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317B1 -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317B1
KR102658317B1 KR1020190018025A KR20190018025A KR102658317B1 KR 102658317 B1 KR102658317 B1 KR 102658317B1 KR 1020190018025 A KR1020190018025 A KR 1020190018025A KR 20190018025 A KR20190018025 A KR 20190018025A KR 102658317 B1 KR102658317 B1 KR 10265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re
head
emitting uni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860A (ko
Inventor
유현선
김미주
김혜원
박일하
정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317B1/ko
Priority to US16/574,302 priority patent/US11083910B2/en
Priority to CN201910884786.0A priority patent/CN110915707B/zh
Priority to EP19198169.5A priority patent/EP3626071A1/en
Publication of KR2020009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는, 케어 툴이 장착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구비된 발광 유닛, 상기 헤드에 구비되고, 케어 툴의 장착 감지와 관련된 센싱값을 획득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을 식별하고, 식별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아지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펫)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펫은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펫의 관리 등을 위해 지출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등 전체적인 펫 시장의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펫이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서 인식되면서, 펫의 미용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펫의 미용이나 건강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펫의 미용이나 건강과 관련하여, 펫의 피부 관리 및 털 관리가 중요할 수 있다. 펫의 털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경우, 털이 헝클어지고 습기가 증가하여 각종 기생충이나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펫의 피부에 각종 질병이 발생하거나, 건강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이를 치료하는 비용 및 노력이 소모될 수 있다.
상기 펫의 피부 관리 또는 털 관리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6471호)은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해 사용하는 브러쉬에 UV 램프, 광촉매 필터 및 흡입팬을 장착하여 기생충이나 박테리아의 박멸 및 먼지의 흡입을 통해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브러쉬가 고정된 몸체부의 탈착이 불가능하여,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가 제공할 수 있는 펫 관리 기능이 한정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만으로 UV 램프가 온 되어,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가 펫의 피부나 털에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자외선 광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나 안구에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6471호 (2005.07.26. 자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의 종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케어 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펫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발광부의 효율적인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펫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는, 케어 툴이 장착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구비된 발광 유닛; 상기 헤드에 구비되고, 케어 툴의 장착 감지와 관련된 센싱값을 획득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을 식별하고, 식별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복수의 케어 툴들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 및 발광 유닛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케어 툴의 헤드 결합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바디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바디 및 상기 헤드 결합부는 좌우 및 상하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어 툴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180° 회전된 제2 방향으로 상기 헤드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펫 케어 장치는 헤드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헤드에 장착되는 케어 툴의 종류를 정확히 감지하고, 감지된 케어 툴이 제공하는 펫 케어 기능에 따라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 케어 장치는 감지된 케어 툴에 따라 발광부를 최적 제어하여 발광부의 효율적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펫 케어 장치는 하나의 헤드만으로도 다양한 펫 케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펫 케어 장치는 헤드 또는 케어 툴을 이용하여 펫의 피부 케어 기능을 수행할 때, 근접 센서와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발광부의 온 조건을 인식하여 발광부를 온 시킴으로써, 발광부의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발광부의 자외선 광이 사용자의 안구 등으로 조사되어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펫 케어 장치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이 분리됨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부를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 툴이 분리되어 펫 케어 기능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어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어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케어 본체를 구성하는 헤드와 핸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상부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케어 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케어 본체에 제1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케어 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케어 본체에 제2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케어 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케어 본체에 제3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의 케어 본체에 포함된 제어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0은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동작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가,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의 분리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어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어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케어 본체를 구성하는 헤드와 핸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1)는, 펫의 피부나 털을 관리하기 위한 케어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50)과, 상기 핸들(50)에 연결되는 헤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50)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이용하여 펫의 피부나 털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20)와 상기 핸들(5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후술할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50)은 상기 발광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를 통해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를 통해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펫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 유닛은 UV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UV LED가 조사하는 자외선 광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상기 발광 유닛은 UV LED가 상기 광을 조사할 때, 적색 광을 함께 방출하는 적색 LED를 포함하여, 발광 유닛의 UV LED가 온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UV LED가 상기 펫의 피부에 조사되면, 상기 펫의 피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고, 피부의 질환을 치료하거나, 피부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투과부(230)는 일정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투과부(230)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투과부(230)가 위치되는 부분을 펫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분에 근접시킴으로써, 펫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의 광이 상기 펫의 피부 외의 영역으로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50)의 높이(H1) 보다 상기 헤드(20)의 높이(H2)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상기 펫의 피부나 털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펫의 피부나 털이 상기 핸들(50) 측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를 상기 펫의 피부에 접촉시키거나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5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꺽이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핸들(5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핸들(5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헤드(20)가 상기 핸들(50)과 분리 가능한 것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20)를 상기 핸들(50)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헤드(2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헤드(20)의 물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핸들(50)에는 상기 헤드(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후술함)가 존재하므로, 상기 핸들(50)을 물과 접촉시켜서는 안된다.
그러나, 상기 핸들(50)이 상기 헤드(2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2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20)를 물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헤드(20) 내에는 발광 유닛이 존재하므로, 상기 발광 유닛으로 물이 접촉되지 않도로 상기 헤드(20)가 방수 처리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핸들(50)이 상기 헤드(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헤드(20)는 제1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들(50)은 상기 제1결합부(240)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결합부(240)와 상기 제2결합부(53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1결합부(240)와 상기 제2결합부(5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일 예로 상기 제2결합부(530)가 상기 제1결합부(240)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530)는 상기 케어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2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530)는 상기 핸들(50)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경이 줄어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40)와 상기 제2결합부(53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240)와 상기 제2결합부(530) 각각에는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결합부(245)에 제1극을 가지는 제1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530)에는 상기 제1극과 반대극인 제2극을 가지는 제2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결합부(240)와 상기 제2결합부(53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530)가 상기 제1결합부(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부(530)가 상기 제1결합부(24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40)에는 헤드 단자(26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부(530)에는 핸들 단자(58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530)가 상기 제1결합부(240)에 수용되면, 상기 핸들 단자(532)가 상기 헤드 단자(264)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532)와 상기 헤드 단자(264)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광 유닛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펫 케어 장치(1)는, 상기 케어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어 본체(10)가 세워진 상태로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에서 상기 핸들(50)이 상기 헤드(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50)이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의 하측이 상기 서포터(60)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50) 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상부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20)와 핸들(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헤드 바디(200, 250)와, 상기 헤드 바디(200, 250)에 수용되는 발광 유닛(220)과, 상기 발광 유닛(220)을 커버하는 투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0, 250)는, 상기 발광 유닛(220)을 수용하는 제 1 공간(212)과, 상기 제 1 공간(212)과 구획된 제 2 공간(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12)은 상기 제 2 공간(P)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공간(212)에 상기 발광 유닛(220)이 수용되므로,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제 2 공간(P)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케어 본체(10)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 2 공간(P)으로 펫의 털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공간(P)은 상기 제 1 공간(212)과 구획되므로, 상기 제 2 공간(P)으로 유입된 털이 상기 제 1 공간(21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212) 내에 위치된 발광 유닛(220)이 상기 펫의 털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0, 250)는, 일 예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결합되는 제 2 헤드 바디(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수용 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외측 바디(201)와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내측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내측에 제 1 개구(214)를 형성하도록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타원"이라 함은 기하학적 타원 그 자체 뿐만 아니라,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타원과 유사한 형태는, 두 개의 직선과 두 개의 직선의 양측을 연결하는 두 개의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타원"은 "타원 및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제 1 개구(214)는 상기 제 2 공간(P)의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바디(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 사이에는 상기 제 1 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는 지지벽(218)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측 및 상측은 도 9를 기준으로 한다. 반면, 상기 케어 본체는 도 9의 단면이 상하로 반대가 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임을 밝혀두며, 사용 과정에서는 하측 및 상측은 도 9의 반대가 된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제 1 공간(212)의 하측벽이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내측 바디(21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바디(2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지지벽(218)의 상면(지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벽(218)의 상면에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상단까지의 높이(H3)는 상기 발광 유닛(220)의 높이(H4) 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상기 지지벽(21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최상단부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과 이격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발광 유닛(220)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벽(218)의 지지면(또는 발광 유닛(220))으로부터 상기 외측 바디(201)의 높이(H5)는, 상기 지지벽(218)의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내측 바디(210)의 높이(H3)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는, 외주면(202)과, 내주면(203)과, 상기 외주면(202)과 상기 내주면(203)을 연결하는 연결면(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은 상기 헤드(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은 상기 제 1 공간(2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8)의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의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 까지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연결면(204)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에서 상기 내주면(203)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204a)과, 상기 수평면(204a)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내주면(203)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면(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에는 상기 투과부(23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홈(2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206)에 상기 투과부(230)가 안착되므로, 상기 투과부(230)의 단부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의 외측 단부와 이격된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외주면(213a)과 내주면(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주면(213a)은 상기 제 1 공간(212)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내주면(213b)은 상기 제 1 개구(2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상기 외주면(213a)의 단부와 상기 내주면(213b)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주면(213a)에는 상기 투과부(230)가 지지되기 위한 제2지지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가 상기 제1지지홈(206) 및 상기 제2지지홈(21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230)의 외면(231)(도 9를 기준으로 상면)은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는 상기 제1지지홈(206) 및 상기 제2지지홈(2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융착되어 상기 제1 헤드 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융착에 의한 상기 투과부(230)의 결합에 의해서, 액체가 외부에서 상기 제1공간(21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은 상기 외주면(213a)에서 내주면(213b)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5a)는 일 예로 라운드면 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215a)은 상기 외주면(213a)에서 상기 내주면(213b)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펫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평면(204a)에 의해서 상기 케어 본체(10)와 상기 펫의 피부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펫의 피부로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바디(201)가 경사면(205)을 포함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펫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경사면(205)에 의해서도 상기 케어 본체(10)와 상기 펫의 피부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외측 바디(201)의 영역 내에서 펫의 피부로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투과부(230)가 상기 펫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투과부(230)를 통과한 광이 상기 펫의 피부의 일 지점에 집중에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바닥면에 놓더라도 상기 투과부(230)가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투과부(2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의 내면(232)(상기 발광 유닛을 바라보는 면)은 상기 발광 유닛(220)과 이격되므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투과부(23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광의 조사 각도가 증가되어, 광이 상기 투과부(230) 전체적으로 골고루 투과되므로, 상기 펫의 피부에 도달하는 광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 단부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 보다 내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상기 펫의 피부에 접촉시키거나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할 때, 상기 펫의 피부에서 빠진 털이 상기 제2공간(214)으로 쉽로 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이 경사면(215a)을 포함하므로, 상기 펫의 피부에서 빠진 털이 쉽게 상기 제2공간(21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간 형성벽(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244)의 단부는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 형성벽(244) 및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가 상기 제 2 공간(P)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244)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벽(245, 246)과,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벽(2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타단부는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타단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제 2 공간(P)의 제 2 개구(248)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개구(214)는 제 1 방향(도 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248)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 2 방향(도 1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P)은 일 예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공간(P)은 "L"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0, 250)는, 상기 제 2 공간(P)으로 플라즈마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플라즈마 이오나이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져(270)에서 생성된 이온은 상기 제 2 공간(P)에서 상기 제 1 개구(214)를 통해 상기 펫의 털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펫의 털에 플라즈마 이온이 코팅되면, 펫의 털의 보습 상태는 유지되고, 정전기는 감소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펫의 털에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져(270)는 일 예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개구(214)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져(270)는 상기 배터리(5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유닛(220)은, 발광 유닛 피씨비(PCB)(222)와,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UV LED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는 적색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LED는 UV-B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UV LED가 방출하는 자외선 광의 파장 대역이 상기 UV-B 파장 대역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상기 발광 유닛(220)에 의한 펫의 피부 관리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상기 내측 바디(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바디(210)를 통과하기 위한 개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원 형태의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223)는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투과부(230)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와,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부(222d, 22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a, 222c)의 길이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는 10개 이상의 발광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서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설치되는 발광부(223)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의 개수 보다 많다. 일 예로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설치되는 발광부(223)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의 개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는,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발광부(223a) 및 제 2 발광부(223b)와, 상기 제 1 발광부(223a)와 상기 제 2 발광부(223b)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3 발광부(22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확보되도록, 상기 제 1 발광부(222a)와 상기 제 2 발광부(222b) 사이에는 복수의 제 3 발광부(223c)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는 3개의 제 3 발광부(222c)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가 타원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도 타원 형태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가 상기 내측 바디(210)를 둘러싼 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224)는 일 예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서 상기 발광부(223)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224)는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한 쌍의 곡선부(222d, 222e) 중에서 상기 핸들(50)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곡선부(222d)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8)에는 상기 제1커넥터(224)가 위치되기 위한 수용부(21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224)는 실리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에 의해서 상기 제1커넥터(224)의 외측에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수용부(218b)에 위치된 상기 제1커넥터(224)를 커버하는 커버벽(21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벽(218c)은 상기 공간 형성벽(244)의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을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커넥터(224)의 방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커버벽(218c)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는 상기 제1커넥터(224)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슬롯(207)을 커버하는 슬롯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2 공간(P)의 제 2 개구(244)와 연통되는 홀(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슬롯(207)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홀(262)이 상기 제 2 개구(244)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 커버(260)에는 상기 제1커넥터(224)와 연결되는 헤드 단자(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에 상기 핸들(50)이 연결되면, 상기 헤드 단자(264)가 상기 핸들 단자(582)와 접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이오나이져(2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2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 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70)와 연결되는 전원 수급 라인(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급 라인(272)은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라인(268)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는, 상기 유로 형성벽(24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단부에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의 외측 바디(201)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접촉면이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제 2 헤드 바디(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 및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융착 또는 접착제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8)는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의 외측 바디(20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8)에 의해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되므로,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결합 공간(242)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208)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슬롯 커버(260)에는 상기 접촉부(208)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슬롯 커버(260)의 일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26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롯 커버(260)의 안착부(263)에 상기 접촉부(208)가 안착 및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240)는,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안착 및 접촉되기 위한 안착홈(24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42a)은 일 예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내면이 단차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에는 상기 안착홈(242a)을 경계로 스토퍼(25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스토퍼(250a)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결합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바디(210)에는, 후술할 케어 툴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상기 제 1 개구(214)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일 예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에서 상기 감지 센서(290)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케어 툴 고정부(2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 고정부(292)는 금속 또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 고정부(292)는 상기 제 1 개구(214)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 고정부(292)는 후술할 케어 툴들(70, 80, 90)에 구비된 제1 고정부(724), 제2 고정부(824), 및 제3 고정부(924)와의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케어 툴들(70, 80, 90) 중 어느 하나를 케어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상기 핸들(50)은, 핸들 바디(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의 내부에는 배터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결합되는 제 2 핸들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수직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 시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는 조작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는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 슬롯(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의 일부는 상기 핸들 바디(500)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조작부 슬롯(512)을 통해 상기 핸들 바디(5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를 통해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516)를 통해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오프 명령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를 지지하는 배터리 서포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는 서포터 프레임(5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은 상기 배터리(540)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의 개구(532)에 위치된 상기 배터리(54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는,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는 상기 개구(532)의 양측에서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는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가 상기 배터리(5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지지 리브(534)는 상기 배터리(5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로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의 라운드진 부분에 상기 배터리(54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와 연결되는 메인 피씨비(552)와, 상기 메인 피씨비(552)를 지지하는 피씨비 홀더(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상기 배터리(54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상기 피씨비 홀더(5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홀더(550)는 일 예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와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 사이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552)가 상기 피씨비 홀더(5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조작부(516)의 조작 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5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556)는, 상기 조작부(516)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센서(556)는, 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센서와, 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556)는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5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557)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557)를 통해,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펫의 피부에 근접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는 상기 근접 센서(557)의 광이 투과하기 위한 홀(5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514)에는 광의 투과하기 위한 홀 커버(518)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홀 커버(518)를 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홀 커버(518)는 상기 핸들(30)에서 상기 조작부 슬롯(512)과 상기 제 2 결합부(5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 커버(518)는 상기 조작부(516) 보다 상기 헤드(2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자이로 센서(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를 통해 상기 핸들(50)의 상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를 통해 상기 핸들(50)에서 조작부(512)가 상방을 향하는지 아니면 하방을 향하는지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 센서(558)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220)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552)는 연결부(5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554)는, 제2커넥터(5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537)는 상기 메인 피씨비(522)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 및/또는 상기 메인 피씨비(52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헤드(20)로 전달한다.
상기 핸들(50)은 보조 피씨비(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피씨비(560)는, 상기 감지 센서(2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케어 툴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피씨비(560)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의 반대편에서 상기 배터리 홀더(53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520) 및 상기 보조 피씨비(560)를 통칭하여 컨트롤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540)의 전원을 상기 발광 유닛(2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툴 케어의 장착 여부, 상기 센서(557, 558) 들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2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피씨비(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는, 제1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2충전용 커넥터(56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충전용 커넥터(565a)는, 상기 서포터(60)에 구비되는 서포터 단자와 연결되어 충전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핸들(50)이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충전용 커넥터(565a)와 상기 서포터 단자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충전용 커넥터(565b)는, USB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SB 충전용 케이블은 콘센트나 전원 공급을 위한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SB 충전용 케이블이 상기 제2충전용 커넥터(565b)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어 본체(10)가 사용되는 중에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는, 상기 배터리 홀더(530)에 구비되는 피씨비 설치부(53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충전용 커넥터(565a, 565b)는 상기 피씨비 설치부(535)에 형성된 홀(573, 574)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2충전용 커넥터(565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설치부(535)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신부는 수신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540)는 상기 각 충전용 커넥터(565a, 565b)를 통해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2충전용 커넥터(565b)가 모두 생략되고, 상기 핸들(50)이 무선 충전용 수신부 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핸들(50)이 무선 충전용 수신부와, 상기 제1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2충전용 커넥터(565b)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가 결합되면, 상기 핸들 바디(500)의 양측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는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는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핸들 바디(500)의 개구된 양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570) 및 제2 커버(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570)는,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커넥터(6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핸들 바디(500)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580)는,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제2결합부(5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570)는, 상기 충전용 커넥터(565a)가 관통하는 커넥터 슬롯(5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580)는 상기 핸들 단자(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582)는 상기 제2커넥터(5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의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여 상기 펫의 피부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어 본체(10)를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을 펫의 피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케어 본체(10)의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를 향하도록 상기 케어 본체(10)를 위치시켜야 한다.
상기 케어 본체(10)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516)를 조작하여 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516)의 온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바로 온시키지 않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 유닛(220)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은, 상기 자이로 센서(558)에 의해서 상기 핸들(50)에서 조작부(512)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가 감지되고, 상기 근접 센서(557)에 의해서 상기 펫의 피부에 소정 거리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50)에서 조작부(512)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는 상기 헤드(10)에서 투과부(230)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케어 본체(10)를 들고,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하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를 상기 펫의 피부에 근접시켜야,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되면,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눈의 손상 우려나 눈에 피로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온 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220)이 불필요하게 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 센서(557)는 상기 핸들(50)에 구비되나,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헤드(20)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50)에 근접 센서(557)가 구비되어도 상기 펫의 피부의 근접 감지가 가능하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516)의 온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가 제1세기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정상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발광부(223)가 상기 제1세기 보다 큰 제2세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상작동 조건은, 앞서 설명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케어 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제1 케어 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케어 본체에 제1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케어 본체(10)에 제1 케어 툴(7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케어 툴(70)은 상기 헤드(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어 툴(70)이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제1 케어 툴(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케어 툴(70)의 일단부에서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어 툴(70)은, 판 형태의 툴 바디(710)와, 상기 툴 바디(710)에서 연장되며, 상기 헤드(20)와 결합되기 위한 헤드 결합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원 형태의 개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어 툴(70)은, 상기 툴 바디(710)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에서 상기 개구(7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와,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부(710c, 7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의 길이는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서 복수의 돌출부(714)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서도 복수의 돌출부(71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 설치되는 돌출부(714)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 구비되는 돌출부(714)의 개수 보다 많다.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 구비되는 돌출부(714)는,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돌출부(714a) 및 제 2 돌출부(714b)와, 상기 제 1 돌출부(714a)와 상기 제 2 돌출부(714b)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3 돌출부(71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돌출부(714a)와 상기 제 2 돌출부(714b) 사이에는 복수의 제 3 돌출부(714c)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는 3개의 제 3 돌출부(714c)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어 툴(70)이 상기 헤드(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각각은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개수는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각 발광부(223)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제1 케어 툴(70)의 복수의 돌출부(714) 각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의 제1면(711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툴 바디(710)의 제2면(711b)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각 발광부(723)에서 조사되는 광이 모이기 위한 집광면(7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제2면(711b)에서 제1면(711a)을 향하여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715)은 오목한 면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와 동일한 수의 집광면(715)이 상기 툴 바디(710)의 제2면(711b)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툴 바디(7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툴 바디(710)는 제1면(711a)과, 상기 제1면(711a)의 반대면인 제2면(7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제1면(711a)과 상기 제2면(711b)을 관통하는 홀(711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제2면(711b) 측에서 상기 홀(711c)을 관통하여 상기 제1면(711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14)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단차부(714e)를 포함하고, 상기 툴 바디(710)에는 상기 홀(711c) 내에서 상기 단차부(714e)가 걸리기 위한 걸림부(71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돌출부(714)에서 상기 투과부(230)를 바라보는 면에는 집광면(7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투과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715)은 오목한 면이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가 상기 툴 바디(7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및 상기 툴 바디(710)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에서만 조사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및 상기 툴 바디(710)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7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단부는 레이저 각인 처리 되어 상기 도장층(715)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에서 도장층(715)에 제거된 부분을 투과 단부(716)라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내에서 상기 도장층(715)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투과 단부(716) 측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투과 단부(716)를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케어 툴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를 이용하여 펫의 털을 빗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펫의 털이 존하더라도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가 소정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투과 단부(716)는 펫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어, 상기 투과 단부(716)를 통해 광이 펫의 피부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툴 바디(710)의 제2면(711b)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툴 바디(710)의 개구(7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712)와 연통되는 툴 공간(7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헤드 바디(200)의 내측 바디(2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바디(210)의 제 1 개구(2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헤드 바디(200)의 내측 바디(210)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툴 공간(726)은 상기 제 2 공간(P)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어 툴(70)을 상기 헤드(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펫에서 털이 분리될 수 있으며, 펫에서 분리된 털은 상기 개구(712) 및 상기 툴 공간(726)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P)에 모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 바디(200)의 내측 바디(210)에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구비되므로, 상기 내측 바디(210)를 툴 결합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서, 상기 내측 바디(210)의 감지 센서(29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1 자석(7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석(722)은 제1자기력을 가진다.
상기 제1 케어 툴(70)의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 센서(290)에서 상기 제1 자석(722)의 자기력의 세기가 제1자기력인 것으로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상기 제1 케어 툴(7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1 케어 툴(7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가 온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케어 툴 고정부(292)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1 고정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724)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10)에 상기 금속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10)의 자석은 제1극을 가지고,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자석은 제2극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헤드 결합부(720) 및 상기 내측 바디(21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정부는 상호 간에 직접 고정되지는 않으나, 상기 헤드 결합부(720)와 상기 내측 바디(210) 상호 간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와 상기 내측 바디(210)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의 높이 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경사면(205)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7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케어 툴(70)을 상기 케어 본체(10)에 결합시켜, 사용한 후에는 상기 제1 케어 툴(70)을 상기 헤드(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20)에서 제 2 공간(P)에 펫의 털이 모여일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P)의 펫의 털은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핸들(5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제 1 개구(214) 및 상기 제 2 개구(248)를 통해 상기 헤드(20)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4는 제2 케어 툴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케어 본체에 제2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F-F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케어 본체(10)의 헤드(20)에 제2 케어 툴(8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어 툴(80)은 일 예로 펫의 귓속을 관리 및/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어 툴(80)은, 판 형태의 툴 바디(810)와, 상기 툴 바디(810)에서 연장되며, 상기 헤드(20)와 결합되기 위한 헤드 결합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단부(810a)와 제2단부(8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바디(810)는, 제1면(811a)과 제1면(811a)의 반대면인 제2면(8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의 제1면(811a)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부(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812)는 상기 제1면(811a)에서 상기 제2면(811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812)는, 상기 제1면(811a)과 평행 단면이 상기 제1면(811a)에서 멀어질수록 줄어들수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812)의 형태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812)의 일부가 펫의 귓속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812)는 상기 툴 바디(810)의 제1면(811a)에서 상기 제2단부(810b) 보다 상기 제1단부(810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삽입부(812)는, 상기 툴 바디(810)의 제1단부(810a)와 상기 제2단부(810b)를 이등분하는 선(L)과 상기 제1단부(81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부(812)는 상기 선(L) 보다 상기 제1단부(810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는,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의 높이 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경사면(205)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8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툴 바디(810)의 제1면(811a)이 외측을 바라보고 상기 툴 바디(810)의 제2면(811b)이 상기 내측 바디(210)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바디(810)의 제2면(811b)은 상기 투과부(230)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의 제2면(811b)에서 상기 삽입부(812)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집광면(8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면(815)은 상기 투과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815)은 오목한 면이다.
상기 발광부(223)에서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집광면(815)의 일부는 상기 투과부(230)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230)를 통과한 광은 상기 집광면(815)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810)와 상기 삽입부(812)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삽입부(812) 만 투과하도록 상기 툴 바디(810) 및 상기 삽입부(812)의 외면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8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812)의 단부는 레이저 각인 처리 되어 상기 도장층(815)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부(812)에서 상기 도장층(815)이 제거된 부분을 투과 단부(814)라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삽입부(812) 내에서 상기 도장층(815)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투과 단부(814) 측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투과 단부(814)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812) 중에서 투과 단부(814)는 펫의 귓속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투과 단부(814)를 투과한 광은 펫의 귓속으로 전달될 수 있어, 펫의 귓속을 관리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8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820) 중, 상기 내측 바디(210)의 감지 센서(29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2 자석(8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자석(822)은 제2자기력을 가진다. 상기 제2자기력은 상기 제1자기력과 다른 값을 가진다.
상기 제2 케어 툴(80)의 헤드 결합부(8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 센서(290)에서 상기 제2 자석(822)의 자기력의 세기가 제2자기력인 것으로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상기 제2 케어 툴(8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케어 툴(8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중 일부만 온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중, 상기 삽입부(812)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발광부 만이 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중에서 상기 집광면(815)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발광부(223)가 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전체가 온되더라도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전체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삽입부(812)의 투과 단부(816)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케어 툴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전부가 온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야기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2케어 툴의 장착을 감지한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중 일부를 온시키는 경우,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820)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케어 툴 고정부(292)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2 고정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824)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10)에 상기 금속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82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820)에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10)의 자석은 제1극을 가지고, 상기 헤드 결합부(820)의 자석은 제2극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제3 케어 툴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케어 본체에 제3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케어 본체(10)의 헤드(20)에 제3 케어 툴(9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케어 툴(90)은 일 예로 펫의 털을 빗어 털을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케어 툴(90)은, 판 형태의 툴 바디(910)와, 상기 툴 바디(910)에서 연장되며, 상기 헤드(20)와 결합되기 위한 헤드 결합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케어 툴(90)의 툴 바디(910)와 헤드 결합부(920)의 구조는 제1 케어 툴(70)의 툴 바디(710)와 헤드 결합부(72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910)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910)는, 제1면(911a)과 제1면(911a)의 반대면인 제2면(9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910)의 제1면(811a)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브러시(914)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914)는 타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타원 형태로 배치된 브러시 들의 그룹을 브러시 그룹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복수의 브러시 그룹이 상기 툴 바디(910)의 제1면(81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910)는 펫에서 분리된 털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9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920)는 상기 툴 바디(910)의 제2면(911b)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920)는 상기 헤드(20)의 내측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9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920) 중, 상기 내측 바디(210)의 감지 센서(29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3 자석(9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자석(922)은 제3자기력을 가진다. 상기 제3자기력은 상기 제1자기력 및 제2자기력과 다른 값을 가진다.
상기 제2 케어 툴(90)의 헤드 결합부(9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 센서(290)에서 상기 제3 자석(922)의 자기력의 세기가 제3자기력인 것으로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상기 제3 케어 툴(9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 케어 툴(90)이 상기 헤드(2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전부가 오프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케어 툴(90)을 사용하는 중에는 상기 발광 유닛(220)이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 케어 툴(90)이 상기 헤드(2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오나이저(270)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오나이저(2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920)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케어 툴 고정부(292)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3고정부(9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부(924)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10)에 상기 금속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92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920)에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10)의 자석은 제1극을 가지고, 상기 헤드 결합부(920)의 자석은 제2극을 가질 수 있다.
도 18과 같이, 상기 헤드(20)에 제3케어 툴(90)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 펫에서 분리된 털이 상기 제3 케어 툴(90)의 개구(912)를 통해 상기 헤드(20)의 제 공간(P)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의 케어 본체에 포함된 제어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케어 본체(10)는 컨트롤러(1910), 메모리(1920), 및 전원 공급부(193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910)는 케어 본체(1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290, 557, 558, 220, 1920, 1930) 각각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 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910)는 메인 피씨비(552)와 보조 피씨비(560)를 통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910)는 메인 피씨비(552), 보조 피씨비(560), 및 기타 피씨비에 마운트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나 마이컴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910)는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예컨대, 자기력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수신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케어 본체(10)의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감지된 케어 툴의 종류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223) 중 적어도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근접 센서(557)와 자이로 센서(55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23)의 온 조건을 인식하고, 온 조건이 인식된 경우 발광부(223)를 온 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의 발광 유닛(220) 제어 동작과 관련된 실시 예들은 추후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1920)는 펫 케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20)는 메인 피씨비(552), 보조 피씨비(560), 및 기타 피씨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920)는, 헤드(20)에 장착가능한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에 대한 센싱값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이 수신되면, 메모리(1920)에 저장된 상기 센싱값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20)는,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에 대한 발광 유닛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 제어 정보는, 복수의 발광부들(223) 중 특정 케어 툴의 장착 시 온 되는 발광부에 대한 정보, 온 되는 발광부의 발광 세기(밝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장착된 케어 툴의 종류가 감지되면, 감지된 케어 툴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의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는 복수의 발광부(223)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컴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910)는 감지된 케어 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 유닛(220)의 상기 프로세서 또는 마이컴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발광 유닛(220)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컴은,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발광부(223) 중 적어도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 상기 프로세서 또는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1910)가 복수의 발광부(223)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온 또는 오프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30)는 케어 본체(10)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30)는 도 7에서 상술한 배터리(540) 및 충전용 피씨비(56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1910)는 특정 케어 툴이 장착되어 발광부(223)를 온 시키는 경우, 발광 유닛(2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9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원 공급부(1930)는 발광부(223)가 온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광 유닛(220)으로 소정 전원(전류)을 지속 공급하고, 발광부(223)가 온 되는 경우, 발광 유닛(2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전류값)를 증가시킬 수 있다.
비록 도 1 내지 도 18에서 상술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케어 본체(10)는 펫 케어 장치의 동작 정보나 상태 정보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광 출력부(1940)와 스피커(19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부(1940)와 스피커(1950)는 핸들(50)에 구비될 수 있다.
광 출력부(1940)는 상기 펫 케어 장치의 동작 정보나 상태 정보를 색상 또는 점멸 등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950)는 상기 펫 케어 장치의 동작 정보나 상태 정보를 음향 형태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910)는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의 종류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케어 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 출력부(1940) 및/또는 상기 스피커(19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헤드(20)에 장착되어 있던 케어 툴이 분리됨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 유닛(2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발광부를 오프시키거나, 케어 툴이 분리되었음을 상기 광 출력부(1940) 및/또는 상기 스피커(19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 20은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펫 케어 장치는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S100).
펫 케어 장치의 케어 본체(10)에 구비된 컨트롤러(19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온 되는 경우, 헤드(20)에 구비된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290)는 주기적으로 센싱값을 획득하고, 주기적으로 획득되는 센싱값을 컨트롤러(19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 센서(290)는 주기적으로 센싱값을 획득하나, 획득된 센싱값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센싱값을 컨트롤러(19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자석 등 자성체의 자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센싱값은 자기력 측정값을 의미할 수 있다.
펫 케어 장치는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할 수 있다(S110).
컨트롤러(1910)는 감지 센서(290)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케어 툴들(70, 80, 90) 중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메모리(1920)에 저장된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에 대한 센싱값 범위 정보로부터, 상기 획득된 센싱값을 포함하는 센싱값 범위를 갖는 케어 툴을 확인하고, 확인된 케어 툴이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복수의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에 대한 센싱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헤드(20)에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았음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920)에는 특정 케어 툴(예컨대, 제2 케어 툴(80))이 헤드(20)에 반대로 장착된 상태에 대한 센싱값 범위 정보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반대로 장착된 상태에 대한 센싱값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2 케어 툴(80)이 헤드(20)에 반대로 장착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S110 단계는, 헤드(20)에 케어 툴이 장착됨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거나, 특정 케어 툴이 반대로 장착됨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펫 케어 장치는, 감지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S120).
컨트롤러(1910)는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이 감지되면, 감지된 케어 툴에 따른 케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발광 유닛(22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223) 중 적어도 일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메모리(1920)에 저장된 케어 툴들 각각의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케어 툴(7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는, 복수의 발광부(223)를 모두 제1 세기로 온 시키는 제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케어 툴(8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는, 복수의 발광부(223) 중 삽입부(812)와 인접하게 위치(또는 집광면(815)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일부의 발광부만을 제2 세기로 온 시키는 제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기와 상기 제2 세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3 케어 툴(9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는, 복수의 발광부(223)를 모두 오프시키는 제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920)에는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발광 유닛 제어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헤드(20)에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투과부(230)를 통해 발광부(223)로부터 방출된 광이 펫의 피부로 조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발광 유닛 제어 정보는, 복수의 발광부(223)의 적어도 일부를 제3 세기로 온 시키는 제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3 세기는 제1 세기 또는 제2 세기보다 낮을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발광 유닛(220)을 제어함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223) 중 적어도 일부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고, 펫 케어 장치는 장착된 케어 툴에 따른 펫의 피부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910)는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이 획득되면, 획득된 센싱값을 케어 툴들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장착된 케어 툴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들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는 메모리(19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에서는 컨트롤러(1910)가 센싱값이 포함하는 범위를, 제1 케어 툴(70)에 대응하는 제1 범위, 제2 케어 툴(80)에 대응하는 제2 범위, 제3 케어 툴(90)에 대응하는 제3 범위, 및 제2 케어 툴(80)이 반대로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제4 범위 순서로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러(1910)는 제1 내지 제4 범위에 대한 확인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4 범위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제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1의 YES), 장착된 케어 툴이 제1 케어 툴(70)임을 감지할 수 있다(S112).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910)는 제1 케어 툴(7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은 제1 케어 툴(70)이 장착된 경우, 복수의 발광부(223)를 모두 제1 세기로 온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제2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3의 YES), 장착된 케어 툴이 제2 케어 툴(80)임을 감지할 수 있다(S114).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910)는 제2 케어 툴(8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은 제2 케어 툴(80)이 장착된 경우, 복수의 발광부(223) 중 삽입부(81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일부의 발광부를 제2 세기로 온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제3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5의 YES), 장착된 케어 툴이 제3 케어 툴(90)임을 감지할 수 있다(S116).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910)는 제3 케어 툴(90)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은 제3 케어 툴(90)이 장착된 경우, 복수의 발광부(223)를 온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제3 케어 툴(90)이 장착된 경우 이오나이져(270)를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헤드(20)의 내측 바디(210)와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의 헤드 결합부(720, 820, 920)의 형상은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인 타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은 헤드(20)에 장착 시 장착 방향이 제1 방향, 및 제1 방향으로부터 180° 회전된 제2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어 툴(70)의 복수의 돌출부(714), 및 제3 케어 툴(90)의 복수의 브러시(914)는 상하 대칭 및 좌우 대칭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어 툴(70)은 제1 곡선부(710c)가 제2 곡선부(710d)에 비해 핸들(50)과 멀리 위치하도록 헤드(20)에 장착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제1 곡선부(710c)가 제2 곡선부(710d)에 비해 핸들(50)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헤드(20)에 반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제3 케어 툴(90) 또한 마찬가지이다. 제1 케어 툴(70)과 제3 케어 툴(90)은 돌출부(714) 및 브러시(914)가 대칭형이므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 각각으로 장착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내측 바디(210)의 케어 툴 고정부(292)는, 제1 케어 툴(70) 또는 제3 케어 툴(90)이 제1 방향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1 고정부(724) 또는 제3 고정부(924)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야 하고, 제1 케어 툴(70) 또는 제3 케어 툴(9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1 고정부(724) 또는 제3 고정부(924)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구비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어 툴(70)에 대응하는 제1 범위는, 제1 케어 툴(70)이 제1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과, 제1 케어 툴(7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 각각을 포함하는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3 케어 툴(90)에 대응하는 제3 범위 또한, 제3 케어 툴(90)이 제1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과, 제3 케어 툴(9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 각각을 포함하는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케어 툴(80)의 경우, 삽입부(812)는 툴 바디(810)의 제2단부(810b)보다 제1단부(810a)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케어 툴(80)은 제1 방향으로만 장착되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920)는 제2 케어 툴(8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범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제4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17의 YES), 제2 케어 툴(80)이 반대로 장착(상기 제2 방향)됨을 감지할 수 있다(S118).
이 경우, 컨트롤러(1910)는 발광부(223)를 오프시키도록(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광 출력부(1940) 및/또는 스피커(1950)를 통해, 제2 케어 툴(80)이 올바르게 장착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한편, 케어 툴(70, 9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1 고정부(724) 또는 제3 고정부(924)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케어 툴 고정부(292)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3 범위는 상기 케어 툴(70, 9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장착되었을 때의 센싱값만을 포함하는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케어 툴(70, 90)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장착되었을 때에는 S117 단계 및 S118 단계와 유사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910)는 제1 케어 툴(7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을 포함하는 제5 범위와, 제3 케어 툴(90)이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의 센싱값을 포함하는 제6 범위에 기초하여, 제1 케어 툴(70) 또는 제3 케어 툴(90)이 올바르게 장착되지 않았음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광 출력부(1940)와 스피커(19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센싱값이 제1 범위 내지 제4 범위(또는 제1 범위 내지 제6 범위)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S117의 NO), 컨트롤러(1910)는 헤드(20)에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았음을 감지할 수 있다(S119).
이 경우, 컨트롤러(1910)는 사용자가 헤드(20)에 케어 툴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펫의 피부 관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910)는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은 케어 툴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발광부(223)를 모두 제3 세기로 온 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펫 케어 장치는 감지 센서(290)를 이용하여 헤드(20)에 장착되는 케어 툴의 종류를 정확히 감지하고, 감지된 케어 툴이 제공하는 펫 케어 기능에 따라 발광부(2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 케어 장치는 감지된 케어 툴에 따라 발광부를 최적 제어하여 발광부의 효율적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펫 케어 장치는 하나의 헤드만으로도 다양한 펫 케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펫 케어 장치가 케어 본체에 장착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동작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S200 단계 및 S210 단계는 도 20에서 상술한 S100 단계 및 S11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펫 케어 장치는, 헤드(20)에 케어 툴의 장착 여부가 감지되면, 근접 센서(557)와 자이로 센서(55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광부(223)의 온 조건을 인식할 수 있다(S220).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557)는 케어 본체(10; 예컨대 헤드(20))가 펫의 피부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558)는 핸들(50)의 상하 방향을 감지하여,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 또는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를 향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근접 센서(557) 및 자이로 센서(558)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부(223)의 온 조건 만족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근접 센서(557)의 감지 결과로부터 케어 본체(10)가 펫의 피부에 근접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온 조건 만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910)는 자이로 센서(558)의 감지 결과로부터 케어 툴 또는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를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온 조건 만족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S210 단계에서 제3 케어 툴(90)이 헤드(20)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거나, 제2 케어 툴(80)이 헤드(20)에 반대로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컨트롤러(1910)는 S220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발광부(223)를 온 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발광부(223)의 온 조건이 인식된 경우, 펫 케어 장치는 장착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S230).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펫 케어 장치는 상기 온 조건이 인식되어 발광 유닛(220)을 제어하는 동안, 근접 센서(557)와 자이로 센서(558)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광부(223)의 상기 온 조건이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1910)는 근접 센서(557)의 감지 결과로부터 케어 본체(10)가 펫의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온 조건 해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910)는 자이로 센서(558)의 감지 결과로부터 케어 툴 또는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를 향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온 조건 해제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상기 온 조건이 해제됨을 인식한 경우, 발광부(223)를 오프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2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펫 케어 장치는 헤드(20) 또는 케어 툴을 이용하여 펫의 피부 케어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발광부(223)를 온 시킬 수 있으므로, 발광부(223)의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발광부의 자외선 광이 사용자의 안구 등으로 조사되어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가,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의 분리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펫 케어 장치는 헤드(20)에 장착 감지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S300).
S300 단계는 도 20의 S12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펫 케어 장치는, 발광 유닛(220)의 제어 중, 감지 센서(290)로부터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S310).
감지 센서(290)는 발광 유닛(220)의 제어에 따른 펫 케어 기능 수행 중에도, 센싱값을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감지 센서(290)는 주기적으로 획득된 센싱값 각각을 컨트롤러(1910)로 전송하거나, 획득된 센싱값이 기준 변화량을 초과하여 변화한 경우의 센싱값을 컨트롤러(1910)로 전송할 수 있다.
펫 케어 장치는, 획득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케어 툴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S320).
상술한 바와 같이, 케어 툴들(70, 80, 90) 각각은 자석이나 금속을 포함하는 고정부의 인력을 이용하여 헤드(20)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 툴(70, 80, 90)에 상기 인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케어 툴(70, 80, 90)은 헤드(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컨트롤러(1910)는, 상기 획득된 센싱값이,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의 센싱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케어 툴이 분리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의 분리는, 케어 툴이 헤드(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케어 툴이 헤드(2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분리된 경우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펫 케어 장치는, 케어 툴의 분리가 감지되면 발광부(223)를 오프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S330).
컨트롤러(1910)는 케어 툴의 분리가 감지된 경우, 발광부(223)를 오프시키도록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유닛(220)은 발광부(223)를 즉시 오프시키거나, 밝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발광부(223)를 오프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1910)는 케어 툴의 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광 출력부(1940)와 스피커(19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케어 툴의 분리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910)는 헤드(20)에 장착된 제3 케어 툴(90)이 분리되는 경우, 발광부(223)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3 케어 툴(90)이 분리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제3 케어 툴(90)이 헤드(20)에 장착된 경우 상기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펫 케어 장치는 감지 센서(290)를 이용하여 헤드(20)에 장착된 케어 툴이 분리됨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부(223)를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 툴이 분리되어 펫 케어 기능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펫 케어 장치는 헤드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헤드에 장착되는 케어 툴의 종류를 정확히 감지하고, 감지된 케어 툴이 제공하는 펫 케어 기능에 따라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펫 케어 장치는 감지된 케어 툴에 따라 발광부를 최적 제어하여 발광부의 효율적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펫 케어 장치는 하나의 헤드만으로도 다양한 펫 케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펫 케어 장치는 헤드 또는 케어 툴을 이용하여 펫의 피부 케어 기능을 수행할 때, 근접 센서와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발광부의 온 조건을 인식하여 발광부를 온 시킴으로써, 발광부의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발광부의 자외선 광이 사용자의 안구 등으로 조사되어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펫 케어 장치는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이 분리됨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부를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어 툴이 분리되어 펫 케어 기능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케어 툴이 장착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구비된 발광 유닛;
    상기 헤드에 구비되고, 케어 툴의 장착 감지와 관련된 센싱값을 획득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을 식별하고, 식별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복수의 케어 툴들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 및 발광 유닛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케어 툴의 헤드 결합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바디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바디 및 상기 헤드 결합부는 좌우 및 상하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어 툴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180° 회전된 제2 방향으로 상기 헤드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케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 유닛 피씨비; 및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펫 케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상기 식별된 케어 툴에 포함된 집광면과 대응하는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온 시키는 펫 케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된 케어 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적어도 일부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는 펫 케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케어 툴들 중, 상기 센싱값을 포함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에 대응하는 케어 툴을 상기 헤드에 장착된 케어 툴로 식별하고, 식별된 케어 툴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펫 케어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어 툴들 중 제1 케어 툴의 툴 바디에 형성된 집광면이 대칭형인 경우, 상기 제1 케어 툴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는,
    상기 제1 케어 툴이 상기 헤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1 센싱값, 및
    상기 제1 케어 툴이 상기 헤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2 센싱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펫 케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어 툴들 중 제2 케어 툴의 툴 바디에 형성된 집광면이 비대칭형인 경우, 상기 제2 케어 툴에 대응하는 센싱값 범위 정보는,
    상기 제2 케어 툴이 상기 헤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1 센싱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제1 센싱값 범위 정보, 및
    상기 제2 케어 툴이 상기 헤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2 센싱값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제2 센싱값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제1 센싱값인 경우, 상기 제2 케어 툴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제2 센싱값인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부를 오프시키는 펫 케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제1 센싱값인 경우, 상기 제2 케어 툴에 대응하는 발광 유닛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 중 제1 그룹의 발광부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이 상기 제2 센싱값인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상기 제1 그룹과 대칭된 위치에 구비된 제2 그룹의 발광부를 온 시키는 펫 케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 유닛의 제어 중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케어 툴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케어 툴의 분리 감지 시, 상기 발광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부를 오프시키는 펫 케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케어 대상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헤드가 상기 케어 대상을 향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근접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온 조건을 인식하고,
    상기 온 조건이 인식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는 펫 케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18025A 2018-09-19 2019-02-15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5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25A KR102658317B1 (ko) 2019-02-15 2019-02-15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6/574,302 US11083910B2 (en) 2018-09-19 2019-09-18 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device
CN201910884786.0A CN110915707B (zh) 2018-09-19 2019-09-19 宠物护理装置和用于控制宠物护理装置的方法
EP19198169.5A EP3626071A1 (en) 2018-09-19 2019-09-19 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25A KR102658317B1 (ko) 2019-02-15 2019-02-15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60A KR20200099860A (ko) 2020-08-25
KR102658317B1 true KR102658317B1 (ko) 2024-04-18

Family

ID=7224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25A KR102658317B1 (ko) 2018-09-19 2019-02-15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004B1 (ko) * 2022-12-26 2023-04-24 민경옥 반려동물용 광선 조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008B1 (ko) * 2013-10-07 2014-04-10 최소영 피부미용 복합 기능을 갖는 스킨 케어
KR101700158B1 (ko) * 2015-09-04 2017-01-31 지엔에스티주식회사 피부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471A (ko) 2004-01-20 2005-07-26 박홍일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
FR2998168B1 (fr) * 2012-11-22 2023-04-28 Seb Sa Appareil de massage equipe de tetes de massage interchangeab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008B1 (ko) * 2013-10-07 2014-04-10 최소영 피부미용 복합 기능을 갖는 스킨 케어
KR101700158B1 (ko) * 2015-09-04 2017-01-31 지엔에스티주식회사 피부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60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910B2 (en) Pet car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t care device
CN110915709B (zh) 宠物护理装置
JP7413450B2 (ja) 殺菌装置
JP7057451B2 (ja) 携帯型装置の消毒
EP2961267B2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20200097992A (ko) 펫 케어 장치
EP4082381A1 (en) Storage device
KR102658317B1 (ko)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80326105A1 (en) Handheld Sanitizing Device
KR20200097987A (ko) 펫 케어 장치
KR20200097979A (ko) 펫 케어 장치
KR102564452B1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KR20200072901A (ko) 펫 케어 장치
KR20200043257A (ko)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KR20060007303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210047403A (ko) 애완동물용 led 브러쉬 시스템
KR20200083722A (ko)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290336B1 (ko) 펫 피부케어용 스타일러
KR20200097990A (ko) 펫 케어 장치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KR20200097985A (ko) 펫 케어 장치
KR20180068638A (ko) 실용성이 강화된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20150062368A (ko)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US20040065271A1 (en) Pet-used ultraviolet-sterilizing comb
KR10217736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