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75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755B1
KR101892755B1 KR1020120052112A KR20120052112A KR101892755B1 KR 101892755 B1 KR101892755 B1 KR 101892755B1 KR 1020120052112 A KR1020120052112 A KR 1020120052112A KR 20120052112 A KR20120052112 A KR 20120052112A KR 101892755 B1 KR101892755 B1 KR 101892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uct
refrigerator
bank
ice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224A (ko
Inventor
김동정
이동훈
이욱용
손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755B1/ko
Priority to EP13167815.3A priority patent/EP2664871B1/en
Priority to CN201310182101.0A priority patent/CN103423939B/zh
Priority to US13/895,436 priority patent/US9677800B2/en
Publication of KR2013012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fluids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free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아이스 뱅크 사이에서, 얼음 및 냉기를 함께 안내할 수 있는 덕트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와,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출구단과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얼음 이송 통로가 되는 제 1 덕트와, 상기 아이스 뱅크와 냉동실을 연결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로 되돌리는 냉기 회수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얼음이송 및 냉기순환이 함께 이루어지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냉장고가 갖추어야 할 덕트의 개수를 줄여 시스템을 간단하게 하여, 단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로 유출되는 열전달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냉기가 상기 덕트에서 안내되는 얼음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순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되어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정수된 물과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0,30)에 의해 전체적인 외부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구획된 상방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11,14)에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냉장실 도어(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2) 및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2)는 독립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도어로 구성되며,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22)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23)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제 1 냉장실 도어(21)에 상기 디스펜서(23)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는 제빙실(4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빙실 도어(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4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거나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가 닫혔을 때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냉기 덕트(50)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42)와 냉기 출구(43)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42)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제빙실(40)의 내부를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열교환된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43)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상기 냉동실(13)과 구획되는 열교환실(14)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실(14)에는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3)과 냉장실(12) 그리고 상기 제빙실(40)로 공급되어 각각의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측벽면에는 상기 제빙실(40)로의 냉기 공급 및 제빙실(40)의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냉기 덕트 (5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덕트(50)는 상기 냉동실(13) 측에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기 입구(42) 및 냉기 출구(43)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50)는 상기 열교환실(14) 및 냉동실(13)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실(14)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공급 유로(51)를 통해서 상기 제빙실(40)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40)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50)의 회수 유로(52)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13)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덕트(50)를 통한 냉기의 지속적인 순환에 의해 상기 제빙실(40) 내부에서 얼음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얼음의 제빙 및 저장이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제공되는 상기 제빙실(40)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부피가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20) 배면의 수납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빙을 위한 냉기가 상기 제빙실까지 공급될 수 있어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이송장치에 의해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아이스 뱅크로 공급하고, 디스펜서를 통해 외부에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수납 공간을 늘리고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나아가 냉동실과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아이스 뱅크 사이에서, 얼음 및 냉기를 함께 안내할 수 있는 덕트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와,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와,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출구단과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얼음 이송 통로가 되는 제 1 덕트와, 상기 아이스 뱅크와 냉동실을 연결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로 되돌리는 냉기 회수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가 냉동실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또한, 얼음이송 및 냉기순환이 함께 이루어지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냉장고가 갖추어야 할 덕트의 개수를 줄여 시스템을 간단하게 하여, 단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로 유출되는 열전달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냉기가 상기 덕트에서 안내되는 얼음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측과 제빙실의 냉기 순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일부분이 단열재에 매립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일부분이 단열재에 매립된 상태의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캐비닛(110)과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는 베리어(111)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13)이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200)와, 만들어진 얼음을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를 구성하는 제 1 덕트(340)와 제 2 덕트(350)는 상기 냉장실(112)의 측벽에 각각 개구부(341,35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1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20)와 상기 냉동실(113)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제 2 냉장실 도어(122)로 구성되며, 각각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3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면서 상기 냉동실(1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정수된 물과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배면에는 아이스 뱅크(14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얼음 이송장치(300)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덕트(340) 및 제 2 덕트(350)와 연결되어 얼음의 공급 및 냉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상기 디스펜서(123)와 연통되어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는 얼음이 수용되는 별도의 케이스(14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얼음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오거(143)와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140)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2) 내측 벽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덕트(340) 및 제 2 덕트(350)의 개구부(341,351)와 대응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측벽면에는 에어 홀(144)과 얼음 유입구(1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제빙된 얼음의 공급 및 얼음의 유지를 위한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과 아이스 메이커(200), 얼음 이송장치(3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급수원에서 제공되는 물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113)의 좌측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제빙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하기 위한 얼음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와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위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에 구비되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최단 거리가 될 수 있는 냉동실(113)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 벽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0)은 제 1 덕트(340)와 연결되어 제빙된 얼음을 상기 제 1 덕트(340)를 통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덕트(340)을 따라 이송되는 얼음 주위로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회수(또는 공급) 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일측에는 제 2 덕트(3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를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또는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동실(113)의 내측에 입구가 노출되며, 상기 제 2 덕트(350)의 일측에는 송풍팬(3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제 2 덕트(350)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40)에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 1 덕트(34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13)로 회수된다. 반대로, 상기 송풍팬(35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제 1 덕트(340)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되고, 상기 아이스뱅크(140)에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 2 덕트(35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13)로 회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덕트와 상기 제 2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덕트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로 되돌리는 냉기 회수 덕트라고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상기 베리어(111)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 브라켓(도 7에서 25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는 전체적으로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210)와,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220),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240), 상기 상판 트레이(210) 또는 하판 트레이(220)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구 형상 얼음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221)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장착되어 상기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상기 함몰부(225)를 형성하는 트레이 바디(223)와, 상기 트레이 바디(223)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 장착시키는 트레이 커버(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안착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상기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반구 형상의 상기 함몰부(225)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1a)는 상기 함몰부(225)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후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1)의 장착을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22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2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223)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형상과 대응하는 평면부(224)와 상기 평면부(224)에서 함몰된 상기 함몰부(2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2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공간인 상기 셀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2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구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몰부(225)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의 안착부(221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225)은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시 상기 이젝팅 유닛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상기 함몰부(225)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이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25)의 둘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부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턱은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부턱과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226)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223)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스크류 또는 리벳 등이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 또는 리벳은 상기 트레이 커버(226)와 상기 트레이 바디(223), 상기 트레이 케이스(22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226)에는 상기 트레이 바디(223)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225)의 개구된 상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천공부(226a)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226a)는 다수개의 원형이 서로 연속하여 겹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천공부(226a)를 통해서 상기 함몰부(225)가 노출되며, 상기 하부턱이 상기 천공부(226a)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211)와 얼음의 성형을 위한 트레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상기 냉동실(113)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부(212)와는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11)는 상기 냉동실(113)와 면접촉에 의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212)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212)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13)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함몰부(225)와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는 서로 형합되어 구 형상의 제빙 공간인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 함몰부(213)의 형상은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부(212)의 후측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가 축결합되는 축 결합부(21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211a)는 상기 트레이부(212)의 하면 양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와 축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셀 내부의 물을 빠른 속도로 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210)를 가열하는 히터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상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급수부(21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 트레이(210)는 상기 하판 트레이(220)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210)의 함몰부(213)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이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는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231)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상기 탄성부재(231)의 인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판 트레이(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230)의 일단은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222)에 축결합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230)과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221b)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3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31)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2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230)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231)가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22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와 보다 밀착되어 제빙 중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240)는 상기 상판 트레이(210) 및 하판 트레이(220)의 측방에 구비되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판 트레이(220)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어들이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얼음 이송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음 이송장치를 통한 얼음의 이송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냉동실(113)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13)과 냉장실(112) 및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를 지나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5)에 장착되어 고내 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15)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부재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단열을 위해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110)의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 사이의 단열재(미도시)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얼음 이송장치(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이빙되는 얼음들이 공급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유닛(330)과, 상기 하우징(310) 내부의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23)까지 안내하기 위한 제 1 덕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얼음과 이송부재(320)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공급되는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113)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가 수용되는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이너 케이스(115)의 사이의 단열재(미도시)에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이송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기어 또는 날개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321) 사이에 제빙된 구형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재(320)는 전체가 상기 하우징(310)에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축에는 구동유닛(330)이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 조합을 통해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34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안내하면서, 동시에, 상기 냉동실(113) 및 아이스 뱅크(140)를 순환하는 냉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덕트(340)는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가 장착되는 제 1 냉장실 도어(121)까지 연장 형성되며, 구형의 얼음이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가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부 직경은 제빙된 구형의 얼음 직경과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제빙된 얼음이 일렬로 연속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덕트는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9 내지 11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제 1 덕트(340)는 상기 베리어(111)를 관통하여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13) 및 냉장실(1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 1 덕트(340)의 외측으로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12)과 제 1 덕트(340)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덕트(340)는 상기 아웃 케이스(114)와 인 케이스(115)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와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 벽면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단열부재(미도시)에 의해 단열될 수 있게 되며, 고내측으로도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덕트(340)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덕트(340)의 상단에는 상기 냉장실(112)의 내측 벽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제 1 덕트(340)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얼음이 상기 제 1 덕트(34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덕트(350)는 상기 제 1 덕트(340)와 함께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상기 아이스 뱅크(140)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덕트(350)는 상기 냉동실(113)의 일측에서 상기 냉장실(112)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1 덕트(340)와 같이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35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또는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1)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3) 내측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20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 공급되는 물은 아이스 메이커(200)의 내측에서 구형의 얼음을 형성하게 되며,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에 구비되는 히터 또는 이빙을 위한 구성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의 하방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310)의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으로 제빙된 구형의 얼음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310)의 상방으로 공급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재(320)에는 다수의 돌출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21) 사이에는 구형의 얼음이 하나씩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10) 내측으로 유입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321)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된다.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은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덕트(340)에는 제빙된 얼음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덕트(340) 내부의 얼음이 밀려서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배출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에서 저장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23)의 조작시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는 만빙 감지장치(14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만빙 감지장치(146)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와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되는 만빙 감지장치(312)에 의해 아이스 뱅크(140) 및 하우징(310)에는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만빙 감지장치에 의해 설정량 이상의 얼음이 가득 찰 때까지 상기 아이스 메이커(2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재(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얼음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140)에 얼음이 차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330)의 구동이 시작된다. 상기 이송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송부재(320)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 얼음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1 덕트(340) 하단에 수용된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제 1 덕트(340) 하단을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제 1 덕트(340) 내부에서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얼음도 동시에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덕트(340) 개구부(341)를 통해서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1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23)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23)로 취출되는 얼음은 구형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개수만큼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냉장실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에 의해 구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3)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유닛(330)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얼음의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아이스 뱅크(140)의 내부로는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가 순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동실(113)-제 2 덕트(350)- 아이스 뱅크(140)-제 1 덕트(340)- 냉동실(113)은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냉동실(113)의 냉기는 상기 송풍팬(35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순환유로를 차례대로 순환하거나, 역순으로 순환한다. 상기 순환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뱅크(140) 내부에 공급되어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340)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덕트(340)는 단면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340)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 1 덕트(340) 내벽까지의 거리(d)는,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얼음(I)의 반지름(r)에 대응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얼음(I)을 일렬로 안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I)과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벽 사이에는 서로 접촉될 수 없는 냉기 유동공간(340s)이 형성된다. 특히,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상기 냉기 유동공간(340s)은 상기 제 1 덕트(340)의 4개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0)를 순환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 유동공간(340s)을 통해 유통될 수 있다. 상기 순환 냉기는 상기 냉기 유동공간(340s)을 통하여 안내되는 동안, 상기 얼음(I)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따라서, 하나의 제 1 덕트(340)를 통하여, 얼음 및 냉기가 동시에 원활히 유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340)의 단면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덕트(340)의 단면은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b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냉기 유동공간(340s)은 2군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동공간(340s)을 통하여, 상기 순환 냉기는 상기 얼음(I)의 간섭없이 유동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340)의 측면부에는, 냉기만 흐를 수 있는 보조 덕트(3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덕트(345)는 필요에 따라 그 단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덕트 내의 저항을 저감시켜 냉기의 순환을 원활히 하거나, 순환되는 냉기의 양을 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덕트(340) 및 보조 덕트(345)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덕트(340) 및 보조 덕트(345)를 연통시키는 연결 덕트(3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덕트(345)를 통해 흐르는 냉기는 상기 연결 덕트(346)를 통해, 상기 제 1 덕트(340)로 확산될 수 있다. 포함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이고,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벽에는,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리브(342)가 포함된다. 상기 리브(342)는 제 1 덕트(340)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42)는, 상기 제 1 덕트(340) 내부로 이동되는 얼음(I)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브(342)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I)은 상기 제 1 덕트(340)의 중심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얼음(I)과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벽은 서로 이격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은 냉기 유동공간(340s)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기 유동공간(340s)을 통해, 상기 제 1 덕트(340)를 순환하는 냉기는 상기 얼음(I)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도 10c를 참조하면, 리브(342)는 상기 제 1 덕트(340)의 내벽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얼음(I)은 상기 리브(342)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기 제 1 덕트(340)의 좌측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I)은 상기 제 1 덕트(340)의 우측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은 냉기 유동공간(340s)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일부분이 단열재에 매립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의 일부분이 단열재에 매립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 11a 및 도 11b에는, 2가지의 제 1 덕트(340)가 도시된다. 상기 제 1 덕트(340)는 각각 사각형 및 반원형으로 다른 형상을 가지나, 최대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340)에는 4개의 냉기 유동공간(340s)이 구비되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340)에는 2개의 냉기 유동공간(340s)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340)는 제 2 실시예보다 냉기의 순환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제 1 덕트(340)의 단면적이 넓어질수록, 상기 제 1 덕트(340)를 둘러싸는 단열공간(116)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112)과 상기 제 1 덕트(340) 사이에 열교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공간(116)이 큰 것이 좋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덕트(340)가 제 1 실시예보다 단열공간(116)이 크므로 단열이 잘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2 실시예가 외부 이슬 맺힘 및 소비전력에 있어 유리하다.
설계자는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 제 1 덕트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메이커(200)가 냉동실(113)에 위치하여, 냉장실 도어(120)에 별도의 아이스 메이커(200)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얼음 취출의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냉장실 도어(120)의 배면에 저장을 위한 공간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은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용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빙이 냉동실(113)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빙 효율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아이스 뱅크(140)에 구비된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지속적으로 영하의 온도를 가지는 냉기를 공급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얼음 이송을 위한 덕트와,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와, 공급된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덕트 총 3개의 덕트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 1 덕트(340)는 얼음이송 및 냉기순환이 함께 이루어지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냉장고가 갖추어야 할 덕트의 개수를 줄여 시스템을 간단하게 하여, 단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로 유출되는 열전달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전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내부 형상에 의하면, 냉기가 상기 덕트에서 안내되는 얼음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에 장착되며, 내부에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아이스 뱅크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뱅크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출구단과 상기 아이스 뱅크를 연결하며, 얼음 이송 통로가 되는 제 1 덕트;
    상기 아이스 뱅크와 냉동실을 연결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덕트의 내벽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덕트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 및
    상기 제 1 덕트의 내벽, 인접한 리브 및 얼음에 의해 정의된 다수의 냉기 유동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덕트로 얼음이 이송될 때 냉기가 상기 다수의 냉기 유동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의 측면부에 한 몸으로 형성되어 냉기만 흐르는 보조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제 1 덕트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뱅크 및 냉동실 사이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냉동실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아이스 뱅크에서 상기 냉동실로 냉기를 회수하는 냉장고.
KR1020120052112A 2012-05-16 2012-05-16 냉장고 KR10189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12A KR101892755B1 (ko) 2012-05-16 2012-05-16 냉장고
EP13167815.3A EP2664871B1 (en) 2012-05-16 2013-05-15 Refrigerator
CN201310182101.0A CN103423939B (zh) 2012-05-16 2013-05-16 冰箱
US13/895,436 US9677800B2 (en) 2012-05-16 2013-05-16 Refrigerator with an ice transfer flow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12A KR101892755B1 (ko) 2012-05-16 2012-05-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24A KR20130128224A (ko) 2013-11-26
KR101892755B1 true KR101892755B1 (ko) 2018-08-28

Family

ID=4844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112A KR101892755B1 (ko) 2012-05-16 2012-05-1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77800B2 (ko)
EP (1) EP2664871B1 (ko)
KR (1) KR101892755B1 (ko)
CN (1) CN103423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6342B (zh) * 2014-03-21 2016-08-17 江苏弗格森制冷设备有限公司 球冰机
CN105783371A (zh) * 2014-12-25 2016-07-20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CN105597622B (zh) * 2016-03-09 2017-11-21 苏州大学 结冰温度可控的用于制备微米级冰球颗粒的喷雾冷冻塔
US10712074B2 (en)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KR102418144B1 (ko) * 2017-08-21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90063817A1 (en) * 2017-08-30 2019-02-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CN107606862B (zh) * 2017-09-06 2020-05-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门体制冰装置的冰箱
US10697684B2 (en) 2018-03-20 2020-06-3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Automatic ice-sphere-making system for refrigerator appliance
WO2020101368A1 (en) * 2018-11-16 2020-05-22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WO2020101369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FR3091813B1 (fr) * 2019-01-18 2021-01-29 Seb Sa Machine de preparation de boissons munie d’un bac a capsules usagees perfectionne
KR20210109925A (ko) * 2020-02-28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846462B2 (en) 2021-03-19 2023-12-1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oor mounted chilled component with direct cooling
KR20220144216A (ko) * 2021-04-19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157A (ja) 2005-10-07 2007-04-19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塊搬出装置およびこの氷塊搬出装置を備えた貯氷庫
US20090145158A1 (en) * 2004-10-26 2009-06-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90314024A1 (en) 2006-09-15 2009-12-24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apparatus
US20120024001A1 (en) 2010-07-30 2012-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US20120023999A1 (en) 2010-07-27 2012-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transf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4141A (en) * 1985-06-13 1986-09-30 Mendenhall George A Food product centering and aligning tube
GB9715146D0 (en) * 1997-07-19 1997-09-24 Thermo Electric Systems Limite Hea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6314745B1 (en) * 1998-12-28 2001-11-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US7188479B2 (en) * 2004-10-26 2007-03-13 Whirlpool Corporatio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US7797961B2 (en) * 2006-12-07 2010-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US8161766B2 (en) * 2007-01-03 2012-04-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ce bin with thermal storage member
KR101643635B1 (ko) * 2009-10-07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120012228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아이스 뱅크를 갖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158A1 (en) * 2004-10-26 2009-06-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JP2007101157A (ja) 2005-10-07 2007-04-19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塊搬出装置およびこの氷塊搬出装置を備えた貯氷庫
US20090314024A1 (en) 2006-09-15 2009-12-24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apparatus
US20120023999A1 (en) 2010-07-27 2012-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transfer unit
US20120024001A1 (en) 2010-07-30 2012-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24A (ko) 2013-11-26
EP2664871B1 (en) 2018-09-05
CN103423939B (zh) 2015-09-16
EP2664871A2 (en) 2013-11-20
US9677800B2 (en) 2017-06-13
CN103423939A (zh) 2013-12-04
US20130305771A1 (en) 2013-11-21
EP2664871A3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755B1 (ko) 냉장고
KR101913423B1 (ko) 냉장고
KR101966043B1 (ko) 냉장고
US10514195B2 (en) Refrigerator
JP5571746B2 (ja) 冷蔵庫
EP1856463B1 (en) Refrigerator
KR101932076B1 (ko) 냉장고
EP3270078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CN101929774B (zh) 制冰单元和具有所述制冰单元的制冷机
EP2519793B1 (en) Refrigerator
US20160252286A1 (en) Refrigerator
KR101929517B1 (ko) 냉장고
US10119740B2 (en) Refrigerator
CN111656110B (zh) 制冰机
CN114719512B (zh) 冰箱
KR2023005501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