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856B1 -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856B1
KR101896856B1 KR1020177020713A KR20177020713A KR101896856B1 KR 101896856 B1 KR101896856 B1 KR 101896856B1 KR 1020177020713 A KR1020177020713 A KR 1020177020713A KR 20177020713 A KR20177020713 A KR 20177020713A KR 101896856 B1 KR101896856 B1 KR 10189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instruction
port
button structur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919A (ko
Inventor
판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1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lectrical connections to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2Plu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3Connections via return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02Switch site location superimpo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8Consecutiv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Abstract

연결 요소, 가압 요소, 및 연결 요소와 가압 요소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요소를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가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요소는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될 때 가압 요소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연결 요소는 인스트럭션 송신 단자 및 전류 송신 단자와 데이터 송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가압 요소는 인스트럭션 트리거 단자 및 전류 송신 핀과 데이터 송신 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전류 송신 핀은 전류 송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데이터 송신 핀은 데이터 송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인스트럭션 트리거 단자는 가압 요소가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될 때 인스트럭션 송신 단자와 접촉하고 인스트럭션 송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본 개시는 단말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수의 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한다. 버튼은 버튼 기능만 가지며, 인스트럭션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회로를 닫거나 차단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다. 버튼은 단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단말기의 구조적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 또한, 현재 다수의 단말기는 버튼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전력 액세스 기능 또는 전력 출력 기능, 또는 데이터 입력 기능 및 데이터 출력 기능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이동 전화기, 컴퓨터, 이동 전력 팩, 이동 저장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는 전력과 데이터 모두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U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은 복잡하고, 단말기의 공간이 점유되며, 단말기의 외관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인터페이스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므로, 먼지 또는 불순물이 단말기의 내부로 들어가기 쉽고, 이는 단말기의 서비스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버튼 구조체는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고 단말기의 구조적 공간을 절약할 수도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예컨대, 중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1740250호 및 중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제10104261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버튼 구조체를 제공한다. 버튼 구조체는 연결 요소와, 가압 요소와, 연결 요소 및 가압 요소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는 가압 요소가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된 후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요소는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 및 전류 송신 포트와 데이터 송신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가압 요소는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 및 전류 송신 핀과 데이터 송신 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전류 송신 핀은 전류 송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출력하거나 입력한다. 데이터 송신 핀은 데이터 송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한다. 가압 요소가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될 때,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는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와 접촉하여 인스트럭션 송신을 트리거한다.
본 개시는 또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위 버튼 구조체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수용 캐비티를 정의한다. 연결 요소는 수용 캐비티 내에 고정되고, 가압 요소는 수용 캐비티 밖으로 노출된다.
본 개시의 버튼 구조체 및 버튼 구조체를 사용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가압 요소의 전류 송신 핀과 연결 요소의 전류 송신 포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버튼 구조체의 전류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가압 요소의 데이터 송신 핀과 연결 요소의 데이터 송신 포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버튼 구조체의 데이터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압 요소가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 된 후에,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와 접촉하여 버튼 구조체의 인스트럭션 송신 기능이 구현되므로, 버튼 구조체가 다양한 기능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이며, 당업자에게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버튼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작동 상태에서 도 4의 버튼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2 작동 상태에서 도 4의 버튼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3 작동 상태에서 도 4의 버튼 구조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버튼 구조체의 탄성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4의 버튼 구조체의 탄성 요소의 제 1 개선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버튼 구조체의 탄성 요소의 제 2 개선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이하에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는 버튼 구조체(100)를 제공한다.
버튼 구조체(100)는 연결 요소(10), 가압 요소(20), 및 연결 요소(10)와 가압 요소(2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는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를 향해 가압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요소(10)는 전류 송신 포트(11)와 데이터 송신 포트(12)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를 구비한다. 가압 요소(20)는 전류 송신 핀(21)과 데이터 송신 핀(22) 중 적어도 하나와 및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를 구비한다. 전류 송신 핀(21)은 전류 송신 포트(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출력하거나 입력한다. 데이터 송신 핀(22)은 데이터 송신 포트(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한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를 향해 가압된 후,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와 접촉하여 인스트럭션 송신을 트리거한다.
가압 요소(20)의 전류 송신 핀(21)과 연결 요소(10)의 전류 송신 포트(11)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버튼 구조체(100)의 전류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가압 요소(20)의 데이터 송신 핀(22)과 연결 요소(10)의 데이터 송신 포트(12)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버튼 구조체(100)의 데이터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를 향해 가압된 후에,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와 접촉하고, 버튼 구조체(100)의 인스트럭션 송신 기능이 구현되므로, 버튼 구조체(100)는 다양한 기능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0)는 집적 회로 기판이다. 연결 요소(10)는 전류 송신 회로와 데이터 송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 요소(10)는 전류 송신 회로와 데이터 송신 회로 양자 모두 및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를 구비하며, 즉 연결 요소(10)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획득하여 다양한 전기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전원에서 전기 디바이스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연결 요소(10)는 또한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연결 요소(10)는 중앙 처리 유닛에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수 있다. 연결 요소(10)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전자 앨범, 뮤직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류 송신 포트(11), 데이터 송신 포트(12),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전류 송신 회로, 데이터 송신 회로 및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된다. 연결 요소(10)는 전류 송신 포트(11)를 전원에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포트(12)를 저장 디바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여러 가지 음악 데이터,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를 통해 단말기에 스위치 인스트럭션, 볼륨 조절 인스트럭션, 밝기 조절 인스트럭션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0)는 전류 송신 포트(11)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10)는 이동 전력 팩에 사용된다. 연결 요소(10)는 이동 전력 팩의 전기를 이동 전화기 또는 태블릿 컴퓨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연결 요소(10)는 또한 이동 전력 팩에 폐쇄 인스트럭션, 개방 인스트럭션 또는 전기 디스플레이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수 있다. 연결 요소(10)는 데이터 송신 포트(12)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연결 요소(10)는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압 요소(20)는 전류 송신 핀(21) 및/또는 데이터 송신 핀(22)을 통해 전원 및/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 요소(20)가 단말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USB 커넥터를 갖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원 및/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가압 요소(20)는 전류 송신 핀(21)과 데이터 송신 핀(22)을 포함한다. 전류 송신 핀(21)과 데이터 송신 핀(22)은 도전체를 통해 직접 전류 송신 포트(11)와 데이터 송신 포트(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류 송신 포트(11)와 데이터 송신 포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0)가 전류송신 포트(11)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데이터 송신 포트(12)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을 포함하면, 가압 요소(20)는 또한 전류 송신 핀(21) 및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데이터 송신 핀(22) 및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요소(20)는 연결 요소(10)에 대해 배치되고, 연결 요소(10)에 가까워지거나 연결 요소(10)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로부터 멀리 떨어질 때,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연결 요소(10)의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는 개방 상태에 있다. 이 때, 버튼 구조체(100)는 단말기에 인스트럭션을 송신하지 않고, 단말기의 작동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에 가까워지면,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와 접촉하므로, 연결 요소(10)의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가 폐쇄 상태가 되어 인스트럭션 송신을 트리거하고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변경한다. 가압 요소(20)는 단말기의 전원 버튼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가압 요소(20)를 가압함으로써, 단말기는 전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것과 같이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송신 포트(11)는 제 1 애노드(111) 및 제 1 캐소드(112)를 포함한다. 전류 송신 핀(21)은 제 1 포지티브 핀(211) 및 제 1 네거티브 핀(212)을 포함한다. 제 1 포지티브 핀(211)은 제 1 애노드(111)에 연결되고 제 1 네거티브 핀(212)은 제 1 캐소드(112)에 연결된다.
구현 방법으로, 제 1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대응하여 전력 소비 디바이스(11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전력 소비 디바이스(113)에 전류를 입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류 송신 핀(21)의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제 1 네거티브 핀(212)은 대응하여 전력 공급 디바이스(21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송신 포트(11)의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대응하여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제 1 네거티브 핀(212)을 통해 전력 공급 디바이스(21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되므로,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전력 공급 디바이스(213)에 연결되도록 인에이블되고, 전력 공급 디바이스(213)의 전력이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를 통해 전력 소비 디바이스(113)로 전송된다. 전력 소비 디바이스(113)는 단말기의 전자 구성요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앙 처리 유닛, 스피커, 내장 배터리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포지티브 핀(211) 및 제 1 네거티브 핀(212)은 각각 USB 인터페이스의 D + 및 D- 핀일 수 있으며, 전원 공급 디바이스(213)는 예를 들어 이동 전력 팩, 전력 그리드에 연결된 전력 소켓, 배터리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류 송신 핀(21)은 또한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전류 송신 포트(11)는 또한 접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지 전극은 접지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데이터 송신 포트(12)는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핀(22)은 제 2 포지티브 핀(221)과 제 2 네거티브 핀(222)을 포함한다. 제 2 포지티브 핀(221)은 제 2 애노드(121)에 연결되고,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제 2 캐소드(122)에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송신 포트(12)의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는 대응하여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정보는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를 통해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에 입력되거나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핀(22)의 제 2 포지티브 핀(221)과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대응하여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포트(12)의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는 제 2 포지티브 핀(221)과 제 2 네거티브 핀(222)을 통해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되어,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는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에 연결되도록 인에이블되므로,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는 제 2 애노드(121)와 제 2 캐소드(122)를 통해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와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 사이의 데이터 상호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23)는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전자 판독기 등과 같은 단말기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각각 USB 인터페이스의 DATA+ 핀 및 DATA- 핀일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23)는 컴퓨터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는 모바일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노트북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고, 제 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전자 판독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적어도 하나의 정적 콘택트를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콘택트를 포함한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20)를 향해 가압된 후에, 가동 콘택트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의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정적 콘택트와 접촉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제 1 정적 콘택트(131)를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제 1 가동 콘택트(231)를 포함한다. 제 1 정적 콘택트(131)는 연결 요소(10)의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종단에 배치된다. 제 1 가동 콘택트(231)는 도전체(도시 생략)를 통해 연결 요소(10)의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다른 종단에 연결된다.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폐쇄는 제 1 가동 콘택트(231)가 제 1 정적 콘택트(131)와 접촉할 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펄스 신호가 생성되고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인스트럭션을 송신한다. 가압 요소(10)는 전원을 턴온 또는 턴 오프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2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대응하여 전원 디바이스(113a)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전류는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를 통해 전원 디바이스(113a)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전류 송신 핀(21)의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제 2 네거티브 핀(212)은 대응하여 전력 소비 디바이스(213a)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송신 포트(11)의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는 대응하여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제 1 네거티브 핀(212)을 통해 전력 소비 디바이스(213a)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연결되어, 제 1 애노드(111) 및 제 1 캐소드(112)는 전력 소비 디바이스(213a)에 연결되므로, 전원 디바이스(113a)의 전력이 제 1 애노드(111)와 제 1 캐소드(112)를 통해 전력 소비 디바이스(213a)로 전송될 수 있다. 전원 디바이스(113a)는 이동 전력 팩, 이동 전력 팩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기, 배터리 어셈블리, 전력 그리드에 연결된 전력 소켓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 1 포지티브 핀(211) 및 제 1 네거티브 핀(212)은 각각 USB 인터페이스의 D+ 및 D- 핀일 수 있다. 전력 소비 디바이스(213a)는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전자 사진 앨범, 전자 판독기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류 송신 핀(21)은 또한 접지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전류 송신 포트(11)는 또한 접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지 전극은 접지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2개의 제 1 정적 콘택트(131)를 포함하고,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2개의 제 1 가동 콘택트(231)를 포함한다. 2개의 제 1 정적 콘택트(131)는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2개의 종단 상에 배치된다. 2개의 제 1 가동 콘택트(231)는 도전체의 2개의 종단에 배치된다. 도전체는 가압 요소(20)의 종단에 고정되고, 가압 요소(20)의 종단은 연결 요소(10)에 인접하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를 향해 가압된 후, 2개의 제 1 가동 콘택트(231)는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대응하여 2개의 제 1 정적 콘택트(131)와 접촉하고,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를 트리거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므로,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인스트럭션을 송신한다.
제 3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제 1 정적 콘택트(131) 및 제 2 정적 콘택트(132)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23)는 제 1 가동 콘택트(231) 및 제 2 가동 콘택트(232)를 포함한다. 1 정적 콘택트(131)는 연결 요소(10)의 제 1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종단 상에 배치되고, 제 2 정적 콘택트(132)는 연결 요소(10)의 제 2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종단에 배치된다. 제 1 가동 콘택트(231)는 제 1 도전체(도시 생략)를 통해 제 1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다른 종단에 연결되고, 제 2 가동 콘택트(232)는 제 2 도전체(도시 생략)를 통해 제 2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의 다른 종단에 연결된다. 가압 요소(20)가 연결 요소(10)를 향해 가압된 후, 제 1 가동 콘택트(231)는 제 1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가 폐쇄되도록 제 1 정적 콘택트(131)와 접촉하고, 제 1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는 제 1 펄스 신호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되므로,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제 1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수 있다. 제 2 가동 콘택트(231)가 제 2 정적 콘택트(232)와 접촉할 때, 제 2 인스트럭션 송신 회로는 제 2 펄스 신호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되므로,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제 2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가동 콘택트(231)가 제 1 정적 콘택트(131)와 접촉하는 시점은 제 2 가동 콘택트(232)가 제 2 정적 콘택트(132)와 접촉하는 시점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가압 요소(10)는 단말기의 볼륨 버튼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볼륨은 제 1 인스트럭션을 통해 증가하도록 제어되고, 볼륨은 제 2 인스트럭션을 통해 감소하도록 제어된다. 또는, 가압 요소(10)는 단말기의 밝기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는 제 1 도전성 슈라프넬(shrapnel)(31) 및 제 2 도전성 슈라프넬(32)을 포함한다. 제 1 도전성 슈라프넬(31)은 제 1 애노드(111)와 제 1 포지티브 핀(211)에 연결되고, 제 2 도전성 슈라프넬(32)은 제 1 캐소드(112) 및 제 1 네거티브 핀(212)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는 제 3 도전성 슈라프넬(33)과 제 4 도전성 슈라프넬(34)을 더 포함한다. 제 3 도전성 슈라프넬(33)은 제 2 애노드(121)와 제 2 포지티브 핀(221)에 연결되고, 제 4 도전성 슈라프넬(33)은 제 2 캐소드(122)와 제 2 네거티브 핀(222)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제 1 도전성 슈라프넬(31)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제 1 도전성 슈라프넬(31)은 연결 요소(10)와 가압 요소(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제 1 애노드(111)와 제 1 포지티브 핀(211) 사이에 전기 접속을 구현하도록, 즉, 제 1 애노드(111)와 제 1 포지티브 핀(211) 사이의 도전체가 탄성 요소(30)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 애노드(111)와 제 1 포지티브 핀(211) 사이의 도전체일 수 있다. 제 2 도전성 슈라프넬(32), 제 3 도전성 슈라프넬(33) 및 제 4 도전성 슈라프넬(34)의 구조는 제 1 도전성 슈라프넬(3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구조체(100)의 연결 요소 (10)가 전류 송신 포트(11)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 포함하거나, 데이터 송신 포트(12)와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만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도 제 1 도전성 슈라프넬과 제 2 도전성 슈라프넬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 3 도전성 슈라프넬과 제 4 도전성 슈라프넬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는 제 1 탄성 요소(311)를 포함한다. 제 1 탄성 요소(311)는 직사각형의 스프링이며, 제 1 탄성 요소(311)의 2개의 종단은 각각 연결 요소(10)와 가압 요소(20)에 고정된다. 제 1 애노드(111)는 제 1 플렉시블 케이블(111a)을 통해 제 1 포지티브 핀(211)에 연결되고, 제 1 캐소드(112)는 제 2 플렉시블 케이블(121a)을 통해 제 1 네거티브 핀(212)에 연결된다. 제 1 플렉시블 케이블, 제 2 플렉시블 케이블 및 제 1 탄성 요소(311)는 서로 절연되도록 배치된다.
제 3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30)는 제 1 고무 패드(311a) 및 제 2 고무 패드(312a)를 포함한다. 제 1 고무 패드(311a) 및 제 2 고무 패드(312a)는 둘 다 연결 요소(10)와 가압 요소(20) 사이에 고정된다. 제 1 고무 패드(311a)는 제 1 가동 콘택트(231)에 인접하며,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가동 콘택트(231)로 하여금 제 1 정적 콘택트(131)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고무 패드(312a)는 제 2 가동 콘택트(232)에 인접하고,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2 가동 콘택트(232)로 하여금 제 2 정적 콘택트(132)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압 요소(10)는 제 1 가동 콘택트(231)와 제 2 가동 콘택트(232)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압 요소(20)는 전면(20a) 및 전면(20a)에 대향하는 후면(20b)을 포함한다. 후면(20b)은 연결 요소(10)를 향한다. 전면(20a)은 제 1 삽입부(201a)를 구비한다. 전류 송신 핀(21) 및 데이터 송신 핀(22) 중 적어도 하나는 후면(20b)에서 전면(20a)까지 연장되어 전원과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과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삽입부(202a)를 포함하고, 제 2 삽입부(202a)는 제 1 삽입부(201a)에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가압 요소(20)는 직사각형 판이다. 제 1 삽입부(201a)는 평면이고, 제 2 삽입부(202a)는 평면이다. 제 1 자기층(N)은 제 1 삽입부(201) 상에 배치되고, 제 2 자기층(S)은 제 2 삽입부(202a) 상에 배치된다. 제 1 삽입부(201a)가 제 2 삽입부(202a)에 가까워질 때, 가압 요소(20)의 제 1 삽입부(201a) 및 제 2 삽입부(202a)는 2개의 자기층을 통해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진다. 제 2 삽입부(202a)는 전원 디바이스의 플러그 또는 데이터 라인의 플러그임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에서, 가압 요소(20)의 전면(20a)은 4 개의 잭(202)을 구비한다.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각각 후면(20b)으로부터 4개의 잭(202)까지 연장된다.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모두 중공관(hollow tube)이다. 제 2 삽입부(202a)는 4개의 삽입 기둥(insertion post)(203)을 구비한다. 4개의 삽입 기둥(203)은 케이블의 연결 단자이다. 4개의 삽입 기둥(203)이 4개의 잭(202)에 대응하여 삽입되어,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이 전원과 데이터 소스에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포지티브 핀(211)을 예로 들면, 후면(20b)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포지티브 핀(211)의 종단면은 전면(20a)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어, 삽입 기둥(203)이 제 1 포지티브 핀에 삽입되는 경우, 제 1 포지티브 핀(211)은 삽입 기둥(203)을 캡슐화함으로써,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삽입 기둥(203)의 접촉 영역을 확장하므로, 제 1 포지티브 핀(211)과 삽입 기둥(203)의 도전성은 훨씬 우수하다.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의 구조는 제 1 포지티브 핀(22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은 또한 기둥일 수 있다. 후면(20b)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의 종단면은 모두 잭(2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면(20a)은 제 1 포지셔닝부(201b)를 구비한다. 전원과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포지셔닝부(202b)를 포함한다. 제 2 포지셔닝부(202b)는 제 2 삽입부(202a)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 2 포지셔닝부(202b)는 제 1 포지셔닝부(201b)와 정합되어 제 1 삽입부(201a)를 제 2 삽입부(202a)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포지셔닝부(201b)는 삽입 슬롯이고, 제 2 포지셔닝부(202b)는 돌기(boss)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포지셔닝부(201)는 포지셔닝 기둥일 수도 있고, 제 2 포지셔닝부는 포지셔닝 구멍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가압 요소(20)는 절연 층(24)을 갖는다. 전류 송신 핀(21)과 데이터 송신 핀(22)은 절연 층(24)을 통해 서로 절연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층(24)은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의 주변 측면을 캡슐화한다. 제 1 자기층(N)은 절연 층(24)을 캡슐화한다.
실시예에서, 버튼 구조체(100)는 3개의 사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구조체(100)는 제 1 사용 상태에 있다. 제 2 삽입부(202a)는 가압 요소(20)의 제 1 삽입부(201)에 삽입되지 않으며, 버튼 구조체(100)는 전력 및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그러나, 가압 요소(20)는 인스트럭션을 송신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즉,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동작이 구현될 수 있거나, 기동 또는 셧다운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삽입부(202a)는 가압 요소(20)의 제 1 삽입부(201a)에 삽입되고, 버튼 구조체(100)는 전력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삽입부(202a)는 가압 요소(20)의 제 1 삽입부(201a)에 삽입되며, 그 동안에, 가압 요소(20)는 연결 요소(10)에 가까워져서, 인스트럭션을 송신하도록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를 트리거한다. 즉, 버튼 구조체(100)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 및 충전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동작 또는 기동 또는 셧다운 동작도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삽입부(201)는 삽입 슬롯이고, 제 2 삽입부(202a)는 돌기이다. 예를 들어, 제 1 삽입부(201a)는 표준 USB 소켓(도시 생략)일 수 있고, 제 2 삽입부(202a)는 표준 USB 플러그(도시 생략)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요소(30)는 아치형의 구부러진 로드(an arc-shaped bent rod)이다. 탄성 요소(30)는 가압 요소(20)에 고정된 제 1 종단(30a) 및 연결 요소(10)에 고정된 제 2 종단(30b)을 포함한다. 2개의 탄성 요소(30)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요소(30)의 제 2 종단(30b)은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2개의 탄성 요소(30)의 제 2 종단(30b)들은 엇갈린 방식으로 배치되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의 양측부에 분포된다. 탄성 요소(30)의 제 1 종단(30a)은 원통형이다. 이와 달리, 4개의 탄성 요소(30)가 포함될 수 있다. 4개의 탄성 요소(30)의 4개의 제 1 종단(30a)은 각각 제 1 포지티브 핀(211), 제 1 네거티브 핀(212), 제 2 포지티브 핀(221) 및 제 2 네거티브 핀(22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 요소(30)는 가압 요소(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요소(30)의 제 2 종단(30b)은 직선 판이고, 탄성 요소(30)의 4개의 제 2 종단(30b)은 대응하여 각각 연결 요소(10)의 제 1 애노드(111), 제 1 캐소드(112), 제 2 애노드(121) 및 제 2 캐소드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의 제 1 개선된 방법에서,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요소(30)의 제 1 종단(30a)은 플러그 형상이다. 탄성 요소(30)의 제 1 종단(30a)은 가압 요소(20) 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탄성 요소(30)의 교체가 용이하다.
제 1 실시예의 제 2 개선된 방법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요소(30)는 구형 셸(a spherical shell)의 1/8이고, 제 1 종단(30a)은 원통형이며, 제 2 종단(30b)은 원형 링의 1/4이다. 제 2 종단(30b)은 제 1 종단(30a)의 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 1 종단(30a)과 제 2 종단(30b) 사이에, 구형의 얇은 측벽의 1/8이 존재한다. 제 2 종단(30b)의 구조는 제 1 종단(30a)보다 더 안정적이어서 탄성 요소(30)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는 또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버튼 구조체(1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하우징(500)은 수용 캐비티(501)를 정의한다. 연결 요소(10)는 수용 캐비티(501) 내에 고정된다. 가압 요소(20)는 수용 캐비티(501) 밖으로 노출된다. 단말기는 이동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전자 책 판독기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우징(500)은 단말기의 껍데기이다. 수용 캐비티(501)는 안테나, 칩, 저장 카드, 단말기의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 요소(10)는 안테나, 칩, 저장 카드, 배터리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송신하며,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수 있다. 가압 요소(20)가 수용 캐비티(501)를 향해 가압될 때, 인스트럭션 트리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수용 캐비티(501)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40)도 포함한다. 연결 요소(10)는 커버 플레이트(40)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가압 요소(20)는 커버 플레이트(40)에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40)는 연결 요소(10)에 인접하여 변형 가능하다. 커버 플레이트(40)는 가압 요소(20)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0)는 관통 홀(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가압 요소(20)의 주변 측면에는 잠금부(latching portion)(25)가 제공된다. 잠금부(25)는 관통 홀과 맞물려서, 가압 요소(20)가 커버 플레이트(40)에 밀봉 연결되게 하고, 가압 요소(20)는 하우징(500)에 더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어서 가압을 구현할 때 방진 및 방수의 목적을 실현하므로, 단말기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600)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700)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처리 디바이스(800)를 더 포함한다. 전류 송신 포트(11)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 송신 포트(12)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13)는 인스트럭션 처리 디바이스(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말기가 이동 전화기인 경우, 전력 저장 디바이스(600)는 재활용될 수 있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700)는 메모리 카드 또는 보안 디지털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인스트럭션 처리 디바이스(800)는 중앙 처리 유닛(CPU)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하는 단말기는 가압 요소의 전류 송신 핀과 연결 요소의 전류 송신 포트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전류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가압 요소의 데이터 송신 핀과 연결 요소의 데이터 송신 포트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통해 데이터 출력 또는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요소가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될 때,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는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와 접촉하여 인스트럭션 송신 기능을 구현하므로 버튼 구조체가 다양한 기능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구현 방법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선 및 수정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개선 및 수정은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Claims (16)

  1. 버튼 구조체로서,
    연결 요소와,
    가압 요소와,
    상기 연결 요소 및 상기 가압 요소에 연결된 탄성 요소 - 상기 탄성 요소는 상기 가압 요소가 상기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된 후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함 -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요소는 전류 송신 포트와 데이터 송신 포트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요소는 전류 송신 핀과 데이터 송신 핀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송신 핀은 상기 전류 송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출력하거나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핀은 상기 데이터 송신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하며, 상기 가압 요소가 상기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될 때, 상기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는 상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와 접촉하여 인스트럭션 송신을 트리거하는
    버튼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전류 송신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요소는 상기 전류 송신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류 송신 포트는 제 1 애노드 및 제 1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송신 핀은 제 1 포지티브 핀 및 제 1 네거티브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포지티브 핀은 상기 제 1 애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네거티브 핀은 상기 제 1 캐소드에 연결되는
    버튼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제 1 도전성 슈라프넬(shrapnel) 및 제 2 도전성 슈라프넬(shrapnel)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슈라프넬(shrapnel)은 상기 제 1 애노드 및 상기 제 1 포지티브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도전성 슈라프넬(shrapnel)은 상기 제 1 캐소드 및 상기 제 1 네거티브 핀에 연결되는
    버튼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데이터 송신 포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 요소는 상기 데이터 송신 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포트는 제 2 애노드 및 제 2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핀은 제 2 포지티브 핀 및 제 2 네거티브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포지티브 핀은 상기 제 2 애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네거티브 핀은 상기 제 2 캐소드에 연결되는
    버튼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제 3 도전성 슈라프넬 및 제 4 도전성 슈라프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도전성 슈라프넬은 상기 제 2 애노드 및 상기 제 2 포지티브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도전성 슈라프넬은 상기 제 2 캐소드 및 상기 제 2 네거티브 핀에 연결되는
    버튼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정적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트리거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콘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요소가 상기 연결 요소를 향해 가압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콘택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적 콘택트와 접촉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의 송신을 트리거하는
    버튼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복수의 아치형의 구부러진 로드(an arc-shaped bent rod)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치형의 구부러진 로드 각각은 상기 가압 요소에 고정된 제 1 종단 및 상기 연결 요소에 고정된 제 2 종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아치형의 구부러진 로드의 상기 제 2 종단은 상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의 양측부에 엇갈린 방식으로 분포되고, 상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의 양측부 중 동일 측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종단은 직선을 따라 배치되는
    버튼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상기 연결 요소를 향하며, 상기 전면은 제 1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송신 핀과 상기 데이터 송신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면으로부터 상기 전면까지 연장되어 전원과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과 상기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삽입부는 상기 제 1 삽입부에 연결되는
    버튼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은 제 1 포지셔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과 상기 데이터 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포지셔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포지셔닝부는 상기 제 2 삽입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포지셔닝부는 상기 제 1 포지셔닝부와 정합되어 상기 제 1 삽입부를 상기 제 2 삽입부에 위치시키는
    버튼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부는 삽입 슬롯이고, 상기 제 2 삽입부는 돌기(boss)인
    버튼 구조체.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지셔닝부는 삽입 슬롯이고, 상기 제 2 포지셔닝부는 돌기인
    버튼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의 상기 제 1 삽입부와 상기 제 2 삽입부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는
    버튼 구조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는 절연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송신 핀과 상기 데이터 송신 핀은 상기 절연 층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버튼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버튼 구조체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수용 캐비티를 정의하며,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 요소는 상기 수용 캐비티 밖으로 노출되는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용 캐비티를 밀봉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압 요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요소에 인접하여 변형 가능한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력 저장 디바이스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스트럭션 처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송신 포트는 상기 전력 저장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포트는 상기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스트럭션 송신 포트는 상기 인스트럭션 처리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말기.
KR1020177020713A 2014-12-25 2014-12-25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KR101896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4959 WO2016101210A1 (zh) 2014-12-25 2014-12-25 按键结构及其应用的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919A KR20170098919A (ko) 2017-08-30
KR101896856B1 true KR101896856B1 (ko) 2018-10-18

Family

ID=5572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713A KR101896856B1 (ko) 2014-12-25 2014-12-25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9326B2 (ko)
EP (1) EP3240002B1 (ko)
JP (1) JP6499762B2 (ko)
KR (1) KR101896856B1 (ko)
CN (1) CN105518816B (ko)
WO (1) WO2016101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9595B1 (en) * 2017-09-08 2021-04-21 Sateco AG A button assembly
US10566722B2 (en) * 2018-07-18 2020-02-18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Float-type connecting module and float-type docking device having the module
CN109019204B (zh) * 2018-08-10 2020-09-15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按钮安装座及电梯按钮装置
KR20220000078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2611A (zh) 2006-03-24 2007-09-26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触摸板按键结构及其使用方法
CN101740250A (zh) 2008-11-27 2010-06-1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平面式按键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176A (en) * 1975-06-11 1977-07-05 Magic Dot, Inc. Membrane switch apparatus
JPS642329U (ko) * 1987-06-24 1989-01-09
JP2518874B2 (ja) * 1987-11-19 1996-07-31 三田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JPH01134366U (ko) * 1988-03-07 1989-09-13
JP2940094B2 (ja) * 1990-07-25 1999-08-25 ソニー株式会社 充電装置
AU627996B2 (en) * 1990-08-07 1992-09-03 Fujitsu Limited Portable telephone set
JP2515444B2 (ja) * 1991-05-31 1996-07-10 富士通株式会社 電話機
US5536911A (en) * 1995-06-30 1996-07-16 Scientific-Atlanta, Inc. Low force multi-direc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JP2000224280A (ja) * 1999-01-28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JP2000236378A (ja) * 1999-02-16 2000-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JP4414037B2 (ja) * 1999-12-28 2010-02-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スイッチ装置
US6262378B1 (en) * 2000-05-03 2001-07-17 Shin Jiuh Corp. Rotary switch
US6303887B1 (en) * 2001-02-23 2001-10-16 Shin-Etsu Polymer Co., Ltd. Pushbutton switch element for pushbutton switch structure
JP2004311127A (ja) * 2003-04-03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接点ばね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4102696B2 (ja) * 2003-04-10 2008-06-1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入力装置の放熱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てなる携帯電話機器
JP4245512B2 (ja) * 2004-05-24 2009-03-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20060146027A1 (en) * 2004-12-31 2006-07-06 Tracy James L Keypad and button mechanism having enhanced tactility
US9142369B2 (en) * 2005-03-1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Stack assembly for implementing keypa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0827090B1 (ko) * 2006-07-14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US20090111320A1 (en) * 2007-10-30 2009-04-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nhance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N101599380B (zh) * 2008-06-04 2013-01-16 联想(北京)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有这种按键结构的电子设备
US8545247B2 (en) * 2011-06-30 2013-10-01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73410B1 (ko) * 2011-11-03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TWM467231U (zh) * 2012-11-09 2013-12-01 J S T Mfg Co Ltd 電連接構件、可攜式電子設備及電連接器
JP5912189B2 (ja) 2012-11-30 2016-04-27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US9559456B2 (en) * 2013-03-15 2017-01-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4979720B (zh) * 2014-04-08 2017-07-28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连接器结构
CN105098430B (zh) * 2014-05-13 2017-08-15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具有浮动式连接器的连接装置
WO2016075901A1 (ja) * 2014-11-14 2016-05-1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キーボードおよび電子機器
WO2016143607A1 (ja) * 2015-03-09 2016-09-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2611A (zh) 2006-03-24 2007-09-26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触摸板按键结构及其使用方法
CN101740250A (zh) 2008-11-27 2010-06-1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平面式按键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4826A (ja) 2018-02-15
CN105518816B (zh) 2017-09-08
CN105518816A (zh) 2016-04-20
KR20170098919A (ko) 2017-08-30
WO2016101210A1 (zh) 2016-06-30
US10439326B2 (en) 2019-10-08
EP3240002A4 (en) 2018-07-18
US20180013244A1 (en) 2018-01-11
EP3240002B1 (en) 2019-05-08
JP6499762B2 (ja) 2019-04-10
EP3240002A1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KR101163997B1 (ko) 삽입 감지용 유에스비 커넥터
US10291057B2 (en) Head-wearable displaying and powering system
KR101896856B1 (ko)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CN107331896B (zh) 一种锂电池及充电宝
US20150011099A1 (en) Portable device's protecting case having sliding connector
KR20130132229A (ko) 접촉식 휴대용 전원 장치
KR102080435B1 (ko) 다목적 충전 구조체
US20170005521A1 (en) Connection tip and protecting case for portable device
US8317528B2 (en)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CN204538426U (zh) 手机u盘
CN105762582A (zh) 一种usb连接插头
CN205212066U (zh) 内置磁铁的移动式存储装置
CN110602286A (zh) 电子设备、传感器扩展装置和电子设备组件
CN209897239U (zh) 颈挂式换电蓝牙耳机
CN112516586B (zh) 复合式手把
KR101800814B1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30042253A (ko) 휴대단말 충전용 케이블 어셈블리
CN102347534B (zh) 智能电连接器
US20150180147A1 (en) Combo connector for micro sd and micro usb/ssic thin cards
CN218041433U (zh) 一种可扩展功能的手机结构
CN210897905U (zh) 一种拓展坞
CN211239404U (zh) 充电系统
CN213242875U (zh) 电连接接口及电子设备
CN213905769U (zh) 充电座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