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308A -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308A
KR20150085308A KR1020140005034A KR20140005034A KR20150085308A KR 20150085308 A KR20150085308 A KR 20150085308A KR 1020140005034 A KR1020140005034 A KR 1020140005034A KR 20140005034 A KR20140005034 A KR 20140005034A KR 20150085308 A KR20150085308 A KR 2015008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ell
battery module
heat pipe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미
최승훈
최유진
Original Assignee
티티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티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티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5308A/ko
Publication of KR2015008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1)에 관한 것으로, 외체를 이루는 팩(10)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셀(3); 상기 복수의 셀(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셀(3)에서 발생한 열을 흡열측(11)에서 흡수하는 복수의 히트파이프(5); 및 상기 복수의 히트파이프(5) 방열측(13)에 접촉되어, 상기 히트파이프(5)에 흡수된 열을 상기 방열측(13)으로부터 빼내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수단(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히트파이프의 절곡부 통해에 의해 이웃한 히트파이프를 열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고장에 대한 히트파이프의 대응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가 자체에 형성된 방열핀을 통해 셀로부터 직접 열을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모듈의 방열 성능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Cell Radiating Typ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을 각각의 셀에 부착된 히트파이프를 통해 단위 셀 별로 대기 중에 방출할 수 있도록 한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배터리모듈은 충전식 가전제품 뿐 아니라 최근에는 전기차 등의 동력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은 통상 복수의 단위 셀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바, 각각의 단위 셀은 양극판과 음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극과 이 전극이 담기는 전해액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은 양극판과 음극판 그리고 전해액의 충방전 화학작용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단위 셀 내부에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열을 관리하기 위해 종래의 배터리모듈은 예컨대, 출원 제10-2010-0048185호로 국내에 출원된 배터리 팩에서와 같이, 방열수단으로서 히트파이프를 제안하고 있다.
이 배터리모듈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103)과, 히트파이프(105) 그리고 방열수단(107)으로 구성되는 바, 배터리 셀(103)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의 화학작용에 의해 기전력을 일으키며, 그 부산물로서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히트파이프(105)는 이와 같이 각각의 단위 셀(103)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내기 위해 셀(103)에서 흡수한 열을 방열수단(107)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방열수단(107)은 히트파이프(105)와 접촉되어, 히트파이프(105)를 통해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제거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터리모듈(101)은 방열수단(107)으로 사용되는 열교환파이프가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순환하는 파이프로서, 파이프 자체는 물론, 열교환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장치, 그리고 열교환매체의 열을 폐기할 수 있는 별도의 히트싱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배터리모듈(101)은 방열을 위한 구조가 전체적으로 복잡해져, 설치나 조립이 불편해지고, 고장을 일으키기 쉬우며, 유지관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셀(103) 단위로 설치되는 히트파이프(105)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을 일으킬 경우, 이 히트파이프(105)에 부착된 적어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셀(103)을 달리 방열할 수 없으므로, 이들 셀(103)에서 열축적이 야기되어 심각한 고장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3-012387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모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히트파이프에 의해 배터리 셀을 셀 단위로 방열함에 있어 방열구조를 단순화하여 설치나 유지관리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셀 방열 수단을 다변화하여 히트파이프 고장에 대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체를 이루는 팩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셀; 상기 복수의 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셀에서 발생한 열을 흡열측에서 흡수하는 복수의 히트파이프; 및 상기 복수의 히트파이프 방열측에 접촉되어, 상기 히트파이프에 흡수된 열을 상기 방열측으로부터 빼내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방열측이 상기 셀의 상단에 걸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절곡부 상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그 일단이 이웃한 상기 절곡부의 타단에 접촉하여, 이웃한 상기 히트파이프 간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절곡부들 사이에는 열전도체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각의 상기 셀과 상기 히트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히트파이프와의 접촉면은 상기 흡열측의 면적보다 더 큰 열수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수집판은 상기 셀과의 접촉면이 상기 셀의 방열면과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수집판은 이웃한 상기 셀 간의 절연을 위한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수집판은 냉간압접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히트파이프(5)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파이프는 상기 흡열측의 상기 셀과 접촉하는 반대쪽의 외벽에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이웃한 상기 히트파이프 또는 상기 셀과의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에 따르면, 히트파이프의 방열측 즉, 발열부위에 방열핀과 같은 공랭식 방열수단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히트싱크로서 방열수단의 구조를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의 설치와 사용 또는 유지관리 등에 따른 제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곡부에 의해 이웃한 히트파이프를 열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으므로, 히트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을 일으키더라도, 히트파이프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모듈의 심각한 고장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트파이프는 자체에 방열핀이 형성되어 고유의 열교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와는 별도로 방열핀에 의해 셀의 열을 직접 빼앗는 방열성능을 발휘하므로, 배터리모듈의 방열성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한 쪽 히트파이프가 고장나더라도, 고장난 히트파이프는 하나의 히트싱크로서 셀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빼앗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열방출 성능은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히트파이프 고장에 대한 대응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을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을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의 셀과 히트파이프를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한 횡단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히트파이프를 통해 셀마다 방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그 기본적인 실시 형태로서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셀(3), 복수의 히트파이프(5), 및 방열수단(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열수집판(9)을 더 포함하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셀(3)은 일반적인 배터리 셀과 마찬가지로 케이스 내의 전해액에 담긴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판의 반응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배터리모듈(1)의 외체를 이루는 배터리 팩(10) 내에 정해진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상기 히트파이프(5)는 셀(3)의 열을 신속하게 방열측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셀(3)마다 접촉되어 셀(3) 내부에 발생한 열을 빼내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셀(3)과 셀(3) 사이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쪽 셀(3)의 일측면에 접착된다. 이때, 각각의 히트파이프(5)는 셀(3) 면적만큼 대면적인 평판형 히트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셀(3)도 평판형으로서 접촉면(33)의 면적이 넓은 것을 감안하면, 위와 같이 히트파이프(5)의 접촉 면적을 셀(3)의 접촉면(33)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작하는 것은 방열성능의 측면에서는 최적이지만, 히트파이프(5)의 생산 단가나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도시된 것처럼 단가와 강도를 고려하여 충분히 작은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집판(9)은 위와 같은 이유로 셀(3)보다 작게 제작되는 히트파이프(5)에 의해서도 셀(3) 전체에서 균일한 정도로 열을 빼낼 수 있게 해주는 매개수단으로서,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이나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소재로 제작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터리 셀(3)과 히트파이프(5) 사이에 복수로 개재된다. 이때, 열수집판(9)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셀(3)과의 접촉면(31)이 셀(3)의 방열면(35)과 동일한 면적을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더 작게 또는 크게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접촉면(31)과 동일한 면적의 히트파이프(5) 접촉면(33)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가나 강도 상의 문제로 히트파이프(5) 크기가 충분히 작아지므로, 히트파이프(5)의 흡열측(11)보다 충분히 큰 면적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열수집판(9)은 셀(3)과 셀(3) 사이에 위치하는 바, 엘라스토머와 같은 수지재로 제작된 경우에는 자체로 하나의 절연체 역할을 하나, 금속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표면에 절연 코팅을 함으로써 셀(3)과 셀(3) 사이를 절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수집판(9)은 수지재로 제작할 경우에는 히트파이프(5)와 함께 인서트사출 등에 의해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고, 금속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특별한 체결 수단을 통하지 않는 한, 통상의 열전도성 점착 패드나 폼 등 열전도성 접착 또는 점착제에 의해 히트파이프(5)에 접착된다. 그러나, 열수집판(9)과 히트파이프(5)의 소재가 모두 연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스탬핑(stamping) 또는 코킹(caulking) 등과 같은 물리적 힘을 이용하는 냉간압접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특히, 히트파이프(5)는 셀(3)의 축방전 시 나타나는 부피변화에 대응하도록, 열전도성 실리콘 패드 등과 같은 열계면재(Thermal Interface Material)를 접착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5)는 흡열측(11)에 접촉된 각각의 셀(3)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신속하게 방열측(13)으로 전달한다. 방열측(13)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수단(7)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히트파이프(5)는 셀(3)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1) 내부의 전체적인 구성에 맞추어 다양한 배치가 가능한 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히트파이프(5) 좌우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셀(3)을 붙여, 셀(3)과 셀(3) 사이에 히트파이프(5)가 개재되는 샌드위치 형태로 셀(3)과 히트파이프(5)를 반복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셀(3)과 히트파이프(5)를 일대일로 교대시켜 반복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3)과 히트파이프(5)를 일대일 대응되도록 하되, 셀(3)은 셀(3)과 이웃하고, 히트파이프(5)는 히트파이프(5)와 이웃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5)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측(13) 즉, 내부의 작동유체가 대개는 발열과 동시에 액화되는 발열부위가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거나 또는 곡선형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4과 같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셀(3)의 상단에 걸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트파이프(5)는 셀(3)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열전도성 패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방열측(13)의 절곡부(15)를 셀(3) 상단에 걸치는 형태로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절곡부(15)는 도시된 것처럼, 그 위에 방열수단(7)이 접촉됨으로써 히트파이프(5)의 방열측(13)으로서, 내부 작동유체에 의해 전달된 열을 방열수단(7)을 통해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히트파이프(5)는 방열측(13)을 꺾어 절곡부(15)를 형성하는 경우, 특히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부(15)를 직각으로 절곡하는 경우, 절곡부(15)의 일단 즉, 시작단(17)이 이웃한 절곡부(15)의 타단 즉, 말단(19)에 접촉함으로써, 이웃한 히트파이프(5) 간에 셀(3) 또는 히트파이프(5)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직접적인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절곡부(15)와 절곡부(15) 사이에 도시된 것처럼 열전도성이 뛰어난 열전도체(21)를 개재시킴으로써, 상호 접촉된 두 절곡부(15) 간의 열전달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5)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히트파이프(5)의 하우징을 또 다른 하나의 방열체로 구성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3)과 접촉하는 흡열측(11)의 반대쪽 외벽(23)에 복수의 방열핀(2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히트파이프(5)는 도 5와 같은 요철형 또는 톱니형 등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열핀(25)을 통해 히트파이프(5) 자체에서 직접적으로 열방출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4과 같이 셀(3)과 히트파이프(5)가 일대일로 교대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열핀(25)에 이웃한 셀(3)과 방열핀(25)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방열핀(25)을 지나는 외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셀(3)과 히트파이프(5)가 샌드위치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열핀(25)과 방열핀(25) 사이에 외기통로(P)를 형성함으로써, 방열핀(25)을 통한 히트파이프(5)의 방열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끝으로, 상기 방열수단(7)은 히트파이프(5)의 히트싱크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히트파이프(5) 방열측(13)에 접촉되어 셀(3)로부터 흡열측(11)을 통해 히트파이프(5)에 흡수된 열을 방열측(13)으로부터 빼내 대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이를 위해, 방열수단(7)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요철 형태로 히트파이프(5)의 방열측(13)에 접촉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측(13) 외벽을 따라 부착된 톱니형 핀이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측(13) 절곡부(15)에 부착된 요철형 핀 등 열전달 면적을 늘릴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셀(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트파이프(5)를 접착시킴으로써, 배터리모듈(1) 일측으로 열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모듈(1)에 대한 열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셀(3)에서 발생되는 열을 히트파이프(5)를 통해 신속히 방열수단(7)으로 전달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제거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셀(3)과 히트파이프(5) 사이에 열수집판(9)이 개재된 경우, 셀(3)에서 방출된 열은 열수집판(9)과 접촉한 방열면(35)에서 접촉면(31)을 통해 균일하게 열수집판(9)으로 열을 빼앗기며, 열수집판(9)으로 모인 열은 흡열측(11)을 통해 히트파이프(5)로 전달되어, 방열수단(7)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히트파이프(5)에 의해서도 균일한 분포로 셀(3)에서 열을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하나의 히트파이프(5)에 두 개의 셀(3)이 접착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히트파이프(5)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그에 딸린 셀(3)은 열방출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셀(3)과 히트파이프(5)를 일대일로 배치한 경우, 하나의 히트파이프(5)에 문제가 생겨도 그 이웃한 히트파이프(5)를 통해 어느 정도 열방출이 계속되므로, 배터리모듈(1)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배터리모듈(1)은 셀(3)에서 발생한 열을 히트파이프(5) 통해 방열수단(7)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기본적인 흐름은 도 2의 배터리모듈(1)과 같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5)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히트파이프(5) 장착 시 히트파이프(5)를 셀(3) 위에 걸쳐 조립하는 것으로 간단히 작업을 마칠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5)의 방열측(13)인 절곡부(15)를 이웃한 절곡부(15)와 접촉시키므로, 절곡부(15)를 통해 이웃한 히트파이프(5) 간에 직접적으로 열전달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히트파이프(5) 전체의 열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배터리모듈(1)도 도 2에 도시된 배터리모듈(1)과 같이, 셀(3)에서 발생한 열을 히트파이프(5) 통해 방열수단으로 전달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 제거한다. 그러나, 배터리모듈(1)은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히트파이프(5)의 하우징에 방열핀(25)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히트파이프 본래의 기능에 따라 셀(3)에서 흡수한 열을 방열수단(7)으로 신속히 전달할 뿐 아니라, 셀(3)에서 흡수한 열을 병목부위(27)를 통해 방열핀(25)으로 전달하여 히트파이프(5) 자체적으로 외부에 방출함으로써 셀(3), 더 나아가서는 전체 배터리모듈(1)의 방열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1 : 배터리모듈 3 : 셀
5 : 히트파이프 7 : 방열수단
9 : 열수집판 10 : 팩
11 : 흡열측 13 : 방열측
15 : 절곡부 21 : 열전도체
23 : 외벽 25 : 방열핀
27 : 병목부위 P : 외기통로

Claims (10)

  1. 외체를 이루는 팩(10)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셀(3);
    상기 복수의 셀(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셀(3)에서 발생한 열을 흡열측(11)에서 흡수하는 복수의 히트파이프(5); 및
    상기 복수의 히트파이프(5) 방열측(13)에 접촉되어, 상기 히트파이프(5)에 흡수된 열을 상기 방열측(13)으로부터 빼내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수단(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5)는 상기 방열측(13)이 상기 셀(3)의 상단에 걸칠 수 있도록 절곡부(15)를 형성하며,
    상기 방열수단(7)은 상기 절곡부(15) 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5)는 그 일단(17)이 이웃한 상기 절곡부(15)의 타단(19)에 접촉하여, 이웃한 상기 히트파이프(5) 간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4. 청구항 3 있어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절곡부(15)들 사이에는 열전도체(21)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셀(3)과 상기 히트파이프(5)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히트파이프(5)와의 접촉면(33)은 상기 흡열측(11)의 면적보다 더 큰 열수집판(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수집판(9)은 상기 셀(3)과의 접촉면(31)이 상기 셀(3)의 방열면(35)과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수집판(9)은 이웃한 상기 셀(3) 간의 절연을 위한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수집판(9)은 냉간압접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히트파이프(5)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5)는 상기 흡열측(11)의 상기 셀(3)과 접촉하는 반대쪽의 외벽(23)에 복수의 방열핀(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5)는 이웃한 상기 히트파이프(5) 또는 상기 셀(3)과의 사이에 공기유로(P)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KR1020140005034A 2014-01-15 2014-01-15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KR20150085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034A KR20150085308A (ko) 2014-01-15 2014-01-15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034A KR20150085308A (ko) 2014-01-15 2014-01-15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08A true KR20150085308A (ko) 2015-07-23

Family

ID=5387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034A KR20150085308A (ko) 2014-01-15 2014-01-15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53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00A (ko) *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61649A (ko) 2016-11-30 2018-06-08 (주)신우에이엔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CN110518305A (zh) * 2018-05-22 2019-11-29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功能的电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00A (ko) *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80061649A (ko) 2016-11-30 2018-06-08 (주)신우에이엔티 배터리 팩 제조용 구성품 이동 케이스
CN110518305A (zh) * 2018-05-22 2019-11-29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功能的电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6324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7546351B (zh) 第一子底板
US20180294452A1 (en) Tray, power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JP4079572B2 (ja) 電池パック
CN103199316B (zh) 电池组及其散热结构
TWI524579B (zh) 電池裝置及電池單元
JP3764332B2 (ja) 電池パック
US20110097617A1 (en) Battery Set with Heat Conducting Jelly
JP2012204129A (ja) 組電池
JP2006278330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TWI524573B (zh) 電池模組
JP2009252646A (ja) 発熱体の冷却装置
CN103959513A (zh) 具有新型结构的汇流条
JP2009176464A (ja) 組電池装置
JP2006278327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6373103B2 (ja) 蓄電装置
JP2013157112A (ja) 組電池
JP2012501058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50085310A (ko) 셀 예열이 가능한 배터리모듈
KR101658517B1 (ko)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CN110676421B (zh) 电池模组及电动汽车
CN110707396A (zh) 一种干湿分离的锂电池包热管理系统及方法
JP2013175360A (ja) 組電池
KR20150085308A (ko) 셀 방열식 배터리모듈
CN109786885B (zh) 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