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023B1 -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 Google Patents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023B1
KR101897023B1 KR1020160128510A KR20160128510A KR101897023B1 KR 101897023 B1 KR101897023 B1 KR 101897023B1 KR 1020160128510 A KR1020160128510 A KR 1020160128510A KR 20160128510 A KR20160128510 A KR 20160128510A KR 101897023 B1 KR101897023 B1 KR 10189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chining
rail
machined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20A (ko
Inventor
김태곤
이석우
김효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0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26D5/3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scanning being effected by a photosensitiv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재의 하면에 마련되는 지그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그에 의해 피가공재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갠트리부; 상기 갠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갠트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피가공재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공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내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측면을 따라 상기 가공지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HYBRID MACHINING EQUIPMENT HAVING MACHINING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재의 하면에 마련되는 지그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공, 자동차, 선박 분야에서는 고강도 및 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로서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사용량 역시 점차 증대되고 있다.
탄소섬유복합재(CFRP)는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비강도(比强度)는 철강의 6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2배, 비탄성률(比彈性率)은 철강의 3배이고, 정적(靜的) 강도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특성(疲勞特性)을 갖고 있으며, 내마찰(耐摩擦)ㆍ마모성이 뛰어나다. 또한, 기능적으로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 내식성, 진동 감쇠성(振動減衰性), X선 투과성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복합재를 비롯하여 항공, 선박, 자동차 분야에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다양한 지그들이 마련된다. 특히,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 구조물을 가공하는 경우, 그 곡면에 대응하여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그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곡면 구조물의 경우, 중력이나 가공력에 의해 지그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되거나 또는 정밀한 공정이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공정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가공을 실시할 때, 가공 위치의 하측에 지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공력에 의해 곡면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곡면 구조물의 하측에 다수의 지그를 구비하여 곡면 구조물을 고정 및 지지했다.
그러나, 곡면 구조물에 대해 다수의 지그를 사용하여 고정 및 지지하는 종래의 방법은 각각의 지그를 모두 개별적으로 제어 해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일 예로, 하나의 곡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무개의 지그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스무개의 지그에 대한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고 곡면 구조물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그를 다시 한번 더 조절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은 곡면 구조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곡면 구조물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종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15108호 (1999.05.2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재의 하면에 마련되는 지그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그에 의해 피가공재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갠트리부; 상기 갠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갠트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피가공재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공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내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측면을 따라 상기 가공지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위치로 슬라이딩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측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피가공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몸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볼 조인트(ball j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에 마련되는 제1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유닛은 기설정된 상기 작업 위치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X-ray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X-ray유닛은 상기 가공부에 X선을 조사하여 상기 가공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에 마련되는 제2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이 상기 X-ray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부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홀; 및 상기 진공홀과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갖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진공유닛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를 흡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상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작업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의 상측에는 상기 제2 레일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지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재는 탄소섬유복합재(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피가공재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지그의 숫자를 최소화하여 지그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의 숫자가 최소화되어 지그를 이용하여 피가공재를 고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지지부에 의해 가공부에 의해 가공되는 피가공재의 가공부위의 하면이 지지되기 때문에, 피가공재를 지지하는 지그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X선에 대한 투과성이 높은 탄소섬유복합재를 가공할 때, X-ray유닛을 이용하여 가공부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가공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는 베이스부(110), 가이드부(120), 갠트리부(130), 가공부(140), 안내부(150) 및 가공지지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시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베이스부(110)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에 피가공재(W)가 지그(115)에 의해 고정되도록 마련되면 모두 일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재(W)는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에 의해 가공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재(W)는 탄소섬유복합재(CFR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DFRP(Dyneema Fiber Reinforced Plastics), ZFRP(Zylon Fiber Reinforced Plastics), BFRP(Boron Fiber Reinforced Plastics), KFRP(Kevlar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M (Carbon Fiber Reinforced Metal) 등의 복합재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115)는 곡면을 갖는 상기 피가공재(W)의 하면과 밀착하여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하도록 볼 조인트(ball joint)를 갖는 유연 지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지그(115)의 구성 및 형상은 후술할 가공지지부(160)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115)는 상기 피가공재(W)를 고정하기 위해 피가공재(W)의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지그(115)는 상기 피가공재(W)를 고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수로 마련되고, 가공지지부(160)가 피가공재(W)의 하측에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위치가 선정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지그(115)의 위치 및 개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가이드레일(121)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후술할 갠트리부(130)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21)은 갠트리부(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갠트리부(130)가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양단에는 스토퍼(12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2)는 상기 가이드레일(121)로부터 상기 갠트리부(1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스토퍼(122)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갠트리부(130)가 상기 가이드레일(1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면 모두 일실시에에 포함된다.
상기 갠트리부(130)는 작업위치를 향해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20)에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갠트리부(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21)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수직부재(131), 수평부재(132) 및 리니어가이드(133)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재(131)는 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3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으로 마련된 상기 가이드레일(1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132)는 상기 수직부재(131)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재(131)와 상기 수평부재(132)가 마련된 상기 갠트리부(130)는 내측이 중공된 사각 프레임에서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갠트리부(130)의 형상이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니어가이드(133)는 상기 수평부재(132)의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부재(1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가이드(133)는 가공부(140)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리니어가이드(133)는 상기 가공부(140)가 상기 수평부재(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140)는 작업위치를 향해 갠트리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가공재(W)를 가공하도록 마련되며, 수평이동부재(141), 가공부몸체(143) 및 절삭유닛(14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이동부재(141)는 상기 갠트리부(130)의 상기 리니어가이드(133)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1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부재(141)는 승강홀(142)이 형성되어 상기 가공부몸체(143)가 상기 승강홀(14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몸체(143)는 상기 가공부(140)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가공부몸체(143)의 형상은 도시된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부몸체(143)는 상기 승강홀(142)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홀(142)에 결합될 수 있다. 단, 상기 가공부몸체(143)의 승강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가공부몸체(143)가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유닛(144)은 상기 가공부몸체(143)의 내부에 탑재되며,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삭유닛(144)은 바이트(bite)나 팁(tip)을 포함하는 절삭공구일 수 있으며, CRD(cutting, routing, drilling)장비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절삭유닛(144)은 피가공재(W)에 대한 홀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5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20)의 내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측면을 따라 상기 가공지지부(160)가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150)는 제1 레일(151) 및 제2 레일(152)을 포함한다.
제1 레일(151)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20)의 내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일(151)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레일(152)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152)은 상기 제1 레일(15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레일(152)은 상기 제1 레일(151)의 상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레일(15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일(152)의 상측에는 상기 가공지지부(160)가 마련되며, 상기 가공지지부(160)는 상기 제2 레일(152)의 상측면을 따라 상기 제2 레일(15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레일(15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공지지부(160)는 상기 제1 레일(151)과 상기 제2 레일(152)에 의해 작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단, 상기 가공지지부(160)를 이송하기 위한 상기 안내부(150)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가공지지부(160)가 자기 부상이나 로봇 등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가공지지부(160)는 상기 가공부(140)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며, 본체유닛(161), 고정유닛(162), 연결유닛(163) 및 제1 제어유닛(16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유닛(161)은 상기 안내부(150)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위치로 슬라이딩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유닛(161)은 제1 몸체(161a) 및 제2 몸체(16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161a)는 상기 제2 레일(15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상기 제2 레일(15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몸체(161b)는 상기 제1 몸체(16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몸체(161b)는 상기 제1 몸체(161a)와 다단 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절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지지부(160)는 상기 본체유닛(16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가공재(W)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유닛(162)는 상기 본체유닛(161)의 상측에 마련되며,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유닛(162)은 피가공재(W)와 접촉하여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162)은 상기 피가공재(W)에 대한 홀 가공을 수행하는 상기 절삭유닛(144)이 상기 피가공재(W)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유닛(162)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유닛(16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은 중공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62)의 종단면은 대략 상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유닛(162)은 대략 종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162)은 상기 가공부위에 발생하는 가공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W)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163)은 상기 본체유닛(161)과 상기 고정유닛(16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163)은 상기 고정유닛(162)이 상기 피가공재(W)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62)은 상기 연결유닛(163)에 의해 상기 본체유닛(161)의 상측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하며, 상기 피가공재(W)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고정유닛(162)은 상기 피가공재(W)가 가공될 때, 상기 절삭유닛(144)과 대향되어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163)은 볼 조인트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연결유닛(163)이 볼 조인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제어유닛(164)은 상기 본체유닛(16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유닛(164)은 기설정된 상기 작업 위치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161)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유닛(161)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제어유닛(164)에는 상기 가공부(140)가 상기 피가공재(W)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어유닛(164)은 미리 저장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161)을 이동시켜 상기 가공부(140)에 의해 가공이 수행되는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공지지부(160)는 상기 피가공재(W)를 더욱 단단히 지지하기 위해 진공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유닛은 진공홀(미도시) 및 진공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홀은 상기 고정유닛(162)이 곡면의 상기 피가공재(W)를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유닛(162)의 표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진공홀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펌프가 가동되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진공홀에 부압(흡인력)이 발생하여 고정유닛(162)의 표면에 피가공재(W)가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지지부(160)에는 압력 센서 등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공부(16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가공지지부(160)가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200)는 베이스부(210), 가이드부(220), 갠트리부(230), 가공부(240), 안내부(250) 및 가공지지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200)의 상기 베이스부(210), 상기 가이드부(220), 상기 갠트리부(230), 상기 가공부(240) 및 상기 안내부(250)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일실시예와 다른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인 가공지지부(260)를 중심으로 다른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공지지부(260)는 상기 가공부(240)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며, 본체유닛(261), 고정유닛(262), 연결유닛(263) 및 제2 제어유닛(26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유닛(261)은 상기 안내부(250)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위치로 슬라이딩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유닛(261)은 제1 몸체(261a) 및 제2 몸체(26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261a)는 상기 제2 레일(25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상기 제2 레일(25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몸체(261b)는 상기 제1 몸체(26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몸체(261b)는 상기 제1 몸체(261a)와 다단 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절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지지부(260)는 상기 본체유닛(26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가공재(W)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유닛(262)는 상기 본체유닛(261)의 상측에 마련되며,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고정유닛(262)은 피가공재(W)와 접촉하여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262)은 상기 피가공재(W)에 대한 홀 가공을 수행하는 상기 절삭유닛(244)이 상기 피가공재(W)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유닛(262)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유닛(26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은 중공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262)의 종단면은 대략 상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유닛(262)은 대략 종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62)은 상기 가공부위에 발생하는 가공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W)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263)은 상기 본체유닛(261)과 상기 고정유닛(26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263)은 상기 고정유닛(262)이 상기 피가공재(W)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262)은 상기 연결유닛(263)에 의해 상기 본체유닛(261)의 상측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하며, 상기 피가공재(W)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고정유닛(162)은 상기 피가공재(W)가 가공될 때, 상기 절삭유닛(144)과 대향되어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피가공재(W)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263)은 볼 조인트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연결유닛(263)이 볼 조인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공지지부(260)는 X-ray유닛(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ray유닛은 상기 본체유닛(26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부(240)에 X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가공부(24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X-ray유닛(265)은 연속해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서 상측으로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는 X선의 투과율이 높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재(W)가 탄소섬유복합재로 마련된 경우, X선은 상기 피가공재(W)를 통과하여 상기 피가공재(W)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가공부(240)에 도달할 수 있다. 즉, X-ray유닛(265)은 상기 가공부(240)의 위치를 X선을 조사하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공부(240)에는 X선의 흡수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표시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재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X-ray유닛(265)이 상기 가공부(240)를 향해 조사한 X선을 흡수하여 상기 X-ray유닛(265)이 상기 가공부(240)의 위치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유닛(264)은 상기 본체유닛(26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유닛(264)은 상기 X-ray유닛(265)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부(240)의 위치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261)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제어유닛(264)은 실시간으로 상기 가공부(240)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본체유닛(261)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공지지부(260)는 상기 피가공재(W)를 더욱 단단히 지지하기 위해 진공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유닛은 진공홀(미도시) 및 진공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홀은 상기 고정유닛(262)이 곡면의 상기 피가공재(W)를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유닛(262)의 표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진공홀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펌프가 가동되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진공홀에 부압(흡인력)이 발생하여 고정유닛(262)의 표면에 피가공재(W)가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200)는 상기 피가공재(W)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상기 지그(115,215)의 숫자를 최소화하여 상기 지그(115,215)의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200)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상기 지그(115,215)의 개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피가공재(W)를 고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100,200)는 상기 가공지지부(160,260)가 상기 가공부(140,240)에 의해 가공되는 상기 피가공재(W)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피가공재(W)를 지지하는 지그(115,215)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도, 항상 정밀한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110,210: 베이스부
115,215: 지그 120,220: 가이드부
121,221: 가이드레일 122,222: 스토퍼
130,230: 갠트리부 131,231: 수직부재
132,232: 수평부재 133,233: 리니어가이드
140,240: 가공부 141,241: 수평이동부재
142,242: 승강홀 143,243: 가공부몸체
144,244: 절삭유닛 150,250: 안내부
151,251: 제1 레일 152,252: 제2 레일
160,250: 가공지지부 161,261: 본체유닛
161a,261a: 제1 몸체 161b,261b: 제2 몸체
162,262: 고정유닛 163,263: 연결유닛
164: 제1 제어유닛 264: 제2 제어유닛
265: X-ray유닛 W: 피가공재

Claims (11)

  1. 지그에 의해 피가공재가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갠트리부;
    상기 갠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갠트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피가공재의 가공부위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공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내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측면을 따라 상기 가공지지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 위치로 슬라이딩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X-ray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X-ray유닛은 상기 가공부에 X선을 조사하여 상기 가공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상측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피가공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안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몸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볼 조인트(ball j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에 마련되는 제1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유닛은 기설정된 상기 작업 위치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상기 본체유닛에 마련되는 제2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이 상기 X-ray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부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지지부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홀; 및
    상기 진공홀과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갖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진공유닛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를 흡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상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작업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의 상측에는 상기 제2 레일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지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재는 탄소섬유복합재(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KR1020160128510A 2016-10-05 2016-10-05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KR10189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10A KR101897023B1 (ko) 2016-10-05 2016-10-05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10A KR101897023B1 (ko) 2016-10-05 2016-10-05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0A KR20180037820A (ko) 2018-04-13
KR101897023B1 true KR101897023B1 (ko) 2018-09-12

Family

ID=6197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10A KR101897023B1 (ko) 2016-10-05 2016-10-05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85A1 (ko) * 2018-11-19 2020-05-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그 배치를 고려한 가공 경로와 가공 순서를 이용한 cfrp 가공 방법 및 유연지그변형 방지구조가 적용된 가공장비
KR102133774B1 (ko) * 2018-11-19 2020-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연지그변형 방지구조가 적용된 가공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624A (ja) 2006-01-17 2007-08-02 Toshiba Ceramics Co Ltd 板材加工定盤
JP2012106303A (ja) * 2010-11-16 2012-06-07 Shin Nippon Koki Co Ltd 薄板ワークの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薄板ワークの加工装置
JP2014501625A (ja) 2010-11-05 2014-01-23 シー.エム.エス.エス.ピー.エー. 材料を除去することによりパネルまたは薄いプレートを軽量化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108B1 (ko) 1996-12-30 1999-08-16 추호석 강판의 곡면 가공 방법과 그 장치
FR2865953B1 (fr) * 2004-02-10 2006-08-04 Airbus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prehension et maintien localise d'un panneau mince, flexible, en particulier de forme complexe
KR101116418B1 (ko) * 2007-06-19 2012-03-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차원 대형 판부재 자동 경사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624A (ja) 2006-01-17 2007-08-02 Toshiba Ceramics Co Ltd 板材加工定盤
JP2014501625A (ja) 2010-11-05 2014-01-23 シー.エム.エス.エス.ピー.エー. 材料を除去することによりパネルまたは薄いプレートを軽量化する装置
JP2012106303A (ja) * 2010-11-16 2012-06-07 Shin Nippon Koki Co Ltd 薄板ワークの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薄板ワークの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0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667B2 (en) Molding die and method for molding composite material
KR101897023B1 (ko) 가공지지부를 갖는 복합가공장비
CN206484286U (zh) 一种可调节角度的夹具
WO2008091314A1 (en) Burrless flexible track drilling system and method having counterweight tool balancing system
US20100115749A1 (en) Flexible assembly for performing work on large surfaces
CN205629747U (zh) 一种自动焊接机
KR102133774B1 (ko) 유연지그변형 방지구조가 적용된 가공장비
CN105945496B (zh) 用于空间异型管路焊接的多点柔性夹持装置
CN104907892B (zh) 一种大型led灯安装框架的数控加工中心
CN208409179U (zh) 一种多头机床
KR101901969B1 (ko) 가공 성능이 우수한 복합가공장비
KR101276634B1 (ko) 캐터필러 트랙의 링크 보링가공장치
CN209905889U (zh) 一种等间距分离与合拢机构
KR101901975B1 (ko) 가공 성능이 우수한 복합가공장비
KR20180065599A (ko) 레이저 가공 흄 제거 장치
CN108818047A (zh) 一种智能型工件固定装置
CN106736207B (zh) 焊接工装
CN209532942U (zh) 一种三维磨削加工板材倒角的装置
US20220009047A1 (en) Method for machining cfrp using machining path and machining order in view of jig arrangement and machining equipment having flexible jig deformation preventing structure applied thereto
CN208051725U (zh) 一种新型夹具快速更换装置
RU173275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длинномерных устройств
CN106182188B (zh) 一种五轴联动曲线板材加工中心
CN110170984A (zh) 一种并联加工平台机器人
CN214655154U (zh) 一种表面超声强化装置
TWM536118U (zh) 平衡式雙軸向滑台加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