.250 0.062 - -
2 0.499 1.997 1.997 1.997 0.998 0.125 0.031 - -
3 0.998 1.997 1.997 1.997 0.499 0.125 0.031 - -
Mean 0.832 2.662 1.997 1.997 0.666 0.166 0.042 - -
SD 0.288 1.153 0.000 0.000 0.288 0.072 0.018 - -
시험약 2 4 0.998 1.997 1.997 1.997 0.499 0.250 0.031 - -
5 0.998 1.997 1.997 1.997 0.499 0.125 0.031 - -
6 0.499 0.998 1.997 1.997 0.499 0.125 0.031 - -
Mean 0.832 1.664 1.997 1.997 0.499 0.166 0.031 - -
SD 0.288 0.576 0.000 0.000 0.000 0.072 0.000 - -
시험약 3 7 0.998 1.997 1.997 0.998 0.499 0.125 - - -
8 0.499 0.998 0.998 0.998 0.499 0.125 - - -
9 0.499 3.994 3.994 3.994 0.499 0.125 - - -
Mean 0.666 2.330 2.330 1.997 0.499 0.125 - - -
SD 0.288 1.525 1.525 1.729 0.000 0.000 - - -
- : Not detected (lower than 0.0156 μg/mL)
위의 도 4 및 표 9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약 1, 시험약 2 및 시험약 3의 혈중최고농도는 각각 2.662, 1.997, 및 2.330 μg/mL로 투여 후 6 시간 또는 12 시간째에 나타났다. 시험약 1과 시험약 2는 투여 후 5 일째까지 혈중에서 marbofloxacin 농도가 0.042과 0.031 μg/mL 로 검출된 반면, 시험약 3은 투여 후 3일째까지 0.125 μg/mL 농도로 marbofloxacin이 검출되었다.
(약물별 약물동태 비교 분석 결과, 표 10 참조) 시험약 1(주사제 1 mL당 마보플록사신 160mg)의 혈중최고농도는 투여 후 6.0±0.0 시간에 관찰되었으며, 이 때 marbofloxacin 농도는 2.662±1.153 μg/mL으로 나타났으며, 반감기는 19.0±4.3 h 이었으며, 혈중분포 용적(AUC( inf ))은 94.016±8.227 μg·h/mL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약 2(주사제 1 mL당 마보플록사신 250 mg)는 투여 후 8.0±3.5 시간에 혈중 최고농도인 1.997±0.000 μg/mL에 도달하였으며, 반감기는 16.6±0.1 h이었고, 혈중분포 용적(AUC( inf )) 은 85.030±5.781 μg·h/mL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약 3(주사제 1mL당 마보플록사신 300mg)의 혈중최고농도는 2.330±1.525μg/mL으로 투여 후 6.0±0.0시간에 관찰되었으며, 반감기는 14.0±3.9 h으로 나타났으며, 혈중분포용적(AUC(inf))은 각각 85.197±52.205 μg·h/mL이었다.
Pharmacokinetic parametera unit 시험약 1
(MB 160mg/mL)
시험약 2
(MB 250mg/mL)
시험약 3
(MB 300mg/mL)
Lambda z h-1 4.333±1.155 4.667±0.577 3.667±1.155
AUC(last) μg/mL 94.016±8.227 84.282±5.786 85.197±52.205
AUC( inf ) μg/mL 95.233±8.868 85.030±5.781 87.725±51.527
Cmax μg/mL 2.662±1.153 1.997±0.000 2.330±1.525
Tmax h 6.0±0.0 8.0±3.5 6.0±0.0
t1/2 h 19.0±4.3 16.6±0.1 14.0±3.9
CL( inf )/F L/h/kg 0.106±0.010 0.118±0.008 0.139±0.066
Vz (terminal)/F L/kg 2.870±0.446 2.830±0.213 3.042±1.883
Lambda z =elimination rate constant, AUClast =area under the serum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time of last measurable concentration, AUCinf= area under the serum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infinity, Cmax=peak concentration, Tmax=time to peak concentration,t1/2=elimination half-life, CLinf/F =Apparent total clearance of the drug from serum after extravascular administration, Vz (terminal)/F=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during terminal phase after extravascular administration.
(MIC 및 MBC 시험결과) 돼지 호흡기와 소화기 질병 원인체에 대한 마보플록사신의 MIC와 MBC 결과를 아래 표 11(돼지 호흡기와 소화기 질병 원인체에 대한 마보 DDS 제제의 MIC 분포 양상) 및 표 12(돼지 호흡기와 소화기 질병 원인체에 대한 마보 DDS 제제의 MBC 농도)에 각각 나타내었다.
Bacterium Number of isolates with MIC of (μg/mL) MIC50 MIC90
0.015 0.023 0.029 0.047 0.059 0.094 0.117 0.188 0.234 0.357
A. pleruopneumoniae
(n=4)
- - - - - - 1 3 - - 0.188 0.188
P. multocida (n=4) 1 3 - - - - - - - - 0.023 0.023
H. parasuis (n=3) - - - - - - - 3 - - 0.188 0.188
E. coli (n=4) - 4 - - - - - - - - 0.023 0.023
Bacterium 초기
접종균수 (CFU/mL)
MIC
(μg/mL)
MBC
(μg/mL)
MBC 농도에서의 세균수
CFU/mL
세균 제거율
(%)
A. pleruopneumoniae (n=4) 4.7×105 0.117 0.188 114 99.97
0.188 0.234 0 100
0.188 0.234 0 100
0.188 0.188 0 100
P. multocida
(n=4)
2.3×105 0.023 0.029 0 100
0.015 0.023 2 99.998
0.023 0.029 0 100
0.015 0.015 2 99.998
H. parasuis
(n=3)
1.0×105 0.188 0.188 0 100
0.188 0.188 2 99.998
0.188 0.188 0 100
E. coli
(n=4)
1.0×105 0.023 0.023 0 100
0.023 0.023 26 99.97
0.023 0.029 0 100
0.015 0.023 0 100
(약동학/약력학, PK/PD 분석)
1) 시험약 1 (본제 1 mL 마보플록사신 160 mg )
시험약 1에 대한 PK/PD 분석 결과를 아래 표 13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PK-PD integration* A. pleuropneumoniae P. multocida H. parasuis E. coli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BC: 0.234 μg/mL MBC: 0.029 μg/mL MBC: 0.188 μg/mL MBC: 0.029 μg/mL
Cmax/MIC90 14.16±6.13 115.77±50.13 14.16±6.13 115.77±50.13
Cmax/MBC 11.38±4.93 91.82±39.76 14.16±6.13 91.82±39.76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1
0-/MIC (h)
550.52±47.17 4140.57±385.57 550.52±47.17 4140.57±385.57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2
0-/MBC (h)
406.98±37.90 3283.90±305.80 550.52±47.17 3283.90±305.80
T>MIC (h) 71.66±13.5 138.48±10.21 71.66±13.5 138.48±10.21
T>MBC (h) 63.89±9.98 130.88±12.79 71.66±13.5 130.88±12.79
*Cmax/MIC=ratio of in vivo Cmax to MIC, Cmax/MBC=ratio of in vivo Cmaxto MBC, AUC/MIC=ratio of in vivo AUC to MIC, AUC/MBC=ratio of in vivo AUC to MBC, T>MI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IC, T>MB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BC
상기 도 5 및 표 13을 참조하면, 시험약 1를 돼지 근육에 1회 투여 후 혈중에 존재하는 marbofloxacin 농도가 A. pleuropneumeniae , P. multocida , H. parasius, E. coli 세균의 MIC90 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71.66±13.51 h, 138.48±10.21 h, 71.66±13.5 h 및 138.48±10.21 h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IC90보다 14.16±6.13배, 115.77±50.13 배, 14.16±6.13배 및 115.77±50.13배 높게 나타났다. 각 세균의 MBC 보다 혈중 marbofloxacin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63.89±9.98 h, 130.88±12.79 h, 71.66±13.5 h 및 130.88±12.79 h 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BC보다 11.38±4.93배, 91.82±39.76배, 14.16±6.13배 및 91.82±39.76배 높게 나타났다.
2)시험약 2 (본제 1 mL 마보플록사신 250 mg )
시험약 2에 대한 PK/PD 분석 결과를 아래 표 14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PK-PD integration* A. pleuropneumoniae P. multocida H. parasuis E. coli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BC: 0.234 μg/mL MBC: 0.029 μg/mL MBC: 0.188 μg/mL MBC: 0.029 μg/mL
Cmax/MIC90 10.62±0.00 86.83±0.00 10.62±0.00 86.83±0.00
Cmax/MBC 8.53±0.00 68.86±0.00 10.62±0.00 68.86±0.00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3
0-/MIC (h)
452.29±30.75 3696.94±251.37 452.29±30.75 3696.94±251.37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4
0-/MBC (h)
363.38±24.71 2932.06±199.36 452.29±30.75 2932.06±199.36
T>MIC (h) 70.47±12.64 132.54±0.21 70.47±12.64 132.54±0.21
T>MBC (h) 62.87±10.28 123.27±0.15 70.47±12.64 123.27±0.15
*Cmax/MIC=ratio of in vivo Cmax to MIC, Cmax/MBC=ratio of in vivo Cmaxto MBC, AUC/MIC=ratio of in vivo AUC to MIC, AUC/MBC=ratio of in vivo AUC to MBC, T>MI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IC, T>MB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BC
위의 표 14 및 도 6을 참조하면, 시험약 2를 돼지 근육에 1회 투여 후 혈중에 존재하는 marbofloxacin 농도가 A. pleuropneumeniae , P. multocida , H. parasius, E. coli 세균의 MIC90 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70.47±12.64 h, 132.54±0.21 h, 70.47±12.64 h 및 132.54±0.21 h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IC90보다 10.62±0.00배, 86.83±0.00배, 10.62±0.00배 및 86.83±0.00배 높게 나타났다. 각 세균의 MBC 보다 혈중 marbofloxacin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62.87±10.28 h, 123.27±0.15 h, 70.47±12.64 h 및 123.27±0.15 h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BC보다 8.53±0.00배, 68.86±0.00배, 10.62±0.00배 및 68.86±0.00배 높게 나타났다.
3) 시험약 3 (본제 1 mL 마보플록사신 300 mg )
시험약 3에 대한 PK/PD 분석 결과를 아래 표 15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PK-PD integration* A. pleuropneumoniae P. multocida H. parasuis E. coli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IC: 0.188 μg/mL MIC: 0.023 μg/mL
MBC: 0.234 μg/mL MBC: 0.029 μg/mL MBC: 0.188 μg/mL MBC: 0.029 μg/mL
Cmax/MIC90 12.39±8.11 101.29±66.32 12.39±8.11 101.29±66.32
Cmax/MBC 9.96±6.52 80.33±52.60 12.39±8.11 80.33±52.60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5
0-/MIC (h)
466.62±274.08 3814.15±2240.31 466.62±274.08 3814.15±2240.31
AUC
Figure 112016049913951-pat00006
0-/MBC (h)
374.90±220.20 3025.01±1776.80 466.62±274.08 3025.01±1776.80
T>MIC (h) 63.66±1.13 111.05±0.07 63.66±1.13 111.05±0.07
T>MBC (h) 56.65±0.06 108.78±0.05 63.66±1.13 108.78±0.05
*Cmax/MIC=ratio of in vivo Cmax to MIC, Cmax/MBC=ratio of in vivo Cmaxto MBC, AUC/MIC=ratio of in vivo AUC to MIC, AUC/MBC=ratio of in vivo AUC to MBC, T>MI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IC, T>MBC=total time that marbofloxacin concentration exceeded MBC
상기 표 15 및 도 7을 참조하면, 시험약 3을 돼지 근육에 1회 투여 후 혈중에 존재하는 marbofloxacin 농도가 A. pleuropneumeniae , P. multocida , H. parasius, E. coli 세균의 MIC90 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63.66±1.13 h, 111.05±0.07 h, 63.66±1.13 h 및 111.05±0.07 h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IC90보다 12.39±8.11배, 101.29±66.32 배, 12.39±8.11배 및 101.29±66.32배 높게 나타났다. 각 세균의 MBC 보다 혈중 marbofloxacin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56.65±0.06 h, 108.78±0.05 h, 63.66±1.13 h 및 108.78±0.05 h 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각 세균의 MIC90보다 9.96±6.52배, 80.33±52.60배, 12.39±8.11배 및 80.33±52.60배 높게 나타났다
위에서, 시험약 1(MB 160 mg/mL), 시험약 2(MB 250 mg/mL) 및 시험약 3(MB 300 mg/mL) 근육주사 후 6시간에서 12시간에 혈중최고농도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혈중 marbofloxacin 농도는 각각 2.662±1.153, 1.997±0.000 및 2.330±1.525 μg/mL이었다. 시험약 1(MB 160 mg/mL)과 시험약 2(MB 250 mg/mL)는 투여 후 5일째까지 혈중에서 marbofloxacin이 0.042과 1.052 μg/mL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시험약 3(MB 300 mg/mL)은 투여 후 3일째까지 0.125 μg/mL 농도의 marbofloxacin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험약 3(MB 300 mg/mL)의 점도성이 강하여 약물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약 1(MB 160 mg/mL), 시험약 2(MB 250 mg/mL)의 혈중 반감기는 각각 19.0±4.3 h와 16.6±0.1 h으로 시험약 3 (MB 300 mg/mL, 14.0±3.9 h) 보다 길게 나타났다. 시험약 1, 시험약 2 및 시험약 3의 혈중 분포용적(AUC( inf ))은 각각 95.233±8.868, 85.030±5.781, 87.725±51.527 μg/mL으로 시험약 1과 시험약 2은 시험약 3에 비해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시험약 1(MB 160 mg/mL), 시험약 2(MB 250 mg/mL) 및 시험약 3(MB 300 mg/mL)의 혈중에 존재하는 marbofloxacin 최고농도는 각각 2.663±1.153, 1.997±0.000, 2.330±1.525 μg/mL로 A. pleuropneumoniae의 MIC90 보다 각각 14.16±6.13배, 10.62±0.00배, 12.39±8.11배 높게 나타났으며, MIC90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71.66±13.51 h, 70.47±12.64 h 및 63.66±1.13 h이었다. 또한 A . pleuropneumoniae의 MBC 보다 11.38±4.93배, 8.53±0.00배, 9.96±6.52배 높았으며, MBC 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63.89±9.98 h, 62.87±10.28 h 및 56.65±0.06 h이었다.
시험약 1(MB 160 mg/mL), 시험약 2(MB 250 mg/mL) 및 시험약 3(MB 300 mg/mL)의 혈중 marbofloxacin 최고농도가 P. multocidaE. coli의 MIC90보다 각각 115.77±50.13배, 86.83±0.00배, 101.29±66.32배 높았으며, 각각 138.48±10.21 h, 132.54±0.21 h 및 111.05±0.07 h 동안 MIC90보다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각 공시물질의 혈중최고농도는 이들 세균의 MBC보다 91.82±39.76배, 68.86±0.00배, 80.33±52.60배 높았고, MBC보다 유지되는 시간은 130.88±12.79 h, 123.27±0.15 h 및 108.78±0.05 h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약 1(MB 160 mg/mL), 시험약 2(MB 250 mg/mL) 및 시험약 3(MB 300 mg/mL)의 혈중최고농도는 H. parasuis의 MIC90과 MBC보다 각각 14.16±6.13배, 10.62±0.00배 12.39±8.11배 높았으며, MIC90과 MBC보다 높게 유지되는 시간은 각각 71.66±13.5 h, 70.47±12.64 h 및 63.66±1.13 h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시험약 1(MB 160 mg/mL)과 시험약 2(MB 250 mg/mL)은 약물 지속성 등이 비슷하다고 판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이 과산화물가가 300 내지 1500meq/kg이 되도록 산화된 과산화오일과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산화오일 준비단계; 및
    상기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과,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성분을 혼합하여, 상기 과산화오일에 상기 항생제 성분이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을 함유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제조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내지 89 중량% 포함하며,
    상기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이 2개인 불포화지방산과 이중결합이 3개인 불포화지방산이며,
    상기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 오일은 탄소들이 모두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어 산소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지방산으로 중간사슬지방(medium chain triglyceride)이며,
    상기 항생제는 마보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이들 각각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세균성 폐렴 및 세균성 장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오일 준비단계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을 산화시켜, 과산화물가가 300 내지 1500meq/kg이 되도록 과산화오일을 제조하는 산화단계;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상기 과산화오일과 혼합하여 항생제 담지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안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단계는 70 내지 120 ℃의 산화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인,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단계에서, 상기 안정화오일은 상기 과산화오일과 상기 안정화오일의 합을 기준으로 50 내지 99 부피%로 적용되는,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에 함유되는 상기 항생제 성분의 함량은 80 내지 300 mg/mL인,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이 과산화물가가 300 내지 1500meq/kg이 되도록 산화된 과산화오일;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 및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민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항생제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내지 89 중량% 포함하며,
    상기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이 2개인 불포화지방산과 이중결합이 3개인 불포화지방산이며,
    상기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 오일은 탄소들이 모두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어 산소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지방산으로 중간사슬지방(medium chain triglyceride)이며,
    상기 항생제는 마보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이들 각각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세균성 폐렴 및 세균성 장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제제 제조용 조성물.
  9. 과산화오일의 지방산의 쇄(chain)에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합된 항생제 성분을 포함하는 서방형 항생제 담지 오일 및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오일을 포함하는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를 포함하며,
    상기 과산화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이 과산화물가가 300 내지 1500meq/kg이 되도록 산화된 것이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오일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전체 오일을 기준으로 50 내지 89 중량% 포함하며,
    상기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이 2개인 불포화지방산과 이중결합이 3개인 불포화지방산이며,
    상기 항생제는 마보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이들 각각의 수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포화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화 오일은 탄소들이 모두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어 산소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지방산으로 중간사슬지방(medium chain triglyceride)인 것인,
    세균성 폐렴 및 세균성 장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물의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상기 항생제 성분을 80 내지 300 mg/mL로 함유하며, 점도가 100 내지 280 cP(20 ℃)인,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의 서방형 제제는 주사용 제제로, 주사 후 60 내지 120시간 약물지속성을 갖는 것인,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따른 세균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을 주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160063600A 2016-05-24 2016-05-24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00A KR101898282B1 (ko) 2016-05-24 2016-05-24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00A KR101898282B1 (ko) 2016-05-24 2016-05-24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66A KR20170132566A (ko) 2017-12-04
KR101898282B1 true KR101898282B1 (ko) 2018-09-13

Family

ID=6092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00A KR101898282B1 (ko) 2016-05-24 2016-05-24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0505A1 (en) 1993-03-12 1994-09-15 The Upjohn Company Crystalline ceftiofur free acid
KR101753842B1 (ko) 2015-05-12 2017-07-04 한국화학연구원 불화퀴놀론계 항생제를 담지한 서방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18B1 (ko) * 2002-02-28 2004-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리활성물질 또는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요오드화오일 계열 지방유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0681A (ko) * 2006-04-20 2008-12-18 암겐 인코포레이티드 안정적 에멀젼 조제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0505A1 (en) 1993-03-12 1994-09-15 The Upjohn Company Crystalline ceftiofur free acid
KR101753842B1 (ko) 2015-05-12 2017-07-04 한국화학연구원 불화퀴놀론계 항생제를 담지한 서방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66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945B2 (ja) 修飾されたビヒクルを含む医薬組成物
US2004024254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reating infection in cattle and swine
JP4584715B2 (ja) 持続放出性医薬組成物
JP6781717B2 (ja) 駆虫薬の大環状ラクトンを含むミクロスフェア
BRPI0619620B1 (pt) composição veterinária oral e uso da mesma
CN1767822A (zh) 用于治疗牛和其他动物中微生物和寄生虫感染的组合物及方法
KR101599560B1 (ko)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세펨 유도체를 함유하는 가용성 제형
JP2006523723A (ja) 医薬的に活性な化合物を調節して導入する方法
KR101898282B1 (ko) 항생제의 서방형 수의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2232263B2 (en) Suspension of Ceftiofur Hydrochloride
EP306822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comprising fosfomycin disodium
KR101753842B1 (ko) 불화퀴놀론계 항생제를 담지한 서방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77856A1 (ja) 乳房炎用注入剤
KR102100271B1 (ko) 조절된 방출 조성물 및 이들의 사용 방법
EP3057571B1 (en) Proton pump inhibitor paste compositions
JP2002161033A (ja) 非経口投与用の安定な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
TW200800268A (en) Medicinal composition showing improved drug absorbability
RU2805746C2 (ru) Липидная прекомпозиция с за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и содержащая е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ъекции с за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в форме липидного раствора
EP1317252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specific water activity
Sayed et al. Pharmacokinetics and tissue residues of cephradine in healthy and experimentally Salmonella entretidis infected broiler chickens
CN1907261A (zh) 长效喹诺酮类抗菌药物混悬注射液
JPH09323934A (ja) 保存安定性の改善された坐剤
EP2934524B1 (en) Penethamate veterinary injectable formulations
CN1342078A (zh) 3-异噁唑烷酮及羟氨酸用于治疗感染的用途
DK1569693T3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 modifi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