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53B1 -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853B1
KR102235853B1 KR1020190026049A KR20190026049A KR102235853B1 KR 102235853 B1 KR102235853 B1 KR 102235853B1 KR 1020190026049 A KR1020190026049 A KR 1020190026049A KR 20190026049 A KR20190026049 A KR 20190026049A KR 102235853 B1 KR102235853 B1 KR 10223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index
spoil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236A (ko
Inventor
임철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지장치는,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식품의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부,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OF FOOD CONDITION, AND METHOD FOR SEN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등의 저온 보존장치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형되어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부패가 시작된다. 이러한 변형 및 부패를 늦추기 위해 저온 보존장치 대표적으로 냉장고 내에 식품을 보관하지만,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 역시 시간이 다소 늦춰질 뿐 결국 상온의 식품과 마찬가지로 변형되고 부패될 수 있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된 식품은 식품의 종류와 저장 개시 시점에 따라 적정 보관 기한(예: 유통 기간 등)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 각각에 대해 적정 보관 기한을 확인하거나,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형 냉장고의 보급으로 냉장고에는 다양한 식품이 저장되고 있으나, 냉장고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에 저장한 식품의 구입일 및 식품의 제조일자를 기억하기 어려워 구입일이 오래된 식품을 버리거나 변형 또는 부패된 식품을 육안으로 정상 식품으로 잘못 판단하여 먹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식품을 잘못 섭취함에 따른 식중독 등의 위험이 존재하며,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등의 저온 보존장치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을 통해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저온 보존장치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지장치는,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식품의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부, 근거리 통신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측정된 가스 농도에 대응하는 제3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 식품정보는 상기 식품이 처음 유통될 때 설정된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한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식품정보 수신부;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정보들을 수신하는 센싱정보 수신부;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 및 제1 내지 제3 상태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보관중인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 및 상기 산정된 식품 부패지수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 정보들을 포함한 식품 상태 결과값을 출력하는 식품상태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는,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에 근거하여 부패지수 기본값을 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상기 부패지수의 보간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의 활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부패지수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상기 출력된 식품 상태 결과값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지방법은,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식품의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식품 부패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포함한 식품 상태 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2 상태정보, 및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3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 등의 저온 보존장치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을 통해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저온 보존장치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온 보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란에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과 장치들은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표시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목적이고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식품상태 감시장치(100), 저온 보존장치(300), 및 이동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식품의 상태를 감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는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에 분리되어 보관되는 식품 보관용기에 설치되거나, 또는 저온 보존장치(300) 내에 구비된 보관함 또는 보관실에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의 복수개의 보관실(예: 야채 보관실, 육류 보관실 등)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보관실의 용도에 대응되는 식품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상기 보관용기, 보관함, 또는 보관실 내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정보를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보관용기 내의 온도, 습도, 및 각종 가스의 발생 유무(또는 발생된 가스의 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상기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보관된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여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여 사용자는 빠르고 정확하게 식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구성은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온 보존장치(30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로부터 보관용기 등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로부터 상태 정보 및 식품 부패지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저온 보존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온 보존장치(3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40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300)로부터 상태 정보 및 식품 부패지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단말기(400)는 보관용기 등에 보관된 식품에 대한 부패지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4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온 보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저온 보존장치(300)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김치 냉장고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도 2에서는 냉장고(300)의 구성을 그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300)는, 냉각 싸이클유닛(310), 통신유닛(320), 센싱유닛(330), 팬(340), 입력유닛(350), 메모리유닛(360), 출력유닛(370), 냉장고 제어유닛(380) 및 전원 공급유닛(39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싸이클유닛(310)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드라이어, 모세관, 핫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각 싸이클유닛(310) 내에서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다.
통신유닛(320)은 냉장고(3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유무선 통신 또는 냉장고(300)와 그 냉장고(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유닛(320)은 방송 수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320)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냉장고(300)의 냉장고 제어유닛(380)에서 처리된 정보, 센싱유닛(330)에서 감지된 정보 등을 외부의 이동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센싱유닛(330)은,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 또는 외부 온도, 냉장고 도어나 홈 바의 열림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유닛(330)에서 감시된 정보는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팬(340)는 냉장고 내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팬, 냉각 싸이클 유닛(310)의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방열시키기 위해 기계실에 배치되는 방열용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유닛(350)은, 냉장고(3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냉장고(3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350)은 냉장고에 보관할 식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유닛(360)는, 냉장고(300)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냉장고(300)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냉장고 구동을 위해 설정된 정보, 냉장고 어플리케이션, 냉장고 상태정보, 레시피 정보, 냉장고에 보관 중인 식재료 정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저장하고, 또한 이러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아이콘이나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유닛(360)는,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상태 정보 및 식품 부패지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유닛(370)는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 등을 시각, 청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유닛(390)는 상기 냉장고 제어유닛(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400)는 통신모듈(410), 메모리(420), 표시모듈(430), 오디오 출력모듈(440), 카메라모듈(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10)은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기기는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420)는 이동 단말기(4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메모리(420)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어플리케이션(앱)'),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은 자동음성인식(ASR) 어플리케이션, 대화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QuickTime, MobileMusic.app, 또는 MobileVideo.app), 소셜 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예를 들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인터넷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메일 프로그램, 보이스메일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세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채팅),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팩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로 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42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제어부(46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40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300)로부터 상태 정보 및 식품 부패지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식품상태 감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상태 감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자는 보관용기 등에 보관된 식품에 대한 부패지수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4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41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식품상태 감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식품상태 감시장치(100)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표시모듈(43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4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모듈(44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모듈(4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모듈(440)은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45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상태 감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통신 모듈(105), 근거리 통신 모듈(110), 센서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05)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0)는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5)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의 임의의 기기는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저온 보존장치(300)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05)는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보관 중인 식품 또는 보관 예정인 식품을 유통하는 유통 시스템(미도시)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식품의 원(original) 식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통신 모듈(105)는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보관 중인 식품 또는 보관 예정인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미도시)과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식품의 원(original) 식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각종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등)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도 1에 도시된 저온 보존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가 냉장고로 구현될 경우 냉장고의 통신유닛(320)을 통해 냉장고에 보관 중인 식품의 원(original) 식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통신부는 바코드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코드 인식부를 통해서도 상기 식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을 통해 식품의 원(original) 식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보관용기 등에 보관 중인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보관 중인 식품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120)가 온도 센서(121), 습도 센서(122), 및 가스 센서(123)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센서부(120)는 보다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1)는 보관용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습도 센서(122)는 보관 용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센서(123)는 보관 용기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센서(123)는 암모니아, 메탄, 황화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 음식물의 부패 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식품의 부패는,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현상을 의미하고, 주로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일컫는다.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면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 등의 가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식품의 부패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부(120)가 온도 센서(121), 습도 센서(122), 및 가스 센서(123)를 포함하여 보관 용기 내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여 이에 대응한 상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관 식품의 부패 정보 즉, 식품 부패 지수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130)는 스피커, 버저(buzzer) 등의 음향 출력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배터리(160)의 잔량이 부족하거나, 기타 각종 이벤트 발생시, 프로세서(150)는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음향 및/또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4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식별 정보,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등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에는 상기 통신모듈(105)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한 식품의 원 식품정보와,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40) 또는 통신모듈(105)에 의해 프로세서(15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5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에 의해 구현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프로세서(150)는 보관용기 등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을 통해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프로세서(150)를 통해 구현되는 구체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서(150)를 통해 생성된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식품의 부패 지수 정보는 통신모듈(105)에 의해 상기 저온 보존장치(300)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여 사용자는 빠르고 정확하게 식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16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하에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60)는 충전장치(미도시)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는 외부의 표준전원(예: 220V)가 셧다운되어 정전이 된 경우, 저온 보존장치(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그 내부에 보관 중인 식품이 손상될 때에도 상기 배터리(160)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바, 정전 여부와 관계없이 온도에 따른 식품의 부패지수를 지속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에 구비된 프로세서(150)의 각 기능블록들과 이에 따른 식품상태 감시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식품정보 수신부(152), 센싱정보 수신부(154),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 및 식품상태 결과 제공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4)는 상기 식품상태 감시장치(100)의 근거리 통신모듈(110), 센서부(120) 및 메모리(14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50)는 도 6에 도시된 식품상태 감시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T 600 내지 ST 660)을 수행하도록 식품상태 감지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50) 내의 구성요소들 즉, 식품정보 수신부(152), 센싱정보 수신부(154),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 및 식품상태 결과 제공부(158)는 식품상태 감지장치(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프로세서(15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식품정보 수신부(152)는 사용자가 구매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품에 대한 원 식품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105)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식품의 원 정보이다. 또한, 상기 식품의 원 정보는 식품이 처음 유통될 때 설정된 유통기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해당 사업소(예: 마켓 등)에서 상품의 영수증을 첨부 받는데, 상기 영수증 번호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전체 목록 및 각 상품의 상태(유통기한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에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서도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산물의 경우 바코드를 통해 이력제에 의한 유통기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외의 상품들은 검색에 의해 유통기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정보 감시장치(100)는 통신 모듈(105)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0) 외에도 추가적으로 바코드 인식부(미도시) 등을 통해 저온보존 장치(300)의 보관실 등에 보관되는 식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정보는 프로세서(150)의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된다 (ST 600).
센싱정보 수신부(154)는 상기 보관 중인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120)의 출력값을 센싱 정보로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는 보관용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21), 보관 용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22), 및 보관 용기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정보 감시장치(100)는 센서부(120)을 통해 저온보존 장치(300)의 보관실 등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여 이에 대응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상태 정보는 프로세서(150)의 센싱정보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된다 (ST 620).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는 상기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보관중인 식품의 원 식품정보 및 센싱정보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한 상기 보관중인 식품의 상태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보관중인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ST 640).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포함되는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는 식품류의 유통기한을 표시하고 있는 식약청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유통 품목의 권장 온도 설정은 식약청 제시 기준인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 제7조(설정실험 시 저장조건 등)'을 참조하면, 식품의 보관(및 유통) 온도에 따라 "실온유통제품, 상온유통제품, 냉장유통제품, 및 냉동유통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실온유통제품에서 '실온'은 1∼35℃를 말하며, 35℃를 포함하되 제품의 특성에 따라 봄, 가을, 여름, 겨울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하고, 상온유통제품에서 '상온'은 15∼25℃를 말하며, 25℃를 포함하여 선정해야 한다. 또한, 냉장유통제품에서 '냉장'은 0∼10℃를 말하며, 10℃를 포함한 냉장온도를 선정해야 하고, 냉동유통제품에서 '냉동'은 -18℃ 이하를 말하며 품질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냉동온도를 선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는 상기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보관중인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기본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부패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기한은 소비기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보관중인 식품에 대해 유통기한의 기산일을 0점으로 설정하고, 유통기한이 모두 도과된 경우를 100점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식품의 부패지수는 상기 유통기한의 진행 시점과 연동하여 0점부터 100점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원 식품정보를 이용하여 보관중인 식품에 대한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예로서, 상기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원 식품정보가 8일의 유통기한과 2일의 소비기한을 나타낼 경우, 상기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는 1일 경과 시 10점씩 부패지수가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총 10일(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합산) 중 2일이 경과하였다면 부패지수는 20점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총 20일의 유통기한을 갖는 식품의 경우라면 2일 경과 시의 부패지수는 10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156)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한 식품의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120)는 보관용기 내부의 온도에 대한 제1 상태 정보, 보관 용기 내부의 습도에 대한 제2 상태 정보, 및 보관 용기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 및/또는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대한 제3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이들 제1 내지 제3 상태정보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부(15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식품 부패지수의 기본값 산정은 유통기한과 정확히 매칭되는 것으로 이는 식품을 보관하는 상태 즉, 보관 온도 및 습도가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따라서, 식품이 보관되는 용기 내의 온도 및 습도가 변하면 그에 따라 부패지수도 변경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변수들 즉, 온도, 습도 및 가스 발생 여부/ 정도를 부패지수 산정에 반영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확한 부패지수의 산정을 위해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에서 실험한 가속실험의 표본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기 수행된 실험의 결과로서 가속의 정도를 선형(1차 함수) 그래프, 2차 함수 그래프, 및 로그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조회하고 이를 반영하여 상기 산정된 부패지수의 기본값을 보간함을 통해 보다 정확한 부패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험 데이터를 최초 선정된 부패 지수 기본값을 보간하기 위한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로 활용하며, 상기 데이터는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예에서와 같이 원 식품정보를 이용하여 보관중인 식품에 대한 부패지수의 기본값을 산정한 예로서, 상기 식품정보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원 식품정보가 8일의 유통기한과 2일의 소비기한을 나타낼 경우, 총 10일(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합산) 중 2일이 경과하였다면 부패지수 기본값은 20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싱정보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한 제1 상태정보에 의해 보관 온도가 권장 보존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최초 설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제 보관 온도가 권장 보존온도보다 10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에 의거할 때 보관 온도 10도 증가시 2배의 유통기한이 더 소모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부패시간은 기본값 대비 2배로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총 10일(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합산) 중 2일이 경과하였지만 2배의 가중치가 반영되어 부패지수는 40점이 될 수 있다.
습도의 변화에 대한 제2 상태 정보도 상기 제1 상태 정보의 반영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정보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한 제2 상태정보에 의해 보관 습도가 권장 보존습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최초 설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제1 및 제2 상태 정보 외에 보관 용기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 및/또는 발생된 가스의 농도에 대한 제3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초 설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암모니아 가스가 감지되면 부패의 정도를 판별하는 기 설정된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식품의 부패 정도를 추가적으로 체크하고 이에 따라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된 원 식품정보 및 상태정보들을 통해 보관중인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면 이후 상기 산정된 식품 부패지수 및 상기 상태정보를 포함한 식품 상태 결과값을 생성하여 식품상태 결과 제공부(15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T 660).
즉, 상기 출력된 식품 상태 결과값은 네트워크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저온 보존장치(300)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여 사용자는 빠르고 정확하게 식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식품의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부,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가스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유통기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품의 부패지수 기본값이 산정되고,
    상기 산정된 식품의 부패지수 기본값은 기 수행된 가속 실험의 결과로서 가속의 정도를 선형 그래프, 2차 함수 그래프, 및 로그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조회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습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측정된 가스 농도에 대응하는 제3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 식품정보는 상기 식품이 처음 유통될 때 설정된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한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식품정보 수신부;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정보들을 수신하는 센싱정보 수신부;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 및 제1 내지 제3 상태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보관중인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 및
    상기 산정된 식품 부패지수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 정보들을 포함한 식품 상태 결과값을 출력하는 식품상태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부패지수 산정부는,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에 근거하여 부패지수 기본값을 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지수의 보간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활용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의 활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부패지수의 기본값을 보간하는 것인 식품상태 감시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식품 상태 결과값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로 전송되는 식품상태 감시장치.
  9. 보관 중 또는 보관 예정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품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식품의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식품의 상태 정보들 및 수신된 식품의 원 식품정보에 근거하여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식품 부패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포함한 식품 상태 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유통기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품의 부패지수 기본값이 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식품의 부패지수 기본값은 기 수행된 가속 실험의 결과로서 가속의 정도를 선형 그래프, 2차 함수 그래프, 및 로그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조회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는,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2 상태정보, 및 상기 식품이 보관되는 내부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제3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원 식품정보는 상기 식품이 처음 유통될 때 설정된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부패지수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품의 원 식품정보인 식품의 유통기한 정보에 근거하여 부패지수 기본값을 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된 부패지수 기본값을 보간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지수의 보간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활용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의 활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부패지수 보간 데이터"를 참조하여 부패지수의 기본값을 보간하는 것인 식품상태 감시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식품 상태 결과값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저온 보존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상태 감시방법.
KR1020190026049A 2019-03-07 2019-03-07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KR10223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49A KR102235853B1 (ko) 2019-03-07 2019-03-07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49A KR102235853B1 (ko) 2019-03-07 2019-03-07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36A KR20200107236A (ko) 2020-09-16
KR102235853B1 true KR102235853B1 (ko) 2021-04-05

Family

ID=7267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49A KR102235853B1 (ko) 2019-03-07 2019-03-07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871B1 (ko) * 2020-11-24 2021-04-13 ㈜진짜맛있는과일 과일 물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96B1 (ko) 2016-04-28 2017-03-22 양종현 식별코드 판독기를 이용한 유통기한 관리 냉장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03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구역별 식품 관리 시스템
KR101205303B1 (ko) * 2010-11-29 2012-11-27 한국식품연구원 스마트 냉장고에서 식품 품질지수를 이용한 식품의 신선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43639B1 (ko) * 2016-06-09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인식에 기반하여 신선도를 관리하는 냉장고, 서버, 포터블 장치 및 신선도를 관리하는 방법
KR102650354B1 (ko) * 2016-11-01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92014B1 (ko) * 2018-02-07 201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96B1 (ko) 2016-04-28 2017-03-22 양종현 식별코드 판독기를 이용한 유통기한 관리 냉장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36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11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refrigerator
US9111440B2 (en) Refrigerator and remote controller
US20190137169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KR101205303B1 (ko) 스마트 냉장고에서 식품 품질지수를 이용한 식품의 신선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792980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13973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756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1543176B2 (en) Temperature-context-awar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578353B2 (en) Autonomous seal monitoring for a refrigeration unit
KR2021013759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물품 관리 방법
US11994840B2 (en) Early warning system for food safety violation and method thereof
CN105102911A (zh) 冰箱
KR102235853B1 (ko)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KR101260649B1 (ko) 상황인식 기반의 스마트 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49232B1 (ko) 물품의 신선도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냉장고, 품질지수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품질지수 제공 시스템
KR20140040298A (ko) 물품의 품질지수를 활용한 물품 구매 방법 및 물품 판매 시스템 및 냉장고
JP2015069301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KR102605622B1 (ko) 냉장고
CN114562845B (zh) 冷藏冷冻设备的控制方法与冷藏冷冻设备
KR20140099594A (ko)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30010980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14636274A (zh) 家电系统
US2024011802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JP6500253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
CN113915848B (zh) 冰箱及食材管理界面的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