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253B1 - 귀 드라이기 - Google Patents

귀 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253B1
KR101897253B1 KR1020180012689A KR20180012689A KR101897253B1 KR 101897253 B1 KR101897253 B1 KR 101897253B1 KR 1020180012689 A KR1020180012689 A KR 1020180012689A KR 20180012689 A KR20180012689 A KR 20180012689A KR 101897253 B1 KR101897253 B1 KR 10189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ear
drying unit
unit body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하
Original Assignee
김치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하 filed Critical 김치하
Priority to KR102018001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253B1/ko
Priority to PCT/KR2018/002412 priority patent/WO20191515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건조 수단 및 공기 건조 수단을 이용하여 귓속 외이도에 존재하는 습기나 물을 건조시키는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귀 드라이기{EAR-DRYER}
본 발명은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 건조 수단 및 공기 건조 수단을 이용하여 귓속 외이도에 존재하는 습기나 물을 건조시키는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란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기까지의 터널 모양으로 된 부분으로, 통상 S자 모양에 가깝게 구부러져 있으며, 수평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전방으로 안쪽은 후방으로 굽어 있고, 수직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아래로 내측은 위로 굽어 있다.
한편, 세수, 목욕 또는 수영 등의 원인으로 물이나 습기가 외이도 속으로 유입된 경우, 종래에는 외이도 내부를 면봉 등으로 닦아내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그에 따라 외이도에 상처가 날 수 있었다. 나아가 그 상처를 통해 외이도 벽 속으로 침입한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외이도염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이에, 귓속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70% 소독용 알코올과 식초를 동량으로 혼합한 액적(미립화된 작은 액체방울)을 외이도 속에 분사하거나,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외이도 내부의 습기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권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귓속을 건조시키는 전용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귀솟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헤어 드라이기 등을 귀에 사용시 과도한 온도 상승에 따른 부작용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건조 효율이 극히 미비하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652호 '귀 건조장치'에서는 도 1과 같이 온풍을 발생시키도록 히팅 코일(108)과, 모터(106) 및 송풍팬(107)을 구비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104) 및 온풍이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다공관(120)을 포함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열 건조를 위한 수단으로써 온풍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히팅 코일(108)을 작동시 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 없이 연속사용 가능한 시간이 극히 짧고, 과열시 파손이나 화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다공관에 형성된 온풍 배출구(노즐)들이 다공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이 외이도 내벽에 수직하게 부딪힌다. 따라서, 물이나 습기가 사방으로 비산(분산)됨에 따라 귀 외부로 배출이 어려우며, 심하면 고막이 있는 내측으로 더욱더 깊게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6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이도의 건조를 위해 LED에 의한 열 건조 수단 및 분사노즐에 의한 공기 건조 수단을 제공하되, 이들을 하나의 장치로 제공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킨 귀 드라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여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개선함으로써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귀 드라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는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귓속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건조부 몸체와; 상기 건조부 몸체에 구비되며,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발광모듈과; 상기 건조부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 몸체의 내측 중공부에서 외측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건조부 몸체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모듈 및 분사노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구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조부 몸체의 후방측 단부에 조립 및 고정되는 스톱링(stop-ring)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톱링은 상기 건조부 몸체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에 관통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된 배치된 상기 걸림턱부들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건조용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톱링의 걸림턱부에 의해 상기 건조부 몸체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상기 건조부 몸체가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 및 상기 원적외선 LED를 구동시키는 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 몸체에 설치됨에 따라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외이도의 건조를 위해 LED에 의한 열 건조 수단 및 분사노즐에 의한 공기 건조 수단을 제공하되 이들을 하나의 장치로 제공한다. 따라서, 열 건조, 공기 건조 및 열과 공기 건조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여 열 건조를 제공하므로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귀 외부측으로 향하도록 함에 따라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보관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작동부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발광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의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 드라이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가 사람의 귀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그 외 반려견과 같은 동물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용이나 레져용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200)는 귓속 외이도에 유입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작동부 본체(240)를 잡고, 관 형상의 건조부 몸체(210)를 외이도 내부로 삽입한다.
그러면 건조부 몸체(210)에는 LED 등과 같이 빛 에너지를 이용한 열 건조 수단 및 분사노즐과 같이 건조용 공기를 이용한 공기 건조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귓속 외이도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은 LED에 의한 열 건조 수단 및 분사노즐에 의한 공기 건조 수단을 건조부 몸체(210)에 일체로 구비한다. 따라서, 열 건조, 공기 건조 및 열과 공기 건조 중 어느 하나를 통한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므로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외부로 향하도록 함에 따라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 드라이기(200)는 외이도 내에 삽입되는 건조부 몸체(210)와, 상기 건조부 몸체(210)에 일체로 구비되는 발광모듈(220)과 분사노즐(230) 및 상기 발광모듈(220)을 작동시키고 분사노즐(230)로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작동부 본체(2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자가 건조부 몸체(210)를 과도하게 삽입하여 귓속 깊숙이 있는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링(stop ring)(250) 및 외이도를 촬영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 모듈(260)을 비롯하여 각종 센서(도시 생략)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건조부 몸체(210)에 각종 오염물질이 묻거나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부 몸체(210)를 덮도록 작동부 본체(240)에 끼워지는 마감캡(CAP)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캡(CAP)은 투명 혹은 불투명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 몸체(210)는 후술할 열 건조 수단 및 공기 건조 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시(건조시)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관 형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관 형상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완만한 곡선 혹은 'S'자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건조부 몸체(210)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외이도는 통상 약 2.5Cm 정도의 길이 및 약 0.6Cm의 직경을 가지며 수평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전방으로 안쪽은 후방으로 굽어 있고, 수직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아래로 내측은 위로 굽어 있기 때문에 필요시에는 곡선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건조부 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이 적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전체 길이에 대한 일부 또는 전부에서 이들 형상을 혼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조부 몸체(210)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등 그 원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급적 외이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경도(hardness)가 작거나 부드러운 재질을 적용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표면에 첨두부가 없도록 마감처리한다.
다음, 발광모듈(220)은 이상과 같은 건조부 몸체(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방열된 열을 이용하여 외이도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발광모듈(220)을 적용하기 때문에 종래에 히팅 코일(도 1의 '108' 참조)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 교체 없이 연속사용 가능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며, 과열에 따른 파손이나 화상의 위험을 방지한다.
발광모듈(220)은 다수개 구비되어 외이도 전체를 동시에 건조시키며, 외이도를 향해 발광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발광모듈(220)은 설정된 간격 및 패턴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건조부 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1열의 발광모듈(220)이 건조부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열은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외이도 전체에 고르게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발광모듈(220)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221) 및 상기 원적외선 LED(221)를 구동시키는 전원과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2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은 건조와 함께 살균 및 치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외이도 건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 5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적외선 LED(221)는 각각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기판(222) 위에 실장된 상태에서 외이도를 향해 발광하도록 설치되고, 기판(222)에는 전원선 혹은 신호선(223)이 연결된다.
전원선이나 신호선(223)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건조부 몸체(210) 내부의 중공부를 통해 각각의 기판(222)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전원선이나 신호선(223)은 건조부 몸체(210) 내주면에 부착, 인쇄 혹은 초음파 압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전원선이나 신호선(22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 본체(240)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됨으로써 콘트롤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여 원적외선 LED(221)가 발광되게 한다.
다만, 도 5의 (a)와 같이 원적외선 LED(221)는 건조부 몸체(210)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지만, 도 5의 (b)와 같이 건조부 몸체(210) 표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 내부에 매입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 LED(221)가 외이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 분사노즐(230)은 상기한 발광모듈(220)과 함께 건조부 몸체(21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건조부 몸체(210)의 내측 중공부로 유입된 건조용 공기를 외측으로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킨다.
이러한 분사노즐(230) 역시 다수개 구비되어 외이도 전체를 동시에 건조시키며, 다수개의 분사노즐(230)은 설정된 간격 및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건조부 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1열의 분사노즐(230)이 건조부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노즐(230)은 바람직하게 발광모듈(220)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열은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외이도 전체에 고르게 건조용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사노즐(230)은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구비된다. 즉, 종래에는 관통홀(도 1의 '122' 참조)이 다공관의 표면에 수직하게 형성됨에 따라 외이도에 수직하게 온풍을 분사하는 반면, 본 발명은 외이도에 경사지게 건조용 공기를 분사한다.
따라서, 경사진 상태에서 귀 외부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30)에 의해 외이도 내부로 유입된 물이나 습기가 귀(즉, 외이도) 외부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고막측으로 물이나 습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도 6의 (a)와 같이 분사노즐(230)은 건조부 몸체(210)를 관통하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공으로만 구성될 수 있지만, 도 6의 (b)와 같이 건조부 몸체(210)의 표면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가이드(231)를 더 구비한 구성 역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가이드(231)는 외이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실리콘 등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작동부 본체(240)는 건조부 몸체(210)의 후방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술한 상기 발광모듈(220) 및 분사노즐(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한 구동은 발광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분사노즐(230)에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부 본체(240)의 전방측 단부에는 관 형상의 건조부 몸체(210)가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지만,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부 몸체(21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고장이나 사용대상(사람 또는 반려동물)에 따른 교체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써 작동부 본체(240)의 전방측 단부에는 커넥터(241)(즉,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는데, 커넥터(241)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작동부 본체(240)에서 공급된 건조용 공기가 건조부 몸체(210)를 향해 배출된다.
또한, 관 형상의 건조부 몸체(210)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커넥터(241) 역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측 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돌기(241a)가 돌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건조부 몸체(210)의 후방측 단부에는 상기 탄성 돌기(241a)가 끼워지는 끼움공(2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방에서 건조부 몸체(210)를 끼우면 탄성 돌기(241a)가 끼움공(212)에 끼워져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건조부 몸체(21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커넥터(241)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커넥터(241)에 출력 단자(241b)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건조부 몸체(210)에는 입력 단자(213)가 구비됨에 따라 이들이 접촉시 출력 단자(241b)와 입력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 등을 전송한다.
또한, 작동부 본체(240)의 외측부에는 컨트롤 패널(24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컨트롤 패널(242)은 일 예로 디스플레이(242a) 및 조작 버튼(242b)을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2a)를 통해 사용자에게 동작 시간 및 동작 상태 등을 제공한다.
조작 버튼(242b)은 발광모듈(220)을 조작하는 열 건조 버튼 및 분사노즐(230)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건조 버튼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모두 누르면 열 건조와 공기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그 이외에도 타이머, 온도 설정 버튼도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만,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컨트롤 패널(242)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원격조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작동부 본체(240)의 내부에는 발광모듈(2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B, S)를 포함하는데, 전원공급부(B, S)는 일 예로 DC 배터리(B) 및 상기 DC 배터리(B)가 끼워지는 단자슬롯(S)을 포함하며, 배터리 교체를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일측에는 뚜껑(241c)을 구비한다.
또한, 건조부 몸체(210) 및 분사노즐(230)을 순차로 통과하여 외이도로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부 본체(240) 내부에 모터(MO) 및 송풍팬(FA)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역시 위에서 설명한 전원공급부(B, 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다만, 공기 흡입을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후방부에는 다수개의 흡입공(244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때 외이도 내부로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FT)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필터(FT)의 교체를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후방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마감캡(244)이 구비된다.
다음, 스톱링(250)은 건조부 몸체(210)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사용자가 외이도 건조를 위해 건조부 몸체(210)를 삽입시, 실수로 건조부 몸체(210)가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으로 다시 돌아가 살펴보면, 스톱링(250)은 건조부 몸체(210)의 후방측 단부에 조립 및 고정되는 것으로 결착부(251), 걸림턱부(252) 및 배출부(253)를 포함한다. 이때 결착부(251)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조부 몸체(210)에 끼워진다.
걸림턱부(252)는 링 형상의 결착부(251)에 일체로 구비되되, 결착부(2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 길이는 통상적인 사람의 외이도 직경(약 0.6Cm) 보다 크게 함으로써, 걸림턱부(252)는 일 예로 귓볼에 걸리게 된다.
배출부(253)는 분사노즐(230)을 통해 분사된 건조용 공기가 외이도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턱부(252)에 관통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된 배치된 걸림턱부(252)들 사이에 형성된다.
즉, 걸림턱부(252)가 링 형상의 결착부(251)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턱부(252) 자체에 통공을 형성하고, 걸림턱부(25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경우에는 그 사이의 공간 자체를 배출부(253)로 사용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스톱링(250)은 성장을 마친 성년과 그렇지 못한 영유아나 청소년 등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건조부 몸체(210)에 끼워지는 길이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다만, 스톱링(250)의 좀더 견고한 고정을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건조부 몸체(2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끼움홈(211-1, 211-2)을 형성한다.
사람마다 외이도의 깊이가 서로 다르므로 고막을 찌르지 않도록 삽입을 제한하는 길이가 다르며, 이는 외이도 형상 및 길이가 서로 다른 사람과 동물(예: 반려견)간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스톱링(250)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필요한 개수만큼 다수개(2개 혹은 그 이상)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끼움홈에 성년용 혹은 영유아용을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혹은 사람용과 동물용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음,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귓속 외이도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 카메라 모듈(260) 및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병원에서 귓속 내시경 장비를 이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귓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조부 몸체(210)에 설치되며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60) 및 상기 카메라 모듈(26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 모듈(260)의 옆에 조명용 LED(261)를 더 구비하여 조명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260) 그 자체는 공지의 것이 사용되며, 일 예로 건조부 몸체(21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됨으로서 외이도 내부에서 전방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모듈은 유무선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써 도 3 및 도 4와 같이 작동부 본체(240)에는 전송 모듈의 하나로써 USB 포트(243)를 구비하여 촬영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전송) 받을 수 있게 한다. USB 포트(243)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B, S)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써도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부 몸체(210)에 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각종 센서(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센서는 그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건조부 몸체(210)의 표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로는 외이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센서들로부터 측정한 상태 데이터는 상기한 전송 모듈을 통해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건조부 몸체
220: 발광모듈(원적외선 LED)
230: 분사노즐
240: 작동부 본체
250: 스톱링
260: 카메라 모듈
FT: 필터
MO: 모터
FA: 송풍팬
B: DC 배터리
S: 단자슬롯

Claims (5)

  1.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귓속을 건조시키는 귀 드라이기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건조부 몸체(210)와;
    상기 건조부 몸체(210)에 구비되며,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발광모듈(220)과;
    상기 건조부 몸체(210)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 몸체(210)의 내측 중공부에서 외측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분사노즐(230)와;
    상기 건조부 몸체(210)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모듈(220) 및 분사노즐(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구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 본체(240); 및
    상기 건조부 몸체(210)의 후방측 단부에 조립 및 고정되는 스톱링(stop-ring)(250)을 포함하되,
    상기 스톱링(250)은 상기 건조부 몸체(210)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결착부(251)와; 상기 결착부(251)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2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252); 및 상기 걸림턱부(252)에 관통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된 배치된 상기 걸림턱부(252)들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230)에서 분사된 건조용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253);를 포함하여, 상기 스톱링(250)의 걸림턱부(252)에 의해 상기 건조부 몸체(210)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상기 건조부 몸체(210)가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분사노즐(230)은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드라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220)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221); 및
    상기 원적외선 LED(221)를 구동시키는 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드라이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몸체(210)에 설치됨에 따라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60); 및
    상기 카메라 모듈(26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드라이기.
KR1020180012689A 2018-02-01 2018-02-01 귀 드라이기 KR10189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89A KR101897253B1 (ko) 2018-02-01 2018-02-01 귀 드라이기
PCT/KR2018/002412 WO2019151566A1 (ko) 2018-02-01 2018-02-27 귀 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89A KR101897253B1 (ko) 2018-02-01 2018-02-01 귀 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253B1 true KR101897253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89A KR101897253B1 (ko) 2018-02-01 2018-02-01 귀 드라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7253B1 (ko)
WO (1) WO20191515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16B1 (ko) *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귀의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718U (ko) * 1997-07-08 1999-02-05 이재훤 귓속의 수분건조 및 멸균기
KR100383412B1 (ko) * 2000-12-12 2003-05-14 홍재의 귓속 수분건조장치
KR20100091652A (ko) 2009-02-11 2010-08-19 이상실 귀 건조장치
KR20130109551A (ko) * 2012-03-27 2013-10-08 손종철 카메라 귀이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1378B2 (ja) * 1994-10-25 1998-11-05 寛之 山崎 耳垢掃除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718U (ko) * 1997-07-08 1999-02-05 이재훤 귓속의 수분건조 및 멸균기
KR100383412B1 (ko) * 2000-12-12 2003-05-14 홍재의 귓속 수분건조장치
KR20100091652A (ko) 2009-02-11 2010-08-19 이상실 귀 건조장치
KR20130109551A (ko) * 2012-03-27 2013-10-08 손종철 카메라 귀이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16B1 (ko) * 2021-07-08 2022-02-23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귀의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566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5627B2 (ja) 口内光線療法デバイス
ES2929067T3 (es) Dispositivos para el cuidado de la piel
US11116250B2 (en) Illuminated electronic cigarette
ES2886032T3 (es)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US11229508B2 (en) Self-disinfecting teeth-whitening device
KR20170139520A (ko) 광조사 장치
KR101076057B1 (ko) 다기능 머리빗
CN110915707B (zh) 宠物护理装置和用于控制宠物护理装置的方法
JP2009535125A5 (ko)
KR20220076505A (ko) 무선 치아 미백 시스템
CN105263573A (zh) 用于治疗鼻炎或中耳炎的光治疗装置
KR101897253B1 (ko) 귀 드라이기
US11273318B1 (en) Wireless teeth whitening system
KR101897256B1 (ko) 모듈형 귀 드라이기
JP6129392B1 (ja) ヘアケア装置
KR102564452B1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KR20060007303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JP2009522635A (ja) Led制御回路及び方法
KR102658317B1 (ko)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97851A (ko) 보관 장치
KR20100091652A (ko) 귀 건조장치
US20160287469A1 (en) Ear device
KR20210052859A (ko) 스마트 기능을 구비하는 반려동물용 빗
KR20170001179A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RU50420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ротогло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