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79A - 펫 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펫 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79A
KR20200097979A KR1020190015496A KR20190015496A KR20200097979A KR 20200097979 A KR20200097979 A KR 20200097979A KR 1020190015496 A KR1020190015496 A KR 1020190015496A KR 20190015496 A KR20190015496 A KR 20190015496A KR 20200097979 A KR20200097979 A KR 20200097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ght
pet
spa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준
박일하
유현선
김미주
김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979A/ko
Priority to US16/574,362 priority patent/US11445702B2/en
Priority to CN201910886990.6A priority patent/CN110915709B/zh
Priority to EP19198168.7A priority patent/EP3626122A1/en
Publication of KR2020009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펫 케어 장치는,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케어 본체; 및 상기 헤드에 위치되는 툴 바디와, 상기 툴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투과 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펫 케어 장치{Pet care device}
본 발명은 펫 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펫: pet)을 케어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펫 케어 장치는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하거나 애완동물의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6471호에는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가 개시된다.
상기 애완동물용 살균브러쉬는, 몸체부와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UV램프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고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UV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브러쉬고정판의 내면 일측에 배광구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UV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브러시가 브러시고정판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자외선이 배출되는 배광구가 펫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UV 램프에서 조사된 광이 피부로 집중되지 않고, 브러시 들에 의해서 피부 외의 부분으로 반사되어 치료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배광구를 통해 UV 램프가 노출되므로, 펫의 털이나 이물질에의해서 UV 램프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브러시를 이용한 펫의 털 관리 시 돌출부의 단부에서 광이 펫의 피부로 조사되어 관리 효과가 향상되는 펫 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펫의 피부 관리 과정에서 이물질이나 펫의 털이 발광 유닛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펫 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펫 케어 장치는,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케어 툴의 복수의 돌출부의 투과 단부에서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펫의 피부로 광이 직접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돌출부의 외측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이 구비되고, 상기 투과 단부는, 상기 도장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은,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광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케어 툴은,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툴 바디는,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광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발광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광면은 상기 투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펫 케어 장치는,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케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헤드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발광 유닛이 위치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과 구획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2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은 투과부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는 상기 투과부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툴 바디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는 상기 제 2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케어 툴의 돌출부의 단부에서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될 수 있으므로, 광이 직접적으로 펫의 피부로 조사될 수 있어, 피부 관리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의 단부가 펫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펫의 피부로 광이 집중될 수 있어, 피부 관리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펫의 털이 모일 수 있는 공간과 발광 유닛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존재하므로, 펫의 털이나 이물질이 발광 유닛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케어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케어 본체의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케어 본체를 구성하는 헤드와 핸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헤드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도 5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케어 툴의 사시도.
도 15는 케어 본체에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어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어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케어 본체를 구성하는 헤드와 핸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펫 케어 장치(1)는, 펫의 피부나 털 등을 관리하기 위한 케어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50)과, 상기 핸들(50)에서 연장되는 헤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50)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이용하여 펫의 피부나 털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20)와 상기 핸들(5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펫의 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후술할 케어 툴을 상기 케어 본체(1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후술할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50)은 상기 발광 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되는 투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를 통해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를 통해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펫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 유닛은 UV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일 예로 적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UV LED가 펫의 피부에 조사되면, 펫의 피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고, 피부의 질환을 치료하거나, 피부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는 상기 헤드(20)에서 일정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투과부(230)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투과부(230)가 위치되는 부분을 펫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분에 근접시킴으로써, 펫의 피부나 털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의 광이 펫의 피부 외의 영역으로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50)의 높이(H2) 보다 상기 헤드(20)의 높이(H1)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를 펫의 피부나 털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펫의 피부나 털이 상기 핸들(50) 측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를 펫의 피부나 털에 접촉시키거나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50)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목이 꺽이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핸들(5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핸들(5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헤드(20)가 상기 핸들(50)과 분리 가능한 것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20)를 상기 핸들(50)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헤드(2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헤드(20)의 물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핸들(50)에는 상기 헤드(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후술함)가 존재하므로, 상기 핸들(50)을 물과 접촉시켜서는 안된다.
그러나, 상기 핸들(50)이 상기 헤드(2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2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헤드(20)를 물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헤드(20) 내에는 발광 유닛이 존재하므로, 상기 발광 유닛으로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20)가 방수 처리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헤드(20)가 상기 핸들(5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헤드(20)는 제 1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들(50)은 상기 제 1 결합부(24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결합부(240)와 상기 제 2 결합부(53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 1 결합부(240)와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530)는 상기 케어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530)는 상기 핸들(50)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경이 줄어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240)와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결합부(240)와 상기 제 2 결합부(530) 각각에는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제 1 극을 가지는 제 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결합부(530)에는 상기 제 1 극과 반대극인 제 2 극을 가지는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결합부(240)와 상기 제 2 결합부(53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20)와 상기 핸들(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지 않는 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20)와 상기 핸들(50)이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240)에는 헤드 단자(26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결합부(530)에는 핸들 단자(58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되면, 상기 핸들 단자(582)가 상기 헤드 단자(264)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582)와 상기 헤드 단자(264)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광 유닛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펫 케어 장치(1)는, 상기 케어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어 본체(10)가 세워진 상태로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에서 상기 핸들(50)이 상기 헤드(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50)이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핸들(50)의 하측이 상기 서포터(60)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50) 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헤드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어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20)와 핸들(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헤드 바디(20a)와, 상기 헤드 바디(20a)에 수용되는 발광 유닛(220)과, 상기 발광 유닛(220)을 커버하는 투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a)는, 상기 발광 유닛(220)을 수용하는 제 1 공간(212)과, 상기 제 1 공간(212)과 구획된 제 2 공간(2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12)은 상기 제 2 공간(217)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공간(212)에 상기 발광 유닛(220)이 수용되므로,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제 2 공간(217)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케어 본체(10)의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 2 공간(217)으로 펫의 털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공간(217)은 상기 제 1 공간(212)과 구획되므로, 상기 제 2 공간(217)으로 유입된 털이 상기 제 1 공간(212)으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212) 내에 위치된 상기 발광 유닛(220)이 펫의 털이나 이물질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a)는, 일 예로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결합되는 제 2 헤드 바디(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제 1 공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외측 바디(201)와,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내측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내측에 제 1 개구(214)를 형성하도록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타원"이라 함은 기하학적 타원 그 자체 뿐만 아니라,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타원과 유사한 형태는, 두 개의 직선과 두 개의 직선의 양측을 연결하는 두 개의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타원"은 "타원 그 자체 및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제 1 개구(214)는 상기 제 2 공간(217)의 입구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2 공간(21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바디(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 사이에는 상기 제 1 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내측 바디(210)는 지지벽(218)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측 및 상측은 도 9를 기준으로 한다. 반면, 상기 케어 본체는 도 9의 단면이 상하 반대가 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임을 밝혀두며, 사용 과정에서는 하측 및 상측은 도 9의 반대가 된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제 1 공간(212)의 하측벽이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내측 바디(21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바디(2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지지벽(218)의 상면(지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벽(218)의 상면에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H3)는 상기 발광 유닛(220)의 높이(H4) 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상기 지지벽(21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최상단부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는, 외주면(202)과, 내주면(203)과, 상기 외주면(202)과 상기 내주면(203)을 연결하는 연결면(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은 상기 헤드(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은 상기 제 1 공간(212)을 정의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발광 유닛(220)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벽(218)의 지지면(또는 발광 유닛(220))으로부터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 까지의 높이(H5)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 외측 단부(일 예로 상단부) 까지의 높이(H3)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면(204)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에서 상기 내주면(203)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204a)과, 상기 수평면(204a)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내주면(203)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면(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의 내주면(203)에는 상기 투과부(23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홈(2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홈(206)에 상기 투과부(230)가 안착되므로, 상기 투과부(230)의 외면(231)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주면(202)의 외측 단부와 이격된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외주면(213a)과 내주면(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주면(213a)은 상기 제 1 공간(212)을 정의한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내주면(213b)은 상기 제 2 공간(217)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는 상기 외주면(213a)의 외측 단부와 상기 내주면(213b)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주면(213a)에는 상기 투과부(230)가 지지되기 위한 제 2 지지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가 상기 제 1 지지홈(206) 및 상기 제 2 지지홈(21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230)의 외면(231)(도 9를 기준으로 상면)은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230)는 상기 제 1 지지홈(206) 및 상기 제 2 지지홈(2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융착되어 상기 헤드 바디(2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융착에 의한 상기 투과부(230)의 결합에 의해서, 액체가 외부에서 상기 제 1 공간(21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은 상기 외주면(213a)에서 내주면(213b)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5a)은 일 예로 라운드면 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215a)은 상기 외주면(213a)에서 상기 내주면(213b)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펫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평면(204a)에 의해서 상기 케어 본체(10)와 펫의 피부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펫의 피부로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바디(201)가 경사면(205)을 포함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펫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경사면(205)에 의해서도 상기 케어 본체(10)와 펫의 피부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외측 바디(201)의 영역 내에서 펫의 피부로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투과부(230)를 통과한 광이 펫의 피부의 특정 지점에 집중에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펫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바닥면에 놓더라도 상기 투과부(230)가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투과부(2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부(230)의 내면(232)(외면(231)의 반대면임)은 상기 발광 유닛(220)과 마주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과부(230)의 내면(232)은 상기 발광 유닛(220)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투과부(230)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광의 조사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이 상기 투과부(230)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투과될 수 있어, 펫의 피부에 도달하는 광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외측 단부가 상기 외측 바디(201)의 외측 단부 보다 내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펫의 피부에 접촉시키거나 근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할 때, 펫의 피부에서 빠진 털이 상기 제 2 공간(217)으로 쉽게 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디(210)의 연결면(215)이 경사면(215a)을 포함하므로, 펫의 피부에서 빠진 털이 쉽게 상기 제 2 공간(217)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를 향하여 연장되는 공간 형성벽(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244)의 단부는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 형성벽(244) 및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가 상기 제 2 공간(217)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244)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벽(245, 246)과,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2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벽(247)은 일 예로 곡선벽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타단부는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의 타단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제 2 공간(217)의 제 2 개구(248)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개구(214)는 제 1 방향(도 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248)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 2 방향(도 1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217)은 일 예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공간(217)은 "L"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바디(20a)는, 상기 제 2 공간(217)으로 플라즈마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플라즈마 이오나이저(270)(이하 "이오나이저"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70)에서 생성된 이온은 상기 제 2 공간(217)에서 상기 제 1 개구(214)를 통해 펫의 털의 표면에 부착되어 코팅될 수 있다.
펫의 털에 플라즈마 이온이 코팅되면, 펫의 털의 보습 상태는 유지되고, 정전기는 감소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펫의 털에 부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70)는 일 예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개구(214)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70)는 후술할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유닛(220)은, 발광 유닛 피씨비(PCB)(222)와,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UV LE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LED는 UV-C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발광부는 200~280nm 범위 내의 파장을 조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0nm를 포함하는 파장 대역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에 의한 펫의 피부 관리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상기 내측 바디(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바디(210)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원 형태의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는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투과부(230)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는,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와,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부(222d, 22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의 길이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는 10개 이상의 발광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도 복수의 발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설치되는 발광부(223)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의 개수 보다 많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설치되는 발광부(223)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의 개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 구비되는 발광부(223)는,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222b, 222c)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발광부(223a) 및 제 2 발광부(223b)와, 상기 제 1 발광부(223a)와 상기 제 2 발광부(223b)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3 발광부(22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각 곡선부(222d, 222e)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1 발광부(223a)와 상기 제 2 발광부(223b) 사이에 복수의 제 3 발광부(223c)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는 3개의 제 3 발광부(223c)가 상기 제 1 발광부(223a)와 상기 제 2 발광부(223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가 타원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도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가 상기 내측 바디(210)를 둘러싼 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은,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224)는 일 예로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에서 상기 발광부(223)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224)는 상기 발광 유닛 피씨비(222)의 한 쌍의 곡선부(222d, 222e) 중에서 상기 핸들(50)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곡선부(222d)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8)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24)가 위치되기 위한 수용부(21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224)는 실리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코팅에 의해서 상기 제 1 커넥터(224)의 외측에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18)은 상기 수용부(218b)에 위치된 상기 제 1 커넥터(224)를 커버하는 커버벽(21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벽(218c)은 상기 공간 형성벽(244)의 한 쌍의 직선벽(245, 246)을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커넥터(224)의 외측에 방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커버벽(218c)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바디(201)는 상기 제 1 커넥터(224)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슬롯(207)을 커버하는 슬롯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2 공간(217)의 제 2 개구(248)와 연통되는 홀(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일 예로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롯(207)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슬롯(207)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홀(262)이 상기 제 2 개구(248)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 커버(260)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24)와 연결되는 헤드 단자(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에 상기 핸들(50)이 연결되면, 상기 헤드 단자(264)가 상기 핸들 단자(582)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이오나이저(2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2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라인(268)은 상기 헤드 단자(264)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 내에는 상기 이오나이저(270)와 연결되는 전원 수급 라인(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급 라인(272)은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헤드 바디(20a)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라인(268)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는, 상기 유로 형성벽(24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단부에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의 외측 바디(201)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접촉면은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제 2 헤드 바디(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 및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융착 또는 접착제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는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8)는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의 외측 바디(20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8)에 의해서 상기 제 1 헤드 바디(200)와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커버(26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수용되므로, 상기 슬롯 커버(260)가 상기 결합 공간(242)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208)와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슬롯 커버(260)에는, 상기 접촉부(208)와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슬롯 커버(260)의 일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26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롯 커버(260)의 안착부(263)에 상기 접촉부(208)가 안착 및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240)에는,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안착 및 접촉되기 위한 안착홈(24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42a)은 일 예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의 내면이 단차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헤드 바디(250)에는 상기 안착홈(242a)을 경계로 스토퍼(25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제 1 결합부(240)의 결합 공간(242)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결합부(530)가 상기 스토퍼(250a)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결합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20)는, 후술할 케어 툴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상기 제 2 공간(217)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0)는, 일 예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10)에서 상기 감지 센서(290)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제 1 고정부(2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292)는 금속 또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292)는 상기 제 2 공간(217)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5의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서는 헤드 바디와 조작부 외의 다른 구성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7,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50)은, 핸들 바디(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상기 제 1 결합부(240)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의 내부에는 배터리(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결합되는 제 2 핸들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바디(500)는 수직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가 결합되는 방향이 높이 방향이고,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좌우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500)는 좌우 길이(L1)가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 바디(500)는 곡률이 작은 제 1 부분(511a)과, 상기 제 1 부분(511a) 보다 곡률이 큰 제 2 부분(511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제 1 부분(511a) 간의 거리는 두 개의 제 2 부분(511b) 간의 거리 보다 짧다.
사용자의 손 중에서, 손바닥이 상기 핸들 바디(500)에서 곡률이 작은 제 1 부분(511a)에 접촉되어야 상기 핸들(500)의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이 상기 핸들 바디(500)에서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제 1 부분(511a)과 접촉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핸들 바디(500)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 바디(5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 조작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는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 슬롯(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의 일부는 상기 핸들 바디(500)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조작부 슬롯(512)을 통해 상기 핸들 바디(5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를 통해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516)를 통해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오프 명령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를 지지하는 배터리 서포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는 서포터 프레임(5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은 상기 배터리(540)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의 개구(532)에 위치된 상기 배터리(54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는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는 상기 개구(532)의 양측에서 상기 서포터 프레임(5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는 하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가 상기 배터리(5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지지 리브(534)는 상기 배터리(5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로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지 리브(534)의 라운드진 부분에 상기 배터리(54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와 연결되는 메인 피씨비(552)와, 상기 메인 피씨비(552)를 지지하는 피씨비 홀더(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상기 배터리(54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상기 피씨비 홀더(5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홀더(550)는 일 예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서포터(530)와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 사이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552)가 상기 피씨비 홀더(5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조작부(516)의 조작 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5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556)는, 상기 조작부(516)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센서(556)는, 오프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센서(556a)와, 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센서(55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6)는, 제 1 위치(오프 위치)에서 상기 제 1 센서(556a)와 접촉되는 제 1 돌기(516a)와, 제 2 위치(온 위치)에서 상기 제 2 센서(556a)와 접촉되는 제 2 돌기(5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556a) 및 제 2 센서(556b)는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5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557)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557)를 통해, 상기 케어 본체(10)가 펫(또는 펫의 피부)에 근접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에는 상기 근접 센서(557)의 광이 투과하기 위한 홀(5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514)에는 광의 투과하기 위한 홀 커버(518)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홀 커버(518)를 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홀 커버(518)는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조작부 슬롯(512)과 상기 제 2 결합부(5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 커버(518)는 상기 조작부(516) 보다 상기 헤드(2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자이로 센서(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를 통해 상기 핸들(50)의 상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558)를 통해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조작부(516)가 상방을 향하는지 아니면 하방을 향하는지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 센서(558)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220)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552)는 연결부(5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554)는, 제 2 커넥터(5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537)는 상기 메인 피씨비(522)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 및/또는 상기 메인 피씨비(52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헤드(20)로 전달한다.
상기 핸들(50)은 보조 피씨비(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피씨비(560)는, 상기 헤드(20)의 감지 센서(2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케어 툴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 피씨비(560)는 상기 센서(557, 558)의 감지 신호를 공급받아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피씨비(560)는 일 예로 상기 메인 피씨비(552)의 반대편에서 상기 배터리 홀더(53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552) 및 상기 보조 피씨비(560)를 통칭하여 컨트롤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540)의 전원을 상기 발광 유닛(2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케어 툴의 장착 여부, 상기 센서(557, 558) 들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2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피씨비(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는,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는, 상기 서포터(60)에 구비되는 서포터 단자(도 17의 612 참조)와 연결되어 충전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케어 본체(10)가 상기 서포터(60)에 안착되면,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상기 서포터 단자(612)가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에는, USB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SB 충전용 케이블은 콘센트나 전원 공급을 위한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SB 충전용 케이블이 상기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에 연결되면,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중에도 상기 배터리(540)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는, 상기 배터리 홀더(530)에 구비되는 피씨비 설치부(535)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설치부(535)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수신부는 수신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충전용 피씨비(56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540)는 상기 각 충전용 커넥터(565a, 565b)를 통해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수신부를 통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케어 본체(10) 주변에 존재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별도의 무선 충전 장치(미도시)나, 상기 서포터(60)에 구비되는 송신부를 통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가 모두 생략되고, 상기 핸들(50)이 무선 충전용 수신부 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핸들(50)이 무선 충전용 수신부와,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제 2 충전용 커넥터(565b)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가 결합되면, 상기 핸들 바디(500)의 양측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는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는 상기 제 2 결합부(53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핸들(50)은, 상기 핸들 바디(500)의 개구된 양측을 커버하는 제 1 커버(570) 및 제 2 커버(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70) 및 상기 제 2 커버(58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핸들 바디(5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바디(5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70)와 상기 제 2 커버(58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커버(570)와 상기 제 2 커버(580)는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핸들 바디(5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70)는, 상기 핸들(50) 중 상기 커넥터(6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핸들 바디(500)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580)는, 상기 핸들(50) 중 상기 제 2 결합부(53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70)는, 상기 각 충전용 커넥터(565a, 565b)가 관통하는 커넥터 슬롯(573, 5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580)는 상기 핸들 단자(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582)는 상기 제 2 커넥터(5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의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는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촉부(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9)는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9)에 의해서 상기 제 1 핸들 바디(510)와 상기 제 2 핸들 바디(52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호 간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570) 및 상기 제 2 커버(580) 각각에는 상기 접촉부(519)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각 커버(570, 580)의 일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575, 5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여 펫의 피부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을 펫의 피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케어 본체(10)의 핸들(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를 향하도록 상기 케어 본체(10)를 위치시켜야 한다.
한편, 상기 케어 본체(10)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516)를 조작하여 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516)의 온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바로 온시키지 않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 유닛(220)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은, 상기 자이로 센서(558)에 의해서 상기 핸들(50)에서 조작부(516)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가 감지되고, 상기 근접 센서(557)에 의해서 상기 케어 본체(10)가 펫의 피부에 소정 거리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50)에서 조작부(516)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는 상기 헤드(20)에서 투과부(230)가 하측을 바라보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케어 본체(10)를 들고,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하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를 펫의 피부에 근접시켜야,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220)이 온되면,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사용자의 눈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눈의 손상 우려나 눈에 피로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20)의 투과부(230)가 펫의 피부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온 시키지 않음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220)이 불필요하게 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 센서(557)는 상기 핸들(50)에 구비되나, 상기 핸들(50)에서 상기 헤드(20)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50)에 근접 센서(557)가 구비되어도 펫의 피부의 근접 감지가 가능하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516)의 온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가 제1세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유닛(220)의 정상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발광부(223)가 상기 제1세기 보다 큰 제2세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상작동 조건은, 앞서 설명한 상기 발광 유닛(220)의 온 조건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케어 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케어 툴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케어 본체에 케어 툴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E-E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케어 본체(10)에 케어 툴(7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어 툴(70)은 상기 헤드(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어 툴(70)이 상기 헤드(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케어 툴(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케어 툴(70)의 일단부에서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70)은, 판 형태의 툴 바디(710)와, 상기 툴 바디(710)에서 연장되며, 상기 헤드(20)와 결합되기 위한 헤드 결합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원 형태의 바디 개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70)은, 상기 툴 바디(710)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에서 상기 개구(7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와, 상기 한 쌍의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부(710c, 7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의 길이는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서 복수의 돌출부(714)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서도 복수의 돌출부(71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 설치되는 돌출부(714)의 개수는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 구비되는 돌출부(714)의 개수 보다 많다.
상기 각 곡선부(710c, 710d)에 구비되는 돌출부(714)는, 상기 각 길이 방향 연장부(710a, 710b)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 1 돌출부(714a) 및 제 2 돌출부(714b)와, 상기 제 1 돌출부(714a)와 상기 제 2 돌출부(714b)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3 돌출부(714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돌출부(714a)와 상기 제 2 돌출부(714b) 사이에는 복수의 제 3 돌출부(714c)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에는 3개의 제 3 돌출부(714c)가 상기 제 1 돌출부(714a)와 상기 제 2 돌출부(714b)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케어 툴(70)이 상기 헤드(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각각은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와 정렬되도록 또는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의 제 1 면(711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의 제 2 면(711b)(제 1 면(711a)의 반대면임)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각 발광부(223)에서 조사되는 광이 모이기 위한 집광면(7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제 2 면(711b)에서 제 1 면(711a)을 향하여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715)은 오목한 면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와 동일한 수의 집광면(715)이 상기 툴 바디(710)의 제 2 면(711b)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개수는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의 각 발광부(223)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케어 툴(70)의 복수의 돌출부(714) 각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개수는 상기 발광 유닛(220)의 발광부(223)의 개수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상기 발광부 들(223)이 상기 집광면(715)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돌출부(714)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광면(715)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툴 바디(7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툴 바디(7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툴 바디(710)는 제 1 면(711a)과, 상기 제 1 면(711a)의 반대면인 제 2 면(7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제 1 면(711a)과 상기 제 2 면(711b)을 관통하는 홀(711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상기 제 2 면(711b) 측에서 상기 홀(711c)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면(711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14)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단차부(714e)를 포함하고, 상기 툴 바디(710)에는 상기 홀(711c) 내에서 상기 단차부(714e)가 걸리기 위한 걸림부(711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돌출부(714)에서 상기 투과부(230)를 바라보는 면에는 집광면(7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단차부(714e)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투과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집광면(715)은 상기 투과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면(715)은 오목한 면이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가 상기 툴 바디(7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및 상기 툴 바디(710)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에서만 조사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및 상기 툴 바디(710)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7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단부는 레이저 각인 처리되어 상기 도장층(715)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에서 도장층(715)에 제거된 부분을 투과 단부(716)라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유닛(220)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 내에서 상기 도장층(715)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투과 단부(716) 측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투과 단부(716)를 통과하게 된다.
만약,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가 상기 툴 바디(710)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툴 바디(710)는 광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715)이 형성될 수 있고, 단부는 레이저 각인 처리되어 상기 도장층(715)이 제거됨으로써, 투과 단부(716)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어 툴(70)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를 이용하여 펫의 털을 빗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돌출부(714)가 브러시 역할을 한다.
또한, 펫의 피부에 털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가 소정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복수의 돌출부(714)의 투과 단부(716)는 펫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어, 상기 투과 단부(716)를 통해 광이 펫의 피부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툴 바디(710)의 제 2 면(711b)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툴 바디(710)의 개구(7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일 예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개구(712)와 연통되는 툴 공간(7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는 상기 헤드 바디(20a)의 내측 바디(2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바디(210)의 제 1 개구(214)를 통해 제 2 공간(21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헤드 바디(20a)의 내측 바디(210)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툴 공간(726)은 상기 제 2 공간(217)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어 툴(70)을 상기 헤드(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어 본체(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펫에서 털이 분리될 수 있다. 펫에서 분리된 털은 상기 개구(712) 및 상기 툴 공간(726)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217)에 모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 바디(20a)의 내측 바디(210)에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내측 바디(210)를 툴 결합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서, 상기 내측 바디(210)의 감지 센서(290)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자석(7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722)은 제 1 자기력을 가진다.
상기 케어 툴(70)의 헤드 결합부(720)가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 센서(290)에서 상기 자석(722)의 자기력의 세기가 제 1 자기력인 것으로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본체(10)에 상기 케어 툴(7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툴(7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부(223) 전부가 온되도록 상기 발광 유닛(2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케어 툴(70)이 상기 헤드(2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오나이저(270)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오나이저(27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는 상기 내측 바디(210)의 제 1 고정부(292)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 2 고정부(7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724)는 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10)에 금속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바디(210)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720)에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10)의 자석은 제 1 극을 가지고, 상기 헤드 결합부(720)의 자석은 제 2 극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헤드 결합부(720) 및 상기 내측 바디(21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정부는 상호 간에 직접 고정되지는 않으나, 상기 헤드 결합부(720)와 상기 내측 바디(210) 상호 간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결합부(720)와 상기 내측 바디(210)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헤드 바디(20a)에서 상기 외측 바디(201)와 상기 인너 바디(210)의 높이 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인너 바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인너 바디(210)의 연결면(21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툴 바디(710)는, 상기 외측 바디(201)의 경사면(205)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7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어 툴(70)을 상기 케어 본체(10)에 결합시켜, 사용한 후에는 상기 케어 툴(70)을 상기 헤드(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20)에서 제 2 공간(217)에 펫의 털이 모여일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217)의 펫의 털은 상기 헤드(20)에서 상기 핸들(5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제 1 개구(214) 및 상기 제 2 개구(248)를 통해 상기 헤드(20)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케어 본체(10)와 상기 케어 툴(70)이 일체로 된 펫 케어 장치를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G-G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60)는 상기 핸들(5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11)는 상기 서포터(60)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11)의 바닥에는 상기 핸들(50)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충전용 커넥터(565a)와 접촉되기 위한 서포터 단자(6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0)는, 상부 서포터 바디(610)와, 상기 상부 서포터 바디(6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서포터 바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11)는 상기 상부 서포터 바디(6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11)의 바닥(611a)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614)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핸들(50)에는 상기 자석(614)과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핸들(50)의 제 1 커버(570)에 자석 또는 금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50)에 구비된 자석(614)은 제 1 극이고, 상기 서포터(60)에 구비되는 자석은 제 1 극과 반대인 제 2 극일 수 있다.
상기 서포터(60)는, 상기 상부 서포터 바디(610)와 상기 하부 서포터 바디(6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웨이트 부재(631, 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웨이트 부재(631, 632)는, 상기 서포터(60)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터(60)에 지지된 상기 케어 본체(10)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웨이트 부재(631, 632)는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 바디(610)와 상기 하부 서포터 바디(620)는 일 예로 체결부재(650)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 바디(620)의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드(640)는 상기 하부 서포터 바디(62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64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1: 펫 케어 장치 10: 케어 본체
20: 헤드 50: 핸들
70: 케어 툴

Claims (13)

  1.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핸들을 구비하는 케어 본체; 및
    상기 헤드에 위치되는 툴 바디와, 상기 툴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발광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투과 단부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의 외측에는 광 차단용 도장층이 구비되고, 상기 투과 단부는, 상기 도장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펫 케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툴 바디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 2 면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광면이 구비되는 펫 케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집광면이 구비되는 펫 케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툴 바디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툴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광면이 구비되는 펫 케어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발광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광면은 상기 투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펫 케어 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광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펫 케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펫 케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툴 바디에서 상기 삽입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툴 결합부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툴 결합부는 금속 또는 자석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결합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호 작용을 위한 자석 또는 금속을 구비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발광 유닛이 위치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과 구획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툴 바디는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펫 케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2 공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공간은 투과부에 의해서 커버되고,
    상기 투과부는 상기 툴 바디에 의해서 커버되는 펫 케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툴은, 상기 툴 바디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결합부는 상기 제 2 공간에 삽입되는 펫 케어 장치.
KR1020190015496A 2018-09-19 2019-02-11 펫 케어 장치 KR20200097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96A KR20200097979A (ko) 2019-02-11 2019-02-11 펫 케어 장치
US16/574,362 US11445702B2 (en) 2018-09-19 2019-09-18 Pet care device
CN201910886990.6A CN110915709B (zh) 2018-09-19 2019-09-19 宠物护理装置
EP19198168.7A EP3626122A1 (en) 2018-09-19 2019-09-19 Pet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96A KR20200097979A (ko) 2019-02-11 2019-02-11 펫 케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79A true KR20200097979A (ko) 2020-08-20

Family

ID=7224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496A KR20200097979A (ko) 2018-09-19 2019-02-11 펫 케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9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558B1 (ko) * 2021-01-07 2021-09-30 (주) 자바라이프 피부 보호용 led를 구비한 펫 브러시
KR102511667B1 (ko) * 2022-07-18 2023-03-17 박정익 카본히터가 구비된 반려동물 관리기
WO2024056842A1 (de) * 2022-09-16 2024-03-21 Theralogy International Gmbh Bürste für tie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558B1 (ko) * 2021-01-07 2021-09-30 (주) 자바라이프 피부 보호용 led를 구비한 펫 브러시
KR102511667B1 (ko) * 2022-07-18 2023-03-17 박정익 카본히터가 구비된 반려동물 관리기
WO2024056842A1 (de) * 2022-09-16 2024-03-21 Theralogy International Gmbh Bürste für tie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5709B (zh) 宠物护理装置
KR20200097992A (ko) 펫 케어 장치
KR20200097979A (ko) 펫 케어 장치
CN110915707B (zh) 宠物护理装置和用于控制宠物护理装置的方法
KR20200097987A (ko) 펫 케어 장치
US8080047B2 (en) Light therapy device
KR101431201B1 (ko) 비염 또는 중이염 치료를 위한 광선치료기
WO2015174556A1 (ko) 비염 또는 중이염 치료를 위한 광선치료기
CN212327197U (zh) 用于皮肤护理的光学输出装置
KR20200072901A (ko) 펫 케어 장치
CN102921108A (zh) 婴儿光疗装置
KR101369384B1 (ko) 살균기가 구비된 휴대용 칫솔
JP6652610B1 (ja) つり革
KR102177363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20200097985A (ko) 펫 케어 장치
WO2018111058A1 (ko)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200097990A (ko) 펫 케어 장치
KR102658317B1 (ko)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349260B1 (ko) 적외선 비염치료기
KR101974277B1 (ko) 비강 광조사 장치
KR20200141333A (ko) 펫 케어 장치
KR20160051304A (ko) 휴대용 삼파장 led 세안브러시
WO2013022212A9 (ko) 처치용 검이경
KR101441078B1 (ko) 청진기용 살균기
KR20150062368A (ko) Uv led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