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99B1 - 진공흡입 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흡입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699B1
KR101602699B1 KR1020140073333A KR20140073333A KR101602699B1 KR 101602699 B1 KR101602699 B1 KR 101602699B1 KR 1020140073333 A KR1020140073333 A KR 1020140073333A KR 20140073333 A KR20140073333 A KR 20140073333A KR 101602699 B1 KR101602699 B1 KR 10160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acuum suction
animal
suc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516A (ko
Inventor
임창완
Original Assignee
임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완 filed Critical 임창완
Priority to KR102014007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2Combs with suction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손질용 진공흡입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동물의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면서, 브러쉬 헤드부 내에서 브러쉬가 승강되어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진공 흡입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진공흡입 브러쉬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헤드부와 상기 브러쉬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겸 흡입관부 및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와 연결되어 진공 흡입력을 생성하며 흡입되는 털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동물의 피부나 털을 손질할 때, 브러쉬 헤드부를 통해 동물의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털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되, 다수개의 침상돌기가 구비된 브러쉬를 브러쉬 헤드부에서 승강시켜 다수개의 침상돌기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털 및 털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침상돌기로부터 분리시키면서 흡입되도록 하여 동물의 털과 피부 각질 등의 이물질을 기계적으로 빠짐없이 흡입 포집하여 위생성과 청결성 및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진공흡입 브러쉬{Vacuum Brush Cleaner}
본 발명은 동물 손질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침상 돌기를 형성한 빗을 이용하여 털이 있는 애완동물을 비롯한 각종 동물의 몸을 긁어주거나 털을 정렬하여 손질 할 때 동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과 털을 빠짐없이 흡입하여 포집하는 진공흡입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 의해 사육되는 애완용, 비육용 등의 털이 있는 동물은 사육자가 동물의 몸체와 털을 손질하고 있고, 이 때 발생되는 이물질과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털이 주변에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이 불결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3959호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하부에 개구부(200)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인접부에 다수의 침상돌기(300)가 수직으로 연속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플랙시블 호스(40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사용시에는 상부 일측을 통해 파지한 다음, 통상적인 브러쉬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털을 일측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동시에 애완동물로부터 이탈된 털을 포집시키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하부에 다수의 침상돌기(300)가 수직으로 연속 형성되며, 상기 침상돌기(300)의 중심부에 중공부(500)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500)를 통해 애완동물의 피부로부터 박리된 각질과 털을 포집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086호 진공흡입이 용이한 애완동물용 털 흡입 브러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600)에 다수개의 빗살(700)을 형성하고, 몸체의 중심부에 흡기구(800)을 형성하여 흡기구(800)를 통해 털을 흡입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동물의 털을 빗질 할 때 발생되는 이물질과 털을 부분적으로 흡입하여 포집은 가능하지만, 털을 손질 할 때 빗살 사이에 끼는 털 및 털과 함께 쌓이는 피부 각질 등의 이물질은 빗살과 빗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진공흡입부 자체에서 흡입하여 포집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되고, 결국 사람이 빗살 사이에 낀 털 및 털과 함께 싸인 이물질을 손으로 분리해 내야 하므로, 위생상 불결함은 물론 작업상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침상 돌기를 형성한 빗을 이용하여 털이 있는 동물의 피부를 긁어주거나 털을 손질 할 때 발생되는 침상 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동물의 털과 피부 각질 등의 이물질을 손질작업 도중 또는 손질 작업 완료후 기계적으로 손쉽게 분리하고 빠짐없이 진공 흡입하여 포집함으로써, 동물의 피부와 털 손질 작업에 따른 위생성과 청결성 및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진공흡입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물 손질용 진공흡입 브러쉬에 있어서, 진공흡입 브러쉬 헤드 내에서 브러쉬가 승강하면서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흡입하는 구조가 포함된 진공흡입 브러쉬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진공흡입 브러쉬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헤드부와 상기 브러쉬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겸 흡입관부 및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와 연결되어 진공 흡입력을 생성하며 흡입되는 털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 헤드부의 상부홀더는 상부가 밀폐되어 브러쉬와 브러쉬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를 내장하고, 상기 하부홀더는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브러쉬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동물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 및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흡입 포집하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는 브러쉬 몸체와 침상돌기 및 링크결합대을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브러쉬 몸체의 하부면에 일정길이와 굵기를 가지는 침상돌기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부면에 상기 승강링크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링크핀이 형성된 링크결합대를 볼트로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링크는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와 한쌍의 좌우측 상부링크를 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의 일정부위에는 상기 승강링크 전체를 승강 동작시켜 승강링크에 연결된 상기 브러쉬가 승강되는 작동레버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는 일측을 브러쉬 헤드부와 연통되어 연결시키되, 외부를 손으로 잡아서 빗질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하고 타측은 진공흡입부와 연통시켜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진공흡입부는 외통의 내부에 동물의 털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축류팬 및 축류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동물의 피부나 털을 손질할 때, 브러쉬 헤드부를 통해 동물의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털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되, 다수개의 침상돌기가 구비된 브러쉬를 브러쉬 헤드부에서 승강시켜 다수개의 침상돌기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털 및 털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침상돌기로부터 분리시키면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동물의 털과 피부 각질 등의 이물질을 기계적으로 빠짐없이 흡입 포집하여 위생성과 청결성 및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의 상부홀더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의 상부홀더를 벗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의 멈춤레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에 의해 동물의 털 및 이물질이 포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의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면서, 브러쉬 헤드부(A) 내에서 브러쉬를 승강시키고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진공 흡입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는 털이 있는 동물의 몸체를 브러쉬로 손질할 때,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포집하되, 브러쉬 헤드(A) 내에서 브러쉬를 승강시키고, 이를 통해 브러쉬에 끼워져 결합되는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진공 흡입 포집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입 브러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헤드부(A)와 상기 브러쉬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겸 흡입관부(B) 및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B)와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을 생성하며 흡입되는 털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진공흡입부(C)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브러쉬 헤드부(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홀더(4)와 하부홀더(1)로 이루어지며, 상부홀더(4)는 상부가 밀폐되고 그 내부에 브러쉬(2)와 브러쉬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3)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헤드부(A)의 하부홀더(1)는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브러쉬(2)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동물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 및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흡입 포집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브러쉬(2)는 도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몸체(2a)와 침상돌기(2b) 및 링크결합대(2c)을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브러쉬 몸체(2a)의 하부면에 일정길이와 굵기를 가지는 침상돌기(2b)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부면에 상기 승강링크(3)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링크핀(2d)이 형성된 링크결합대(2c)를 볼트로 장착한다. 도 6, 8에는 상기 침상돌기(2b)를 일렬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링크(3)는 도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3a)와 한쌍의 좌우측 상부링크(3b)를 핀(3c)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며, 하부링크(3a)의 하부단부에는 상기 하부홀더(1)와 연결되는 핀홀(3d)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링크(3b)의 상단부는 좌측과 우측 승강링크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톱니부(3d)를 형성하며, 상기 톱니부(3d)에 브러쉬(2)의 링크핀(2d)이 끼워져 결합되는 링크핀홀(3e)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톱니부의 어는 하나에는 멈춤레버(3f)의 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멈춤레버축홀(3h)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3a)의 일정부위, 보다 상세하게 상부홀더(4)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위치하는 하부링크에는 상기 승강링크(3) 전체를 승강 동작시켜 승강링크에 연결된 상기 브러쉬(2)가 승강되는 작동레버(3g)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홀더(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링크(3)와 브러쉬(3)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링크(3)의 승강동작에 따라 브러쉬(3)와 함께 하부홀더(1)로부터 상승되거나 하부홀더(1)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 양측에 작동레버(3g)가 위치하는 작동레버장착구(4a)를 형성하고, 일측면 상부에는 상기 승강링크(3)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상태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멈춤레버(3f)가 장착된다.
도 7,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홀더(4)에 장착되는 멈춤레버(3f)는 멈춤레버축(3k)을 상부링크(3b)의 멈춤레버축홀(3h)에 삽입하여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홀더(4)에 승강링크(3)를 고정하고, 멈춤레버축(3k)을 상부링크의 멈춤레버축홀(3h)에서 인출하여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링크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멈춤레버(3f)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멈춤레버축(3k)에 결합핀(3n)으로 결합하고, 멈춤레버축(3k)의 일단부에 스프링(3m), 스프링 고정와셔(3p)를 결합하여 멈축레버(3f)를 작용시켜 멈춤레버축(3k)을 상부링크(3b)의 멈춤레버축홀(3h)에 밀어 넣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홀더(1)는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밀폐면(1a)으로 밀폐하되, 밀폐면(1a)에 상기 침상돌기(2b)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침상돌기홀(1b)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밀폐면(1a)의 상부면에는 상기 한쌍의 하부링크(3a)가 결합되는 하부링크결합핀((1d)이 형성된 하부링크결합대(1c)를 장착한다.
상기 침상돌기홀(1b)에 브러쉬(2)의 침상돌기(2a)가 끼워져 가이드 되면서 상승시키면, 다수개의 침상돌기(2) 사이에 엉켜서 낀 털과 털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밀폐면(1a)의 하부로 이탈되어 진공흡입부(C)에서 발생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손잡이겸 흡입관부(B)를 통해 진공흡입부(C)로 포집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B)는 도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을 브러쉬 헤드부(A)와 연통되어 연결시키되, 외부를 손으로 잡아서 빗질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하고 타측은 진공흡입부(C)와 연통시켜 연결하며, 손잡이의 일정부에 진공흡입부(C)를 구동하는 스위치를 장착(미도시)한다.
상기 진공흡입부(C)는 도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6)의 내부에 필터(8)와 축류팬(9) 및 모터(10)를 장착하고 일측을 뚜껑(7)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외통의 내부 또는 뚜껑에 축류팬(9)을 구동하는 전원 공급선이 연결된 모터(1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미도시)한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진공흡입 브러쉬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홀더(1)의 침상돌기홀(1b)을 통해 브러쉬(2)의 침상돌기(2b)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홀더(4)와 승강링크(3)를 멈춤레버(3f)로 연결하여 승강링크(3)가 상승되지 않고 멈춰진 상태에서 동물의 털을 다듬는 등의 손질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털 손질 도중 또는 손질이 완료된 다음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홀더(4)와 승강링크(3)에 연결된 멈춤레버(3f)를 이완시켜 승강링크(3)를 상부홀더(4)와 연결상태를 해제하고, 작동레버(3g)를 회전시켜 브러쉬(2)를 승강시키면, 승강링크(3)에 의해 상부홀더(4)와 브러쉬(2)가 하부홀더(1)로부터 이격되면서 상승하고, 상승하는 브러쉬(2)의 침상돌기(2b)는 하부홀더(1)의 밀폐면(1a)에 형성된 침상돌기홀(1b)을 통과하면서 침상돌기(2b) 사이에 낀 털 및 털과 함께 부착되는 이물질들을 하부홀더(1)의 개구부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하부홀더(1)의 개구부로 떨어지는 털과 이물질들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흡입부(C)의 흡입력에 의해 손잡이겸 흡입관부(B)를 통해 이송되어 진공흡입부(C)의 필터(8)에 포집되고, 포집이 완료된 때 또는 일정간격으로 뚜껑(7)을 개방하여 필터(8) 싸인 털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동물의 털 손질시 이탈되는 털 및 털과 함께 발생되는 피부 각질 등의 이물질을 위생적이며 손쉽게 그리고 빠짐없이 포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물의 털 손질 작업을 청결하며 쾌적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A : 브러쉬 헤드부 B : 손잡이겸 흡입관부
C : 진공흡입부
1 : 하부홀더 2 : 브러쉬
3 : 승강링크 4 : 상부홀더
5 : 원통형관 6 : 외통
7 : 뚜껑 8 : 필터
9 : 축류팬 10 : 모터
1a : 밀폐면 1b : 침상돌기홀
1c : 하부링크결합대 1d : 하부링크결합핀
2a : 브러쉬 몸체 2b : 침상돌기
2c : 링크결합대 2d : 링크핀
3a : 하부링크 3b : 상부링크
3c : 핀 3d : 톱니부
3e : 링크핀홀 3f : 멈춤레버
3g : 작동레버 3h : 멈춤레버축홀
3k : 멈춤레버축 3m : 스프링
3n : 결합핀 3p : 스프링 고정와셔
4a : 작동레버장착구

Claims (7)

  1. 동물 손질용 진공흡입 브러쉬에 있어서,
    동물의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털과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면서, 브러쉬 헤드부내에서 브러쉬가 승강되어 브러쉬에 끼인 털과 이물질을 이탈시켜 진공 흡입하는 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진공흡입 브러쉬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지는 브러쉬 헤드부와 상기 브러쉬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겸 흡입관부 및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와 연결되어 진공 흡입력을 생성하며 흡입되는 털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진공흡입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는 상부가 밀폐되어 브러쉬와 브러쉬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를 내장하고, 상기 하부홀더는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브러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브러쉬 몸체와 침상돌기 및 링크결합대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브러쉬 몸체의 하부면에 일정길이와 굵기를 가지는 침상돌기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부면에 상기 승강링크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링크핀이 형성된 링크결합대를 볼트로 장착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링크는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와 한쌍의 좌우측 상부링크를 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좌우측 하부링크의 일정부위에는 상기 승강링크 전체를 승강 동작시켜 승강링크에 연결된 상기 브러쉬가 승강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브러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겸 흡입관부는 일측을 브러쉬 헤드부에 연결시키되, 외부를 손으로 잡아서 빗질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하고 타측은 진공흡입부와 연통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브러쉬.
  7. 제6항에 있어서,
    진공흡입부는 외통의 내부에 동물의 털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축류팬 및 축류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브러쉬.
KR1020140073333A 2014-06-17 2014-06-17 진공흡입 브러쉬 KR10160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33A KR101602699B1 (ko) 2014-06-17 2014-06-17 진공흡입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333A KR101602699B1 (ko) 2014-06-17 2014-06-17 진공흡입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516A KR20150144516A (ko) 2015-12-28
KR101602699B1 true KR101602699B1 (ko) 2016-03-11

Family

ID=550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333A KR101602699B1 (ko) 2014-06-17 2014-06-17 진공흡입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58B1 (ko) * 2016-09-21 2018-03-15 선종민 애완동물 진공 브러시
KR20220063607A (ko) * 2020-11-10 2022-05-17 정예호 사용편의성을 갖는 펫 브러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65B1 (ko) * 2017-10-25 2019-09-02 (주)경서글로텍 펫 브러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121B2 (ja) * 1994-09-30 2000-09-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フェルールの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KR101326656B1 (ko) 2012-04-06 2013-11-07 최진호 빗살이 출몰되는 헤어아이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121A (ja) * 1989-09-06 1991-04-17 Sanyo Electric Co Ltd 掃除機用吸込具
US6336428B1 (en) * 2000-06-23 2002-01-08 Laura H. Locke Vacuum pet brush
KR20110100481A (ko) * 2010-03-04 2011-09-14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털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121B2 (ja) * 1994-09-30 2000-09-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フェルールの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KR101326656B1 (ko) 2012-04-06 2013-11-07 최진호 빗살이 출몰되는 헤어아이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58B1 (ko) * 2016-09-21 2018-03-15 선종민 애완동물 진공 브러시
KR20220063607A (ko) * 2020-11-10 2022-05-17 정예호 사용편의성을 갖는 펫 브러쉬
KR102470271B1 (ko) 2020-11-10 2022-11-25 정예호 사용편의성을 갖는 펫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516A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99B1 (ko) 진공흡입 브러쉬
KR102017265B1 (ko) 펫 브러쉬
KR102098917B1 (ko) 털을 흡입하여 제거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빗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US20150156985A1 (en) Device for plucking dead hairs from the skin of a dog
CN207462019U (zh) 吸尘器吸嘴以及吸尘器具
CN210642102U (zh) 一种螨虫清理装置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KR100526115B1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100572771B1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20220063607A (ko) 사용편의성을 갖는 펫 브러쉬
JP2016073267A (ja) ペットの吸引ブラッシングヘッド
KR102023273B1 (ko) 진공을 이용한 헤어 브러시
KR200319818Y1 (ko) 애완동물 털 수거용 흡입구가 있는 브러시.
JP3242948U (ja) ペット用掃除機
CN217986333U (zh) 宠物理毛梳
CN219537140U (zh) 一种宠物打薄梳
CN217986334U (zh) 宠物理毛梳
CN212548655U (zh) 空气净化器滤芯清洗辅助设备
JP3068734U (ja) ペット用ブラッシング器
CN214289532U (zh) 一种宠物体内植入式芯片读码设备
KR200328567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일자형 브러쉬
CN207744817U (zh) 一种可收集掉发的梳子
CN215736368U (zh) 一种具有退毛功能的宠物梳
CN209768572U (zh) 一种吸尘器用宠物针布刷
KR200257953Y1 (ko) 애완동물 털 청소용 소형 무선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