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16U - 애완동물용 진공빗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진공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16U
KR20180000416U KR2020160004463U KR20160004463U KR20180000416U KR 20180000416 U KR20180000416 U KR 20180000416U KR 2020160004463 U KR2020160004463 U KR 2020160004463U KR 20160004463 U KR20160004463 U KR 20160004463U KR 20180000416 U KR20180000416 U KR 20180000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pet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on hos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용
Original Assignee
백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용 filed Critical 백승용
Priority to KR2020160004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16U/ko
Publication of KR20180000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히고 길이방향 타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빗살과, 상기 몸체의 측벽 중 이웃하는 두 개의 빗살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흡입공으로 구성되는 헤드;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료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호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의 길이방향 타단을 진공장치의 흡입구에 연결시키되, 상기 연결호스를 상기 진공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진공빗 {Vacuum comb for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겨주기 위한 애완동물용 빗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빗질 과정에서 빠지는 털이 자동으로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애완동물의 털을 청결하고 편리하게 손질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진공빗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사육되는 애완동물로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카나리아와 같은 조류, 금붕어와 같은 어류를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파충류와 양서류 등도 애완동물로서 사육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 및 핵가족화와 맞물려서 이러한 애완동물들을 사육하는 가구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보다는 도시에서의 사육빈도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런데 도시에서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환경 속에서 애완동물들을 한 가족처럼 밀착하여 생활하도록 사육하기 때문에,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등의 긍정적 효과 못지않게 부정적인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종 분비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털 등이 애완동물 사육에 있어서 문제점이 되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의 털은 손질을 게을리하는 경우에 쉽게 헝클어지고 더러워지는 것은 물론 애완동물 자체의 피부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각종 기능성 빗이나 브러시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여 왔다.
이와 같이 빗이나 브러시를 이용하여 사람이 손수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털이 빠지게 되는데, 애완동물의 털은 굵기가 가늘어 쉽게 날리는 특성이 있는바, 빗질 과정에서 발생되는 털을 수거하여 폐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빗이나 브러시를 사용하는 순간 애완동물의 털 중 일부는 공기 중에 비산되는데, 이와 같이 공기 중으로 비산된 털을 포집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청소에 많은 어려움이 야기된다.
한편, 최근에는 털에서 배출되는 각종 병원균이 사람에게 각종 호흡기 질환은 물론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두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는 과정에서 빠지는 털을 효과적으로 수거 및 제거할 수 있는 손질도구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20-0334575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빗살이 구비되되, 빗질 과정에서 빠지는 털이 즉각적으로 흡입 및 포집되도록 구성되어 보다 청결하고 편리하게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빗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히고 길이방향 타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빗살과, 상기 몸체의 측벽 중 이웃하는 두 개의 빗살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흡입공으로 구성되는 헤드;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료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호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의 길이방향 타단을 진공장치의 흡입구에 연결시키되, 상기 연결호스를 상기 진공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빗살과 다수 개의 흡입공은, 상기 몸체의 측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의 측벽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빗살의 내부에는, 상기 빗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빗살의 끝단으로 개방되는 유도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 중 상기 유도관이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빗살의 끝단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는 살균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관 내부는 투명레진으로 채워진다.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생장치와, 상기 자외선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기 빗살의 끝단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몸체 및 빗살 내에 매립되는 다수 개의 광섬유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을 이용하면,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빗질 과정에서 빠지는 털이 즉각적으로 흡입 및 포집되므로 보다 청결하고 편리하게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할 수 있고, 애완동물 털을 빗질하는 동안 애완동물의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 및 세균이 박멸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헤드 및 빗살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헤드 및 빗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애완동물의 털을 고르게 빗겨주어 관리하기 위한 용품으로서, 단순히 애완동물의 털을 빗기는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털을 빗겨주는 과정에서 빠지는 털을 진공압으로 흡입한 후 어느 하나의 공간에 포집지키는 기능까지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겨주기 위한 헤드(100)와, 털을 빗겨주는 과정에서 빠지는 털이 흡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연결호스(200)와, 상기 연결호스(200)를 별도의 진공장치(미도시)에 연결시켜 상기 헤드(100) 및 연결호스(200)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헤드(100)는,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히고 길이방향 타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빗살(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 중 이웃하는 두 개의 빗살(12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흡입공(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20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료로 제작되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연결호스(200)는 가정용 진공청소기 등에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연결호스(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진공장치는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진공청소기가 될 수도 있고,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진공펌프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공장치는 연결호스(200)를 통해 몸체(110)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장비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진공장치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이 연결호스(200) 및 몸체(110) 내부에도 형성되는바, 헤드(100)에 구비된 빗살(120)로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는 과정에서 털이 빠지더라도 빠진 털이 흡입공(130)을 통해 몸체(110) 내부로 흡입된 후 연결호스(200)를 통해 진공장치로 포집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을 이용하면,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더라도 애완동물의 털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애완동물 털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진공장치가 진공청소기로 적용되는 경우, 애완동물로부터 빠진 털은 모두 진공청소기 내에 포집되므로, 바닥에 떨어진 털을 쓸어 담거나 치우는 작업이 필요 없어 애완동물 털 관리가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애완동물의 털을 단순히 일방향으로 빗겨주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빗으로 말아 컬을 형성하는 관리법이 상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100)는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의 털을 단순히 일방향으로 빗겨주기만을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빗살(120)과 다수 개의 흡입공(130)이 몸체(110)의 측벽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 헤드(100)를 연결호스(200)에 장착시켜 사용하고, 애완동물의 털에 컬(curl)을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빗살(120)과 다수 개의 흡입공(130)이 몸체(110)의 측벽 전체에 걸쳐 형성된 헤드(100)를 연결호스(200)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헤드(100)는 종래의 헤어드라이기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빗과 유사하므로, 상기 헤드(1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100)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연결호스(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용도에 맞는 헤드(1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애완동물의 털을 보다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헤드(10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맞춰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다 보면 상기 헤드(100)를 회전시켜가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빗질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연결호스(200)가 꼬여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이와 같은 문제점 즉, 연결호스(200)가 꼬이는 문제점이 예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300)가 자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3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2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진공장치의 흡입구에 연결시키되, 상기 연결호스(200)를 상기 진공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300)가 자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면, 사용자가 헤드(100)를 일측 방향으로 다수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연결호스(200)와 커넥터(300)가 헤드(100)를 따라 함께 회전되는바, 상기 연결호스(200)가 꼬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헤드(100) 및 빗살(120)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는 동안 애완동물의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나 세균 등을 살균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살(120)의 내부에 유도관(41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410) 상에 살균램프(40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410)은 빗살(120)의 길이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이 상기 빗살(120)의 끝단으로 개방되는바, 상기 살균램프(400)에서 출력되는 살균광은 유도관(410)을 따라 빗살(120)의 끝단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으로 애완동물의 털을 빗기는 동안 살균램프(400)를 작동시키면, 애완동물의 피부에 기생하는 모낭충과 같은 기생충이나 세균 등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살균램프(400)는 자외선 등과 같이 살균 기능을 갖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램프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기능을 갖는 살균램프(400)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어 여러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살균램프(40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유도관(410)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제작되면, 빗살(120)로 빗질을 하는 동안 상기 유도관(410) 내부로 애완동물의 털이나 각질, 먼지 등이 유입되어 살균광이 정상적으로 외부로 조사되지 못하게 되는바, 상기 유도관(410) 내부는 투명레진(420)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관(410) 내부가 투명레진(420)으로 채워지면 상기 유도관(410) 내부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살균램프(400)의 빛은 정상적으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헤드(100) 및 빗살(12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살균램프(400)에서 살균광이 발광되도록 구성되면, 각각의 빗살(120)마다 살균램프(400)를 장착시켜야 하는바, 살균램프(400) 장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하나의 광원에서 발광되는 살균광을 각각의 빗살(120)로 분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빗은,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생장치(500)와, 상기 자외선 발생장치(500)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기 빗살(120)의 끝단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몸체(110) 및 빗살(120) 내에 매립되는 다수 개의 광섬유(5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510)는, 길이방향 일단으로 전달된 빛을 측방으로 분산시키지 아니하고 길이방향 타단으로만 안내하는 특성이 있는바, 상기 광섬유(510)을 어떠한 패턴으로 배열시키더라도 광섬유(51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 인가된 자외선은 광섬유(510)의 타단으로 즉, 빗살(120)의 끝단으로 발산된다.
이와 같이 자외선 발생장치(500)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여러 가닥의 광섬유(510)를 통해 각각의 빗살(120) 끝단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자외선 발생장치(500)를 하나만 구비시키더라도 모든 빗살(120) 끝단에 자외선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는바, 제작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헤드 110 : 몸체
120 : 빗살 130 : 흡입공
200 : 연결호스 300 : 커넥터
400 : 살균램프 410 : 유도관
420 : 투명레진 500 : 자외선 발생장치
510 : 광섬유

Claims (5)

  1.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막히고 길이방향 타측에 개구부가 마련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빗살(120)과, 상기 몸체(110)의 측벽 중 이웃하는 두 개의 빗살(12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흡입공(130)으로 구성되는 헤드(100);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료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연결호스(200);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호스(2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진공장치의 흡입구에 연결시키되, 상기 연결호스(200)를 상기 진공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빗.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빗살(120)과 다수 개의 흡입공(130)은, 상기 몸체(110)의 측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10)의 측벽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빗.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빗살(120)의 내부에는, 상기 빗살(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빗살(120)의 끝단으로 개방되는 유도관(4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 내부 중 상기 유도관(410)이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빗살(120)의 끝단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는 살균램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빗.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410) 내부는 투명레진(420)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빗.
  5. 청구항 2에 있어서,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발생장치(500)와, 상기 자외선 발생장치(500)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상기 빗살(120)의 끝단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몸체(110) 및 빗살(120) 내에 매립되는 다수 개의 광섬유(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빗.
KR2020160004463U 2016-08-02 2016-08-02 애완동물용 진공빗 KR201800004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63U KR20180000416U (ko) 2016-08-02 2016-08-02 애완동물용 진공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63U KR20180000416U (ko) 2016-08-02 2016-08-02 애완동물용 진공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16U true KR20180000416U (ko) 2018-02-12

Family

ID=6128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63U KR20180000416U (ko) 2016-08-02 2016-08-02 애완동물용 진공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1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580A (ko) 2018-09-07 2020-03-17 김준홍 털을 흡입하여 제거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빗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200064422A (ko) * 2018-11-29 2020-06-08 이희경 다기능의 반려동물용 빗
KR20200087918A (ko) * 2019-01-11 2020-07-22 (주) 시온텍 공기 흡입수단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드라이 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575Y1 (ko) 2003-09-08 2003-11-28 (주)주주웍스 애완동물용 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575Y1 (ko) 2003-09-08 2003-11-28 (주)주주웍스 애완동물용 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580A (ko) 2018-09-07 2020-03-17 김준홍 털을 흡입하여 제거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빗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200064422A (ko) * 2018-11-29 2020-06-08 이희경 다기능의 반려동물용 빗
KR20200087918A (ko) * 2019-01-11 2020-07-22 (주) 시온텍 공기 흡입수단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드라이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011B2 (en) Pet vacuum cleaner
US8088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eviating nasal congestion
US20050166863A1 (en) Sterilizing comb for pets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US20100180398A1 (en) Pet Vacuum Cleaner
KR102098917B1 (ko) 털을 흡입하여 제거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빗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190128825A (ko) 반려동물용 광치료 브러쉬
KR20170003635U (ko) 드라이 및 털포집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관리기
KR20200048961A (ko) 애완동물 헬스캐어 청소기용 헤드 브러시
KR20060007303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102240386B1 (ko) 공기 흡입수단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드라이 빗
KR102234350B1 (ko) 반려동물 관리기
KR102230261B1 (ko) 다기능의 반려동물용 빗
KR101602699B1 (ko) 진공흡입 브러쉬
KR100526115B1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20050002114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다기능 브러쉬
JP2005512749A (ja) 毛髪及び毛皮における不要発生物の除去
US20040065271A1 (en) Pet-used ultraviolet-sterilizing comb
KR101178052B1 (ko) 레이저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0563399B1 (ko) 애완 동물용 미용기구
KR20200122797A (ko)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KR20230089931A (ko) 반려동물용 브러쉬 장치
KR20210032056A (ko) 진공청소기용 반려 동물 브러시
KR200328567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일자형 브러쉬
KR200328637Y1 (ko) 모피의류 및 애완동물용 자외선 살균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41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4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8

Effective date: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