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256B1 - 모듈형 귀 드라이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귀 드라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7256B1 KR101897256B1 KR1020180012696A KR20180012696A KR101897256B1 KR 101897256 B1 KR101897256 B1 KR 101897256B1 KR 1020180012696 A KR1020180012696 A KR 1020180012696A KR 20180012696 A KR20180012696 A KR 20180012696A KR 101897256 B1 KR101897256 B1 KR 1018972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ear
- air
- module
- ear ca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883 ear externa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216 Oesopha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4 ear aur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9 heat dry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28—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dispensing a clean part and taking-up a soiled part, e.g. using rolls; with dispensers for soap or other detergents; with disinfecting or hea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2—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internal body ca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5—E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열 건조 모듈 및 공기 건조 모듈을 이용하여 귓속 외이도에 존재하는 습기나 물을 건조시키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열 건조 모듈 및 공기 건조 모듈을 이용하여 귓속 외이도에 존재하는 습기나 물을 건조시키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란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기까지의 터널 모양으로 된 부분으로, 통상 S자 모양에 가깝게 구부러져 있으며, 수평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전방으로 안쪽은 후방으로 굽어 있고, 수직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아래로 내측은 위로 굽어 있다.
한편, 세수, 목욕 또는 수영 등의 원인으로 물이나 습기가 외이도 속으로 유입된 경우, 종래에는 외이도 내부를 면봉 등으로 닦아내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그에 따라 외이도에 상처가 날 수 있었다. 나아가 그 상처를 통해 외이도 벽 속으로 침입한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외이도염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이에, 귓속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70% 소독용 알코올과 식초를 동량으로 혼합한 액적(미립화된 작은 액체방울)을 외이도 속에 분사하거나,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외이도 내부의 습기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권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귓속을 건조시키는 전용 장치가 아니며 귀솟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헤어 드라이기 등을 귀에 사용시 과도한 온도 상승에 따른 부작용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건조 효율이 극히 미비하다.
이에, 도 1과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652호 '귀 건조장치'에서는 온풍을 발생시키도록 히팅 코일(108)과, 모터(106) 및 송풍팬(107)을 구비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104) 및 온풍이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다공관(120)을 포함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열 건조를 위한 수단으로써 온풍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히팅 코일(108)을 작동시 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 없이 연속사용 가능한 시간이 극히 짧고, 과열시 파손이나 화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다공관에 형성된 온풍 배출구(노즐)들이 다공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이 외이도 내벽에 수직하게 부딪힌다. 따라서, 물이나 습기가 사방으로 비산(분산)됨에 따라 귀 외부로 배출이 어려우며, 심하면 고막이 있는 내측으로 더욱더 깊게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이도를 오직 온풍에 의존하여 건조할 수 있을 뿐이어서, 사용자가 상황(용도 혹은 유입된 물이나 습기의 양/종류 등)에 따라 열 건조 혹은 공기 건조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이도의 건조를 위해 LED에 의한 열 건조 기능 및 분사노즐에 의한 공기 건조 기능을 제공하되, 이들을 모듈화하여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모듈형 귀 드라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여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개선함으로써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는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귓속을 건조시킴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열 건조 몸체와; 상기 열 건조 몸체에 구비되며,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발광모듈; 및 상기 발광모듈이 구비된 열 건조 몸체가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발광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공기 건조 몸체; 및 상기 공기 건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건조 몸체의 내측 중공부에서 외측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기 위한 건조용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작동부 본체에 상기 발광모듈이 구비된 열 건조 몸체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상기 분사노즐이 구비된 공기 건조 몸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건조 몸체 및 공기 건조 몸체의 후방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링(stop-ring)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톱링은 링 형상의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스톱링의 걸림턱부에 의해 상기 열 건조 몸체 및 공기 건조 몸체가 각각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모듈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 및 상기 원적외선 LED를 구동시키는 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촬영용 몸체와; 상기 촬영용 몸체에 설치됨에 따라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외이도의 건조를 위해 LED에 의한 열 건조 모듈 및 분사노즐에 의한 공기 건조 모듈을 제공하되 이들을 탈부착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열 또는 공기 건조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모듈로 확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여 열 건조를 제공하므로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귀 외부측으로 향하도록 함에 따라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작동부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발광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작동부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발광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의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가 사람의 귀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그 외 반려견과 같은 동물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의료용이나 레져용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200)는 귓속 외이도에 유입된 물이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작동부 본체(240)를 잡고, 관 형상의 건조용 모듈(M1, M2)을 외이도 내부로 삽입하여 건조시킨다.
건조용 모듈(M1, M2)은 LED 등과 같이 빛 에너지를 이용한 열 건조 모듈(M1) 및 분사노즐과 같이 건조용 공기를 이용한 공기 건조 모듈(M2)을 포함하며,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귓속 외이도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LED에 의한 열 건조 모듈(M1) 및 공기 건조 모듈(M2)을 작동부 본체(24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외이도를 건조한다. 따라서, 열 건조와 공기 건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차후에 위와 같은 건조용 모듈(M1, M2)들 이외에, 열과 공기 건조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모듈을 비롯하여 다른 모듈이 추가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들 역시 작동부 본체(240)에 장착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좋다.
또한, 원적외선 LED를 적용하므로 전력 과소모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사노즐의 건조용 공기 방출 방향을 외부로 향하도록 함에 따라 건조시 물이나 습기가 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게 한다.
다만,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건조용 모듈(M1, M2) 이외에 촬영용 모듈(M3)를 더 포함하여 귀속 내부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병원의 귀 내시경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직접 귓속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하에서 후술하겠지만 카메라 모듈(260) 이외에 각종 센서(도시 생략)을 더 포함함으로써, 귓속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귀 드라이기(20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크게 외이도 내에 삽입되는 다수의 모듈(M: M1, M2, M3) 및 상기 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부 본체(240)를 포함한다.
모듈(M1, M2, M3)로는 외이도 건조를 위한 건조용 모듈(M1, M2) 이외에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촬영용 모듈(M3)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건조용 모듈(M1, M2)로는 빛 방출을 이용한 열 건조 모듈(M1) 및 건조용 공기를 이용한 공기 건조 모듈(M2)을 포함한다.
이때, 열 건조 모듈(M1)은 관 형상의 열 건조 몸체(210) 및 그에 구비된 발광모듈(211)을 포함하고, 공기 건조 모듈(M2)은 관 형상의 공기 건조 몸체(220) 및 그에 구비된 분사노즐(221)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부 본체(240)는 열 건조 모듈(M1)의 발광모듈(211)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비롯하여 및 공기 건조 모듈(M2)의 분사노즐(221)로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모듈 중 어느 것을 장착하더라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자가 상기한 모듈들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귓속 깊숙이 있는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링(stop ring)(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각 모듈에 오염물질이 묻거나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듈(M1, M2, M3)을 덮도록 작동부 본체(240)에 끼워지는 마감캡(CA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마감캡(CAP)은 투명 혹은 불투명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마감캡(CAP) 이외에 작동부 본체(240)에 현재 장착된 모듈(예: M1) 이외의 나머지 모듈(예: M2, M3)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 케이스(CS) 역시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용 케이스(CS)는 일 예로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하부 본체 내부에는 각각의 모듈이 끼워지는 슬롯(SL)이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열 건조 몸체(210)는 열 건조 모듈(M1)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시(건조시)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 건조 몸체(210)에는 발광모듈(211)이 설치된다.
상기한 관 형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관 형상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완만한 곡선 혹은 'S'자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열 건조 몸체(210)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외이도는 통상 약 2.5Cm 정도의 길이 및 약 0.6Cm의 직경을 가지며 수평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전방으로 안쪽은 후방으로 굽어 있고, 수직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아래로 내측은 위로 굽어 있기 때문에 곡선 형상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열 건조 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이 적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전체 길이에 대한 일부 또는 전부에서 이들 형상을 혼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 건조 몸체(210)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등 그 원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급적 외이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경도(hardness)가 작거나 부드러운 재질을 적용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표면에 첨두부가 없도록 마감처리한다.
발광모듈(211)은 상기한 열 건조 몸체(210)에 구비됨에 따라 열 건조 몸체(210)와 함께 작동부 본체(240)에 탈부착 가능한 열 건조 모듈(M1)을 구성하는 것으로,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방열된 열을 이용하여 외이도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발광모듈(211)을 적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이 히팅 코일(도 1의 '108' 참조)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 교체 없이 연속사용 가능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나아가 과열에 따른 파손이나 화상의 위험을 방지한다.
발광모듈(211)은 다수개 구비되어 외이도 전체를 동시에 건조시키며, 외이도를 향해 발광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발광모듈(211)은 설정된 간격 및 패턴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열 건조 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1열의 발광모듈(211)이 열 건조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열은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외이도 전체에 고르게 열을 방출할 수도 있다.
특히, 발광모듈(211)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211a) 및 상기 원적외선 LED(211a)를 구동시키는 전원과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211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은 건조와 함께 살균 및 치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외이도 건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 5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적외선 LED(211a)는 각각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기판(211b) 위에 실장된 상태에서 외이도를 향해 발광하도록 설치되고, 기판(211b)에는 전원선 혹은 신호선(211c)이 연결된다.
전원선이나 신호선(211c)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열 건조 몸체(210) 내부의 중공부를 통해 각각의 기판(211b)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열 건조 몸체(210) 내주면에 부착, 인쇄 혹은 초음파 압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전원선이나 신호선(211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 본체(240)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콘트롤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여 원적외선 LED(211a)가 발광된다.
다만, 도 5의 (a)와 같이 원적외선 LED(211a)는 열 건조 몸체(210)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지만, 도 5의 (b)와 같이 열 건조 몸체(210) 표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 내부에 매입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 LED(211a)가 외이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 공기 건조 몸체(220)는 공기 건조 모듈(M2)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시(건조시) 외이도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공기 건조 몸체(220)에는 분사노즐(221)이 설치된다.
특히 공기 건조 몸체(220)는 원활한 공기 공급 및 분사를 위해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작동부 본체(240)가 조립되는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관 형상으로는 열 건조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직선관 형상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완만한 곡선 혹은 'S'자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공기 건조 몸체(220)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관이 적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전체 길이에 대한 일부 또는 전부에서 이들 형상을 혼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 건조 몸체(220)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등 그 원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급적 외이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경도가 작거나 부드러운 재질을 적용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표면에 첨두부가 없도록 마감처리한다.
분사노즐(221)은 상기한 공기 건조 몸체(220)에 구비됨에 따라 공기 건조 몸체(220)와 함께 작동부 본체(240)에 탈부착 가능한 공기 건조 모듈(M2)을 구성하는 것으로, 공기 건조 몸체(220)의 내측 중공부로 유입된 건조용 공기를 외측으로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킨다.
이러한 분사노즐(221) 역시 상술한 발광모듈(211)과 마찬가지로 다수개 구비되어 외이도 전체를 동시에 건조시키며, 다수개의 분사노즐(221)은 설정된 간격 및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공기 건조 몸체(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1열의 분사노즐(221)이 공기 건조 몸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열은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외이도 전체에 고르게 건조용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사노즐(221)은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형성된다. 즉, 종래에는 관통홀(도 1의 '122' 참조)이 다공관의 표면에 수직하게 형성됨에 따라 외이도에 수직하게 온풍을 분사하는 반면, 본 발명은 외이도에 경사지게 건조용 공기를 분사한다.
따라서, 경사진 상태에서 귀 외부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1)에 의해 외이도 내부로 유입된 물이나 습기가 귀(즉, 외이도) 외부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고막측으로 물이나 습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도 6의 (a)와 같이 분사노즐(221)은 공기 건조 몸체(220)를 관통하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공으로만 구성될 수 있지만, 도 6의 (b)와 같이 공기 건조 몸체(220)의 표면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가이드(222)를 더 구비한 구성 역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가이드(222)는 외이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실리콘 등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작동부 본체(2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열 건조 모듈(M1) 및 공기 건조 모듈(M2)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는 것으로 각 모듈의 작동 환경을 제공한다. 물론 이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는 촬영용 모듈(M3)을 비롯하여 차후 추가로 제공될 수 있는 각종 모듈 역시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 본체(240)는 물이나 습기에 노출된 외이도의 건조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장착한 건조용 모듈(M1, M2)에 따라 발광모듈(211) 및 분사노즐(221)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도록 구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작동부 본체(240)의 구동은 열 건조 모듈(M1)의 발광모듈(21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기 건조 모듈(M2)의 분사노즐(221)에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아가, 도 3 등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의 장착을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전방측 단부에는 커넥터(241)가 구비되어 있어서, 건조용 모듈(M1, M2)의 선택적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커넥터(241)를 통한 건조용 모듈(M1, M2)의 선택적 장착은 열 건조 모듈(M1) 또는 공기 건조 모듈(M2)의 선택은 물론, 사용대상(사람 또는 반려동물)에 따른 교체 및 유지 보수의 목적 등을 위해서도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작동부 본체(240)의 전방측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241)가 돌출 형성되는데, 커넥터(241)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부 본체(240)에서 공급된 건조용 공기가 열 건조 몸체(210)를 향해 배출된다.
또한, 관 형상의 열 건조 몸체(210)나 공기 건조 몸체(220)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커넥터(241) 역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측 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돌기(241a)가 돌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열 건조 몸체(210) 및 공기 건조 몸체(220)의 후방측 단부에는 탄성 돌기(241a)가 끼워지는 끼움공(213, 223)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전방에서 열 건조 몸체(210)나 공기 건조 몸체(220)를 끼우면 탄성 돌기(241a)가 끼움공(213, 223)에 끼워져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커넥터(241)의 중계하에 열 건조 몸체(210)가 장착되는 경우, 커넥터(241)에 출력 단자(241b)를 구비하고, 열 건조 몸체(210)에는 입력 단자(214)가 구비된다. 다만,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건조 몸체(220)는 이러한 단자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열 건조 몸체(210)를 장착시 출력 단자(241b)와 입력 단자(2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모듈(21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작동부 본체(240)의 외측부에는 컨트롤 패널(24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컨트롤 패널(242)은 일 예로 디스플레이(242a) 및 조작 버튼(242b)을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2a)를 통해 사용자에게 동작 시간 및 동작 상태 등을 제공한다.
조작 버튼(242b)은 발광모듈(211)을 조작하는 열 건조 버튼 및 분사노즐(221)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건조 버튼 등을 포함한다. 물론 그 이외에도 후술할 카메라 모듈(231)의 작동을 위한 촬영 버튼을 비롯하여 타이머, 온도 설정 버튼 등 다양한 기능의 버튼 역시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컨트롤 패널(242)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원격조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7과 같이 작동부 본체(240)의 내부에는 발광모듈(2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B, S)를 포함하는데, 전원공급부(B, S)는 일 예로 DC 배터리(B) 및 상기 DC 배터리(B)가 끼워지는 단자슬롯(S)을 포함한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일측에는 뚜껑(241c)을 구비한다.
또한, 공기 건조 몸체(220) 및 분사노즐(221)을 순차로 통과하여 외이도로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부 본체(240) 내부에 모터(MO) 및 송풍팬(FA)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역시 전원공급부(B, 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술한 조작 버튼(242b)의 제어하에 구동이 이루어진다.
다만, 공기 흡입을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후방부에는 다수개의 흡입공(244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때 외이도 내부로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FT)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FT)의 교체를 위해 작동부 본체(240)의 후방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마감캡(244)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스톱링(250)은 열 건조 몸체(210) 및 공기 건조 몸체(220)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사용자가 건조용 모듈(M1, M2)을 외이도 내부로 삽입시, 실수로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으로 다시 돌아가 살펴보면, 스톱링(250)은 열 건조 몸체(210)나 공기 건조 몸체(220) 등의 후방측 단부에 조립 및 고정되며, 결착부(251) 및 걸림턱부(252)를 포함한다.
특히 공기 건조 몸체(220)는 필수적으로 배출부(253)를 더 포함한다. 공기 건조 몸체(220)는 외이도 내부에서 건조용 공기가 분사되므로, 귀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부(253)를 통해 건조용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다만, 열 건조 몸체(210)에 끼워지는 스톱링(250) 역시 배출부(2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는 방출열을 이용하여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경우에도 통기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며, 이는 촬영용 모듈(M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한 결착부(251)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열 건조 몸체(210)에 끼워진다. 걸림턱부(252)는 링 형상의 결착부(251)에 일체로 구비되되, 결착부(2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 길이는 통상적인 사람의 외이도 직경(약 0.6Cm) 보다 크게 함으로써, 걸림턱부(252)는 일 예로 귓볼에 걸리게 된다.
배출부(253)는 분사노즐(221)을 통해 분사된 건조용 공기가 외이도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걸림턱부(252)가 링 형상의 결착부(251)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턱부(252) 자체에 통공을 형성한다. 반면, 걸림턱부(25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경우에는 그 사이의 공간 자체를 배출부(253)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은 스톱링(250)은 성장을 마친 성년과 그렇지 못한 영유아나 청소년 등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열 건조 몸체(210)나 공기 건조 몸체(220)에 끼워지는 길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톱링(250)의 좀더 견고한 고정을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열 건조 몸체(210) 및 공기 건조 몸체(220)에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끼움홈(212-1, 212-2, 222-1, 222-2)을 형성한다.
성년과 영유아나 청소년은 각각 외이도의 깊이가 서로 다르므로 고막을 찌르지 않도록 삽입을 제한해야 하는 길이가 서로 다르며, 이는 외이도 형상 및 길이가 서로 다른 사람과 동물(예: 반려견)간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스톱링(250)이 끼워지는 끼움홈(212-1, 212-2, 222-1, 222-2)을 필요한 개수만큼 다수개(2개 혹은 그 이상)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끼움홈(212-1, 212-2, 222-1, 222-2)에는 성년용 혹은 영유아용을 구분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거나, 혹은 사람용과 동물용을 구분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다음,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귓속을 촬영하는 촬영용 모듈(M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용 모듈(M3)은 귓속 건조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건조 전/후 귓속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병원에서 귓속 내시경 장비를 이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귓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촬영용 모듈(M3)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촬영용 몸체(230)와, 상기 촬영용 몸체(230)에 설치됨에 따라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31) 및 상기 카메라 모듈(23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촬영용 몸체(230)는 전방측 단부가 개방된 것이나 혹은 막힌 것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고, 후방부에는 다른 건조용 모듈(M1, M2)들과 마찬가지로 스톱링(250)이 끼워지는 홈을 구비한다.
또한, 촬영용 몸체(230)에 연결단자(234)를 구비하여 작동부 본체(240)의 커넥터(241)에 구비된 출력단자(241b)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영상 데이터나 촬영 명령신호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카메라 모듈(231)로 촬영 명령신호를 전송하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작동부 본체(240)의 커넥터(241)에 돌출 설치된 탄성 돌기(241a)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관 형상의 촬영용 몸체(230)의 후방측 단부에는 끼움공(2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에서부터 촬영용 몸체(230)를 끼우면 탄성 돌기(241a)가 끼움공(233)에 끼워져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 모듈(231)의 옆에 조명용 LED(261)를 더 구비하여 조명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한 카메라 모듈(231) 및 조명용 LED는 열 건조 몸체(210) 또는 공기 건조 몸체(2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카메라 모듈(231) 그 자체는 공지의 것이 사용되며, 촬영용 몸체(230)(열 건조 몸체 및/또는 공기 건조 몸체에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몸체)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됨으로서 전방위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모듈은 유무선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써 도 3 및 도 4와 같이 작동부 본체(240)에는 전송 모듈의 하나로써 USB 포트(243)를 구비하여 촬영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전송) 받을 수 있게 한다. USB 포트(243)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B, S)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로써도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각종 센서(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센서는 열 건조 몸체(210), 공기 건조 몸체(220) 및 촬영용 몸체(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는 열 건조 모듈(M1)에 구비되거나, 공기 건조 모듈(M2)에 구비되거나, 촬영용 모듈(M3)에 구비되거나, 혹은 이들 모듈(M1, M2, M3) 중 2개 이상의 모듈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는 그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각 몸체(210, 220, 230)의 표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로는 외이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센서들로부터 측정한 상태 데이터는 상기한 전송 모듈을 통해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열 건조 몸체
211: 발광모듈(원적외선 LED)
220: 공기 건조 몸체
211: 분사노즐
230: 촬영용 몸체
231: 카메라 모듈
240: 작동부 본체
250: 스톱링
FT: 필터
MO: 모터
FA: 송풍팬
B: DC 배터리
S: 단자슬롯
211: 발광모듈(원적외선 LED)
220: 공기 건조 몸체
211: 분사노즐
230: 촬영용 몸체
231: 카메라 모듈
240: 작동부 본체
250: 스톱링
FT: 필터
MO: 모터
FA: 송풍팬
B: DC 배터리
S: 단자슬롯
Claims (6)
-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귓속을 건조시키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열 건조 몸체(210)와;
상기 열 건조 몸체(210)에 구비되며, 빛 에너지의 발광(light emitting)을 통해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발광모듈(211)과;
상기 발광모듈(211)이 구비된 열 건조 몸체(210)가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발광모듈(211)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부 본체(240)와;
상기 작동부 본체(240)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방측 단부는 막혀있고 후방측 단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공기 건조 몸체(220); 및
상기 공기 건조 몸체(220)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건조 몸체(220)의 내측 중공부에서 외측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시켜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분사노즐(221);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 본체(240)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노즐(221)로 공급되기 위한 건조용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작동부 본체(240)에 상기 발광모듈(211)이 구비된 열 건조 몸체(210) 또는 상기 분사노즐(221)이 구비된 공기 건조 몸체(22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 건조 몸체(210) 및 공기 건조 몸체(220)의 후방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링(stop-ring)(2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톱링(250)은 링 형상의 결착부(251); 및 상기 결착부(251)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결착부(2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252);를 포함하여, 상기 스톱링(250)의 걸림턱부(252)에 의해 상기 열 건조 몸체(210) 및 공기 건조 몸체(220)가 각각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에 따라 고막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분사노즐(221)은 귀 안쪽에서 귀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도록 경사진 자세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211)은,
원적외선(far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원적외선 LED(211a); 및
상기 원적외선 LED(211a)를 구동시키는 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기판(21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며,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촬영용 몸체(230)와;
상기 촬영용 몸체(230)에 설치됨에 따라 귀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31); 및
상기 카메라 모듈(23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귀 드라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696A KR101897256B1 (ko) | 2018-02-01 | 2018-02-01 | 모듈형 귀 드라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696A KR101897256B1 (ko) | 2018-02-01 | 2018-02-01 | 모듈형 귀 드라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7256B1 true KR101897256B1 (ko) | 2018-09-10 |
Family
ID=6359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696A KR101897256B1 (ko) | 2018-02-01 | 2018-02-01 | 모듈형 귀 드라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72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4195B1 (ko) * | 2021-06-23 | 2021-10-18 |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718U (ko) * | 1997-07-08 | 1999-02-05 | 이재훤 | 귓속의 수분건조 및 멸균기 |
KR100383412B1 (ko) * | 2000-12-12 | 2003-05-14 | 홍재의 | 귓속 수분건조장치 |
KR20100091652A (ko) | 2009-02-11 | 2010-08-19 | 이상실 | 귀 건조장치 |
KR20130109551A (ko) * | 2012-03-27 | 2013-10-08 | 손종철 | 카메라 귀이개 |
-
2018
- 2018-02-01 KR KR1020180012696A patent/KR1018972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718U (ko) * | 1997-07-08 | 1999-02-05 | 이재훤 | 귓속의 수분건조 및 멸균기 |
KR100383412B1 (ko) * | 2000-12-12 | 2003-05-14 | 홍재의 | 귓속 수분건조장치 |
KR20100091652A (ko) | 2009-02-11 | 2010-08-19 | 이상실 | 귀 건조장치 |
KR20130109551A (ko) * | 2012-03-27 | 2013-10-08 | 손종철 | 카메라 귀이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4195B1 (ko) * | 2021-06-23 | 2021-10-18 |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29067T3 (es) | Dispositivos para el cuidado de la piel | |
JP6985627B2 (ja) | 口内光線療法デバイス | |
US2021029930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work area and performance of uv-c generators | |
ES2886032T3 (es) | Dispositivo de trampa para insectos | |
KR101897253B1 (ko) | 귀 드라이기 | |
KR20170139520A (ko) | 광조사 장치 | |
KR101076057B1 (ko) | 다기능 머리빗 | |
CN110915707B (zh) | 宠物护理装置和用于控制宠物护理装置的方法 | |
KR101897256B1 (ko) | 모듈형 귀 드라이기 | |
US20180078016A1 (en) | Hair styling device | |
CN106075493A (zh) | 一种履带式智能床用除螨仪 | |
JP6129392B1 (ja) | ヘアケア装置 | |
KR20210158767A (ko) |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 |
KR102564452B1 (ko) | 두피 케어용 광 출력 기기 | |
KR20100041920A (ko) | 헤어-드라이어 및 그 유닛 | |
KR20060007303A (ko) | 애완동물용 브러쉬 | |
KR101525934B1 (ko) | 애완동물용 스파 | |
KR20200137854A (ko) | 두피 및 모발 관리 기능을 갖는 헤어 브러시 | |
KR102577553B1 (ko) | 살균 및 건조기능이 구비된 칫솔살균기 | |
KR101921510B1 (ko) | 건조장치 | |
KR20200097851A (ko) | 보관 장치 | |
CN110063265A (zh) | 宠物用烘干护理机 | |
KR102658317B1 (ko) | 펫 케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WO2023118808A1 (en) | Haircare appliance | |
WO2023118806A1 (en) | Haircare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