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65B1 - 냉매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냉매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65B1
KR101892965B1 KR1020160177775A KR20160177775A KR101892965B1 KR 101892965 B1 KR101892965 B1 KR 101892965B1 KR 1020160177775 A KR1020160177775 A KR 1020160177775A KR 20160177775 A KR20160177775 A KR 20160177775A KR 101892965 B1 KR101892965 B1 KR 10189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ousing
belt pulley
bearing
refrigeran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156A (ko
Inventor
게르하르트 베네크
더크 구트베를레트
아이한 아야르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 F16D1/0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냉매 컴프레서에 관한 본 발명의 과제는, 더 큰 벨트력을 흡수할 수 있고 개선된 열 방출을 수행하는 냉매 컴프레서, 특히 자동차 적용예들을 위한 냉매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벨트 풀리 베어링이 자체 외부 링과 함께 수용부의 내부 지름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의 내부 링 내에 벨트 풀리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해결된다.

Description

냉매 컴프레서{REFRIGERANT COMPRESSOR}
본 발명은, 액시얼 베어링(axial bearing) 내에 지지된 컴프레서 샤프트가 가이드 되는 컴프레서 하우징,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에 고정된, 벨트 풀리 베어링(belt pulley bearing)용 수용부 그리고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과 컴프레서 샤프트에 연결된 벨트 풀리를 포함하는 냉매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제조 분야에서는, 차량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는 벨트 구동식 냉매 컴프레서들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들은 예를 들면 승용차, 화물 자동차일 뿐만 아니라 철도 차량(rail vehicle)일 수도 있다.
실제 예에는, 냉매 압축기로도 표현되는 상기와 같은 냉매 컴프레서들이 기능상 매우 높은 밀도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컨대 설치 공간과 관련한 자동차 제조사의 지침들로 인해, 냉매 컴프레서의 하우징 내 매우 한정된 작은 공간에 예를 들면 액시얼 베어링,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및 벨트 풀리 베어링과 같은 다수의 베어링 그리고 이들과 아주 가까이에 샤프트 실링 링(shaft sealing ring)들이 상호 배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구동 벨트를 통한 냉매 컴프레서 구동으로 인해, 냉매 컴프레서의 하우징은 또한 벨트력(belt force)으로 표현되는 힘도 흡수해야 하는데, 이러한 힘은 벨트 풀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하우징에도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토크 전달에 있어 필수적이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하우징은 주조 블랭크(cast blank) 또는 단조 블랭크(forging blank)로부터 제조되며, 이 경우 필요한 기능면들은 기계 가공(machining)으로 형성된다. 벨트 풀리 수용은 대개 하우징의 원통형 연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장부는 후속하는 설명에서 수용부로 표현된다. 컴프레서 하우징 내에서, 컴프레서 샤프트 둘레에는 레이디얼 베어링과 샤프트 실링 링이 배치된다. 컴프레서 하우징의 단부면에는 대개 액시얼 베어링이 배치된다. 벨트 풀리는 적어도 상기 원통형 수용부 상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벨트 풀리와 수용부 사이 연결 부재는 벨트 풀리 베어링이다.
내부 지름에서 보면 구조는 원통형 수용부, 장착된 벨트 풀리 베어링 그리고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에 가압된 벨트 풀리를 포함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어레인지먼트들의 단점은, 각각의 베어링뿐만 아니라 샤프트 실링 링들도 마찰열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마찰열은 다른 곳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냉매 컴프레서의 한 특수한 실시예에서, 벨트 풀리 내에는 또한 전자기 커플링(electromagnetic coupling)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 커플링은 전기 손(electrical loss)으로 인한 추가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예컨대 하우징 재료로서 알루미늄 사용으로 인해, 냉매 압축 시 발생하는 폐열이 냉매 압축기의 하우징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내연 기관은 열을 방출하며, 이러한 열도 마찬가지로 냉매 컴프레서의 하우징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간 밀도가 높은 전술한 부품들의 어레인지먼트는, 냉매 또는 외기로의 열 방출이 방해되어 열에 의한 문제점들을 초래한다. 이 때문에 소위 축열(heat accumulation)이 야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달할 수 있는 온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재료의 구조 강도(structural strength)에 대한 전형적인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벨트 풀리들의 어레인지먼트는, 상기 벨트 풀리들을 비교적 작은 지름 상에 고정하기 위해 수용부를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은 수용부는 벨트 풀리를 통한 토크 전달에 필요한 벨트력으로 인해 많은 하중을 받고, 이로 인해 또한 편향되며, 이러한 편향에 의해서는 어긋남 현상(misalignment)이 발생한다.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인한 그리고 구동 벨트에 의해 벨트 풀리에 작용하는 힘 상승, 예컨대 공동 벨트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추가 또는 다른 유형의 보조 유닛의 계획된 삽입으로 인한 힘 상승은 벨트 풀리, 베어링이 하중 한계에 도달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냉매 압축기가 하중 한계에 도달하도록 한다. 구동 벨트에서 작용하는 상기와 같은 힘 상승은 소위 차량에서의 시작 정지 시스템(start stop system) 사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벨트 베어링에서의 마찰 증가가 위험한데, 이러한 마찰 증가에 의해서는 더 많은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수용부의 추가 하중은 구조 강도의 한도 초과를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균열 형성 또는 파괴와 같은 하우징 결함을 야기한다.
US 5392889호에는 벨트 풀리를 구비한 자동차 공조 압축기(air conditioning compressor for vehicle)의 커플링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벨트 풀리는 전자기 하우징이 배치된 공동부를 포함한다.
US 2003085095호에는 단 하나의 반동 스프링을 구비하고 개선된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 갖는 자동차 공조 압축기 커플링이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해결책들의 경우, 구동 벨트에서 작용하는 힘이 증가하면 열 발생이 증가한다. 이러한 상황은 극단적인 경우 베어링들과 실링 링들의 파괴 또는 냉매 컴프레서 하우징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더 큰 벨트력을 흡수할 수 있고 개선된 열 방출을 수행하는 냉매 컴프레서, 특히 자동차 적용예들을 위한 냉매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으로서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 2 내지 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위 벨트 풀리 베어링의 수용부 지름을 확장하여, 냉매 컴프레서의 하우징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뚜렷하게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는 수용부의 향상된 휨 강도가 달성된다. 이와 같은 휨 강도 향상은 수용부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하우징 전체에서도 달성된다.
수용부 확장에 의해서는 추가적인 변경과 개선이 가능해진다. 벨트 풀리를 지지하기 위해 비교적 큰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기 위해, 즉 결과적으로 베어링에서의 마찰 동력과 원주 속도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벨트 풀리는 전환(switching)된다. 벨트 풀리 베어링은 자체 외부 링, 즉 외부 지름과 함께 수용부 내부 지름 내에 배치된다. 베어링의 내부 지름, 즉 내부 링 내부에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끼워맞춤식 어셈블리(interference fit assembly)에 의해 벨트 풀리가 고정된다. 벨트 풀리는 통상대로, 자체 작동면들에 구동 벨트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체로 작동면들 영역은 벨트 풀리 베어링 내에 있는 벨트 풀리가 고정되는 영역보다 현저히 큰 둘레를 갖는다.
수용부는, 예를 들면 다수의 나사 이음부(screw joint)에 의해 컴프레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개별 원통형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수용부와 컴프레서 하우징에는 상응하는 보어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컴프레서 하우징 내 보어들은 나사를 돌려 넣기 위한 나사선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결함이 발생할 경우 수용부를 교체하여 컴프레서 하우징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수용부는 컴프레서 하우징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사 이음부들이 컴프레서 샤프트를 기준으로, 축 방향으로(axial) 배향되도록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한 한 실시예에서, 수용부는 컴프레서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은 90°각도로 상호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나사 이음부들이 컴프레서 샤프트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radial) 배향되어 배치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와 컴프레서 하우징 사이에는 디커플링 부재(decoupling element)들이 삽입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디커플링 부재들은 예를 들면 국부적으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로 나사 이음부들 주위 영역들만 커버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와 같은 디커플링 부재는 또한 모든 나사 이음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상 원(imaginary circle)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는데, 즉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가 컴프레서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표면에 인접한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디커플링 부재가 상기 두 표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디커플링 부재의 연장 또는 확장은, 수용부가 어떤 위치에서도 컴프레서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 보장되도록 선택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디커플링 부재 삽입에 의해서는 수용부와 컴프레서 하우징 그리고 반대로 컴프레서 하우징과 수용부의 진동 전달이 감소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들의 삽입에 의해서는 부품들 사이 열적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벨트 풀리 영역에 있는 냉매 컴프레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냉매 컴프레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컴프레서 수용부의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컴프레서 수용부의 추가 변형예이며,
도 5는 디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한 냉매 컴프레서의 제 1 변형예이고, 그리고
도 6은 디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한 냉매 컴프레서의 제 2 변형예이다.
도 1에는, 자체 하우징(2)과 함께 선행 기술에 공지된 냉매 컴프레서(1)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과 후속하는 도면들은 단지 개략도로서, 냉매 컴프레서의 선택된 영역만을 단면도로 보여준다.
상기 하우징(2)은 수용부(4)로 구성되어 있으며, 냉매 컴프레서(1)의 컴프레서 샤프트(3)가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다. 상기 컴프레서 샤프트(3)는 액시얼 베어링(5)과 레이디얼 베어링(6)에 의해 하우징(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 실링 링(7)은 하우징(2)의 밀폐를 위해 배치되었다.
수용부(4)의 외부 둘레 상에는 벨트 풀리 베어링(8)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벨트 풀리 베어링 상에는 벨트 풀리(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벨트 풀리(9) 위에서 회전하고 그리고 냉매 컴프레서(1)를 구동시키는 벨트는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벨트 풀리(9)와 컴프레서 샤프트(3)는 통상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 풀리(9)는 상기 컴프레서 샤프트(3)를 회전시키며, 그리고 컴프레서는 자신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냉매 컴프레서(1)의 하우징(2)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라 변경된 수용부(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은 이미 공지된 부재들, 즉 컴프레서 샤프트(3), 액시얼 베어링(5), 레이디얼 베어링(6) 그리고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샤프트 실링 링(7)을 포함한다.
상기 변경된 수용부(4)는, 벨트 풀리 베어링(8)이 자체 외부 링과 함께 수용부(4)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8)은 더 이상 자체 내부 링과 함께 수용부(4)의 외부 둘레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자체 외부 링과 함께 상기 수용부(4)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풀리(9)가 벨트 풀리 베어링(8)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벨트 풀리 베어링(8) 내에 이루어지는 벨트 풀리(9)의 상기와 같은 고정은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끼워맞춤식 어셈블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또한 벨트 풀리(9)가 컴프레서 샤프트(3)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냉매 컴프레서를 구동시키기 위해 자신의 회전 운동을 상기 냉매 컴프레서(1)의 컴프레서 샤프트(3)에 전달한다.
수용부(4)의 변형에 의해서는, 상기 수용부(4) 그리고 냉매 컴프레서(1)의 하우징(2)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풀리(9)와 하우징(2)의 간격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즉 냉매 컴프레서(1)가 더 작고, 컴팩트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의 설치 공간 감소를 요구하는 추세에도 부합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재차 부재들, 즉 컴프레서 샤프트(3), 액시얼 베어링(5), 레이디얼 베어링(6) 그리고 샤프트 실링 링(7)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4)가 냉매 컴프레서(1)의 하우징(2)에 고정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별도 부품으로 설계되어 있다. 수용부(4)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나사 이음부(10)에 의해 하우징(2)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 이음부(10)들은 예를 들면 컴프레서 샤프트(3)를 기준으로, 이러한 컴프레서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이 경우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나사 이음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컴프레서(1) 설계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나머지 냉매 컴프레서(1)의 지속 사용 시 결함이 발생하거나 또는 반대의 경우에 수용부(4)를 교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이러한 수용부(4) 내에는 벨트 풀리 베어링(8)이 자체 외부 링과 함께 삽입된다.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8)의 내부 링 내에는 벨트 풀리(9)가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벨트 풀리(9)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컴프레서 샤프트(3)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수용부(4)를 별도 부품으로서 설계할 경우 얻어지는 특별한 장점은, 상기 수용부(4)가 컴프레서 하우징(2)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수용부(4)의 강도 및 열적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부는 예를 들면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는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된 수용부(4)를 갖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이음부(10)들이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지 않고, - 이번에도 또한 컴프레서 샤프트(3)를 기준으로 - 방사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그 외에 도 4의 어레인지먼트는 도 3에 도시된 설계와 상응한다.
도 5에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와 일치하는 냉매 컴프레서(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냉매 컴프레서(1)의 특색은 하우징(2)과 수용부(4) 사이에 디커플링 부재(11)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디커플링 부재(11)들은 예를 들면, 나사 이음부(10)가 제공된 위치에만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와 같은 디커플링 부재(11)는 링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하우징(2)과 수용부(4)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접점(contact point)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커플링 부재(11)들을 삽입할 경우 얻어지는 장점은, 기계에 의한 진동이 감쇠되고, 그리고 열 분리를 위한 열 차폐(thermal barrier)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도 6에는 도 4에 따른 냉매 컴프레서(1) 내에 행해진 디커플링 부재(11)들 삽입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레이디얼 방향으로 배치된 나사 이음부(10)들을 구비한 수용부가 하우징(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면도로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11)들은 L자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11)들은 나사 이음부(10)들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모든 나사 이음부(10)에 걸쳐서 연장되는 링 형태로 주변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진동이 감쇠되고, 열 차폐가 제공된다.
1: 냉매 컴프레서
2: 컴프레서 하우징
3: 컴프레서 샤프트
4: 수용부
5: 액시얼 베어링
6: 레이디얼 베어링
7: 샤프트 실링 링
8: 벨트 풀리 베어링
9: 벨트 풀리
10: 나사 이음부
11: 디커플링 부재

Claims (8)

  1. 액시얼 베어링(axial bearing)(5) 내에 지지된 컴프레서 샤프트(3)가 가이드 되는 컴프레서 하우징(2),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2)에 고정된, 벨트 풀리 베어링(belt pulley bearing)(8)용 수용부(4) 그리고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8)과 컴프레서 샤프트(3)에 연결된 벨트 풀리(9)를 포함하는, 냉매 컴프레서(1)로서,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8)이 자체 외부 링과 함께 상기 수용부(4)의 내부 지름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벨트 풀리 베어링(8)의 내부 링 내에 상기 벨트 풀리(9)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4)와 컴프레서 하우징(2) 사이에 디커플링 부재(decoupling element)(1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부(4)와 컴프레서 하우징(2)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해, 이러한 수용부(4)와 컴프레서 하우징(2) 사이에 나사 이음부(screw joint)(1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가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2)의 제 1 표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컴프레서 하우징(2)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이음부(10)가 상기 컴프레서 샤프트(3)에 대해 축 방향으로(axial) 또는 방사 방향으로(radial)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11)가 상기 수용부(4)와 컴프레서 하우징(2) 사이 모든 나사 이음부(10)를 지나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샤프트(3)와 컴프레서 하우징(2) 사이에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샤프트(3)와 컴프레서 하우징(2) 사이에 샤프트 실링 링(shaft sealing ring)(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컴프레서.
KR1020160177775A 2016-02-19 2016-12-23 냉매 컴프레서 KR101892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2911.4 2016-02-19
DE102016102911.4A DE102016102911B4 (de) 2016-02-19 2016-02-19 Kältemittelk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56A KR20170098156A (ko) 2017-08-29
KR101892965B1 true KR101892965B1 (ko) 2018-08-30

Family

ID=5952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775A KR101892965B1 (ko) 2016-02-19 2016-12-23 냉매 컴프레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965B1 (ko)
DE (1) DE102016102911B4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336A (ja) 2002-01-25 2003-07-30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冷媒圧縮機
JP2006037729A (ja) * 2004-07-22 2006-02-09 Aisin Seiki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JP2011226509A (ja) * 2010-04-16 2011-11-10 Nok Corp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47U (ja) 1991-03-08 1993-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動機械の軸受箱構造
JPH0589971U (ja) 1992-05-21 1993-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及び電磁石用リング部材
JP3480122B2 (ja) 1995-05-29 2003-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機
SE506513C2 (sv) 1995-10-23 1997-12-22 Lysholm Techn Ab Transmission med ett tvådelat kopplingsorgan
JPH09177946A (ja) * 1995-12-20 1997-07-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プーリにおける冷却ファン構造
US6578688B2 (en) 2001-11-02 2003-06-17 North Coast Clutch Company, Inc. Spline cushion clutch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336A (ja) 2002-01-25 2003-07-30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冷媒圧縮機
JP2006037729A (ja) * 2004-07-22 2006-02-09 Aisin Seiki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JP2011226509A (ja) * 2010-04-16 2011-11-10 Nok Corp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56A (ko) 2017-08-29
DE102016102911A1 (de) 2017-08-24
DE102016102911B4 (de)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4198A1 (ja) 軸受装置、及び、過給器
US7867099B2 (en) Connecting arrangement between a shaft journal and a joint part
EP0949742A1 (en) Ac generator for vehicle
US20170217301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Housing and Rotary Electric Machine Equipped Therewith
US7723885B2 (en) Hybrid drive unit
JP5718391B2 (ja) 回転電機
US20010043019A1 (en) Drive system
US20210276408A1 (en)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 Transmission Of A Vehicle Or The Like
CA2978106A1 (en) Rotary electric r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rotor
US20220144070A1 (en) Hybrid drive system
US9309960B2 (en) Gear device
KR101892965B1 (ko) 냉매 컴프레서
CN110617276A (zh) 一种电驱动总成辅助轴承固定结构和电驱动总成
EP3631221B1 (en) Bearing unit for a turbocharger rotor
CN104806695B (zh) 离心力摆
KR102487166B1 (ko) 모터의 레졸버 장착 구조
KR101926874B1 (ko) 모터용 베어링 지지기구
EP3968500A1 (en) Dynamo-electric machine
US7374407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process of assembling the same
CN103882905A (zh) 挖掘机用液压泵以及具有所述液压泵的挖掘机
KR101457031B1 (ko) 압축기
US20230223814A1 (en) Stator arrangement of an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for driving a motor vehicle
CN218913658U (zh) 一种集成式电驱动总成及电动车
CN108223724B (zh) 无键式旋转传递单元和混合动力起动发电机
CN216143060U (zh) 一种曲轴总成、发动机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