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98B1 -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98B1
KR101896498B1 KR1020160161055A KR20160161055A KR101896498B1 KR 101896498 B1 KR101896498 B1 KR 101896498B1 KR 1020160161055 A KR1020160161055 A KR 1020160161055A KR 20160161055 A KR20160161055 A KR 20160161055A KR 101896498 B1 KR101896498 B1 KR 101896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lot forming
battery pack
slo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649A (ko
Inventor
최상준
노환익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6016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01M2/1005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는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구성품을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부재와 몸체를 포함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이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슬롯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성품을 한 번에 복수 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Moving case of the component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s}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의 차량 배터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핵심 부품이다. 전기 자동차의 차량 배터리 팩은 셀 패키지 등의 구성품이 결합되어 제조된다. 배터리 팩에 관한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의 문헌들이다.
종래의 문헌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성능 및 기능 향상에 관해서만 언급될 뿐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작업의 공정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배터리 팩을 제조하기 전 공정인 상기 구성품을 이동하는 공정에서 기존의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구성품을 들고 상기 구성품이 위치한 장소에서 배터리 팩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고, 작업자가 직접 배터리 팩에 삽입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동할 경우, 하나의 배터리 팩을 제작하기 위해 복수 개의 구성품이 필요하므로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을 이동하기 위해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상기 구성품을 이동 중 떨어뜨리게 되면, 상기 구성품이 훼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부상당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기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1113687호, 등록일자 : 2012.02.01., 발명의 명칭 : 전기차량용 배터리 팩 공개특허 제 10-2015-0085308호, 공개일자 : 2015.07.23., 발명의 명칭 : 셀 방열식 배터리 모듈
본 발명은 구성품이 위치한 곳에서 배터리 팩을 제작하는 위치로 상기 구성품을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는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구성품을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품이 복수 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성품의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구성품 고정 부재; 및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의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와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에 삽입된 상기 구성품을 보호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제 1 격벽 부재와,제 2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1 슬롯 형성부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사이의 공간이 제 1 슬롯 형성홈이 되고, 상기 제 2 격벽 부재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슬롯 형성부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 사이의 공간이 제 2 슬롯 형성홈이 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과 상기 제 2 슬롯 형성홈 중 서로 대면되는 슬롯 형성홈의 쌍 사이 공간이 상기 구성품 삽입을 위한 슬롯이 되고,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롯에 상기 구성품이 삽입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성품이 미리 지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슬롯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에서 상기 슬롯의 깊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성품이 삽입될 때 상기 구성품의 상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상기 오삽입 방지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에 의하면, 구성품 고정 부재 및 몸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이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슬롯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성품을 한 번에 복수 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의 슬롯에 구성품을 삽입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아래에서 위로 비스듬히 올려다본 도면.
도 7은는 도 6에 도시된 C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와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E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위에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가 적층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의 슬롯에 구성품을 삽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아래에서 위로 비스듬히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7은는 도 6에 도시된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와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를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E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위에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가 적층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는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구성품(10)을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품 고정 부재(135)와 몸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품(10)은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것으로서, 커버나 카트리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는 상기 구성품(10)이 복수 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성품(10)의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140)에 결합되는 제 1 격벽 부재(120)와 제 2 격벽 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슬롯 형성부(121)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사이(121)의 공간이 제 1 슬롯 형성홈(122)이 된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슬롯 형성부(131)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 사이의 공간이 제 2 슬롯 형성홈(132)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의 각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122)과 상기 제 2 슬롯 형성홈(132) 이 서로 대면되는 슬롯 형성홈(122, 132)의 쌍 사이 공간이 상기 구성품(10)을 삽입할 수 있는 슬롯(110)이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에는 그 폭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슬롯(110)이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슬롯(110)은 상기 슬롯(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히 배열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품(10)이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 상기 슬롯(110)의 깊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슬롯(110)에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10)이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10)을 한 번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품(10)이 상기 슬롯(110)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와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 중 서로 이웃하는 슬롯 형성부가(121, 131) 상기 구성품(10)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의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제 1 슬롯 형성홈(122)과 제 2 슬롯 형성홈(132)은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의 각 면에서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122)과 상기 제 2 슬롯 형성홈(132) 사이의 공간에 상기 슬롯(110)이 형섬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이 상기 슬롯(110)에 삽입될 때,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와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가 상기 구성품(10) 양 측면 외곽에서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가 상기 구성품(10)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은 처음에 삽입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가 상기 몸체(14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가 외부와 분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슬롯(110)의 상부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면만 개구되어 있고 나머지 다섯 면 또는 네 면이 모두 격벽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외곽 모두 격벽으로 구성된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가 각각 4개씩 적용되었으나, 이는 실제 사용되는 현장에서의 생산량 등에 따라 수량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와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는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의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롯(110)에 상기 구성품(10)이 삽입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오삽입 방지부가(125, 135) 형성되어, 상기 구성품(10)이 미리 지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슬롯(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오삽입 방지부(125, 135)는 각 슬롯 형성부(121, 131)의 일 측면에서 상기 슬롯(110)의 깊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이 삽입될 때 상기 구성품(1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기부(11)가 상기 오삽입 방지부(125, 135)에 삽입된다.
상기 구성품(10)의 상기 돌기부(11)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리 지정된 방향 외의 방향, 예를 들어 180도 뒤집혀진 상태로 삽입될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와 상기 오삽입 방지부(125, 135)가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구성품(10)은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오삽입 방지부(125, 135)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와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의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어도 상기 구성품(10)을 고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와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131) 중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슬롯 형성부(121, 131)에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의 상기 돌기부(11)를 양 측에서 고정하게 되어 상기 구성품(10)의 안정성을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슬롯 형성부(121)에 제 1 오삽입 방지부(125)를 형성하고 제 2 슬롯 형성부(131)에 제 2 오삽입 방지부(135)를 형성하였다.
상기 몸체(140)는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의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와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에 삽입된 상기 구성품(10)을 보호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방향을 상기 몸체(140)의 폭 방향이라 정의하고,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가 복수 개 배열된 방향을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하고 설명한다.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 크기는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를 배열하는 수량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품(10)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가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14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몸체(140)의 구조적인 강도는 상승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40)는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이 상기 몸체(140)의 폭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은 외곽의 테두리 외에는 지지대가 전혀 없는 양단 지지의 단순 보 형태의 형상이 된다.
상기와 같이 양단 지지의 단순 보 형태의 형상이 되면,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고유 진동수는 낮아지게 되므로, 이동 중 진동 등 외부의 힘에 의해 심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구성품(10)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가 상기 몸체(140)의 테두리 외에도 그 사이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140)의 길이 방향의 고유 진동수는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몸체(140)의 변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40)는 상기 몸체(140)의 하부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상기 몸체(140)의 하부에 요철 형태로 형성된 하부 위치 고정부(141)와, 상기 몸체(140)의 상부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상기 몸체(14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에 맞물릴 수 있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 상부 위치 고정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의 요철과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의 요철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예를 들면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가 함몰되어 형성되면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와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에 복수 개의 요철이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40)의 하부의 외곽 중 네 모서리에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140)의 상부의 외곽 중 네 모서리에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는 상기 몸체(140)가 포함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미리 지정된 설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품(10)이 삽입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를 이동할 경우, 이동용 카트 상부에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와 맞물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면,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는 이동용 카트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카트의 이동 시에도 흔들림 없이 안전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화 라인 공정에서 배터리 팩을 제조하기 위해 로봇팔 등으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에서 상기 구성품(10)을 뺄 경우, 상기 로봇팔이 인지하고 있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가 가이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는 상기 몸체(140)가 포함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a)에 포함되는 몸체(미도시)의 하부 위치 고정부(141a)에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와 상기 이웃하는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a)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세히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140)의 상부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a)를 구성하는 몸체(미도시)의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a)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142)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141)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a)와 2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그 위에 추가하여 복수 층으로도 적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는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에는 제 1 격벽 부재 홀(123)과 제 2 격벽 부재 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40)에는 몸체 홀(14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경량화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에 구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121) 중 상기 서로 이웃하는 슬롯 형성부(121, 131)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122)에 상기 슬롯(110)의 깊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관통되어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이 형성된다.
복수 개 형성된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122)에 맞추어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이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은 더 경량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와 동일한 형상이므로 상기 제 2 격벽 부재 홀(133)의 설명은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기 몸체(140)는 상기 몸체(140)의 외곽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몸체 홀(143)이 형성되어 경량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120)가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 부재(130)가 상기 제 2 격벽 부재 홀(133)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40)가 상기 몸체 홀(14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과 상기 제 2 격벽 부재 홀(133)과 상기 몸체 홀(143)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경량화되면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 홀(123)과, 상기 제 2 격벽 부재 홀(133)과, 상기 몸체 홀(143)을 통하여 상기 구성품(10)을 결합한 후에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품(10) 결합 상태 확인을 위한 육안 검사도 함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가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 및 상기 몸체(14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구성품(10)이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슬롯(11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성품(10)을 한 번에 복수 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100)는 복수개의 상기 구성품(10)을 적재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135)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장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구성품(10) 외에 다른 부속품들을 적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경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에 의하면, 복수 개의 구성품이 복수 개로 형성된 슬롯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구성품을 한 번에 복수 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110 : 구성품
120 : 구성품 고정 부재
130 : 몸체

Claims (7)

  1. 배터리 팩 제조를 위한 구성품을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품이 복수 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성품의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구성품 고정 부재; 및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의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와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에 삽입된 상기 구성품을 보호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제 1 격벽 부재와,제 2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1 슬롯 형성부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사이의 공간이 제 1 슬롯 형성홈이 되고,
    상기 제 2 격벽 부재의 면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 2 슬롯 형성부가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 사이의 공간이 제 2 슬롯 형성홈이 되고,
    상기 제 1 격벽 부재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의 각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 1 슬롯 형성홈과 상기 제 2 슬롯 형성홈 중 서로 대면되는 슬롯 형성홈의 쌍 사이 공간이 상기 구성품 삽입을 위한 슬롯이 되고,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롯에 상기 구성품이 삽입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오삽입 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성품이 미리 지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슬롯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에서 상기 슬롯의 깊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롯 형성부 및 상기 제 2 슬롯 형성부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턱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성품이 삽입될 때 상기 구성품의 상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상기 오삽입 방지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하부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요철 형태로 형성된 하부 위치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에 맞물릴 수 있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 상부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위치 고정부는
    상기 몸체가 포함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가 미리 지정된 설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 위치 고정부는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에 포함되는 몸체의 하부 위치 고정부에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와 상기 이웃하는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가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는
    상기 구성품 고정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격벽 부재와 상기 제 2 격벽 부재에는 제 1 격벽 부재 홀과 제 2 격벽 부재 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몸체 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가 경량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KR1020160161055A 2016-11-30 2016-11-30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KR10189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055A KR101896498B1 (ko) 2016-11-30 2016-11-30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055A KR101896498B1 (ko) 2016-11-30 2016-11-30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49A KR20180061649A (ko) 2018-06-08
KR101896498B1 true KR101896498B1 (ko) 2018-09-07

Family

ID=6259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055A KR101896498B1 (ko) 2016-11-30 2016-11-30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4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692A (ja) * 2008-02-12 2009-08-27 Panasonic Corp 電池収納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収納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87B1 (ko) 2010-07-21 2012-02-14 영화테크(주) 전기차량용 배터리 팩
KR20150085308A (ko) 2014-01-15 2015-07-23 티티엠주식회사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KR102222115B1 (ko) * 2014-08-26 2021-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금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용 트레이
KR101712259B1 (ko) * 2015-03-09 2017-03-14 (주)엔에스 트레이형 배터리셀 수납장치
KR102371191B1 (ko) * 2015-05-14 2022-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수납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692A (ja) * 2008-02-12 2009-08-27 Panasonic Corp 電池収納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収納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49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539B2 (en) Packaged body
JP5268241B2 (ja)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10319969B2 (en) Lead-aci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d member of lead-acid battery
WO2012164730A1 (ja) 電池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
US9172172B2 (en) Connector
US20160172910A1 (en) Stator
KR20180040574A (ko) 배터리 셀 하우징 및 그 제조 방법
US5934471A (en) Stackable tray for containing offset parts
KR101896498B1 (ko)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KR101441210B1 (ko)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US20140363733A1 (en) Sealed battery
EP2765655A1 (en) Connector
JP4099712B2 (ja) コネクタ
JP6696259B2 (ja) 電池パック
JP4811008B2 (ja) パレットとこれを用いた光学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品の包装体と収容体
EP3547393A1 (en) Carrier and battery assembly
JP7147630B2 (ja) 電池スタックの製造方法
US20230187762A1 (en) Battery accommodation tray
JP2014027088A (ja) リアクトル装置
JP2013049466A (ja) 収納用トレー
KR101806751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렌즈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및 디지털 기기
JP4129873B2 (ja) 中仕切り容器
JP2020145892A (ja) 電線固定構造
KR102108276B1 (ko) 배터리 트레이
JP4315692B2 (ja) シート状品の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