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095B1 -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095B1
KR101893095B1 KR1020160107263A KR20160107263A KR101893095B1 KR 101893095 B1 KR101893095 B1 KR 101893095B1 KR 1020160107263 A KR1020160107263 A KR 1020160107263A KR 20160107263 A KR20160107263 A KR 20160107263A KR 101893095 B1 KR101893095 B1 KR 10189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isk
disposed
polarity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220A (ko
Inventor
한상민
Original Assignee
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민 filed Critical 한상민
Priority to KR102016010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자동차의 휠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디스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자석,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밀착시켜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가 내장되는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 1 자석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자석 및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본 발명은 자가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전기가 생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화석연료인 휘발유나 경유 등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화석연료의 고갈과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각종 환경 유해물질로 인한 지구환경파괴 문제가 심화되면서 다양한 대체 에너지가 활발히 연구되어 왔고, 현재는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바이오 자동차가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가장 바람직한 차세대 자동차 에너지원은 전기 에너지라는 점에 이견이 없지만 전기를 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배터리를 자동차에 탑재해야만 하므로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또 부피가 큰 축전용 배터리를 차량에 탑제함으로써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에 적합한 고용량, 소형화 및 경량화된 축전지의 개발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에 대해서도 많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는 주행시 축전지의 전력이 점점 소모되므로 축전지에 전기를 재충전하지 않으면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의 주행도중 차량의 주행에너지를 활용하여 축전지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휘발유나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후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기에 의해 얻어진 전기를 엔진 점화나 전조등, 방향등, 실내등과 같은 등화장치 및 오디오 장치나 운전석 계기판 점등용 전원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일부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역시 자동차 주행시 주행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를 대용량 축전지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자 하는 자가 발전시스템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가 발전시스템은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자동차의 휠 또는 디스크에 적용하지 못하고, 휠 또는 디스크와 별도의 회전력 전달부재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휠 또는 디스크의 회전력을 100% 활용하지 못해 전기 생산 능력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도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740호(공개일 2014.07.04)와 같이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발전시스템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 발전시스템은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휠의 회전력을 모두 재활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었다.
공개실용 20-2009-0013251 공개특허 10-2001-001644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적용되어 디스크의 회전만으로 발전이 가능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기존의 브레이크에 자석과 전기생성부만을 추가로 설치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전기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석은 자동차의 휠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디스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밀착시켜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가 내장되는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 1 자석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면은 상기 제 1 자석과 다른 극을 가진다.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자석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에는 링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상기 제 1 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는 제 1 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상기 제 2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이 상기 제 1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 2 극성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차폐부가 구비되어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에 제 1 자석을 배치하고, 캘리퍼 하우징에 제 1 자석과 마주보도록 제 2 자석을 배치하고, 제 1 자석과 제 2 자석 사이에 전기생성부를 배치하여 디스크의 회전 시 제 1 자석이 회전하여 전기생성부 주변에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전기생성부에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만으로도 전기가 생성되어 이를 자동차의 전기적 장치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디스크 및 캘리퍼 하우징에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전기생성부만 배치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제 1 자석(120)은 브레이크의 디스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100)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휠 샤프트(110)와 결합되어 휠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크(100)에는 디스크(100)의 둘레와 동심원 상에 삽입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02)에는 삽입홈(10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자석(120)이 삽입될 수 있다.
만약, 브레이크 패드와 맞닿는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제 1 자석이 삽입된다면, 디스크와 제 1 자석의 강도, 경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와의 마찰 시 브레이크 패드가 일정하게 마모되지 않거나, 브레이크 패드가 뒤틀릴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제동에 바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02)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브레이크 패드(21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자석(120)은 브레이크 패드(21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캘리퍼 하우징(200)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캘리퍼 하우징(200)과 동일한 것으로서, 디스크(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02)이 형성되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210)를 디스크(100)에 밀착시켜 디스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220)가 내장될 수 있다.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의 수용홈(202)의 일측에 제 1 자석(12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디스크(100)의 일면에만 제 1 자석(120)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 1 자석(120)의 배치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양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120)이 디스크(100)의 양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 2 자석(230) 또한 수용홈(202)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120a)을 가지고, 후술할 제 2 자석(230)과 마주보는 부분, 즉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제 1 극성(120a)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120b)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제 2 극성(120b)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230a)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230b)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자석(120)에서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S극이라면,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S극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 자석(120)에서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N극이라면,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N극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극성이 후자와 같이 착자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극성은 전자와 같이 착자될 수도 있다.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화되지 않는 것으로서, 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전선 및 전기적 장치가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으로 적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으로는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기생성부(240)는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자석(120)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한다. 전기생성부(240)를 통해 생산되는 전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축전지에 저장되도록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생성부(240)는 일단 또는 양단이 캘리퍼 하우징(200)의 수용홈(202)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생성부(240)는 다단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코어 구조물로서, 이는 철심에 코일이 권선된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코일이 권선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이 권선된 횟수가 많을수록 전류의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영구자석은 한가지 극성만을 가질 수는 없다. 즉, 일측에 N극이 형성되면, 타측에는 반드시 S극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 1 자석(120)의 자속이 제 2 자석(230)으로 온전히 향하지 못하고, 제 1 자석(120)의 반대편에 형성된 극으로 일부 누설될 수 있다. 제 2 자석(230) 또한 제 1 자석(120)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 위치한 극에 의해 자속이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차폐부(122, 232)가 구비되어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자석(120)의 제 1 극성(120a)을 가지는 부분과, 제 2 자석(230)의 제 2 극성(230b)을 가지는 부분에는 차폐부(122, 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에 의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02) 및 제 1 자석(12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02)은 디스크(100)의 둘레와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삽입홈(102)에는 복수의 제 1 자석(12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100) 브레이크가 회전하고,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 배치된 제 1 자석(12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1 자석(120)의 회전에 따라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의 상대적인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고, 제 2 자석(230)의 주변에는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기생성부(240)에는 전류가 유도되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전기생성부(240)에서 생산된 전기는 축전지로 이동하여 저장되고, 저장된 전기는 자동차의 이동 또는 자동차에 구비된 전기장치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는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수용홈(202)에서 디스크(1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삽입홈(102) 및 제 1 자석(12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디스크(100)의 외주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102)이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홈(102)에 제 1 자석(120)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기생성부(240)는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 사이에 배치되되, 캘리퍼 하우징(200)에 형성된 수용홈(20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전기생성부(240)는 수용홈(20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가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디스크 102: 삽입홈
110: 휠 샤프트 120: 제 1 자석
122: 차폐부 200: 캘리퍼 하우징
202: 수용홈 210: 브레이크 패드
220: 유압장치 230: 제 2 자석
232: 차폐부 240: 전기생성부

Claims (11)

  1. 자동차의 휠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디스크의 둘레면 또는 동심원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자석;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밀착시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가 내장되는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 1 자석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형의 제 2 자석; 및,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수용홈 내벽에 다단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코어 구조물로서, 회전형인 상기 제 1 자석과 고정형인 상기 제 2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둘레 또는 동심원 상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제 1 자석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제 1 자석의 자속이 상기 제 2 자석으로만 향하도록 자기장이 누선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 2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이 상기 제 1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 2 극성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11. 삭제
KR1020160107263A 2016-08-23 2016-08-23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KR10189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ko) 2016-08-23 2016-08-23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ko) 2016-08-23 2016-08-23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20A KR20180022220A (ko) 2018-03-06
KR101893095B1 true KR101893095B1 (ko) 2018-10-04

Family

ID=6172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ko) 2016-08-23 2016-08-23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81B1 (ko) * 2018-07-16 2019-10-08 옥재동 자가발전이 되는 캘리퍼
KR101985622B1 (ko) * 2018-07-16 2019-06-03 옥재동 주철과 알루미늄이 결합된 디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361A (ja) 2000-10-17 2002-04-26 Isuzu Motors Ltd 渦電流式減速装置
JP2009210054A (ja) 2008-03-05 2009-09-17 Daihatsu Motor Co Ltd 車輪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361A (ja) 2000-10-17 2002-04-26 Isuzu Motors Ltd 渦電流式減速装置
JP2009210054A (ja) 2008-03-05 2009-09-17 Daihatsu Motor Co Ltd 車輪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20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13B1 (ko) 자가발전 기능을 가지는 mr유체 브레이크 장치
JP2011509064A (ja) 電気機械用ロータ
US10734881B2 (en) Eddy current retarder with electricity generating function
EP2466729B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braking device
CN107425647B (zh) 采用五自由度混合磁轴承的车载飞轮电池
KR10189309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US8505674B2 (en) Steering drive for a motor vehicle
JP4811114B2 (ja) ステータの固定構造および車両
TW201145773A (en) Generator for a bicycle wheel
US20200282822A1 (en) In-wheel motor driving apparatus
JPH07505957A (ja) 回転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5359236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KR102625857B1 (ko)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KR102087430B1 (ko) 자전거 발전기용 회전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
KR101971293B1 (ko) 인휠 구동장치용 모터
KR102569493B1 (ko) 모터 레졸버 장착구조
KR200237564Y1 (ko) 전기차의 발전장치
KR102521691B1 (ko) 발전기
KR20200080381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WO2023135513A1 (en) Permanent magnet brake
RU1251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от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US11606007B2 (en) Motor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78429A (ko) 발전기
KR20220108559A (ko) 인휠 구동장치
KR20200030515A (ko) 자전거 발전기용 회전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