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663A -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 Google Patents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663A
KR20120118663A KR1020110036167A KR20110036167A KR20120118663A KR 20120118663 A KR20120118663 A KR 20120118663A KR 1020110036167 A KR1020110036167 A KR 1020110036167A KR 20110036167 A KR20110036167 A KR 20110036167A KR 20120118663 A KR20120118663 A KR 20120118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nection
ear jack
case
jack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백승협
위종천
손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663A/ko
Publication of KR2012011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개구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소켓 몸체; 및 상기 소켓 몸체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어 잭 소켓은 이어폰 플러그 등의 접속을 위해 개방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와 소켓 몸체 사이의 브라켓 및 밀봉 부재에 의해 방수 기능이 제공되므로, 단말기의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EAR JACK SOCKET WITH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이어 잭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기능이 구비된 이어 잭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기기로서, 통신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대체로, 외부 스피커, 이어폰 접속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 접속, 메모리나 심카드 장착을 위한 다양한 소켓이나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소켓이나 커넥터는 단말기가 작동하는 중에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어폰(ear phone)이나 인터페이스 커넥터(interface connector)를 접속시키기 때문에 대체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생활 방수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방수 주머니를 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일상 생활에서 방수 기능이 절실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휴양지나 특별한 시설에 입장하는 경우에만 방수 주머니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산악인, 군인, 수상 레포츠나 스키 등을 즐기는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용자들은 대체로 갑작스런 날씨 변화나 열악한 환경에 쉽게 노출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침수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상적인 방수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형상으로 제작된 방수 커버를 휴대용 단말기에 밀착된 상태로 씌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작 단계에서 사출물들 사이, 각종 커넥터와 소켓의 입구 등에 탄성체를 이용한 밀봉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도의 방수 커버를 이용한 방수 구조에서는 이어폰의 플러그 등을 접속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 이어 잭 소켓을 통해 단말기의 내부까지 침수될 위험이 높다. 또한, 별도의 방수 커버를 사용하더라도, 이어폰의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어 잭 소켓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 커버의 일부분을 제거해야만 한다. 이어폰의 플러그 결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 커버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경우, 방수 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방수 커버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이어폰의 플러그 결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어 잭 소켓을 단말기의 가장자리, 더 나아가서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설치하기도 한다. 이는 방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는 있지만, 단말기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의 제작 단계에서 밀봉 부재를 배치하더라도, 커넥터나 소켓 사용을 위해 개방할 경우, 이어 잭 소켓이나 커넥터를 통해 단말기의 내부까지 침수될 위험 또한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을 위해 커넥터나 소켓, 더 구체적으로는 이어 잭 소켓을 개방하더라도, 단말기 내부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말기의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개구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소켓 몸체; 및 상기 소켓 몸체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면을 관통하게 배치된 접속 패드들; 상기 소켓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접속 패드들과 접촉되는 제1 접속편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 패드들과 접촉되는 제2 접속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 접속편들은 각각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소켓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접속 단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 잭 소켓은 상기 접속 단자들과 상기 브라켓 사이로 주입되는 밀봉 수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접속 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또는 접속 와이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로 장치들이 배치된 회로 기판과 평행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어 잭 소켓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소켓 몸체를 감싸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어 잭 소켓은 상기 커버 부재를 관통하는 배수홀; 및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는 덮개(li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의 내벽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테이프 또는 오-링(O-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어 잭 소켓은 이어폰 플러그 등의 접속을 위해 개방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와 소켓 몸체 사이의 브라켓 및 밀봉 부재에 의해 방수 기능이 제공되므로, 단말기의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을 통해 이어 잭 소켓과 단말기 내부의 회로 장치들을 접속하는 구조가 제공되므로, 소켓으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의 배치는 단말기 내부의 회로 기판과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게 배치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이어 잭 소켓을 단말기의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이어 잭 소켓이 단말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더라도 소켓 몸체와 단말기 케이스 사이에 방수 구조가 충분히 제공되므로, 이어폰 플러그 등을 접속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의 소켓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의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소켓의 소켓 몸체와 브라켓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의 소켓 몸체와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이어 잭 소켓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소켓(100)은 브라켓(102)을 통해 소켓 몸체(101)를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13)에 결합하되, 브라켓(102)과 개구(13) 사이에 밀봉 부재를 배치하여 방수 기능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11)는 상기 이어 잭 소켓(100)이 설치되는 개구(13)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나 각종 입력 장치 등 전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소켓 몸체(101)는 일단에 플러그 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접속편(11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접속편(111)은 탄성체 재질, 예를 들어, 금속편을 절곡하여 제작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 몸체(101)는 통상의 이어폰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나 메모리 카드 소켓용 소켓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브라켓(102)은 상기 개구(13)를 폐쇄하면서, 상기 소켓 몸체(111)를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제공되는 회로 장치들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접속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 잭 소켓(100)은 상기 제1 접속편(111)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접속편(111) 외에, 상기 브라켓(102)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121)들과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접속편(17)을 구비한다. 상기 접속 패드(121)들은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브라켓(102)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2)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들은 제2 면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들 중 하나와 쌍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출에 의해 상기 브라켓(102)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중 사출을 통해 상기 브라켓(102)을 성형함과 동시에 금속성 재질의 상기 접속 패드(121)들을 상기 브라켓(102)에 배치할 수 있다.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접속 패드(121)들을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접속 패드(121)를 이루게 될 금속 부품의 외주면에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102)을 이루는 합성 수지가 맞물리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접속 패드(121)들을 배치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102)의 양면에 각각 상기 접속 패드(121)들이 배치된 것으로 보여지나, 제1 면의 접속 패드들과 제2 면의 접속 패드들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금속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일부분이 각각 상기 브라켓(102)의 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접속 패드(121)들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 패드(121)들은 상기 브라켓(101)을 성형한 후 별도로 조립될 수 있다. 즉, 쌍을 이루는 볼트와 너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102)을 관통하게 체결한다면, 볼트의 머리 부분 표면과 너트의 표면 중 일부가 상기 접속 패드(121)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 패드(121)를 이루게 될 볼트와 너트는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제2 접속편(17)은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의 회로 장치가 배치된 회로 기판(15)상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접속편(17) 또한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판 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2)이 상기 개구(13)에 결합하면, 상기 브라켓(102)의 일면에 배치된 접속 패드들이 상기 제2 접속편(17)과 접촉되며, 상기 제2 접속편(17) 자체의 탄성력은 상기 접속 패드(121)들과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브라켓(102)의 둘레를 감싸게 결합되는 탄성체 재질의 오-링(O-ring)(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2)이 상기 개구(13)에 결합되면, 상기 오-링(123)이 상기 브라켓(102)과 개구(13)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정도 압축되면서 상기 케이스(11)와 브라켓(102)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 부재는 양면 테이프(125)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가 양면 테이프(125)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개구(13)에는 단차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면 테이프(125)는 상기 브라켓(102)의 일면 가장자리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단차면에 부착되어 상기 브라켓(102)을 상기 개구(13)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이어 잭 소켓(100)은 상기 소켓 몸체(101)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11)의 외측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1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103)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소켓 몸체(101)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 부재(103)의 일면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공(113)을 노출시키는 노출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출공(131)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덮개(lid)에 의해 폐쇄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덮개를 제거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공(113)을 개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러그 삽입공(113)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 몸체(101)가 침수된 경우, 그 내부의 액체를 배출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부재(103)는 배수홀(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133)은 상기 노출공(131)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평상시에는 또 다른 덮개(139)에 의해 폐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부재(103)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경우, 상기 배수홀(133)은 상기 커버 부재(103) 내부의 액체를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103)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노출공(131)을 통해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소켓은 접속 부재의 구성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들에 대해서는 선행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며,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 소켓의 접속 부재는 소켓 몸체(20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접속 단자(21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단자(211)들은 각각 브라켓(202)에 형성된 슬릿(221)들을 통해 상기 브라켓(202)을 관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11)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슬릿(221)의 내벽과 접속 단자(211)들 사이에 방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릿(221)의 내부로 실리콘이나 접착제, 고무와 같은 밀봉 수지(229)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봉 수지(229)는 상기 브라켓(202)의 표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2)과 상기 케이스(11)의 개구(13)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방수 구조를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 실시 예의 오-링(123)을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202)과 상기 케이스 개구(13) 사이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브라켓(202)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으로 돌출된 접속 단자(211)들은 각각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나 접속 와이어 등의 배선(27)을 통해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제공되는 회로 기판(15)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201)을 배치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제2 접속편(17)들이 회로 기판(15)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회로 기판(15)과 적층된 구조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202)과 회로 기판(15)이 평행한 상태에서 적층된 구조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의 이어 잭 소켓의 경우, 상기 접속 단자(211)들과 회로 장치의 접속에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나 접속 와이어와 같은 배선(27)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202)의 설치 위치는 비교적 자유롭다. 즉, 상기 브라켓(202)이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회로 기판(15)과 동일한 높이에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어 잭 소켓을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은 배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이어 잭 소켓 101: 소켓 몸체
102: 브라켓 121: 접속 패드
123: 오-링 103: 커버 부재

Claims (11)

  1. 이어 잭 소켓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개구와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소켓 몸체; 및
    상기 소켓 몸체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면을 관통하게 배치된 접속 패드들;
    상기 소켓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접속 패드들과 접촉되는 제1 접속편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 패드들과 접촉되는 제2 접속편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속편들이 상기 단말기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접속편들은 각각 탄성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소켓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접속 단자들이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접속 단자들이 상기 단말기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들과 상기 브라켓 사이로 주입되는 밀봉 수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또는 접속 와이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회로 장치들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로 장치들이 배치된 회로 기판과 평행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소켓 몸체를 감싸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를 관통하는 배수홀; 및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는 덮개(lid)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의 내벽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의 내벽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잭 소켓.
KR1020110036167A 2011-04-19 2011-04-19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KR20120118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67A KR20120118663A (ko) 2011-04-19 2011-04-19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67A KR20120118663A (ko) 2011-04-19 2011-04-19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63A true KR20120118663A (ko) 2012-10-29

Family

ID=4728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167A KR20120118663A (ko) 2011-04-19 2011-04-19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6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60B1 (ko) * 2013-10-24 2015-03-06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방수 이어폰 잭
KR20150095351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785739A (zh) * 2017-09-18 2018-03-09 东莞市臣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插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60B1 (ko) * 2013-10-24 2015-03-06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방수 이어폰 잭
KR20150095351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785739A (zh) * 2017-09-18 2018-03-09 东莞市臣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9319B1 (en) Waterproof Ear Jack Soc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192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KR101301982B1 (ko)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US20080001832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7484981B2 (en) Assembly for sealing an audio connector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20080051159A1 (en) Portable Radio
KR20190022094A (ko) 전자 부품 및 이어폰 잭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162681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earphone jack assembly
US8982571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electric wiring
KR20120118663A (ko)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 잭 소켓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CN108696782B (zh) 一种线控组件及线控式蓝牙耳机
US5768369A (en) Telephone test set keypad with integrated dynamic microphone
US20130280961A1 (en) Ear jack of mobile terminal
TWI593176B (zh) Terminal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the terminal structure
CN214205604U (zh) 移动终端
US8100714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TWM541662U (zh) 電連接器
TWI431860B (zh) 連接器防水結構及使用其的可攜帶型電子裝置
JP2012146593A (ja) コネクタジャックの支持構造およびコネクタジャックを有する電子機器
TW201417411A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之電子裝置
TWI452774B (zh) Waterproof audio sockets
JP2009147008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電話機
KR101076979B1 (ko) 방수 가능한 오디오 케이블 또는 비디오 케이블의 케이블 잭
US20110058314A1 (en)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