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132B1 -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132B1
KR101892132B1 KR1020120019294A KR20120019294A KR101892132B1 KR 101892132 B1 KR101892132 B1 KR 101892132B1 KR 1020120019294 A KR1020120019294 A KR 1020120019294A KR 20120019294 A KR20120019294 A KR 20120019294A KR 101892132 B1 KR101892132 B1 KR 10189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ar jack
rubber plate
portable terminal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557A (ko
Inventor
정민수
김상훈
김웅찬
김주현
정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32B1/ko
Priority to CN201320081709XU priority patent/CN203205614U/zh
Publication of KR2013009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ear jack)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이어 잭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ear jack) 방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 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 잭을 감싸는 이어 잭 방수 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잭 방수 러버는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 형틀 형상의 밀폐된 4 개 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 잭에 포함되는 침수 경로를 실링(sea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APPARATUS FOR WATERPROOFING EAR JACK IN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에서 이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ear jack)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이어 잭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 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음악 감상, 영화 감상, 사진 촬영 등 그 기능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른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이어 잭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이어 잭에는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된다.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는 보편화되어 사용됨에 따라 일상 생활에서의 방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방수에 가장 취약한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이어 잭 부분이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대한 방수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대한 방수 구조를 개시하고 있는 종래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 US 2006/0189192 "Waterproof connector"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에 대한 방수 장치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이어 잭 방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방수용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이어 잭 방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어 잭(11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이어 잭 방수 러버(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 잭 방수 러버(120)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110)에 포함된 침수 경로(210,310,320)에 실링(sealing)되지 않음에 따라, 침수 경로(210,310,320)로의 침수를 차단함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어 잭 방수 러버(120)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서 한정된 공간 내에서 소정 이상의 두께로 구현됨에 따라, 러버의 연장이 어려움으로, 침수 경로(210,310,320)로의 침수를 차단함에 한계가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어 잭(410,520,610)을 통해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접속부(430) 및 이어 잭(410,520,61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이어 잭 방수 러버 링(420,5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 잭 방수 러버 링(420,520)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410,520,610)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 사이즈 이상의 러버 링 형태이며, 이어 잭(410,520,610)으로의 침수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이어 잭 방수 러버 링(420,520)의 사이즈가 커짐으로, 슬림 및 소형 휴대 단말기에 이어 잭 방수 러버 링(420,520)을 적용함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 제안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대한 방수 구조는, 이어 잭으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제안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대한 방수 구조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내에 침수 경로를 복수로 포함하여, 이어 잭으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며, 아울러 이러한 복수의 침수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현재 제안된 방수 구조는, 사이즈가 켜져서,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의 휴대 단말기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의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하며, 이어 잭 내의 침수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대한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이어 잭 방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내에 존재하는 침수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이어 잭 방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슬림화 및 소형화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이어 잭으로의 침수를 차단하는 이어 잭 방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ear jack) 방수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 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 잭을 감싸는 이어 잭 방수 러버를 포함하고, 이어 잭 방수 러버는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을 가지며, 사각 형틀 형상의 밀폐된 4 개 면이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에 포함되는 침수 경로를 실링(sea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어 잭 방수 러버는, 서로 대향하는 제1러버판(rubber plate)과 제2러버판; 제1러버판과 제2러버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러버판; 및 제1러버판과 제2러버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4러버판을 포함하며, 제3러버판에 대향하는 일측 방향과, 제4러버판에 대향하는 상측 방향에는 러버(rubber)가 제거되어 오픈 구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러버판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며, 외부 기기가 홀을 통해 이어 잭과 접속하여, 휴대 단말기와 접속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4러버판은, 제3러버판에 해당하는 소정 부분의 러버가 제거되어, 제3러버판과 연결되지 않고 소정 부분이 오픈 구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러버판과 제2러버판은, 제4러버판과 연결된 부분이 제4러버판의 오픈된 구조에 해당하는 소정 부분보다 단차를 갖도록, 러버가 확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러버판과 제2러버판은, 제4러버판과 수평으로 연결된 수직면이 사선 또는 곡선 형태로 러버가 제거되어 오픈 구조를 갖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 잭 러버에는 상기 이어 잭 내부를 통한 침수를 실링(sealing)하는 내측 실링러버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 잭 내부에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부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러버판에는 상기 이어 잭 내부를 통한 침수를 실링하는 내측 실링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제4러버판에서 연장되는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부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제4러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3러버판의 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구조의 방수 러버(rubber)를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에 적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으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차단하여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방수 러버를 슬림화함으로써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의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어 잭 러버를 통해 휴대 단말기와 이어 잭 사이로 유입되는 외측 침수 뿐만 아니라, 이어 잭 내측의 단자부 등을 통한 내측 침수도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 잭 러버에 내측 실링부재를 더 제공함으로써, 이어 잭 내측의 단자부를 통한 내측 침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이어 잭 방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일반적인 방수용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이어 잭 방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분리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이어잭 방수 러버에 이어 잭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잭 방수 장치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잭 방수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실장된 이어 잭이 휴대 단말기에 배치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실장된 이어 잭이 휴대 단말기에 배치된 상태의 다른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내측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내측 실링부재를 통해 이어 잭 내측을 통한 침수를 실링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나,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ear jack)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이어 잭 방수 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어 잭 부분을 통해 침수할 수 있는 하나의 침수경로만을 차단하는 것이 아닌,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이어 잭에 복수의 침수 경로가 포함됨에 따라, 이러한 이어 잭의 침수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여 침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이어 잭 방수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에 소정 구조의 방수 러버(rubber)를 적용하여 이어 잭의 침수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하며, 아울러 소정 구조의 방수 러버를 슬림화하여 슬림 및 소형 휴대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을 감싸는 소정 형상, 예컨대 사각 형틀의 하우징을 이어 잭의 방수를 위한 소정 구조의 방수 러버로 구현한 후, 하우징을 통해 이어 잭의 침수 경로를 확실하게 차단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분리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이어잭 방수 러버에 이어 잭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을 나타내고, (b)는 케이스를 나타내며, (c)는 이어 잭 러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500)는, 이어 잭(51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 형상의 이어 잭 방수 러버(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 잭 방수 러버(530)는,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의 러버 구조로서, 휴대 단말기(500)의 이어 잭(510)에 포함된 침수 경로(610, 620, 630)에 실링되어, 침수 경로(610, 620, 630)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차단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 특히,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밀폐된 사각 형틀의 4개 면에 의해, 휴대 단말기(500)에서 이어 잭(510)의 침수 경로(610, 620, 630)가 확실하게 실링되며(도 10 및 도 11 참조), 그에 따라 이어 잭(510)로의 침수가 확실하게 차단된다. 특히, 이어 잭 방수 러버(530)는, 상측 부분의 러버가 제거, 즉 상측 부분이 오픈(open) 구조임에 따라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두께가 감소, 즉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슬림화된다. 이러한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상측 둘레는 휴대 단말기(500)의 케이스(520)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이어 잭 방수 러버(530) 상측 부분을 통한 침수 발생은 방지됨은 물론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슬림화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슬림화됨에 따라, 이어 잭 방수 러버(530)로 구현된 이어 잭 방수 장치는, 슬림 및 소형 휴대 단말에 용이하게 적용된다. 또한, 이어 잭 러버(530)의 오픈된 부분에 대향한 면은 휴대 단말기(500)의 내부 기기, 구체적으로 표시부 브라켓(미도시) 측으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면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어 잭(510) 내측에 배치되는 단자부(511) 등을 통한 내측 침수도 차단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이어 잭 러버(530)의 일면에 내측 실링부재(536)를 형성하여, 단자부(511)를 통한 침수 시 내부 실링부재(536)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이어 잭(510)의 내측을 통한 침수 경로를 차단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잭 방수 장치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잭 방수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잭 방수 러버(530)는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 및 상측 부분이 오픈 구조, 다시 말해 제1러버판(rubber plate)(531)과 제2러버판(532)은 서로 대향하며, 제1러버판(910)과 제2러버판(532)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러버판(533), 및 제1러버판(910)과 제2러버판(532)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4러버판(534)을 포함한다. 즉, 이어 잭 방수 러버(530)는, 제1러버판(910), 제2러버판(532), 제3러버판(533), 및 제4러버판(534)이 연결됨에 따라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을 가지며, 이때 제3러버판(533)에 대향하는 일측 방향과, 제4러버판(534)에 대향하는 상측 방향에는 러버가 제거되어 오픈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3러버판(533)에는 제1홀(533a)이 형성되며, 이어 잭 방수 러버(530)에 이어 잭(510)이 실장된 후, 케이스(520)에 의해 휴대 단말기(500)와 결합될 경우, 제3러버판(533)에 형성된 제1홀(533a)과 케이스(520)에 형성된 제2홀(521)이 서로 매핑되며, 그에 따라 외부 기기가 홀들(533a, 521)을 통해 외부 기기가 이어 잭(510)으로 접속하여, 휴대 단말기(500)와 접속한다.
그리고, 제4러버판(534)은, 소정 부분(535)의 러버가 제거되어, 소정 부분(960)이 오픈 구조를 가지며, 이때 오픈 구조에 의해 제4러버판(534)은, 제3러버판(533)과 연결되지 않는다.
제4러버판(534)은 이어 잭(510)의 외측 둘레를 통한 외부 침수 경로(610, 620, 630)을 차단함은 물론 더불어 이어 잭(510)의 내측을 통해 침수되는 내측 침수 경로 또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 제4러버판(534)은 제3러버판(533)의 단부 측으로 연장된다. 이어 잭(510)의 내측에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511) 등이 배치되는데, 특히 단자부(511)의 경우 이어 잭의 단부 쪽에 가깝게 위치되어, 이를 통해 단말기 내측으로 침수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단자부(511)를 통해 이어 잭(510)과 이어 잭 러버(510) 사이로 침수된 경우, 제 4러버판(534)에 의해 휴대 단말기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차단된다. 이러한 제4러버판(534)에는 내측 실링부재(536, 도 12 내지 도 14 참조)가 더 구비되어, 이어 잭 내측의 침수 경로를 더욱 견고하게 실링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러버판(910)과 제2러버판(532)은, 제4러버판(534)과 연결된 부분이 제4러버판(534)의 오픈된 구조에 해당하는 소정 부분(535)보다 단차(536)를 갖도록, 제4러버판(534)은 확장된 구조를 갖는다. 제4러버판(534)의 단차(536)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제2홀(521) 주변부분과 밀착되어 침수경로(610, 620, 630)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제1러버판(910)과 제2러버판(532)은, 제4러버판(534)과 수평으로 연결된 수직면이 사선 또는 곡선 형태로 러버가 제거된 오픈 구조를 갖는다. 이는 이어 잭(510)이 휴대 단말기(500)의 측면부에 구비됨으로써, 굴곡진 측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어 잭(510)은, 외부 기기와 휴대 단말기(500) 간의 접속을 위한 이어 잭 데코(700)를 포함하며,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 다시 말해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의 러버 구조를 갖는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에 위치한다. 즉, 이어 잭(510)은,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이 이어 잭(510)을 감싸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실장된 이어 잭이 휴대 단말기에 배치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실장된 이어 잭이 휴대 단말기에 배치된 상태의 다른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의 러버 구조를 갖는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에 의해 감싸여진 이어 잭(510)은, 케이스(520)에 의해 휴대 단말에 실장되며, 케이스(520)에 형성된 제2홀(521)을 통해 외부 기기가 이어 잭(510)으로 접속하여, 휴대 단말기(500)와 접속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500)에 적용된 이어 잭(510)은,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의 러버 구조를 갖는 이어 잭 방수 러버(530)의 하우징에 의해, 이어 잭(510)에 포함된 침수 경로(610, 620, 630)에 실링되며, 그에 따라 침수 경로(610, 620, 630)로의 침수를 확실하게 차단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방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의 러버 구조를 가지고, 이때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사각 형틀 형상의 4개 면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며, 아울러 하우징의 상측 부분이 오픈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이어 잭(510)의 모든 침수 경로에 실링됨에 따라, 이어 잭(510)의 모든 침수 경로의 침수과 확실하게 차단된다. 또한, 하우징의 상측 부분이 오픈 구조임으로, 이어 잭 방수 러버(530)가 슬림 구조가 되어, 이어 잭 방수 러버(530)로 구현된 이어 잭 방수 장치는, 슬림 및 소형 휴대 단말기(500)에 용이하게 적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어 잭 내부를 통한 침수를 차단하는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이어 잭 러버 장치에 내측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서 내측 실링부재를 통해 이어 잭 내측을 통한 침수를 실링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어 잭(510)의 내측을 통하여 단말기의 내측으로 침수되는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제4러버판(534)의 단부에서 제3러버판(533)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실링부재(53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실링부재(536)는 제4러버판(534)와 분리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 실링부재(536)은 제4러버판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어 잭(510)의 내측은 외부 기기를 착탈함과 동시에 내부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부(511) 등이 배치된다. 따라서, 단자부(511)를 통해 단말기로 유입되는 침수경로(630)가 발생한다. 내측 실링부재(536)은 이러한 내측 침수 경로(630)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어 잭 러버(530)와 내측 실링부재(536)으로 인해, 이어 잭(510)의 외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경로(610, 620)뿐만 아니라 내측 침수경로(630)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 잭(510)과 휴대 단말기 사이의 침수경로(610), 이어 잭 데코(620)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침수경로(620)을 실링하고, 이어 잭(510) 의 내측 더 구체적으로 단자부(511)을 통한 내측 침수경로(630)까지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실링부재(536)는 이어 잭 러버와 동일한 러버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어 잭(510)의 내측을 통한 침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이나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휴대 단말기 510: 이어 잭
520: 케이스 530: 이어 잭 러버
610, 620, 630: 침수경로 700: 이어 잭 데코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ear jack) 방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 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 잭을 감싸는 이어 잭 방수 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잭 방수 러버는 4개 면이 밀폐된 사각 형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각 형틀 형상의 밀폐된 4 개 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이어 잭에 포함되는 침수 경로를 실링(sea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잭 방수 러버는,
    서로 대향하는 제1러버판(rubber plate)과 제2러버판;
    상기 제1러버판과 상기 제2러버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러버판; 및
    상기 제1러버판과 상기 제2러버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4러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3러버판에 대향하는 일측 방향과, 상기 제4러버판에 대향하는 상측 방향에는 러버(rubber)가 제거되어 오픈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러버판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이어 잭과 접속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러버판은,
    상기 제3러버판에 해당하는 소정 부분의 러버가 제거되어, 상기 제3러버판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소정 부분이 오픈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판과 상기 제2러버판은, 상기 제4러버판과 연결된 부분이 상기 제4러버판의 오픈된 구조에 해당하는 상기 소정 부분보다 단차를 갖도록, 러버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버판과 상기 제2러버판은, 상기 제4러버판과 수평으로 연결된 수직면이 사선 또는 곡선 형태로 러버가 제거되어 오픈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7. 휴대 단말기의 방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 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모듈을 감싸는 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는 상기 모듈에 포함되는 침수 경로를 실링(sea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이어 잭 러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상기 모듈을 감싸며 일측이 오픈된 러버판을 포함하되, 상기 러버판의 주변둘레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측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잭 러버에는 상기 이어 잭 내부를 통한 침수를 실링(sealing)하는 내측 실링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잭 내부에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부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러버판에는 상기 이어 잭 내부를 통한 침수를 실링하는 내측 실링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제4러버판에서 연장되는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이어 잭과 상기 이어 잭 러버부 사이로 침수되는 것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실링러버는 상기 제4러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제3러버판의 단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방수 장치.
KR1020120019294A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KR10189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94A KR10189213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CN201320081709XU CN203205614U (zh) 2012-02-24 2013-02-22 便携式终端的耳机插座防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94A KR10189213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57A KR20130097557A (ko) 2013-09-03
KR101892132B1 true KR101892132B1 (ko) 2018-08-27

Family

ID=4914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94A KR101892132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132B1 (ko)
CN (1) CN2032056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737B2 (en) * 2014-01-07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267534B1 (ko) * 2014-01-07 202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JP6261044B2 (ja) * 2014-07-04 2018-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防水ジャック
CN105932474A (zh) * 2016-04-27 2016-09-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耳机插座防水装置及终端
CN106329212B (zh) * 2016-10-13 2019-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耳机座及耳机座的制造方法
WO2018068534A1 (en) 2016-10-13 2018-04-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earphone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arphone so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133A (ja)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無線機のイヤホンジャック防水構造及びその防水方法
JP2010003442A (ja) 2008-06-18 2010-01-07 Jst Mfg Co Ltd ジャックコネクタ
JP2010177880A (ja) 2009-01-28 2010-08-12 Kyocera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096A (ja) * 1994-09-05 1996-03-22 Hitachi Denshi Ltd 無線機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133A (ja)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無線機のイヤホンジャック防水構造及びその防水方法
JP2010003442A (ja) 2008-06-18 2010-01-07 Jst Mfg Co Ltd ジャックコネクタ
JP2010177880A (ja) 2009-01-28 2010-08-12 Kyocera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05614U (zh) 2013-09-18
KR20130097557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13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 잭 방수 장치
US7657025B2 (en) Microphone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900590B2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KR20140113789A (ko) 방수 이어 잭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67173A (ja) マイクロフォンモジュール、その取付構造及び携帯電子機器
JP4438883B2 (ja) 防水構造付き携帯端末装置
TWI482000B (zh) 密封元件及應用該密封元件之電子裝置
WO2010087141A1 (ja) 電子機器
JP2011071876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筐体防水構造
KR20130106981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방수 장치
JP2012059479A (ja) コネクタ類の防水取付構造
JP2008091091A (ja) 電子機器
JP2005348341A (ja) 携帯用電子機器
KR101499060B1 (ko) 방수 이어폰 잭
JP2009277739A (ja) シール構造体
US8808895B2 (en) Battery protection structures
JP2006287313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KR200469611Y1 (ko) 수밀식 오디오 잭
TWM456614U (zh) 防進水串行總線連結器
KR101076979B1 (ko) 방수 가능한 오디오 케이블 또는 비디오 케이블의 케이블 잭
KR20120013509A (ko) 방수 가능한 심카드 또는 메모리카드의 카드 슬롯
KR20120118663A (ko)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TWI407883B (zh) 防水塞及應用該防水塞之電子裝置
KR20130080238A (ko) 방수 구조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
US9048602B2 (en) Audio-visu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