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652A - 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52A
KR20100091652A KR1020090010949A KR20090010949A KR20100091652A KR 20100091652 A KR20100091652 A KR 20100091652A KR 1020090010949 A KR1020090010949 A KR 1020090010949A KR 20090010949 A KR20090010949 A KR 20090010949A KR 20100091652 A KR20100091652 A KR 2010009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ar
ear canal
mot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실
Original Assignee
이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실 filed Critical 이상실
Priority to KR102009001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652A/ko
Publication of KR2010009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세수, 목욕 또는 수영 중에 물이 외이도 속으로 침입한 경우에, 외이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한 귀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귀 건조장치는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코일과, 모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 모터 및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다공관을 포함한다.
외이도, 건조, 귀, 히터

Description

귀 건조장치{EAR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외이도(external ear canal)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수, 목욕 또는 수영 중에 물이 외이도 속으로 침입한 경우에, 외이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한 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이도란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기까지의 터널 모양으로 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의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수평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전방으로, 안쪽은 후방으로 굽어 있고, 수직면에서 볼 때, 바깥쪽은 아래로, 내측은 위로 굽어 있다.
외이도의 기능은 음파를 고막으로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측 1/3 지점에 귀지 샘이 있어 귀지가 분비된다. 귀지는 벌레가 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수, 목욕 또는 수영 중에 물이 외이도 속으로 침입하여 귀지가 젖는 경우에, 외이도 속이 가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 외이도 내부를 성냥개비나 면봉 등으로 후비면 외이도에 상처가 날 수 있다. 그 상처를 통해 외이도 벽 속으로 침입 한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외이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외이도염의 정도와 원인 등에 따라 증상이 많이 다르다. 외이도염이 경미하게 있을 때는 외이도 속이 좀 가렵고 아플 수 있지만, 외이도염이 심할 때는 외이도 속이 심하게 붓고, 상처 부위에 고름이 잡히고 외이도가 꽉 막힐 수 있다. 이 때, 귀 전체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욱신욱신 쑤시고 몹시 아픈 것이 보통이다.
수영이나 목욕 이후에 외이도 속이 가려운 경우에는, 70% 소독용 알코올과 식초를 동량으로 혼합한 액적 몇방울을 외이도 속에 넣거나, 헤어드라이어 온풍으로 외이도 내부의 습기를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386761호에는 스포이드 형태로 제조된 외이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 개시된 기구는 탄성 몸체를 이용하여 외이도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구는 기구의 예리한 단부가 외이도 내부까지 진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막에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있다.
또한, 휴대용 귀 건조장치가 Dryear라는 상표명으로 미국 등에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 귀 건조장치는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팬과 히터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귀 건조장치는 외이도의 입구에 삽입되는 플러그가 입구를 완전히 차단하여 외이도 내부가 기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가 외이도의 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면, 외이도 내부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주입되어 외이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고막이 약한 경우에, 고막이 파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휴대용 귀 건조장치는 온풍이 직접 고막으 로 향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막을 손상시킬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귀 건조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 온도의 온풍을 외이도 내부에 안전하게 송풍하여 외이도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이도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귀 건조장치에 있어서,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코일과, 모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 모터 및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다공관을 포함하는 귀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와, 온도 센서와,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히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기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 다공관은 배출부에 고정되는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적정 온도의 온풍을 외이도 내부에 안전하게 송풍하여 외이도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유공판을 제외하고, 귀 건조장치의 어떤 부분도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 건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귀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과 일체로 연결되며,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104)를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후단부(110)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모터(106)와 송풍팬(107)을 구비한다.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하우징(102)의 후단부(110)에는 다수의 흡입공(11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2)은 배출구측에 송풍팬(107)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공기를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코일(105)을 구비한다. 히터 코일(108)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열부재에 의하여 하우징(102)의 내벽과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히터 코일(108)이 도시되어 있으나, 세라믹 발열체 등도 사용 가능하다.
하우징(102)은 전단부에 온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14)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114)은 온풍을 배출하기 위한 다공관(120)에 삽입된다. 다공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형상의 다수의 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관(120)은 배출관(114)을 수용하는 개구(126)와, 배출관(114)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116)와 결합하는 고정홈(124)을 갖는다.
다공관(120)은 외이도에 직접 삽입되는 부분으로, 외이도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굴곡이 있는 외이도에 원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제조된다. 또한, 하우징(102) 내부에서 발생된 온풍이 사용자의 고막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126)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다공관(120)은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관(120)은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우징(102)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배터리 수납 케이스(104)는 하우징 내부의 모터(106)와, 송풍팬(107)과, 히터 코일(108)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를 내부에 수납한다. 또한, 배터리 수납 케이스(104)는 배터리용 단자(118)와, 전력 공급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비도시)를 구비한다.
배터리 수납 케이스(104)의 일측면(120)은 하우징(102)의 배출관(114)의 자유단부가 일측면(120)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 건조장치를 사용할 때, 배터리 수납 케이스(104)의 일측면(120)이 사용자의 볼과 접촉하여, 배출 관(114)이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08)의 후단부(110)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비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이 배터리로부터 히터 코일로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에 온도 센서와 제어기를 설치하여,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적정 레벨 이상이면, 제어기에 의하여 히터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받거나 국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하우징
104: 배터리 수납 케이스
108: 히터 코일
106: 모터
107: 송풍팬
114: 배출관
120: 다공관

Claims (4)

  1. 외이도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귀 건조장치에 있어서,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코일과, 모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 모터 및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다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관은 배출부에 고정되는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온도 센서와,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히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기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건조장치.
KR1020090010949A 2009-02-11 2009-02-11 귀 건조장치 KR2010009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49A KR20100091652A (ko) 2009-02-11 2009-02-11 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49A KR20100091652A (ko) 2009-02-11 2009-02-11 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52A true KR20100091652A (ko) 2010-08-19

Family

ID=4275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49A KR20100091652A (ko) 2009-02-11 2009-02-11 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6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53B1 (ko) 2018-02-01 2018-09-10 김치하 귀 드라이기
KR101897256B1 (ko) 2018-02-01 2018-09-10 렛츠컴바인 주식회사 모듈형 귀 드라이기
KR102314195B1 (ko) 2021-06-23 2021-10-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53B1 (ko) 2018-02-01 2018-09-10 김치하 귀 드라이기
KR101897256B1 (ko) 2018-02-01 2018-09-10 렛츠컴바인 주식회사 모듈형 귀 드라이기
WO2019151566A1 (ko) * 2018-02-01 2019-08-08 김치하 귀 드라이기
KR102314195B1 (ko) 2021-06-23 2021-10-18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외이도 트리트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072A (en) External auditory canal drying apparatus
US11363871B2 (en) Hair styling device
KR20100091652A (ko) 귀 건조장치
TWI616160B (zh) hair dryer
JP4400646B2 (ja)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KR101265490B1 (ko)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CN209048417U (zh) 一种耳道烘干装置
CN104055307A (zh) 一种头发快干装置
KR20130030999A (ko) 모발 흡입식 헤어드라이어
KR102170914B1 (ko) 귀 관리 기구
CN108310483A (zh) 一种两用自动擤鼻器
CN215295761U (zh) 一种耳朵烘干器
JP6057625B2 (ja) ヘアドライヤ
KR100383412B1 (ko) 귓속 수분건조장치
CN210301404U (zh) 耳道干燥机
JPH10108801A (ja) 電動耳内掃除器
JP2013233391A (ja) 吸水素材付きヘアドライヤー
KR20190081693A (ko) 귓속 습도 측정 및 물 제거장치
WO2018129674A1 (zh) 一种耳孔清理方法及便携式耳孔清理装置
KR101903511B1 (ko) 모발 보호 기능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KR200262468Y1 (ko) 귓구멍 건조기
CN210749825U (zh) 一种电动耵聍吸取器
CN215020423U (zh) 恒温排汽耳道干燥机
CN220572086U (zh) 一种耳朵烘干器
CN211095234U (zh) 一种新型的外耳道吹干仪和中耳负压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