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014B1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2014B1 KR101892014B1 KR1020180015240A KR20180015240A KR101892014B1 KR 101892014 B1 KR101892014 B1 KR 101892014B1 KR 1020180015240 A KR1020180015240 A KR 1020180015240A KR 20180015240 A KR20180015240 A KR 20180015240A KR 101892014 B1 KR101892014 B1 KR 101892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food
- refrigerator
- information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식품의 종류별로 식품의 냉장 보관 관련된 식품정보를 내장하는 센서 패키지는, 상기 센서 패키지의 외관에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 패키지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키지 내부에, 상기 센서 패키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동작스위치, 상기 표시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냉장고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통신모듈, 상기 센서 패키지에 대응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패키지와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센서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센서제어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 패키지 또는 그 센서 패키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내의 식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거나, 이러한 정보를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패키지 또는 그 센서 패키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식품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 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냉장고에는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유닛은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장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유닛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는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의 통신유닛은 냉장고 외부에 존재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 또는 단말기로부터 출력유닛에 표시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된 식품은 식품의 종류와 저장 개시 시점에 따라 적정 보관 기한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인 냉장고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 각각에 대해 적정 보관 기한을 확인하거나,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 냉장고의 보급으로 냉장고에는 다양한 식품이 저장되고 있고, 냉장고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에 저장한 식품의 구입일 및 식품의 제조일자를 기억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구입일이 오래된 식품을 버리거나 신선하지 못한 식품을 먹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냉장고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가용기한을 확인하기 위해, 냉장고의 사용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해야하므로,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이 초래된다.
아울러, 냉장고의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경우, 냉장고의 도어가 빈번히 개폐되기 때문에, 냉장고의 전력 소모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냉장고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해당 식품이 모두 소모된 후에야, 해당 식품의 재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용자에게는 해당 식품이 모두 소모 된후, 재구매하기 전까지는 해당 식품을 먹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오랜시간 동안 냉장고를 직접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는 계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격으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냉장고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냉장고의 본체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식품마다의 정보를 감지하도록 센서를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만약 센서가 냉장고의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센서가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센서와 통신하는 냉장고의 제어유닛이 센서에 부착된 식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센서를 서로 다른 식품군에 대해 혼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식품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다른 식품군으로 옮길 수 있고, 식품의 위생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마다 적정 보관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식품마다 검출된 보관기간에 근거하여 유효기간을 산출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마다의 정보를 감지 가능하면서도, 냉장고에 저장될 다양한 식품군 상호 간의 냄새가 혼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생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부패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이 모두 소모되기 전에, 해당 식품의 재구매가 필요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재구매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해당 식품에 대한 적정 조리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된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마다 각각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식품에 직접 부착되거나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센서 및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식품의 종류별로 식품의 냉장 보관 관련된 식품정보를 내장하는 센서 패키지는, 그 센서 패키지의 외관에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이 배치되고, 그 센서 패키지 내부에, 상기 표시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냉장고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통신모듈, 상기 센서 패키지에 대응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패키지와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센서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센서제어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의 일 지점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온도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광량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된 시점을, 상기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놓인 물체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 변화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 패키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센서통신모듈과 상기 통신유닛 사이에 통신이 수립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는 상기 식품에 대해 설정된 조리 과정, 권장 사용 기한,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냉장고는, 냉장고 내에 존재하는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출력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품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냉장고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식품이 상기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저장 개시 시점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저장 개시 시점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식품과 관련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냉장고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출력유닛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 중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출력된 그래픽 객체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에 감지된 상태정보와, 상기 식품의 현재 시점에 감지된 상태정보 및 상기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의 상기 식품의 중량과, 현재 시점의 상기 식품의 중량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식품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광량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제1 광량 기준치 이상에서 제2 광량 기준치 이하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상기 제2 광량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시점을, 상기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놓인 물체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 변화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온도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와 상기 통신유닛 사이에 통신이 수립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센서가 부착된 식품의 식품군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식품군과 상기 감지된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품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식품이 부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식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상기 식품의 부패 여부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출력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정보는 기 식품에 대해 설정된 조리 과정, 권장 사용 기한,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냉장고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냉장고 내에 존재하는 식품에 부착되어, 상기 식품이 상기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저장 개시 시점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유닛,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 및 상기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출력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품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냉장고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식품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상기 식품과 관련된 상태정보 및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마다 부착된 센서로부터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냉장고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사용계획을 보다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이 소모되기 전에, 해당 식품을 재구매함으로써, 일상적으로 필요한 식품이 모두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나 사용자 입력이 없이, 식품마다 개별적으로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온도,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 내의 습도 및 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냉장고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가 식품에 부착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에 구비된 밴드형 부착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에 구비된 클립형 부착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g 및 도 3h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뚜껑에 부착되는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i 및 도 3j는 식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상면에 배치된 부품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b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화면과 관련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j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패키지를 이용하여 센서 패키지에 부착되는 식품이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냉장고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가 식품에 부착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에 구비된 밴드형 부착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e 및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에 구비된 클립형 부착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g 및 도 3h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뚜껑에 부착되는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i 및 도 3j는 식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상면에 배치된 부품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b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화면과 관련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j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패키지를 이용하여 센서 패키지에 부착되는 식품이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도 1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외관, 특히 이동 로봇의 배면과 관련된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0)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다.
냉장고(1000)의 외관은 냉장고 본체(1100)와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100) 내부에는 식품 저장실(1200)이 형성된다. 식품 저장실(1200)은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1210)과 냉동실(12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에 연결되고, 냉장고(1000)의 외관 중 전면부의 외관을 형성하며, 냉장고 본체(1100)의 전면 개구부(1100a)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형 도어 또는 서랍형 도어로 구분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00)는 냉장고의 도어 일면에 부착되어, 냉장고의 동작 또는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700)는 냉장고의 도어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냉장고에 부착중인 디스플레이(1700)와, 냉장고로부터 탈착중인 디스플에이(1700a)는 각각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1700)는 냉장고 본체와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를 검출하여, 탈부착 검출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1700)에 표시될 정보를 전환시키거나, 디스플레이(1700)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700)는 냉장고 내부에 존재하는 센서와, 냉장고 외부에 존재하는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유닛(미도시)을 탑재하여, 상기 센서와 단말기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수립되는 통신의 프로토콜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수립되는 통신의 프로토콜과 상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0)는 식품의 반입 때마다, 식품과 관련된 알림정보,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 및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개체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정보는 식품의 온도, 식품의 습도,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와 발생량,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정보는 식품에 대해 설정된 조리 과정, 권장 사용 기한,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정보는 이하에서 설명될 센서(300)의 센서제어모듈 또는 저장모듈(미도시)에 내장될 수도 있고,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1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 제어 시스템은 냉장고(1000), 이동단말기(100), 센서(3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0)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로부터,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냉장고(1000)는 센서(3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보관상태와 관련된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1000)는 서버(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동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이동단말기(1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냉장고(1000)는 서버(200)로부터 식품의 온도, 중량, 권장 보관기간, 유통기한, 가스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냉장고(1000)는 센서(300)와 제1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동단말기(100) 또는 서버(200)와 제2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신과 제2 통신은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일 수 있고, 제2 통신은 WiFi일 수 있다.
센서(300)는,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1000)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300)는 저장 개시 시점부터 식품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상태정보를 냉장고(10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1000)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은, 센서(300) 자체에서 검출될 수도 있고, 센서(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냉장고제어유닛(1080)에서 검출될 수도 있다.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의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10a 내지 도 10e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냉장고(1000)는 센서(300)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식별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품의 온도, 중량, 적정 보관기간, 유통기한, 가스 발생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다양한 식품군에 포함된 식품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장고(1000)는 상기 검출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냉장고(1000) 또는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냉장고(1000) 또는 서버(200)는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냉장고(1000)에 저장된 식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송 요청을 전송한 이동단말기(100)가 인증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된 이동단말기(100)만이 냉장고(1000)로부터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도 2a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0)의 구성요소가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0)는, 냉각 싸이클유닛(1010), 통신유닛(1020), 센싱유닛(1030), 팬(1040), 입력유닛(1050), 메모리유닛(1060), 출력유닛(1070), 냉장고제어유닛(1080) 및 전원 공급유닛(10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 싸이클유닛(1010)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드라이어, 모세관, 핫라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각 싸이클유닛(1010)는 압축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냉각 싸이클유닛(1010) 내에서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다.
통신유닛(1020)은 냉장고(10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유무선 통신 또는 냉장고(1000)와 그 냉장고(10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유닛(1020)은 방송 수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유닛(1020)은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700) 또는 출력유닛(107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유닛(1020)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냉장고(10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1020)에 포함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1020)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은 냉장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1020)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냉장고(1000)의 냉장고제어유닛(1080)에서 처리된 정보, 센싱유닛(1030)에서 감지된 정보 등을 외부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센싱유닛(1030)은,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 또는 외부 온도, 냉장고 도어나 홈 바의 열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싱유닛(1030)은 증발기의 유입구 및 증발기의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유닛(1030)은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의 일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냉동실 내부의 일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외기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냉장고 외벽면 중 일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싱유닛(1030)은 압축기의 구동 여부, 압축기의 냉력 값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유닛(1030)에서 감시된 정보는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팬(1040)는 냉장고 고내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팬, 냉각 싸이클부의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방열시키기 위해 기계실에 배치되는 방열용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유닛(1050)은, 냉장고(10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냉장고(10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유닛(1050)는 상기 냉장고의 출력유닛(1070)의 디스플레이 위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050)은 냉장고에 보관할 식재료의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식재료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050)은 사용자의 음성과 같은 오디오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유닛(1060)는, 냉장고(1000)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냉장고(1000)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냉장고 구동을 위해 설정된 정보, 냉장고 어플리케이션, 냉장고 상태정보, 레시피 정보, 냉장고에 보관 중인 식재료 정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저장하고, 또한 이러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유닛(1060)는, 냉장고(1000)가 설치된 곳에 대한 위치 정보, 위치를 수집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미도시)에 대한 정보 및 서버(미도시)에 대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유닛(1070)는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 등을 시각, 청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유닛(1070)의 디스플레이는 냉장고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1000)의 냉장실 도어의 일면에는 제1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고, 냉동실 도어의 일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원 공급유닛(1090)는 상기 냉장고제어유닛(10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냉장고제어유닛(1080)의 의 동작 또는 그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상기 운영 시스템의 적절한 중개 동작을 그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중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도 2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단말기(100)의 구성요소가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j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본체(30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301)의 실시예는 도 3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체(301)의 일부에는 센서(300)의 동작스위치(302)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300)는 동작스위치(302)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온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본체(301)의 일면에는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300)의 종류는 식품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0)의 종류는 육류, 어패류, 채소류, 과일류, 유제품류, 곡물류, 지방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는 센서의 외관 중 식품을 부착하지 않는 일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를 본체(301)의 일면에 표시함으로써, 센서(300)가 부착되는 식품군의 혼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냉장고(1000)에 저장될 식품 상호간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센서(300)의 종류를 식품군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본체(301)의 일면에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의 센서를 동일한 식품군에 대해서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로써 센서가 서로 다른 식품군에 혼용되는 경우, 특정 식품군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냄새가 다른 식품군에 옮겨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300)는 센서패키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패키지는 냉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센서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식품을 냉장고에 저장하기 위해, 식품의 식품군을 고려하여, 센서세트에서 일 종류의 센서(300)를 선택한 후, 선택된 센서를 식품의 표면 또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식품의 식품군과 대응되는 센서를 선택하기 위해, 센서의 본체 일면에 표시된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가 복수의 식품군 중 어류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가 표시된 센서(300)는 어류의 표면 또는 어류를 수용하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되는 복수이 센서 패키지는 센서 패키지의 본체 외면에 각각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 패키지에 대응하는 식품의 종류 또는 식품군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303)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센서 패키지의 외관에는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303)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센서(300)의 메모리 또는 센서 패키지의 메모리는 센서의 외면에 배치된 표식(303)과 관련된 식품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정보는 상기 표식(303)과 관련된 식품군 또는 식품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군에 따라 구분되는 센서(300)의 종류가 어류인 경우, 메모리는 어류의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권장 보관 기간, 부패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식품군에 따라 구분되는 센서(300)의 종류가 어류인 경우, 메모리는 어류의 냉동 시간, 해동 시간, 조리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서(300)의 종류는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본체(301)의 일면에 표시되는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센서에 센서의 종류를 변경시키기 위한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의 시각적 외관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300)의 본체(301)는 출력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출력모듈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30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품군에 따라 구분된 센서의 종류 중에서, 냉장고에 새로 저장할 식품의 종류와 대응되는 종류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센서(300)의 종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303)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센서(300)는 식품의 이름, 종류,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및 권장 보관 기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센서(3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3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303)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표식(303)은 미리 정의되지 않은 식품군에 부착하기 위한 센서(300)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300)의 종류는 감지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0)는 온도 감지용 센서, 가스 감지용 센서, 중량 감지용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센서(300)의 배면에는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부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300)는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40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센서(300)는 식품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류를 나타내는 표식(303b)이 부착된 센서(300)는 어류인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401)의 일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센서(300)의 동작스위치(302)는 용기(401)에 부착된 후 턴온(Turn-On)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300)는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식품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착부재는 수분이 존재하는 표면에서도 접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센서(300)는 육류 또는 어패류와 같은 식품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밴드형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센서(300)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는 밴드형 부착부재(301a)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c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밴드형 부착부재(301a)는 센서(300)가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센서(300)를 수용하는 부분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형 부착부재(301a)와 결합된 센서(300)에 있어서, 상기 센서(300)의 일부분은 상기 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노출된 센서(300)의 일부분이 식품 또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밴드형 부착부재(301a)의 밴드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밴드형 부착부재(301a)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3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d에서는 음료를 나타내는 표식(303d)이 부착된 센서(300)와 밴드형 부착부재(301a)가 결합된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3c에서는 기타 종류를 나타내는 표식(303c)이 부착된 센서(300)와 밴드형 부착부재(301a)가 결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c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300)와 밴드형 부착부재(301a)는 각각에 부착된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될 수도 있다.
아울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00)와 밴드형 부착부재(301a)가 결합되는 경우, 센서(300)의 열전달용 메탈이 배치된 일면이 밴드형 부착부재(301a)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d를 참조하면, 밴드형 부착부재(301a)의 양단이 체결되어, 병 모양 용기(402)에 센서(300)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d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밴드형 부착부재(301a)는 병 모양의 용기에만 체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밴드형 부착부재(301a)와 결합된 센서(300)는 육류나 어패류 등에도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음료를 나타내는 표식(303d)이 부착된 센서(300)를 밴드형 부착부재(301a)와 결합시키며, 밴드형 부착부재(301a)의 양단을 음료인 식품을 수용하는 병에 체결함으로써, 센서(300)가 음료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품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싱모듈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센서(300)의 일면에 설치된 메탈부재는 밴드형 부착부재(301a)의 외부로 노출되어, 도 3d에 도시된 음료를 수용하는 병 모양 용기(402)와 상기 메탈부재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센서(300)의 센서통신모듈은 실시간으로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과 음료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냉장고제어유닛은 음료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료가 적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냉장고제어유닛은 음료를 나타내는 표식(303d)이 부착된 센서(300)의 센서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음료가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음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저장이 개시된 음료에 대한 설정온도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온도와 상기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음료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클립형 부착부재(301b)를 구비하는 센서(300)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는 클립형 부착부재(301b)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립형 부착부재(301b)는 센서(300)의 본체(3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클립형 부착부재(301b)가 센서와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채나 과일과 같이 센서(300)를 직접 부착하기 어려운 식품에 대해, 비닐 용기에 수용된 야채나 과일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야채나 과일을 나타내는 표식(303e)이 부착된 센서(300)와 클립형 부착부재(301b)가 결합될 수 있다. 클립형 부착부재(301b)는 비닐 용기의 입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립형 부착부재(301b)에 의해 비닐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는 센서(300)는 비닐 용기의 입구에서 야채나 과일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300)는 클립형 부착부재(301b)에 의해 비닐 용기의 입구 부분에 부착되어, 비닐 용기의 입구로 분출되는 야채나 과일에서 생성된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클립형 부착부재(301b)를 구비하는 센서(300)는 식품을 수용한 용기(403)의 일단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형 부착부재(301b)는 용기(403)의 일단에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403)는 형태가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비닐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류와 같이 센서(300)를 직접 부착하기 어려운 식품에 대해, 비닐 용기에 수용된 어류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어류를 나타내는 표식(303f)이 부착된 센서(300)와 클립형 부착부재(301b)가 결합될 수 있다. 클립형 부착부재(301b)는 비닐 용기의 입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립형 부착부재(301b)에 의해 비닐 용기의 입구에 부착되는 센서(300)는 비닐 용기의 입구에서 어류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300)는 클립형 부착부재(301b)에 의해 비닐 용기의 입구 부분에 부착되어, 비닐 용기의 입구로 분출되는 어류에서 생성된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또한, 센서(300)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뚜껑(404)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300)는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 센서(300)의 본체(301)가 고정되도록, 뚜껑과 센서 사이에서 탈착 가능한 부착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센서(300)를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센서(300)는 뚜껑의 일부에 부착되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부착부재에 의해 센서(300)가 뚜껑의 오목부에 부착됨으로써, 식품 표면에 직접 센서(300)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가 뚜껑을 포함하는 경우, 도 3g에 도시된 센서를 상기 뚜껑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뚜껑을 나타내는 표식(303g)이 부착된 센서(300)는 뚜껑(404)의 오목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뚜껑에 부착된 센서(300)의 동작스위치(302)를 턴온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센서(300)가 부착된 뚜껑(404)으로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를 닫음으로써, 뚜껑(404)에 부착된 센서(300)는 용기에 수용된 식품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i를 참조하면, 센서(300)의 일 실시예로서, 중량센서(300c)가 도시된다.
도 3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량센서(300c)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j를 참조하면, 중량센서(300c)는 식품 또는 식품을 수용한 용기(405)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중량센서(300c)인 경우, 센서의 전원버튼 또는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는 중량센서의 본체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센서(300c)의 일면에는 음료를 나타내는 표식(303i)이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료를 나타내는 표식(303i)이 부착된 중량센서(300c)를 냉장고의 일부분에 올려놓을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중량센서(300c)는 동작스위치(302)가 턴온 된 채로 냉장고의 도어(1311, 1312, 1313, 1314)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놓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공간은 도어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의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놓여진 중량센서(300c)는 식품이 올려져있지 않는 상태에서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며,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중량센서(300c)의 센서제어모듈은 중량센서(300c)에 음료인 식품이 올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료가 중량센서(300c) 위에 올려지면, 중량센서(300c)의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음료가 냉장고에 저장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음료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한다. 아울러, 중량센서(300c)의 센서제어모듈은 음료의 저장 개시 시점이 검출되면, 중량센서(300c)를 비활성모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중량센서(300c)가 음료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중량센서(300c)는, 냉장고 도어 측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놓여져 있는 중량센서(300c)의 상면에 음료가 올려지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음료의 온도, 중량, 습도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중량센서(300c)의 센서통신모듈은 음료가 냉장고에 처음 저장되는 시점으로부터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료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냉장고의 냉장고제어유닛은 통신유닛이 수신한 저장 개시 시점의 음료의 중량과, 현재 시점의 음료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료에 대해 부족 여부 또는 재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냉장고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700)에 사용자에게 상기 음료의 부족 여부를 알리기 위한 그래픽 객체 또는 상기 음료의 재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음료가 중량센서(300c)가 처음 부착되는 저장 개시 시점에서의 음료의 중량과, 현재 음료의 중량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 개시 시점에서의 음료의 중량 대비 현재 음료의 중량 값이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음료가 부족하거나 재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냉장고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중량 치보다 현재 음료의 중량이 낮은 경우, 상기 음료가 부족하거나 재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중량센서(300c)가 음료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한 후에, 감지된 중량 값이 급격히 감소하여 실질적으로 0g에 수렴하더라도,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음료의 부족 여부 또는 재구매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중량센서(300c)로부터 일시적으로 음료를 이격시키는 경우에, 냉장고제어유닛은 중량센서(300c)로부터 급격히 감소된 중량 값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음료의 부족 여부 또는 재구매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제어유닛은 중량센서(300c)에서 감지된 중량 값이 0g으로 감소된 후 일정한 시간 간격이 경과하면, 상기 음료의 보관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음료의 보관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량센서(300c)를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소정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중량센서(300c)의 센서통신모듈로 전송하도록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중량센서(300c)의 센서제어모듈은 음료의 부족 여부 또는 재구매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용되는 상대적 비율과 관련된 기준 비율 값과, 절대적 기준 중량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중량센서(300c)의 센서통신모듈은 기준 비율 값 또는 기준 중량치와 관련된 정보를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센서(300)는 신선도 유지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선도 유지부재는 산소흡수제로 형성되거나, 이오나이저(Ionizer)로 형성되거나, 자외선 발생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h를 참조하면, 신선도 유지부재는 센서(300)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센서(300)와 뚜껑의 오목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생기로 형성된 신선도 유지부재는 센서(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의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상면에 배치된 부품의 일 예가 설명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일면에는 센서 주변의 광량을 감지하는 조도센서(304),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택트(Tact) 스위치(305), LED 모듈(306) 및 식품에서 발생된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센싱 홀(307)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택트 스위치(305)는 도 3a에 도시된 동작스위치(302)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305)는 사용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센서(300)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센서(300)가 온인 상태에서 택트 스위치(305)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센서(300)를 오프시킬 수 있고, 센서(300)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센서(300)를 온시킬 수 있다.
LED 모듈(306)은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ED 모듈(306)은 식품군에 따라 구분된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0)가 육류용으로 설정된 경우, LED 모듈(306)은 붉은 색의 광원을 조사할 수 있고, 센서(300)가 채소용으로 설정된 경우, LED 모듈(306)은 청색의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LED 모듈(306)은 감지대상 따라 구분된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00)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인 경우, LED 모듈(306)은 백색의 광원을 조사할 수 있고, 센서(300)가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인 경우, LED 모듈(306)은 흑색의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LED 모듈(306)은 센서의 온오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LED 모듈(306)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센서(300)의 본체(301)를 형성하는 복수의 조립체(301a, 301b, 301c, 301d)가 도시된다. 특히, 도 4b에 도시된 센서(300)는 식품의 온도를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일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조립체(301a, 301b, 301c, 301d) 중 일부는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조립체 중 일부는 본체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부재인 조립체가 센서(300)의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식품에 대해서도 센서를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의 상태정보를 장시간동안 검출하면서도 센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본체 내부에는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싱모듈(310), 센서(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20), 센서(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제어모듈(330),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통신모듈(340), 센서(300) 주변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싱모듈(3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모듈(310)는 센서(300)의 배면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300)의 내부 모듈 중 열을 발생시키는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싱모듈(310)은 본체(301)를 형성하는 조립체(301b)에 배치된 전도부재(380)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도부재(380)는 센서(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센서(300)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도부재(380)는 센서(300)의 조립체(301b)가 부착된 식품의 온도를 제1 센싱모듈(3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센싱모듈(310)은 식품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부재(380)는 열 전도율이 높은 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도부재(380)는 식품에 접촉하여도 부식하지 않는 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센싱모듈(350)는 센서(300)의 상면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센싱모듈(350) 중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센싱모듈(350)은 센서(300) 외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양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통신모듈(340)은 제1 및 제2 센싱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냉장고(1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냉장고 제어유닛(1080)은 상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가 부착된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거나, 상기 식품에 수행중인 조리과정의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통신모듈(340)은 센서(300)의 식품군 별로 구분되는 종류와 관련된 정보와, 센서(300)의 감지대상 별로 구분되는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냉장고(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센서(300)의 부착된 식품군을 판별할 수 있으며, 판별된 식품군에 따라 적정온도로 보관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제어유닛(1080)은 센서(300)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이 보관되는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제1 센싱모듈(310)에서 감지된 온도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보관 위치를 냉장실, 냉동실 및 상온보관실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센서가 부착된 식품의 해동 여부, 상기 식품의 결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01)는 너비(d1)는 30mm 내지 40mm 이고, 높이(d2)는 10mm 내지 15mm이며, 배면의 두께(d3)는 1mm 내지 4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비(d1)는 36.50mm이고, 상기 높이(d2)는 13mm이며, 상기 배면의 두께(d3)는 2.00mm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센서(300)의 본체(301)를 형성하는 복수의 조립체(301a, 301b, 301c, 301e, 301f)가 도시된다. 특히, 도 4c에 도시된 센서(300)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 센서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일 조립체(301c)에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는 센싱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본체 내부에는 센서통신모듈(340)과 제2 센싱모듈(350) 사이에,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제3 센싱모듈(3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싱모듈(360)은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가스의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싱모듈(310)을 탑재한다. 도 4b 및 도 4c를 비교하면, 제1 센싱모듈(310)는 센서(300)의 배면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300)의 내부 모듈 중 열을 발생시키는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싱모듈(310)은 본체(301)를 형성하는 조립체(301b)에 배치된 전도부재(380)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도부재(380)는 센서(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센서(300)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도부재(380)는 센서(300)의 조립체(301b)가 부착된 식품의 온도를 제1 센싱모듈(3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센싱모듈(310)은 식품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통신모듈(340)은 제1 및 제3 센싱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냉장고(1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냉장고 제어유닛(1080)은 상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가 부착된 식품의 부패 여부를 검출하거나, 상기 식품에 수행중인 조리과정의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제어유닛(1080)은 제3 센싱모듈(360)에서 감지된,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여부 또는 식품의 숙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식품군 별로 부패시 또는 숙성시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로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센서(300)가 육류용인 경우, 암모니아(Ammonica) 또는 아민(Amine) 가스의 발생량이 대략 5 내지 10mg%이면, 상기 센서가 부착된 식품이 신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략 15 내지 25mg%이면, 상기 식품이 보통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략 30 내지 40mg%이면, 상기 식품의 부패가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략 50mg% 이상이면 상기 식품이 완전히 부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너비(d4)는 30mm 내지 40mm 이고, 높이(d5)는 15mm 내지 20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비(d4)는 36.50mm이고, 상기 높이(d5)는 16.50mm일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센서(300)는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중량 센서일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의 본체 상면을 형성하는 조립체(301c)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300)의 본체 상면은 식품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식품이 놓이는 부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상면을 형성하는 조립체(301c)는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센서(300)의 본체 내부의 배면 측에는 식품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4 센싱모듈(3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센싱모듈(370) 위에는 배터리(320), 센서제어모듈(330), 센서통신모듈(340)이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300)의 본체 내부의 배면에 제4 센싱모듈(370)이 배치된 경우, 제1 센싱모듈(310)과 제2 센싱모듈(350)은 센서통신모듈(34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300)에서,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1 센싱모듈(310)은, 센서(300)의 본체(301) 상면에 포함된 전도부재(380)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301)의 상면을 형성하는 조립체(301c)는 외부로 노출된 전도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싱모듈(310)은 전도부재(380)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조립체(301c) 위에 중량 측정의 대상이 올려지면, 중량 측정의 대상의 온도가 전도부재(380)를 통해 제1 센싱모듈(310)에 전달될 수 있다.
센서통신모듈(340)은 제1, 제2 및 제4 센싱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냉장고(1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냉장고 제어유닛(1080)은 상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가 부착된 식품의 부족 여부를 검출하거나, 상기 식품의 재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제4 센싱모듈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에서의 식품의 중량과, 현재 시점에서의 식품의 중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식품의 중량이 저장 개시 시점의 중량에 비해 특정 비율 이하로 감소하면, 상기 식품이 부족하거나 상기 식품의 재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비율은 식품군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너비(d6)는 60mm 내지 100mm 이고, 높이(d7)는 10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비(d6)는 90mm이고, 상기 높이(d7)는 12mm일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를 비교하면,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온도 또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보다 너비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온도 또는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도 4b 내지 도 4d에서는 각각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도시되는데, 센서 종류와 무관하게 식품의 관련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싱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는 감지 대상인 정보의 종류(ex, 온도, 습도, 가스, 중량 등)에 상관 없이 식품의 온도 또는 냉장고 내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 도 4b 내지 도 4d에서는 제1 센싱모듈(310) 내지 제3 센싱모듈(370)의 배치 관계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구성요소는 도 4c에 도시된 배치관계에 한정되어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i와, 도 4a 내지 도 4d에서 설명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300)의 사용 실시예가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육류인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경우, 육류와 관련된 표식이 배치된 센서(300)가 식품 또는 식품이 수용된 용기에 부착된다. 부착된 센서(300)의 동작스위치(302)가 켜지면,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센서제어모듈(330)은 동작스위치(302)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센서(300)의 동작 모드를 오프 모드에서 비활성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센서(300)의 센서제어모듈(330)은 식품이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센서(300)의 내부 구성요소에 공급하도록, 배터리(320)를 제어한다.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센싱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한다. 센서제어모듈(330)이 제1 내지 제4 센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면,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300)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킨다. 즉, 센서제어모듈(330)은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이 검출되면, 센서(300)의 제1 내지 제4 센싱모듈은 육류인 식품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시작한다.
아울러, 센서통신모듈(340)은 센서제어모듈(330)에 저장된 육류의 권장 저장 온도, 권장 저장 습도, 권장 저장 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통신모듈(340)은 일정한 시간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제1 내지 제4 센싱모듈에서 감지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1000)의 냉장고제어유닛은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했음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저장이 개시된 식품의 종류와, 종류에 따른 권장 저장 온도, 권장 저장 습도, 권장 저장 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1000)의 냉장고제어유닛은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처리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거나, 해당 식품의 잔여 보관 기간을 산출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센서(300)는 식품이 냉장고(1000)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300)는 본체(301)의 일부에 구비되는 동작스위치(302) 또는 택트스위치(305)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시점을, 상기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300)의 조도센서 또는 제2 센싱모듈(350)은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광량에 근거하여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이면,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c를 참조하면, 조도센서 또는 제2 센싱모듈(350)은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1001c).
센서제어모듈(330)은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c). 아울러, 센서제어모듈(330)은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S1003c).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제1 광량 기준치 이상이면, 센서(300)의 센서제어모듈(330)은 식품의 저장이 아직 개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300)를 비활성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비활성모드인 센서(300)의 배터리(320)는 센서(300)의 내부 구성 중 상기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오프상태인 센서(300)의 배터리(320)는 센서(300)의 내부 구성 모두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1)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제2 광량 기준치 이하이면, 센서(300)의 센서제어모듈(330)은 식품의 저장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제2 광량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센서제어모듈(330)은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한 이후, 센서(300)을 활성화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제1 광량 기준치 이상에서 제2 광량 기준치 이하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상기 제2 광량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시점을,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광량 기준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광량 기준치는 제2 광량 기준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300)의 중량센서 또는 제3 센싱모듈(370)은 센서(300)의 본체(301)에 놓인 물체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제어모듈(330)은 중량센서 또는 제3 센싱모듈(370)에서 감지된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 변화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제어모듈(330)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의 중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중량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d를 참조하면, 중량센서 또는 제3 센싱모듈(370)은 센서에 가해지는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S1001d). 예를 들어, 중량센서 또는 제3 센싱모듈(37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센서에 가해지는 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중량 변화가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d).
아울러, 센서제어모듈(330)은 검출된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 변화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S1003d). 한편, 센서제어모듈(300)은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이 검출되기 전에 센서(300)를 비활성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300)의 온도센서 또는 제1 센싱모듈(310)은 센서(300)의 본체(301)의 일 지점이 접한 부분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온도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제어모듈(330)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통신모듈(340)은 냉장고(1000)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설정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유닛(1020)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으며,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설정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a를 참조하면, 온도센서 또는 제1 센싱모듈(310)은 센서의 전도부재(380)가 접한 부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1001). 여기에서 온도 감지 주기는 변경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 또는 제1 센싱모듈(310)은 실시간으로 전도부재(380)가 접한 부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제어모듈(330)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
일 예에서, 기준 온도 값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센서제어모듈(330)은 해당 센서의 식품군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에 따라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센서제어모듈(330)은 해당 센서가 육류용 센서인 경우와, 과일용 센서인 경우에, 각각 다른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센서제어모듈(330)은 미리 설정된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메모리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저장된 센서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메모리모듈은 냉장실에 보관 가능한 기간, 냉동실에 보관 가능한 기간, 보관 적정 온도, 보관 가능한 기간이 경과시 출력할 알림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센서제어모듈(330)은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1020)으로부터 수신된 냉장실 설정온도 또는 냉동실 설정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제어모듈(330)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S1003).
일 실시예에서, 센서제어모듈(330)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b를 참조하면, 센서제어모듈(330)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고, 온도 변화가 기 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b). 다음으로, 센서제어모듈(330)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 온도 변화가 감지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온도 변화는 온도 감소일 수 있으며, 센서제어모듈(330)은 냉장실 설정온도, 냉동실 설정온도에 따라 온도 변화에 대한 기준 값을 재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의 배터리 충전이 중단되는 경우, 충전이 중단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통신모듈(340)이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1020)과 통신을 수립하는 경우, 센서제어모듈(330)은 상기 센서통신모듈(340)과 통신유닛(1020) 사이에 통신이 수립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센서제어모듈(330)은 센서통신모듈(340)과 통신유닛(1020) 사이에 통신이 수립된 시점이, 배터리(320)의 충전이 중단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인지 경우에, 상기 통신이 수립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센서(300)에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실시되는 것만은 아니며, 센서(300)는 식품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복수의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센서(300)는 온도변화, 중량변화, 광량변화 등과 관련된 정보에 각각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가중치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e를 참조하면, 센서제어모듈(330)은 일차적으로 온도 감지 단계(S1001)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2)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제어모듈(330)은 광량 검출 단계(S1001c) 및 검출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2c)를 수행하거나, 중량 검출 단계(S1001d) 및 검출된 중량의 변화가 기준 중량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2d)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센서제어모듈(330)은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로 감소된 시점,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 및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이상 변화된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제어모듈(330)은 온도, 광량 및 중량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가중치에 근거하여 저장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고, 위의 세가지 파라미터와 관련된 시점 중 가장 처음 또는 가장 마지막에 검출된 시점을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실시예들에서 센서제어모듈(330) 대신, 냉장고(1000)의 냉장고제어유닛(1080)이 센서(300)에서 감지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
냉장고제어유닛(1080)이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된 중량변화, 온도변화, 광량변화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냉장고(1000)의 도어 개폐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센서(300)의 센서제어모듈(330) 또는 냉장고(1000)의 냉장고제어유닛(1080)이,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마다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 입력을 인가하지 않아도,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냉장고(1000)에 식품이 새로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1000)의 사용자는 보관중인 식품마다,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하의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화면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일부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화면으로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50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화면(500)은 제1 영역(510), 제2 영역(520), 제3 영역(530), 제4 영역(540), 제5 영역(550) 및 제6 영역(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510)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제목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510)은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홈버튼(511)과,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제목(512)과 관련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 버튼(5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홈버튼(511) 상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메인화면(50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홈버튼(511)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임의의 화면이 출력되어 있더라도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되며, 홈버튼(511)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메인화면(50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2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521)과, 냉장고(1000) 내에 배치된 센서(300)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522)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센서(300)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522)는 냉장고(1000)에 저장된 식품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530)에는 소정의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 식품과 관련된 정보(531, 532, 532a)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530)에는 조리 과정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531), 조리 과정의 진행 정도와 관련된 정보(532) 및 조리 과정이 수행되는 대상 식품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532a)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 과정은, 식품군 별 해동 과정과, 임의의 식품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조절하는 과정 및 살얼음을 생성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180)는 실시간으로 조리과정의 진행 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특히, 조리과정이 해동 과정인 경우, 제3 영역(530)에 표시되는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 식품과 관련된 정보는 표시 해제될 수 있으며, 해당 식품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냉장 보관 식품을 표시하기 위한 제4 영역(540)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리 과정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531)는 상기 조리 과정에 대응되는 식품 또는 센서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1020)으로부터, 소정의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센서(300)에 대해, 소정의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0)에 저장된 복수의 식품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조리 과정이 수행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조리 과정마다,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 식품과 관련된 정보(531, 532, 532a)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조리 과정 별로, 센서(300)에서 감지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3 영역(530)을 분할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540)에는 냉장 보관 중인 식품에 대해, 각각의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541a, 541b, 541c)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냉장 보관 중인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감지된 식품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식품의 부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300)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의 통신유닛(1020)으로부터 상기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의 부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서버(200)로부터 식품군 별로 부패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메모리(170) 또는 메모리유닛(1060)으로부터 식품군 별로 부패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의 부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식품이 부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식품이 부패되었음을 표시하는 그래픽 객체(541a)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해당 식품이 부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식품이 부패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까지 잔여기간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541b, 541c)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해당 식품이 부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검출된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과 현재 시점을 비교하여, 해당 식품의 권장 보관 기간, 유효기간 또는 유통기한에 대한 잔여기간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541b, 541c)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5 영역(550)에는 냉동 보관 중인 식품에 대해, 각각의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냉동 보관 중인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감지된 식품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식품의 부패 여부 또는 부패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제6 영역(560)에는 상온 보관 중인 식품에 대해, 각각의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의 도 5a에 도시된 메인화면(500)은 냉장고(1000)에 저장된 식품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화면(500)을 출력하기 위하여, 냉장고(1000)의 메모리유닛(1060) 또는 이동단말기(100)의 메모리(170)는 냉장고(10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00)와 관련된 정보로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센서(300)의 식별정보를 인덱스로 갖는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각 센서(300)에서 감지된 식품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 및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300)의 식별정보는 식품군 별로 구분된 센서의 종류 및 센서마다 할당된 고유 아이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상태정보는 식품의 표면 온도,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식품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종류 및 발생량, 식품의 중량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감지된 상태정보는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에 대해 설정된 조리 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의 권장 사용 기한,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냉장고(1000) 내에 식품이 저장되기 시작한 시점에서의 식품의 온도, 습도, 발생되는 가스 및 중량과 관련된 정보 뿐만아니라, 현재 시점에서의 식품의 온도, 습도, 발생되는 가스 및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는 각각의 센서(300) 마다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현재 저장중인 식품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500)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 내지 제6 영역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는 각각 하나의 식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식품과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과 관련된 이미지는 식품에 부착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디폴트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고유의 이미지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 내에 조리 과정이 수행중인 식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3 영역(530)을 메인화면(500)에 표시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 내에 냉장 보관, 냉동 보관, 상온 보관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에도, 제4 영역 내지 제6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 보관중인 식품이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메인화면(500)이 제3영역 내지 제6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상기 메인화면(500)을 구획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냉장고에 식품이 저장될 때마다,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화면(500)의 일부 영역에, 상기 식품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추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센서(300)에 자체적으로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센서는 냉장 보관용, 냉동 보관용, 상온 보관용이 구분되어, 식품이 저장될 위치에 따라 알맞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180)는 센서(300)에 배치된 위치검출모듈(미도시)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의 냉장실, 냉동실 또는 상온 보관실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에서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센서(300)의 유입 여부를 검출하고, 이로써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의 내부에 새로운 센서(300)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기 위한 윈도우(미도시)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윈도우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식품이 저장되는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식품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화면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a에 도시된 메인화면(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출력된 메인화면(500)을 서브화면(600)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화면(600)은 메인화면(500)으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버튼(6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화면(600)은 터치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620a, 620b, 62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과 관련된 정보는 식품의 이미지(620a), 식품의 이름(620b) 및 식품의 권장 사용 기한(620c)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화면(600)은 상기 식품의 권장 사용 기한과 관련된 정보(621), 보관 기간과 관련된 정보(622), 식품의 현재 온도와 관련된 정보(623) 및 식품 주변의 현재 습도와 관련된 정보(6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화면(600)은 상기 식품에 부착된 센서와 관련된 정보(631, 632, 633, 634, 6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화면(6000은 센서의 종류(631), 배터리의 잔량(632), 센서의 권장 사용 기한(633), 센서의 권장 보관 온도(634) 및 센서의 권장 보관 습도(635)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화면(600)은 상기 식품과 관련된 알림 설정과 관련된 정보(641, 642, 6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화면(600)은 상기 식품에 대한 알림 여부를 선택받는 버튼(641), 상기 식품의 상태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를 선택받는 체크박스(642, 6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식품이 해동 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이나, 상기 식품의 보관 기간이 권장 사용 기한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와 다른 종류의 식품에 대응하는 서브화면(600)인 경우, 터치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620a, 620b, 620c)와, 식품에 부착된 센서와 관련된 정보(631, 632, 633, 634, 635) 및 상기 식품과 관련된 알림 설정과 관련된 정보(641, 642, 643)도 도 6a에 도시된 각 정보들과 상이할 수 있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터치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가 별도의 신선도 유지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서브화면(600)은 상기 신선도 유지부재와 관련된 정보(6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선도 유지부재와 관련된 정보(660)는 신선도 유지부재의 온오프 상태, 종류, 잔여 전력량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신선도 유지부재가 산소제거제인 경우, 서브화면(600)은 식품의 부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를 선택받는 체크박스(6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터치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가 중량센서인 경우, 서브화면(600)은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300)가 중량센서인 경우, 서브화면(600)은 해당 식품의 잔여량이 부족한지 여부 또는 해당 식품의 재구매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를 선택받는 체크박스(6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f를 참조하면, 터치입력이 인가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식품에 부착된 센서(300)에 특정 식품군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서브화면(600)에 표시될 항목을 추가 또는 변경하기 위한 버튼(629, 639, 649)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인화면과 관련된 설정 메뉴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화면(500)에 포함된 설정 메뉴 버튼(513)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메인화면(500) 위에 설정 메뉴(510a)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510a)는 복수의 설정 버튼(511, 512a, 513a, 514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 메뉴(510a)의 제1 설정 버튼(511)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새로 보관될 식품에 대한 조리 과정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70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설정 화면(700)은 조리 과정과 관련된 아이콘(721, 7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721)에는 조리 과정의 목표 온도와 관련된 정보(721a)가 포함될 수 있으며, 조리 과정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721b)가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설정 화면(700)은 설정 메뉴(510a)가 표시되던 이전의 단계로 복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복귀 버튼(7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설정 화면(70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721, 722)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인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아이콘(721)에 대응되는 조리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730)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력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730)에 따라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이 냉장고(1000) 내에 저장되면, 제어부(180)는 설정된 조리 과정의 경과와 관련된 정보(740)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과정의 경과와 관련된 정보(740)는, 조리 과정의 완료율과 관련된 정보(741) 및 조리 과정 대상인 식품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7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설정 화면(700)에 상기 음료를 목표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과정과 관련된 아이콘(721)을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아이콘(721)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음료를 목표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센서의 종류와 센서에 부착될 부착 부재의 종류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730)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냉각 과정을 나타내는 표식이 부착된 센서와 관련된 이미지(730)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에는 센서와 결합되는 밴드형 부착부재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730)를 참조하여, 센서 세트 내에서 냉각의 대상인 음료에 출력된 이미지(730)에 대응하는 종류의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종류의 센서와 밴드형 부착부재를 결합하며, 밴드형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를 음료에 부착시킨 후, 냉장고 내에 저장시킬 수 있다.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이와 같이 저장된 음료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료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음료의 저장 개시 시점이 검출되면, 상기 음료의 냉각 과정과 관련된 이미지(740)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음요의 냉각 과정과 관련된 이미지(740)는 상기 음료에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진행 정도와 관련된 정보(741)와 음료의 현재 온도와 관련된 정보(7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e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510a)의 제2 설정 버튼(512)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새로 보관될 식품에 대한 재구매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70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e에 도시된 설정 화면(700)은 재구매 기준과 관련된 아이콘(760)을 포함할 수 있다. 재구매 기준과 관련된 아이콘(760)은 재구매와 관련된 중량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버튼(762), 상기 중량 기준의 단위 정보(763), 저장 개시 시점 대비 잔여량의 비율과 관련된 정보(76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정 화면(700)은 단위 정보(763)를 전환시키기 위한 버튼(7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f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510a)의 제3 설정 버튼(513)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냉장고(1000)의 전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1700) 또는 출력유닛(1070)에 표시될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윈도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7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윈도우는 메시지의 수신자를 입력하기 위한 박스(771),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박스(772),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시키기 위한 버튼(7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g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510a)의 제4 설정 버튼(514)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냉장고(1000)와 수립된 통신의 식별정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제목과 관련된 정보 및 냉장고(1000)와 센서(300) 사이에 수립된 통신의 식별정보(781)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하의 도 8a 내지 도 8j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1000)의 출력유닛(1070) 또는 디스플레이(1700)는 센서(300)로부터 감지되는 식품의 상태정보와, 메모리유닛(1060)에 저장된 식품의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1000)에서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800)이 출력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화면(800)은 제1 부분(810), 제2 부분(820), 제3 부분(830), 제4 부분(840) 및 제5 부분(8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810)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제목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부분(810)에는 현재 시각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820)에는 냉장고(1000) 내에 배치된 센서(300)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센서(300)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는 냉장고(1000)에 저장된 식품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830)에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식품이 부패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 기준 시간 간격 이상인 식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83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부분(830)에는 식품에 각각 설정된 권장 보호 기간 또는 유통 기한 또는 유효 기간이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식품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83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840)에는 현재 날짜와 식품이 부패할 것으로 예측되는 skfWK가 대응되는 식품의 그래픽 객체(84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5 부분(850)에는 부패된 것으로 판단되는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851)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a와 비교하면, 도 8a에 도시된 냉장고(1000)의 출력유닛(1070)은 식품의 부패 시점에 도달하기 전인지, 도달하였는지 또는 경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메인화면(800)을 구획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력유닛(1070)에 출력되는 메인화면(800)은 도 5a에 도시된 메인화면(500)과 동일한 취지로 상품의 보관 위치 또는 조리 과정에 따라 구획될 수도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출력유닛(1070)의 일부에는 출력유닛(1070)에 표시될 정보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는 버튼(90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새로운 식품이 냉장고(1000)에 저장되기 시작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센서(300)가 부착된 식품의 종류와 관련된 이미지(861)와, 식품의 종류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862)가 출력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식품이 냉장고(1000)에 저장되기 시작하면, 센서(300)는 식품이 냉장고(1000) 내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할 수 있으며,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저장 개시 시점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식품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861, 862)가 출력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식품과 관련된 알림 정보는 식품의 식품군과, 식품의 보관 위치와 관련된 정보(8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냉장고(1000)에 저장된 식품 중 재구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식품이 발생하면, 해당 식품의 재구매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864)가 출력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전체 식품군 중 일부에 대해 재구매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재구매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식품군에 해당하는 식품이 새로 냉장고에 보관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식품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865)에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식품의 보관 기간이 해당 식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권장 사용 기한을 경과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에 해당 식품의 경과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866)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식품의 보관 기간과 해당 식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권장 사용 기한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에 해당 식품의 권장 사용 기한 도달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867)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식품이 부패할 것으로 예측된 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867)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식품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그래픽 객체에 식품의 부패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868)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i를 참조하면, 보관중인 식품에 소정의 조리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조리 과정의 경과와 관련된 정보(869)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j를 참조하면, 보관중인 식품에 소정의 조리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조리 과정의 완료와 관련된 정보(869a)가 포함되도록 출력유닛(10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출력유닛에 표시되는 식품과 관련된 정보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8a에 도시된 메인화면(8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냉장고제어유닛(1080)은 출력된 메인화면(800)을 서브화면(870)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서브화면(870)은 식품의 이미지(871), 식품군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872), 식품의 부패 여부와 관련된 정보(873), 보관 기간과 관련된 정보(874) 및 권장 사용 기한과 관련된 정보(8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냉장고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서 각각 수신된 메시지 화면(880)을 출력하는 출력유닛과 관련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상기 메시지 화면(880)은 메시지 전송자와 관련된 이미지(881), 메시지의 본문 내용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88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마다 부착된 센서로부터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냉장고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유효기간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사용계획을 보다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품의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이 소모되기 전에, 해당 식품을 재구매함으로써, 일상적으로 필요한 식품이 모두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나 사용자 입력이 없이, 식품마다 개별적으로 냉장고에 저장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온도,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 내의 습도 및 식품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 식품의 종류별로 식품의 냉장 보관 관련된 식품정보를 내장하는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키지는 냉장고 내에서 식품 별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패키지의 외관에는,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 패키지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키지 내부에는,
상기 센서 패키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동작스위치,
상기 표시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통신모듈,
상기 센서 패키지에 대응하는 식품의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동작을 개시하는 센서제어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패키지와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센서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광량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된 시점을, 상기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놓인 물체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값 이상 변화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 패키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센서통신모듈과 상기 통신유닛 사이에 통신이 수립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는,
상기 식품에 대해 설정된 조리 과정, 권장 사용 기한, 권장 보관 온도, 권장 보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식품의 종류별로 식품의 냉장 보관 관련된 식품정보를 내장하는 센서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키지는 냉장고 내에서 식품 별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패키지의 외관에는,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 패키지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패키지 내부에는,
상기 센서 패키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동작스위치,
상기 표시된 식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통신모듈,
상기 센서 패키지에 조사되는 광량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및
상기 센싱모듈에서 감지된 광량정보에 근거하여, 동작을 개시하는 센서제어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광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패키지와 상기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센서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센서 패키지의 일 지점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온도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와 통신 가능한 센서 패키지. - 냉장고 내에 존재하는 식품 별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식품과 관련된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정보 및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식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는 출력유닛;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정보와,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냉장고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의 외관에는 식품의 종류별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센서에 배정된 식품의 종류를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식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의 온도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와 상기 출력유닛 사이의 통신을 개시시키고,
상기 센서와의 통신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센서가 상태정보를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온도 값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 변화가 감지된 시점을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조사되는 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광량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조사된 광량이 기준 광량치 이하로 감소된 시점을, 상기 저장 개시 시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의 일 지점에 놓인 물체의 중량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냉장고제어유닛은,
상기 검출된 중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저장 개시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5240A KR101892014B1 (ko) | 2018-02-07 | 2018-02-07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5240A KR101892014B1 (ko) | 2018-02-07 | 2018-02-07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1848A Division KR101830660B1 (ko) | 2016-01-29 | 2016-01-29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633A KR20180018633A (ko) | 2018-02-21 |
KR101892014B1 true KR101892014B1 (ko) | 2018-08-27 |
Family
ID=6152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5240A KR101892014B1 (ko) | 2018-02-07 | 2018-02-07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20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8443B2 (en) | 2018-12-31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4150930A1 (ko) * | 2023-01-12 | 2024-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서버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4313B1 (ko) * | 2018-07-11 | 2020-03-03 | 김영철 |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
KR102235853B1 (ko) * | 2019-03-07 | 2021-04-05 |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
WO2020241949A1 (ko) * | 2019-05-31 | 2020-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 지능형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CN112629148A (zh) * | 2020-12-29 | 2021-04-09 | 西安邮电大学 | 一种冰箱食物储存时长监测系统 |
CN112902539A (zh) * | 2021-03-26 | 2021-06-04 | 安徽省东超科技有限公司 | 冰箱及操作方法和存储介质 |
CN114877615A (zh) * | 2022-06-13 | 2022-08-09 | 李严 | 风冷无霜模块化组合智慧冰箱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4075A (ja) * | 2001-10-05 | 2003-04-18 | Hitachi Ltd | 食品トレイと個室食品保管庫及び食品管理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5243A (ko) * | 2009-01-20 | 2010-07-2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및 냉기순환방법 |
KR20100085242A (ko) * | 2009-01-20 | 2010-07-2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및 냉기순환방법 |
-
2018
- 2018-02-07 KR KR1020180015240A patent/KR1018920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4075A (ja) * | 2001-10-05 | 2003-04-18 | Hitachi Ltd | 食品トレイと個室食品保管庫及び食品管理システ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8443B2 (en) | 2018-12-31 | 2024-05-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4150930A1 (ko) * | 2023-01-12 | 2024-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서버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633A (ko) | 2018-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0660B1 (ko)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
KR101892014B1 (ko) |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 |
KR20170076992A (ko) | 냉장고 | |
US9250003B2 (en) | Robot refrigerator and system having the same | |
EP2570757B1 (en) | Indic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CN105492844B (zh) | 耗电输出装置 | |
CN107257908B (zh) | 家用制冷器具的冷却物特有的运行 | |
JP2007113858A (ja) | 冷凍冷蔵庫 | |
JP2006329459A (ja) | 冷蔵庫 | |
JP6589003B2 (ja) | 食品熟成装置 | |
JP2005173675A (ja) | 物品管理および健康管理システム | |
US11181312B2 (en) | Vehicle, thawing system and server | |
JP2017063841A (ja) | 炊飯器 | |
WO2016139241A1 (en) |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 |
JP2022029715A (ja) | 家庭用電気機器 | |
JP2003161657A (ja) | 温度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食材の冷却加工装置 | |
JP2005330056A (ja) | 物品配達システム | |
JP6095293B2 (ja) | 保管庫、および保管システム | |
KR101705530B1 (ko) | 냉장고 | |
KR102235853B1 (ko) |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 |
KR20180049663A (ko) |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관리 시스템 | |
KR20180000512A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20180097406A (ko) | 냉장 기능을 구비한 카트 | |
JP6907354B2 (ja) | 炊飯器 | |
JP6500253B2 (ja) | 在庫管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