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79A -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79A
KR20170001179A KR1020150090811A KR20150090811A KR20170001179A KR 20170001179 A KR20170001179 A KR 20170001179A KR 1020150090811 A KR1020150090811 A KR 1020150090811A KR 20150090811 A KR20150090811 A KR 20150090811A KR 20170001179 A KR20170001179 A KR 2017000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amera
image
camera modu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미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79A/ko
Publication of KR2017000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H04M1/725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돌출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의 결과, 사용자가 치아 사이의 음식물을 제거하는 동작을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돌출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치아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CAMERA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촬영영상을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를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가 공개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그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의 예이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중 입, 귀, 코 등의 내부를 촬영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장치는 없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KR 10-1377936 B1 (등록일: 2014.03.19.)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KR 10-1274303 B1 (등록일: 2013.06.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 귀, 코 등의 내부를 촬영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돌출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칫솔모;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치아 또는 잇몸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비정상부분을 표시하고, 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스피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귀이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몸체부; 카메라 모듈; 적외선 발생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귀 내부의 영상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비정상부분을 표시하고, 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발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입, 귀, 코 등의 내부를 촬영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살시예 7의 카메라모듈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분해도 1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분해도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념도이다.
실시예 1의 카메라 장치(200)는 몸체부(210), 돌출부(220), 카메라 모듈(230), 발광부(240), 마이크로 USB 단자(250), 연결선(260)을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200)의 몸체부(210)는 내부와 외부에 각종 부품을 거치 또는 부착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돌출부(220)는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몸체부(2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러버팁, 치간칫솔의 칫솔부 등이 될 수 있다.
러버팁은 고무 재질로 되어 있고, 끝부분이 원뿔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이빨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기에 편리하다.
치간칫솔의 칫솔부는 가느다란 막대 사이에 브러쉬가 끼어져 있어서, 이빨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기에 편리하다.
그 외에 이빨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된 돌출 구조물이라면, 어떤 형상이나 재질로 되더라도 본 발명의 돌출부(220)가 될 수 있다.
돌출부(220)를 장기간 사용하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220)는 교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23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발광부(240)는 치아나 잇몸 부분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일 때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LED 나 소형 전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 USB 단자(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포트에 삽입되는 단자이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다른 종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USB 단자(250)는 다른 종류의 단자로 변형될 수 있다.
연결선(260)은 몸체부(210) 내부의 카메라 모듈(230)에서 촬영한 영상의 신호를 마이크로 USB 단자(250)로 유선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유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카메라 모듈(230)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20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연결될 때, 그 연결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200) 내에 OTG 칩이 내장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송받은 영상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을 제어한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돌출부(220)로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위치와 돌출부(2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 발광부(240) 등에는 침 등의 액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실시예 1의 카메라 장치(200)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제거할 때, 카메라 모듈(230)은 치아와 잇몸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 영상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
치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경우,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부분에 충치가 있는지 또는 어느 부분에 잇몸질환이 있는지를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은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쉽게 알 수 없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건강상태 체크를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치아에 충치 의심 부분(예를 들어, 치아의 다른 부분과 색깔이 다른 부분)이 발견되면 그 충치 의심 부분으로 표시한다.(충치 의심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로는 그 부분을 반짝이게 한다든지, 그 부분의 주위에 원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충치 의심 부분을 돌출부(220)의 끝부분으로 건드렸을 때 원래의 색깔로 변한다면, 그것은 단순한 음식찌꺼기로 충치가 아니다. 사용자가 그 충치 의심 부분을 기존의 충치 영상과 비교할 때, 충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충치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치과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충치의심 화면를 보고 충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에게 치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충치뿐만 아니라 잇몸질환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잇몸에 질병 의심 부분(예를 들어, 잇몸의 색깔이나 모양이 질병이 있는 잇몸과 유사한 부분)이 발견되면 그 잇몸질환 의심 부분으로 표시한다.(잇몸질환 의심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로는 그 부분을 반짝이게 한다든지, 그 부분의 주위에 원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그 잇몸질환 의심 부분을 기존의 잇몸질환 영상과 비교할 때, 잇몸질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잇몸질환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치과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잇몸질환 의심 화면를 보고 잇몸질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에게 치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230)이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은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그 영상을 표시하고, 충치(또는 잇몸질환 등) 의심 영상이 발견되면, 그 의심 부분을 표시해주고, 그 의심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 컴퓨터로 전송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몸체부(210)을 잡고 치아 사이의 음식물을 제거하는 동작을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거치대(예를 들면, 스마트폰 거치대)에 올려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카메라 장치(300)만 표시하였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실시예 2의 카메라 장치(300)는 몸체부(310), 칫솔모(320), 카메라 모듈(330), 발광부(340), 마이크로 USB 단자(350), 연결선(360)을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300)의 몸체부(310)는 내부와 외부에 각종 부품을 거치 또는 부착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칫솔모(320)는 칫솔에 심겨 있는 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곳에 치약을 묻혀서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칫솔모(320)의 간격이 매우 크게 되어 있으나, 2개의 칫솔모 사이의 간격은 더 좁게 형성할 수도 있고, 카메라 모듈(330)과 발광부(340)를 목장 울타리처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칫솔모(3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칫솔모(320)를 장기간 사용하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칫솔모(320)는 교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33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발광부(340)는 치아나 잇몸 부분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일 때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LED 나 소형 전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카메라 모듈(330)과 발광부(340)는 도 2에서와 같이 칫솔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칫솔질을 할 때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마이크로 USB 단자(350)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포트에 삽입되는 단자이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른 종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USB 단자(350)는 다른 종류의 단자로 변형될 수 있다.
연결선(360)은 몸체부(310) 내부의 카메라 모듈(330)에서 촬영한 영상의 신호를 마이크로 USB 단자(350)로 유선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유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카메라 모듈(330)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30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30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그 연결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300) 내에 OTG 칩이 내장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송받은 영상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한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양치질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30), 발광부(340) 등에는 침 등의 액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실시예 2의 카메라 장치(300)를 이용하여, 칫솔질을 할 때, 카메라 모듈(230)은 치아와 잇몸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 영상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
치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경우,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부분에 충치가 있는지 또는 어느 부분에 잇몸질환이 있는지를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은 치아와 잇몸의 영상으로부터 치아와 잇몸의 건강상태를 쉽게 알 수 없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건강상태 체크를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치아에 충치 의심 부분(예를 들어, 치아의 다른 부분과 색깔이 다른 부분)이 발견되면 그 충치 의심 부분으로 표시한다.(충치 의심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로는 그 부분을 반짝이게 한다든지, 그 부분의 주위에 원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충치 의심 부분을 칫솔모(320)의 끝부분으로 건드렸을 때 원래의 색깔로 변한다면, 그것은 단순한 음식찌꺼기로 충치가 아니다. 사용자가 그 충치 의심 부분을 기존의 충치 영상과 비교할 때, 충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충치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치과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충치의심 화면를 보고 충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에게 치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충치뿐만 아니라 잇몸질환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잇몸에 질병 의심 부분(예를 들어, 잇몸의 색깔이나 모양이 질병이 있는 잇몸과 유사한 부분)이 발견되면 그 잇몸질환 의심 부분으로 표시한다.(잇몸질환 의심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로는 그 부분을 반짝이게 한다든지, 그 부분의 주위에 원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그 잇몸질환 의심 부분을 기존의 잇몸질환 영상과 비교할 때, 잇몸질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잇몸질환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치과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잇몸질환 의심 화면를 보고 잇몸질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에게 치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330)이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은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그 영상을 표시하고, 충치(또는 잇몸질환 등) 의심 영상이 발견되면, 그 의심 부분을 표시해주고, 그 의심 영상을 치과 의사의 단말 컴퓨터로 전송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몸체부(310)을 잡고 칫솔질을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대(예를 들면, 스마트폰 거치대)에 올려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카메라 장치(400)만 표시하였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는 몸체부(410), 삽입부(420), 마이크로 USB 단자(450), 연결선(460)을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400)의 몸체부(410)는 내부와 외부에 각종 부품을 거치 또는 부착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삽입부(420)는 귓구멍 또는 콧구멍 등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만일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가 귀 안쪽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라면, 삽입부(420)는 귓구멍에 삽입되기에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다. 만일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가 코 안쪽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라면, 삽입부(420)는 콧구멍에 삽입되기에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다. 만일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가 귀에 삽입되는 것이라면, 커널형 이어폰처럼 삽입부(420)을 고무캡으로 감쌀 수도 있다.
삽입부(420)에 카메라 모듈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삽입부(420)에는 도광관, 도파로 등의 광전송 수단만을 설치하고, 카메라 모듈은 몸체부(4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발광부는 귀 속이나 코 속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일 때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LED 나 소형 전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발광부도 몸체부(410)에 설치하고 그 빛은 삽입부(420) 내에 형성되는 광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USB 단자(450)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포트에 삽입되는 단자이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른 종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USB 단자(450)는 다른 종류의 단자로 변형될 수 있다.
연결선(460)은 몸체부(410) 내부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의 신호를 마이크로 USB 단자(450)로 유선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유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400)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40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그 연결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400) 내에 OTG 칩이 내장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송받은 영상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한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사람의 귀 속이나 코 속을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의 귀 속을 보면서 중이염과 같은 질환이 있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경우, 귀 속의 영상으로부터 질병 여부를 알 수 있으나, 일반인은 귀 속의 영상으로부터 질병 여부를 쉽게 알 수 없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질병 여부 판단를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귀 속의 촬영 영상과 질병 시의 영상을 비교하여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질병 가능성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 영상으로부터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영상을 이비인후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화면를 보고 질병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그 사용자에게 이비인후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귀속을 관찰할 때 귀지로 막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삽입부(420)의 끝에 귀이개를 형성하여, 귀 속의 귀지 상태를 보면서, 귀이개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코 속에 삽입되는 장치라면, 자녀의 코 속을 보면서 코 점막 염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와 같은 전문가의 경우, 코 속의 영상으로부터 질병 여부를 알 수 있으나, 일반인은 코 속의 영상으로부터 질병 여부를 쉽게 알 수 없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질병 여부 판단를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코 속의 촬영 영상과 질병 시의 영상을 비교하여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질병 가능성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 영상으로부터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영상을 이비인후과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전송과정은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질병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는 단말기로 전송된 화면를 보고 질병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사용자에게 이비인후과 방문을 권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귀 속이나 코 속의 염증의 경우 적외선을 쬐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400)에 적외선 발생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적외선 발생장치는 삽입부(420)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적외선 발생장치는 몸체부(410)에 설치하고 그 빛은 삽입부(420) 내에 형성되는 광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은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그 영상을 표시하고, 질병 의심 영상이 발견되면, 의심 질환을 표시해주고, 그 의심 영상을 이비인후과 의사의 단말 컴퓨터로 전송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몸체부(410)을 잡고 귀 속 또는 코 속을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대(예를 들면, 스마트폰 거치대)에 올려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카메라 장치(500)만 표시하였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실시예 4의 카메라 장치(500)는 몸체부(510), 측정 커버부(520), 마이크로 USB 단자(550), 연결선(560)을 포함한다.
카메라 장치(500)의 몸체부(510)는 내부와 외부에 각종 부품을 거치 또는 부착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측정 커버부(520)는 피부상태 또는 두피상태를 관찰할 때, 카메라 장치(500)의 카메라 모듈이 피부(또는 두피)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카메라 장치(500)의 카메라 모듈이 피부(또는 두피)를 촬영할 때, 측정 커버부(520)가 피부(또는 두피)와 밀착되도록 한 상태를 유지하면, 카메라 장치(500)의 카메라 모듈이 피부(또는 두피)와 적절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부(또는 두피)를 촬영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발광부는 귀 속이나 코 속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일 때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LED 나 소형 전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카메라 모듈과 발광부는 몸체부(510)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USB 단자(550)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포트에 삽입되는 단자이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른 종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USB 단자(550)는 다른 종류의 단자로 변형될 수 있다.
연결선(560)은 몸체부(510) 내부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의 신호를 마이크로 USB 단자(550)로 유선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유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500)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50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그 연결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500) 내에 OTG 칩이 내장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송받은 영상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한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또는 두피)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은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실시예 4의 카메라 장치(500)를 빗이나 가위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머리카락의 빗질이나 가위질을 할 때 사용자의 두피 상황이나 머리카락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카메라 장치 중 2개 이상의 카메라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공통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개념도이다.
도 5의 카메라 장치(600)는 공통 몸체부(610), 돌출부(620), 카메라 모듈(630), 발광부(640), 마이크로 USB 단자(650), 연결선(660), 추가 몸체부(670)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630)과 발광부(640)는 추가 몸체부(670)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카메라 장치(600)는 도 1의 카메라 장치(200)의 몸체부(210)를 공통 몸체부(610)와 추가 몸체부(670)로 분리한 것이다.
공통 몸체부(610)에는 공통 몸체부 전극(615)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 몸체부(670)에는 추가 몸체부 전극(675)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통 몸체부(610)와 추가 몸체부(670)의 결합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이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전력이나 데이터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공통 몸체부 전극(615)은 오목한 형상이고 추가 몸체부 전극(675)은 볼록한 형상이나 전극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공통 몸체부(610)와 추가 몸체부(670)의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필요한데, 결합수단의 간단한 예로는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 등이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의 몸체부를 2부분으로 분리한 것인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도 2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고, 공통 몸체부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공통 몸체부(610)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품(예를 들면, 제어부)을 설치하고, 추가 몸체부(670)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에서 각각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면,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품(마이크로 USB 단자, 연결선, 제어부 등)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카메라 모듈은 공통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지만, 카메라 모듈도 공통으로 이용하도록 몸체부의 구성을 변형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6의 개념도이다.
도 6의 카메라 장치(700)는 공통 몸체부(710), 돌출부(720), 카메라 모듈(730), 발광부(740), 마이크로 USB 단자(750), 연결선(760), 덮개 몸체부(770)을 포함한다.
도 6의 카메라 장치(700)는 도 1의 카메라 장치(200)의 몸체부(210)를 공통 몸체부(710)와 덮개 몸체부(770)로 분리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730)과 발광부(740)는 공통 몸체부(710)에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720)는 덮개 몸체부(770)에 형성되어 있다.
공통 몸체부(710)와 덮개 몸체부(770)의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필요한데, 결합수단의 간단한 예로는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 등이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1의 몸체부를 2부분으로 분리한 것인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도 2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고, 공통 몸체부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공통 몸체부(710)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품(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제어부 등)을 설치하고, 덮개 몸체부(770)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몸체부에서 각각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품들을 설치하면,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품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카메라 장치들에 있어서, 신체에 삽입되거나 신체에 닿는 부분에는 1회용 커버를 비닐,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서 신체에 삽입되거나 신체에 닿는 부분에 씌워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균, 바이러스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유해물질 등이 신체에 닿거나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실시예 1내지 실시예 6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연결이 되어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몸체부가 무선통신(예를 들면,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몸체부 사이의 유선 연결이 없어진다면, 몸체부에는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해진다.
또한 몸체부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그 디스플레이부에 촬영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의 삽입부(420)를 유아 또는 아동의 귀에 삽입할 때, 아동이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이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몸체부(410) 중에서 삽입부(420) 주위의 형상을 동물 형상으로 만들고, 삽입부(420)의 근처에 스피커를 두어 동물소리가 나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에서 콧물 등을 건조하여 제거하기 위해 삽입부(420)에 열선 등의 가열장치를 별도로 둘 수도 있고, 적외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콧물 등을 가열 건조할 수도 있다.
또 실시예 3의 카메라 장치(400)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더 정확하게 알기 위해 삽입부(420)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입속에서 치아의 충치 상태, 치솔질 상태를 촬영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개념도이다.
몸체부는 손잡이부(몸체부 중 손으로 잡는 부분), 카메라모듈부(카메라모듈이 설치되는 부분), 손잡이 연결부(손잡이부와 카메라모듈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분되고, 돌출부는 삭제된다.
도 7에서 손잡이 연결부는 손잡이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어서 입속에서 손잡이 연결부가 움직일 때, 입속의 이빨이나 혀 등에 부딪쳐서 움직임이 방해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 카메라 모듈부의 카메라 모듈은 손잡이의 길이방향과 같지 않은 방향, 즉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빨을 촬영하기에 편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살시예 7의 카메라모듈부의 정면도이다.
카메라도듈부의 중심에는 카메라 모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6개의 LED가 원을 형성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6개의 LED는 카메라 모듈이 입속을 촬영할 때 대상체를 사각이 없도록 밝혀준다. LED의 갯수는 2개 이상이기만 하면 사각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며, 6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2개 이상의 LED가 있고 그 중심에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면 LED 조명의 사각을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 7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는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몸체부;
2개 이상의 LED
상기 2개 이상의 LED의 중심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
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손잡이부, 카메라모듈부, 손잡이 연결부로 구분되고, 손잡이 연결부는 손잡이부보다 가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실시예 7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에서 몸체부 내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구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분해도 1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분해도 2이다.
몸체부는 몸체부 1과 몸체부 2로 구성된다. 몸체부의 카메라모듈부에는 렌즈보호부를 씌울 수 있다. 렌즈 보호부는 카메라 모듈과 LED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지만, 투명체로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과 LED의 동작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몸체부 1과 몸체부 2에는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선(기판부에 연결되는 연결선)에는 방수 및 보호부가 결합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방수 및 보호부에는 다수의 원형 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 1과 몸체부 2에는 그와 대응되는 형상의 원형 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꽉 끼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면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또 연결선을 외부에서 당기면 연결선와 기판부의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있는데, 방부 및 보호부는 연결선을 몸체부에 고정시켜주어서 연결선과 기판부의 연결이 끊어주는 것을 막아준다.
방수 및 보호부는 연결선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고 연결선의 확장부가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확장부가 방수 및 보호부를 통과하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Claims (8)

  1. 몸체부;
    카메라 모듈;
    돌출부;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2. 몸체부;
    카메라 모듈;
    칫솔모;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치아 또는 잇몸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비정상부분을 표시하고, 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
  4. 몸체부;
    카메라 모듈;
    스피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5. 몸체부;
    카메라 모듈;
    귀이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6. 몸체부;
    카메라 모듈;
    적외선 발생부;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귀 내부의 영상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비정상부분을 표시하고, 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발광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KR1020150090811A 2015-06-25 2015-06-25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KR20170001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11A KR20170001179A (ko) 2015-06-25 2015-06-25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11A KR20170001179A (ko) 2015-06-25 2015-06-25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79A true KR20170001179A (ko) 2017-01-04

Family

ID=5783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811A KR20170001179A (ko) 2015-06-25 2015-06-25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88A (ko) * 2017-12-05 2019-06-13 오설화 귓속 청소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03B1 (ko) 2012-12-21 2013-06-13 임재윤 스마트폰용 피부 상태 측정장치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KR101274303B1 (ko) 2012-12-21 2013-06-13 임재윤 스마트폰용 피부 상태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88A (ko) * 2017-12-05 2019-06-13 오설화 귓속 청소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5653B (zh) 一种口腔内窥器
CN107405066B (zh) 用于执行身体成像的设备和方法
KR100871916B1 (ko) 영상정보 제공이 가능한 휴대용 체온계
US11026569B2 (en) Otoscope providing multi-directional illumination
US20130061412A1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US20100309302A1 (en) Apparatus and a System for Visualizing Teeth Cleaning
US2016029616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JP2012125455A (ja) 口腔内撮像装置
US20210068646A1 (en) Portable otoscope
US20090176185A1 (en) Dental handpiece
KR20170001179A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카메라 장치
US20200196871A1 (en) Diagnostic toothbrush
KR101730648B1 (ko)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241374B1 (ko)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253302B1 (ko)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US20160228001A1 (en) Eye examination device
CN102113765A (zh) 一种具有光纤取像功能的牙刷结构
TWI686165B (zh) 一種口腔內窺器
US10667678B2 (en) Ear instrument assembly
JP2017225571A (ja) 検視具
WO2018219157A1 (zh) 一种口腔内窥器
TWM348522U (en) Endoscope toothbrush
KR101191455B1 (ko) 휴대용 검이경
KR20190060458A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TWM450359U (zh) 具有攝像裝置之電動牙刷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