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45B1 -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45B1
KR101890845B1 KR1020180078108A KR20180078108A KR101890845B1 KR 101890845 B1 KR101890845 B1 KR 101890845B1 KR 1020180078108 A KR1020180078108 A KR 1020180078108A KR 20180078108 A KR20180078108 A KR 20180078108A KR 101890845 B1 KR101890845 B1 KR 10189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nozzle
nozzles
dispose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한
Original Assignee
신우이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이엔아이(주) filed Critical 신우이엔아이(주)
Priority to KR102018007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7Pump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부하시 탭절환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부하시 탭절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시키는 회동판과; 부하시 탭절환기의 탭선택기의 축과 연결되는 회동축과, 제1 및 제2 베벨기어 및 구동원을 갖는 구동부와; 한 쌍의 엘엠 레일과, 상기 엘엠레일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동판을 구비하는 이동판 이동부재와;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과, 상기 제1 및 제2 노즐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노즐의 방향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노즐 튜브와,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 및 송풍기를 구비하는 에어 세척부와;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와,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과,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유체 노즐과,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유체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유체 비례제어밸브에 연결된 펌프 및 유체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유체 세척부와; 상기 구동부, 에어 세척부 및 유체 세척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Description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Cleaning apparatus for OLTC(On Load Tap Changer)}
본 발명은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로 오염된 부하시 탭절환기(OLTC: On Load Tap Changer)를 세정하기 위한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하시 탭절환기(OLTC: On Load Tap Changer)를 세척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442호(특허문헌 1)의 부하시 탭절환 변압기 점검용 에어워셔가 공지되어 있고, 이 기술은 오염된 부하시 탭절환기(OLTC: On Load Tap Changer)를 세척하여 변압기 부품들의 점검 및 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의 부하시 탭절환 변압기 점검용 에어워셔는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의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 중 어느 하나;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 중 어느 하나를 원통형의 내부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원통형 프레임;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내부면에 구성되어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 중 어느 하나에 에어를 분사하는 원통형의 에어 분사 워셔;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를 이동시켜 상기 원통형 에어 분사 워셔의 중심부에 배치 및 고정시키는 이동 고정부재;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개구된 상부면을 덮는 덮개 부재; 상기 에어 분사 워셔가 구성된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이물과 먼지를 흡수하는 흡수 받이와 흡수 배관; 및 상기 에어 분사 워셔의 내부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OLTC가 안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프레임은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이 겹쳐진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분사 워셔가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은 상기 에어 분사 워셔에 구비되는 각 에어 분사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에어 분사 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에어 분사모듈의 에어가 상기 각각의 에어 분사 홀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원통형 프레임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일 측이 절개되어 타측의 힌지 구조에 의해 상기 절개된 원통형 프레임의 일측이 오픈되도록 구성되고, 닫혔을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일측이 잠금 고정되고, 상기 에어 분사 워셔는 그물망 형태로 엮여서 구성되되 전체적인 형태는 원통형을 이루도록 구성된 에어 유동관; 상기 그물망 형태로 엮인 에어 유동관으로 에어를 고압으로 공급하는 고압 배관; 및 상기 에어 유동관의 교차 부분과 상기 에어 유동관의 통로 부분에 일정하게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 구성되어, 상기 에어 유동관을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원통형의 중심 방향에 고압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 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에어 분사모듈 각각은 상기 에어 유동관의 내부 에어 통로와 연결되도록 내부 관이 구성되어 상기 에어 유동관의 내부 통로를 통해 제공되는 에어의 진행 방향을 변환하는 모듈 고정부; 및 상기 에어 유동관과 상기 모듈 고정부를 통해서 공급되는 에어의 세기와 에어의 분사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에어를 원통형의 중심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부는 상기 모듈 고정부의 에어 통로에 회전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원통형의 중심 방향으로 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원통형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회전 결합 구조에 의해 내부 에어 통로의 단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분사되는 에어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 분사 워셔의 내부 하단부에 구성되어 세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가 안착되며, 상기 세척 작업시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와 상기 OLTC의 탭 체인져가 상기 에어 분사 워셔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고정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탭 절환변압기 점검용 에어워셔는 에어 분사만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것이므로, 탭절환기 내부에 각종 이물질과 먼지 등과 함께 절연유가 묻어 있는 경우 완전한 세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세척시 배출되는 먼지는 물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물질(절연유 포함)들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탭 절환변압기 점검용 에어워셔는 OLTC(On Load Tap Changer)와 OLTC의 탭 체인져를 이동시켜 원통형 에어 분사 워셔의 중심부에 배치 및 고정시킨 상태에서 에어 노즐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부하시 탭절환기의 정확한 세척을 수행할 수 없고 세척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특허문헌 1의 원통형 프레임은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이 겹쳐진 이중 구조로 구성되고 에어 분사 워셔가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원통형의 내부 프레임은 에어 분사 워셔에 구비되는 각 에어 분사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에어 분사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므로, 프레임과 에어 분사모듈의 설치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난해한 구조를 가지고 조립생산성이 낮다.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4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부하시 탭절환기를 소정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엘엠가이드를 미리 설정한 회수만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에 의해 노즐이 설치된 이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3차원 입체 세정을 실시함에 의해 탭절환기 내부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시 탭절환기의 세정시에 에어 세척과 세정제를 함유한 유체를 이용한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이물질과 먼지 등과 함께 절연유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세척과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자동 세척함으로써 변압기 부품들의 정밀 점검 및 보수(또는 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시 탭절환기의 에어 세척시 발생되는 오염된 이물질과 유체 세척시 발생되는 오염된 유체 비산에 의한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함에 의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세척과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고압의 에어 분사만으로 세척하는 경우보다 낮은 압력의 에어를 사용할 수 있어 부하시 탭절환기를 수작업에 의해 세척시 발생되는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부하시 탭절환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하시 탭절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시키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에 끼워지며 부하시 탭절환기의 탭선택기의 축과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회동되게 끼워진 제1 베벨기어와,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치합된 제2 베벨기어와, 상기 제2 베벨기어에 연결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원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엘엠 레일과, 상기 엘엠레일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동판을 구비하는 이동판 이동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의 측면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과, 상기 제1 및 제2 노즐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노즐의 방향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노즐 튜브와, 상기 제1 및 제2 노즐 튜브에 각각 연결되는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에 연결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에어 세척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와, 상기 유체 파이프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과, 상기 유체 노즐 조정모듈에 배치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유체 노즐과, 상기 유체 파이프에 연결되며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유체 비례제어밸브와, 상기 유체 비례제어밸브에 연결된 펌프 및 유체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유체 세척부와; 상기 구동부, 이동판 이동부재, 에어 세척부 및 유체 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회동판에 설치된 부하시 탭절환기를 회전시키면서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에 의해 제1 및 제2 노즐이 설치된 제1 및 제2 이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판은 상부 외주연에 탭 선택기의 하부 케이지링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의 가이드 블럭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 사이에 배치된 커플링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과 커플링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양단부에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과 구동부 사이에는 유체 노즐로부터 부하시 탭절환기에 분사된 유체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오일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오일필터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금속 메쉬층이 적층된 제1 필터부재와, 상기 제1 필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직 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제2 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재의 외주연에 배치된 수납홈에 제2 필터부재의 체결돌기가 끼워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판 이동부재의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이드 홀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이동판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중 선택된 하나에 각각 끼워진 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세척부의 제1 및 제2 노즐은 일측이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에 각각 형성된 조인트부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세척부의 복수개의 유체 노즐은 일측이 유체 노즐 조정모듈에 형성된 조인트부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되며, 중앙에 노즐 구멍이 형성된 노즐 헤드부와, 상기 노즐 헤드부와 연결되는 노즐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헤드부와 노즐 몸체는 2단 노즐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단 노즐 연결부는 노즐 헤드부와 나사 결합되어 노즐 구멍을 조절하는 제1 노즐 연결부와, 노즐 몸체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노즐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노즐 연결부와 제2 노즐 연결부 사이에는 O-링이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체 세척부는 유체 비례제어밸브와 연결되며 유체의 압력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가압장치와, 일측이 상기 유체 가압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펌프나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량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이동판 이동부재, 에어 세척부 및 유체 세척부를 제어하여, 부하시 탭절환기에 대하여 1차로 에어세척을 수행하고, 2차로 유체 분사작업을 수행하며, 3차로 에어분사에 의한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동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부하시 탭절환기를 소정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엘엠가이드를 미리 설정한 회수만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에 의해 노즐이 설치된 이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3차원 입체 세정을 실시함에 의해 탭절환기 내부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하시 탭절환기의 세정시에 에어 세척과 세정제를 함유한 유체를 이용한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이물질과 먼지 등과 함께 절연유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에어 세척과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자동 세척함으로써 변압기 부품들의 정밀 점검 및 보수(또는 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부하시 탭절환기의 에어 세척시 발생되는 오염된 이물질과 유체 세척시 발생되는 오염된 유체 비산에 의한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함에 의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에어 세척과 유체 세척을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고압의 에어 분사만으로 세척하는 경우보다 낮은 압력의 에어를 사용할 수 있어 부하시 탭절환기를 수작업에 의해 세척시 발생되는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하시 탭절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이동판 이동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오일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에어 세척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유체 세척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유체 세척부의 유체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체 세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의 설명에 앞서 부하시 탭절환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부하시 탭절환기(OLTC: On Load Tap Changer)는 전원 전압이나 부하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변압기에 탭을 설치하여 탭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데 부하가 걸린 채로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의 부하시 탭절환기는 부하전류를 흘린 상태에서 유효전력이나 무효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변압기의 변압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전용 변전소의 변압기에서 765kV 변압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부하시 탭절환기는 부하가 걸린 상태로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이므로 무부하시 탭절환기에 비하여 기구도 복잡하고 고가이다. 현재, 부하시 탭절환기는 M 타입과, MS 타입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일예로 MS 타입의 부하시 탭절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MS 타입의 부하시 탭절환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시 탭절환기(10)와 변압기(도시되지 않음) 상부와의 부착 부분인 탭절환기 헤드(20)와; 내부에 절연유(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된 유격실(30)과; 고속동작을 위한 스프링에너지 축적기(32)와, 탭전압에 의한 순환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천이저항기(34)와, 절환 스위치(36)을 구비한 절환 스위치 유닛(40)과; 전도환(42)이 부착된 탭선택기 기둥(52)과, 접촉단자(44)를 갖는 절연바(54)와, 구동튜브(46)와 연결된 접촉자 브리지(56)와, 상부 및 하부 케이지링(48,58)을 구비하는 탭선택기(50)와; 극성 절환기(60)를 포함하게 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45는 드라이브 튜브(Drive tube)이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하시 탭절환기를 세정함은 물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부하시 탭절환기의 각 부품별로도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회동판(105), 구동부(110), 이동판 이동부재(140), 에어 세척부(150), 유체 세척부(160) 및 제어부(180)로 크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세정이 이루어지는 하우징(100)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인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SUS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에 커버(101)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101)의 중앙에는 하우징(100)을 사용자가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103)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01)는 하우징(100)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을 일예로 나타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뚜껑 형태로 구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동판(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판(105)는 회동축(102), 제1 및 제2 베벨기어(104,106), 구동원(108)로 이루어진 구동부(110)에 의해 동작되게 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회동축(102), 제1 베벨기어(104), 제2 베벨기어(106) 및 구동축(107)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회동축(102)은 회동판(105)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지며,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 회동축(102)에는 외주에 제1 베벨기어(10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04)는 제2 베벨기어(106)와 치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베벨기어(106)는 구동원(108)의 구동축(107)에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원(108)은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원(108)을 동작시키게 되면, 구동원(108)의 구동축(107)에 연결된 제2 베벨기어(106)가 회동하게 되고, 제2 베벨기어(106)가 회동하게 되면 제2 베벨기어(106)와 치합된 제1 베벨기어(104)도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베벨기어(104)가 회동하게 되면 제1 베벨기어(104)에 연결된 회동축(102)이 회동하게 되고 아울러 회동판(105)도 회동하게 된다. 회동판(105)의 회전속도는 제어부(180)로부터 구동원(108)을 제어함에 의해 제어하게 된다.
상기 회동판(105)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주연에 탭 선택기(50)의 하부 케이지링(53)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80)를 배치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80)는 부하시 탭절환기(10)를 회동판(105)에 보다 긴밀하게 배치(설치)하여 회전시 흔들림(떨림) 현상을 줄이고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부하시 탭절환기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절곡된 형태의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 사이에 배치된 커플링(8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과 커플링(84)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양단부에 볼트(86)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축(83)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플링(8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나사(85)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85)는 나사축(83)에 형성된 나사(81)와 상호간에 나사 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 나사(85)가 암나사 형태로 구성된다면 나사축(83)에 형성된 나사(81)는 수나사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84)은 탭 선택기(50)의 하부 케이지링(53)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의 사이의 간격(d)을 미세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7은 고무형태의 패드이다.
상기 회동판(105)과 구동부(110) 사이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로부터 부하시 탭절환기(10)에 분사된 유체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도시되지 않음)을 걸러내기 위한 오일필터(90)가 배치된다. 여기서, 유체는 신유나 신유에 세척제 등이 함유된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에는 에어 세척부(150)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에 의한 에어 분사시 발생된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도 포함되게 된다.
상기 오일필터(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금속 메쉬층(91)이 적층된 제1 필터부재(92)와, 상기 제1 필터부재(92)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직 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제2 필터부재(9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필터부재(92)는 금속 메쉬필터로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일정한 형태로 직조한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필터이고, 크기가 다른 메쉬를 여러겹 겹쳐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2 필터부재(94)는 부직 섬유시트를 주름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90)는 제2 필터부재(94)의 외주연의 소정부위에 배치된 체결돌기(98)가 제1 필터부재(92)의 외주연에 배치된 수납홈(96)에 끼워져 제1 필터부재(92)와 제2 필터부재(9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재(92,9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형태의 체결부재(95,99)를 각기 배치하여 오염된 제1 및 제2 필터부재의 교체 작업시, 회동축(102)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분리)를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재(92,94)는 원터치 형태의 체결부재(95,99)에 의해 반원형태로 서로 결합 및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의 회동축(102)은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지만, 연결부재(210)를 끼워서 상호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회동축(102)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2)와, 타측에 베어링(204)을 개재하여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되는 끼움부(206)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끼움부(206)의 내측에는 러버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축(102)와 연결부재(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판 이동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112)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엘엠 레일(122)과, 상기 엘엠레일(122)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와,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이드 홀(224,234)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228,238)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228,238)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224,234)중 선택된 하나에 각각 끼워진 후 체결부재(229,239)에 의해 체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은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의 배치를 조절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부하시 탭절환기(10)에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된 유체노즐(155)과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배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의 하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에어 세척부(150)의 연결부(228,238)가 각각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는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ㄷ"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세척부(15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과,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과,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와,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125,135) 및 송풍기(145)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의 측면 내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은 제1 및 제2 노즐(126,136)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노즐(126,136)의 방향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일측이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에 각각 형성된 조인트부(227,237)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되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조인트부(227,237)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는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의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노즐(126,136)에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이 배치된 지점에서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과 연통된다.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125,135)는 이동판 이동부재(140)의 이동판(128,138)이 상하 이동시에 길이변형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125,135)에는 송풍기(145)가 연결된다. 여기서, 송풍기(145)는 공지된 송풍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유체 세척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152)와,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과,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과,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와, 펌프(172) 및 유체 저장탱크(174)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1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0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152)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에는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이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에 형성된 조인트부(254)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조인트부(254)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단계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노즐 구멍(151)이 형성된 노즐 헤드부(250)와, 상기 노즐 헤드부(250)와 연결되는 노즐 몸체(260)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헤드부(250)와 노즐 몸체(260)는 2단 노즐 연결부(270)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2단 노즐 연결부(270)는 노즐 헤드부(250)와 나사 결합되어 노즐 구멍(151)을 조절하는 제1 노즐 연결부(272)와, 노즐 몸체(260)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노즐 연결부(274)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노즐 연결부(272,274)의 사이에는 O-링(275)이 배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노즐 연결부(272,274)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와셔나 테프론 등을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 비례제어밸브(156)는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에 연결되며 유체의 양(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유체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내부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제어로 유량의 비례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에는 펌프(172)와 유체 저장탱크(174)가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한편, 상기 유체 세척부(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와 연결되며 유체의 압력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가압장치(158)와, 일측이 상기 유체 가압장치(158)에 연결되고 타측이 펌프(172)나 유체 저장탱크(17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량계(155)와, 상기 펌프(172)에 연결되는 모터(176)를 더 포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 가압장치(158)는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와 유체 공급라인(255)으로 연결되며, 공급받은 유체를 제어모듈(도시되지 않음)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어모듈을 통해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유체 가압장치(158)에서 설정되는 압력의 값은 자체 설정 게이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제어모듈에서 설정된 값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하부에는 세척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 배출밸브(62)가 배치되고, 상기 유체 배출밸브(62)는 유체 수납탱크(64)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구동부(110), 이동판 이동부재(140), 에어 세척부(150) 및 유체 세척부(160) 등에 연결되며, 세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장치를 내장한 마이콤(micom)이나 별도의 메모리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나 어레이(programmable logic array), 마이크로컨트롤러, 신호 처리기,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커버(101)를 개방하고 회동판(105)의 회동축(102)에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하게 된다. 연결부재(210)가 적용된 경우에는 연결부재(210)의 일측을 회동축(102)과 나사 결합시키고 연결부재(210)의 타측(끼움부(206))을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하시 탭절환기(10)가 회동판(105)에 배치되면 제어부(180)에서 구동부(110)를 작동시켜 구동원(108)이 동작시키고 아울러, 이동판 이동부재(14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11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하여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원(108)이 동작하게 되면, 구동원(108)의 구동축(107)에 연결된 제2 베벨기어(106)가 동작하게 되며, 제2 베벨기어(106)의 동작에 따라 제2 베벨기어(106)와 치합된 제1 베벨기어(104)가 동작하게 되어 회동축(102)이 회동하게 되어 회동판(105)이 회동하게 된다. 회동판(105)이 회동하게 되면 회동축(102)과 연결된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도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판(105)에 배치된 부하시 탭절환기(10)가 회동하게 되면 이동판 이동부재(140)도 동작되게 된다.
상기 이동판 이동부재(140)의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124,134)에 연결된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은 한 쌍의 엘엠 레일(122)을 따라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124,134)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은 한 쌍의 엘엠 레일(122)을 따라 소정의 방향(상,하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의 측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 노즐(126,136)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세척(세정)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사용자가 설정한 회수 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세척(세정)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에 배치된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에어 분사전에 부하시 탭절환기(10)의 종류에 적합하게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의 조인트부(227,237)를 조정하여 에어 분사 방향을 설정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세정)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 세척은 유체 세척에 앞서 먼지나 이물질을 먼저 제거하는 물리적 세척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동판(105)의 회전 구동에 의해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소정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124,134)를 미리 설정한 회수만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에 의해 제1 및 제2 노즐(126,136)이 설치된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3차원 입체 세정을 실시할 수 있어 부하시 탭절환기(10) 내부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 세척(세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하우징(1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유체 세척부(160)와의 중첩을 피한 상태에서 유체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하우징(100)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유체 파이프(152)의 소정부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로부터 부하시 탭절환기(10)에 유체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유체 분사전에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의 조인트부(254)를 조정하여 적절한 위치로 세팅하게 된다. 상기 유체 노즐(155)의 위치 세팅시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의 노즐 압력도 조절하게 된다(제1 노즐 연결부(272)를 회전시켜 노즐구멍(151)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 노즐(155)의 방향 및 노즐 압력을 조절(조정)한 상태에서, 유체 노즐(155)로부터 부하시 탭절환기(10)에 유체를 분사하게 된다.
유체 분사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72)로부터 제공된 유체와 탱크(174)로부터 제공된 유체가 유체 비례제어밸브(156)를 거쳐서 유체 파이프(152)를 경유하여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에 제공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예정된 압력으로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체 비례제어밸브(156)를 적용함에 의해 유체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유체의 양(유량)을 제어하면서 예정된 압력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체 가압장치(158)를 적용하게 되면, 펌프(172)와 유체저장 탱크(174)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제어모듈(도시되지 않음)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어모듈을 통해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측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소정의 가압된 유체를 유체 비례제어밸브(156)로 공급하게 되어 보다 정밀한 유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유체 가압장치(158)와 펌프(172) 및 유체저장 탱크(174)의 사이에는 각기 유량계(155)가 배치되므로 유체 가압장치(158)로 이동되는 각각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부터 각각의 유체속도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하시 탭절환기(10)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이 완료되면, 유체 세척부(160)로부터 유체 분사작업을 정지하고, 에어 세척부(150)에 의해 건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동판 이동부재(140)의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고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에 의해 건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건조 작업시, 사용자가 외관으로 확인하여 부하시 탭절환기(10)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하시 탭절환기(10)에 대하여 1차로 에어세척을 수행하고, 2차로 유체 분사작업을 수행하며, 다시 3차로 에어분사에 의한 건조작업을 수행함에 의해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원래의 상태로 깨끗하게 세척(세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변압기용 탭절환기를 에어 및 유체를 이용하여 빠르게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종래 탭절환기용 세정장치에 비하여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아울러 유체압력을 조절하면서 세척하게 되므로 고압으로 인한 탭절환기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하시 탭절환기의 세정시에 에어 세척과 세정제를 함유한 유체를 이용한 유체 세척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이물질, 먼지 등과 함께 절연유까지 고정도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는 부하시 탭절환기의 세정은 물론 변압기나 변전 설비의 구성 부품들의 세정(세척) 분야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0: 부하시 탭절환기 50: 탭선택기
80: 가이드 부재 90: 오일필터
100: 하우징 104: 제1 베벨기어
105: 회동판 106: 제2 베벨기어
110: 구동부 140: 이동판 이동부재
150: 에어 세척부 156: 유체 비례제어밸브
158: 유체 가압장치 160: 유체 세척부
180: 제어부

Claims (11)

  1.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수용하는 원통형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하시 탭절환기(10)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한 회동판(105)과;
    상기 회동판(105)에 끼워지며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되는 회동축(102)과, 상기 회동축(102)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베벨기어(104)와, 상기 제1 베벨기어(104)와 치합된 제2 베벨기어(106)와, 선단부에 상기 제2 베벨기어(106)가 연결된 구동축(107)을 갖는 구동원(108)을 갖는 구동부(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112)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엘엠 레일(122)과, 상기 엘엠레일(122)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와, 상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구비하는 이동판 이동부재(140)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의 측면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과, 상기 제1 및 제2 노즐(126,136)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노즐(126,136)의 방향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과, 상기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노즐(126,136)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와, 상기 제1 및 제2 노즐 튜브(129,139)에 각각 연결되는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125,135)와, 상기 자바라 형태의 제1 및 제2 노즐 보조튜브(125,135)에 연결되는 송풍기(145)를 구비하는 에어 세척부(15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파이프(152)와, 상기 유체 파이프(152)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과, 상기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에 배치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과, 상기 유체 파이프(152)에 연결되며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와, 상기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에 연결된 펌프(172) 및 유체 저장탱크(174)를 구비하는 유체 세척부(160)와;
    상기 구동부(110), 이동판 이동부재(140), 에어 세척부(150) 및 유체 세척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구동부(110)를 동작시켜 회동판(105)에 설치된 부하시 탭절환기(10)를 회전시키면서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124,134)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에 의해 제1 및 제2 노즐(126,136)이 설치된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05)은 상부 외주연에 탭 선택기(50)의 하부 케이지링(53)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8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80)는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 사이에 배치된 커플링(8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럭(82)과 커플링(84)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양단부에 볼트(86)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축(8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05)과 구동부(110)의 사이에는 유체 노즐(155)로부터 부하시 탭절환기(10)에 분사된 유체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오일필터(90)가 배치되고,
    상기 오일필터(90)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금속 메쉬층이 적층된 제1 필터부재(92)와, 상기 제1 필터부재(92)의 하부에 배치되며 부직 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제2 필터부재(9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재(92)의 외주연에 배치된 수납홈(96)에 제2 필터부재(94)의 체결돌기(98)이 끼워져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0)의 회동축(102)은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시 연결부재(210)를 끼워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10)는 일측에 회동축(102)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2)와, 타측에 베어링(204)을 개재하여 부하시 탭절환기(10)의 탭선택기(50)의 축(51)과 연결되는 끼움부(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이동부재(140)의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이드 홀(224,234)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이동판(128,138)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124,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228,238)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228,238)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224,234)중 선택된 하나에 각각 끼워진 후 체결부재(229,239)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세척부(150)의 제1 및 제2 노즐(126,136)은 일측이 제1 및 제2 노즐 조정모듈(127,137)에 각각 형성된 조인트부(227,237)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세척부(160)의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일측이 유체 노즐 조정모듈(154)에 형성된 조인트부(254)에 끼워져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세척부(160)의 복수개의 유체 노즐(155)은 중앙에 노즐 구멍(151)이 형성된 노즐 헤드부(250)와, 상기 노즐 헤드부(250)와 연결되는 노즐 몸체(260)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헤드부(250)와 노즐 몸체(260)는 2단 노즐 연결부(27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노즐 연결부(270)는 노즐 헤드부(250)와 나사 결합되어 노즐 구멍(151)을 조절하는 제1 노즐 연결부(272)와, 노즐 몸체(260)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노즐 연결부(274)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노즐 연결부(272,274)의 사이에는 O-링(27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세척부(160)는 유체 비례제어밸브(156)와 연결되며 유체의 압력을 가압하기 위한 유체 가압장치(158)와, 일측이 상기 유체 가압장치(158)에 연결되고 타측이 펌프(172)나 유체 저장탱크(17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량계(155)와, 상기 펌프(172)에 연결되는 모터(1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구동부(110), 이동판 이동부재(140), 에어 세척부(150) 및 유체 세척부(160)를 제어하여,
    부하시 탭절환기(10)에 대하여 1차로 에어세척을 수행하고, 2차로 유체 분사작업을 수행하며, 3차로 에어분사에 의한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KR1020180078108A 2018-07-05 2018-07-05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KR10189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08A KR101890845B1 (ko) 2018-07-05 2018-07-05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08A KR101890845B1 (ko) 2018-07-05 2018-07-05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845B1 true KR101890845B1 (ko) 2018-08-22

Family

ID=6345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08A KR101890845B1 (ko) 2018-07-05 2018-07-05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4639A (zh) * 2020-06-23 2020-10-23 苏颖 一种电子产品清洁装置
CN112171925A (zh) * 2020-10-10 2021-01-05 合肥高地创意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芯片加工用装置
CN113909205A (zh) * 2021-11-15 2022-01-1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贵港供电局 一种有载分接开关超声波滤洗装置
KR102389779B1 (ko) * 2020-11-09 2022-04-25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207A (ja) * 1993-08-25 1995-03-07 Hitachi Kasei Techno Plant Kk 洗浄装置
KR20040003073A (ko) * 2002-04-19 2004-01-13 남기돈 유압식 자동 세척장치
KR20130137344A (ko) * 2012-06-07 2013-12-17 동아산기 주식회사 산업용 세척기
KR20150093375A (ko) * 2014-02-07 2015-08-18 김연일 부품용 세척 장치
KR101701422B1 (ko) 2014-07-31 2017-02-01 센젠 보나 파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프레이병 및 스프레이병 커버
KR101701442B1 (ko) * 2016-04-20 2017-02-03 세아전설(주)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 점검용 에어 워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207A (ja) * 1993-08-25 1995-03-07 Hitachi Kasei Techno Plant Kk 洗浄装置
KR20040003073A (ko) * 2002-04-19 2004-01-13 남기돈 유압식 자동 세척장치
KR20130137344A (ko) * 2012-06-07 2013-12-17 동아산기 주식회사 산업용 세척기
KR20150093375A (ko) * 2014-02-07 2015-08-18 김연일 부품용 세척 장치
KR101701422B1 (ko) 2014-07-31 2017-02-01 센젠 보나 파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프레이병 및 스프레이병 커버
KR101701442B1 (ko) * 2016-04-20 2017-02-03 세아전설(주)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 점검용 에어 워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4639A (zh) * 2020-06-23 2020-10-23 苏颖 一种电子产品清洁装置
CN112171925A (zh) * 2020-10-10 2021-01-05 合肥高地创意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芯片加工用装置
KR102389779B1 (ko) * 2020-11-09 2022-04-25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시스템
CN113909205A (zh) * 2021-11-15 2022-01-1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贵港供电局 一种有载分接开关超声波滤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45B1 (ko) 부하시 탭절환기용 세정장치
US4299245A (en) Filter cleaning system
US3001534A (en) Tank car cleaning apparatus
US4327526A (en) Apparatus for grinding the internal walls of pipes
CN107413783B (zh) 一种换热管管内清洗设备
CN104161486A (zh) 一种清洗装置
CN111141890A (zh) 一种污染土壤修复试验装置
RU2348553C1 (ru) Мое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очистки механ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и узлов
KR101848336B1 (ko) 환형 리드용 리페인팅 헤드
KR101701442B1 (ko) 부하시 탭 절환 변압기 점검용 에어 워셔
KR101147356B1 (ko) 증기발생기 튜브시트 전구간 세정용 세정로봇
CN204641509U (zh) 加压清洗罐车
CN207386013U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高压电气壳体内壁清洗设备
CN211029276U (zh) 一种感光树脂印刷版辊研磨机
JPH02213602A (ja) 検査機具の移送台装置
CN211726716U (zh) 一种多功能齿轮清洗箱
CN217796867U (zh) 一种用于探伤检测的渗透剂环绕式自动喷涂装置
DE3310947A1 (de) Reparatureinrichtung fuer einen reaktordruckbehaelter
CN220635655U (zh) 一种用于阀门的阀门排污装置
CN116274118B (zh) 一种起重机用钢丝绳检测装置
KR101720859B1 (ko) 고정식 방사능 자동 제염 장치
CN218894144U (zh) 一种箱式无负压设备
CN221075326U (zh) 一种流体管道截止机构
KR102050211B1 (ko) 스팀발생모듈을 구비한 자동 이동식 태양광 패널 청소장치
CN218777698U (zh) 一种飞机表面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