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470B1 -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 Google Patents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470B1
KR101890470B1 KR1020160052883A KR20160052883A KR101890470B1 KR 101890470 B1 KR101890470 B1 KR 101890470B1 KR 1020160052883 A KR1020160052883 A KR 1020160052883A KR 20160052883 A KR20160052883 A KR 20160052883A KR 101890470 B1 KR101890470 B1 KR 10189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wing means
air
coupled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59A (ko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16005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47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송풍수단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방으로 공기의 연통이 가능한 전면망부와 전면망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결합수단을 결합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면망부를 구비하며 삽입부의 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AIR PURIFIER CONVERTER MODULE WITH ATTACHABLE STRUCTURE TO ELECTRIC FA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송풍수단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기를 이용한 모터의 작동을 통하여 소정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바람을 선택된 방향으로 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선풍기의 바람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사람이나 실내의 열을 빼앗아 시원하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풍기의 경우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환기나 공기정화의 기능은 수행하지 않으며, 이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조화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실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선풍기의 경우 단순 공기의 유동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내 오염물질도 함께 순환시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동의 발생으로 인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먼지나 이물들을 비산시켜 추가적으로 공기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대기오염물질이 증가되고 있어 대기 환경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는 황사와 디젤엔진 차량의 보급 증가에 따라 유발되는 미세먼지는 기관지염과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따라 근래 공기오염의 문제에 대한 개인 대책으로서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냉방을 위한 에어컨과, 송풍을 위한 선풍기와,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를 모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복수의 장비들의 배치가 번거롭고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비들이 고가여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송풍기나 공기정화장치 또는 에어컨 등을 결합하여 하나의 장비로 제작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융합장치의 경우 추가적인 구성을 위하여 부피와 무게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가격상승의 원인이 되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기에 비경제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370호는 종래기술의 공기정화용 선풍기 커버를 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개념도이다.
선풍기의 외면에 부직포와 커버용 천을 감싸면서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정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선풍기의 송풍능력에 제약을 가져오고 모터에 부하를 가중할 뿐만 아니라, 단순 필터망 정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에 그쳐 실질적으로 미세먼지 등의 여과성능에서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상기의 공기정화와 송풍기의 결합은 실제 기능성과 경제성에 한계를 가지므로 상품성을 갖추지 못하여 시장에 등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선풍기와 같은 송풍수단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수단의 탈착의 편리성을 증대시기고 내부의 필터부재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여과의 성능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방으로 공기의 연통이 가능한 전면망부와 전면망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결합수단을 결합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면망부를 구비하며 삽입부의 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성의 선풍기 및 에어필터 등의 활용이 가능하며 간편한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편리성과 경제성이 향상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전면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송풍수단 후면의 뼈대 또는 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패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외곽측에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말단에 배치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인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는 양측으로 탈착 가능한 전면제1프레임 및 전면제2프레임과, 후면제1프레임 및 후면제2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가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삽입부의 측면 개방부위에 삽입되어 필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격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측의 분할된 프레임부를 상호 이격되도록 연결하며, 송풍수단의 후방 돌출부의 상면에 안찰되는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수평조정부를 구비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프레임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레임부의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수직조정부를 구비하는 수직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공기정화용 선풍기 커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이 선풍기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일측의 변환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이 선풍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소정의 필터부재가 프레임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도 송풍수단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여 단순 송풍기능이 있는 송풍수단을 공기청정기로서 변환할 수 있는 변환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송풍수단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팬 형식이라면 다양한 유형의 선풍기, 송풍기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송풍수단을 통하여 발생되는 유동에 대해 공기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1000)를 제공하는바,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대한 방향성을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100)는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필터부재(20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외면 중의 어느 일측에는 삽입부(1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30)는 대략 필터부재(2000)의 평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필터부재(2000)의 삽탈이 용이하도록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부(1130)에는 소정의 커버부재(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30)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선택적이다. 다만,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0)가 전면프레임(1010)과 후면프레임(1020)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호간의 체결의 해제를 통하여 내부 공간의 개방이 가능하므로 상기 삽입부(1130)가 생략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00)는 경량화 및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100)에 삽입되는 필터부재(2000)는 부직포나 스펀지 등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에어필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재(2000)는 기성의 자동차용 캐빈필터(Cabin filter)나 실내용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필터의 별도의 제작이 필요하지 않고 이용자는 단순 기성의 필터를 구매하여 교체하면 족하므로 경제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프레임부(1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1010)와 상기 전면프레임(10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1010)은 전후방을 관통하여 유동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망부(1110)가 대략 면적의 대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후면프레임(1020)은 후면망부(1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망부(1110)와 후면망부(1120)는 대략 메시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간극을 통하여 큰 입자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1차 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전면프레임(1010)은 송풍수단의 후방에 장착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합수단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보강부(1111)가 전면망부(1110)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부(1111)는 후면프레임(1020)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최소한 전면프레임(1010)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중이 후면프레임(1020)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1111)는 전면프레임(1010)에 일체로 구성되는 일부일 수 있다.
삽입부(1130)를 형성하는 구조는 전면프레임(1010)이나 후면프레임(1020)의 선택된 부위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체결위치를 고려하면 전면프레임(1010)이 후면프레임(1020)보다 구조적으로 더 견고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프레임(1010) 측에 삽입부(1130)가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010)는 평면상 후방측이 개방된 'ㄷ'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부위를 후면프레임(1020)이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1010)에는 복수의 결합수단이 전방을 지향하여 배치되며, 선풍기의 후면에는 외기의 유입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살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수단은 집게 형태의 결합부(13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선풍기와 같은 구조의 후방이 평판 형상을 이루지 않음을 고려하여 전면프레임(10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결합부(1320)의 이격 간격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결합부(1320)가 배치되는 각 부위에는 길이의 선택이 가능한 지주부(1301)가 전면프레임(1010)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서 결합부(13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주부(13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전면프레임(1010)의 각 부위에는 지주부(1301) 장착홈(참조번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된 장착홈의 부위에 선택된 길이로서 지주부(1301)를 배치하고 그 말단에 결합부(1320) 또는 후술될 패드부(13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적절한 형태로 송풍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30)는 소정의 방진 및 완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수단의 후면측에 밀착되어 전면프레임(1010)을 지지하고 송풍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지주부(130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결합부(1320)와 패드부(1330)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1320)를 구성하는 집게의 마주보는 측에도 방진 및 체결의 확실성과 부품의 손상방지를 위한 완충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010)의 외곽측에는 와이어부(1311)에 의하여 클립부(13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부(1310)는 대략 송풍수단의 후면 외곽측 또는 뼈대나 살 부위에 결합되어 외곽측의 체결성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집게 형태의 결합부(1320)의 경우 탈착의 용이성은 있으나 폭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하거나 바람직하지 않게 체결이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추가적으로 전면프레임(1010)의 외곽측에 클립부(1310)가 와이어부(1311)와 함께 송풍수단에 결합되는 경우 구조적인 신뢰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1311)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이 선풍기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결합수단으로서, 지주부(1301)의 말단에 배치되는 결합부(1320)와 패드부(1330)가 선택될 수 있고, 전면프레임(1010)의 외곽측에는 와이어부(1311)에 의하여 연결되는 클립부(1310)가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송풍수단이 후방측에서 비교적 완만한 형태를 가지는 선풍기(100)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후방으로 가장 돌출된 중심부측에서 지주부(1301)가 가장 짧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곽측으로 갈수록 지주부(1301)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1301)의 길이는 선풍기(100)의 후면의 형상에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시사항에서 높이방향 중심부측에는 지주부(1301)에 패드부(1330)가 결합되어 선풍기(100)의 후방프레임(120)에 밀착된 상태로 방진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상하에서는 결합부(1320)가 뼈대 또는 살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전면프레임(1010)의 외곽측에는 신축 가능한 와이어부(1311)의 말단에 클립부(1310)가 배치되고, 이러한 클립부(1310)는 후방프레임(120) 또는 선풍기(100)의 전방측의 프레임의 선택된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클립부(1310)의 체결 상태에서 와이어부(1311)는 신장된 상태로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010)은 보강부(1111)를 전면에 형성하고 그 후면측에 전면망부(1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1010)의 전방측 부위에는 지주부(1301)의 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장착홈(참조번호 미표시)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홈의 수는 결합되는 지주부(1301)의 개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면프레임(1010)의 전면망부(1110) 후방측에는 삽입부(1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면프레임(1010)은 외곽측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부재(20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부(1130)를 덮을 수 있도록 정면상 전면프레임(10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형의 후면프레임(1020)이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후면프레임(1020)에는 체결부(112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21)는 후방측에서 후면프레임(102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와 같은 부재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면프레임(1020)에서 일체로 구성되는 후크돌기와 같은 구조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1020)에는 후면망부(1120)가 배치되어 공기의 전방측으로의 유통을 보장하면서 1차적인 필터링 기능을 수행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필터부재(2000)는 상기 삽입부(1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링 면적의 향상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절곡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2000)는 기성의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필터들이 연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가위나 칼과 같은 절단수단에 의하여 삽입부(1130)의 크기에 맞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복수의 필터부재(2000)들이 삽입부(1130)의 폭, 길이 또는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1100)가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하도록 한다.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선풍기(100)의 후방프레임이 비교적 완만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일의 프레임부(1100)에 의하여서도 그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가정용 선풍기의 형태는 후방측에 모터의 배치부위가 돌출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의 프레임부(1100)의 장착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소정의 장애물 부위를 회피하여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100)가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및 망부의 배치와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전면프레임이 일측의 전면제1프레임(1510)과 타측의 전면제2프레임(1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제1프레임(1510)과 전면제2프레임(1520)은 장방형의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면프레임에 대응되어 후면프레임 역시 후면제1프레임(1610)과 후면제2프레임(16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전면제1프레임(1510) 및 전면제2프레임(1520)에 체결부(1121)에 의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전면프레임 및/또는 후면프레임은 양측으로 분할 또는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위에 연결부재(1530)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재(1530)는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후크 및 후크홈(참조번호 미표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개념에 따라 전면망부(1110)와 후면망부(1120) 또한 분할 형상에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분할의 형태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4분할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대각선 또는 호형으로 분할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일측의 변환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제1프레임(1510)과 후면제1프레임(1610)은 상호 외곽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삽입부(11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부(1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필터부재(20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필터부재(2010)는 상기의 필터부재(2000)에서 절단되어 사용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따라 프레임부(1100)의 양분할이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부(1130)의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렇게 개방된 부위에서 필터부재(2000)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탈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전면제1프레임(1510)과 후면제1프레임(1610)의 이격 간격이 유지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삽입부(1130)의 일측 개방된 부위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격벽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제1프레임(1510)과 후면제1프레임(1610)에는 제1격벽부재(1710)가 배치되며 타측의 전면제2프레임(1520)과 후면제2프레임(1620)에는 제2격벽부재(도 7의 17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부재의 삽입을 위하여 전면제1프레임(1510)과 후면제1프레임(1610)의 개방되어 마주보는 측에는 슬라이딩홈(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어 이를 따라 제1격벽부재(171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되면서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장착상태의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격벽부재의 전후측에는 돌기부(17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돌기부(17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어느 한측의 프레임부가 분할된 상태에서 격벽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완전한 하나의 공기정화 모듈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로서도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송풍수단의 후면에서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공기정화의 효율성을 위하여 바람직한바 양분할된 양측의 프레임부들이 상호 이격되되 연결된 상태로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양측의 프레임부를 상호 연결하고 송풍수단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수단(1800)은 양측에서 분할된 프레임부들을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송풍수단의 후면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1800)은 폭방향 중심측에 선풍기(100)의 후면의 돌출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1811)를 구비하는 고정부(1810)와, 고정부(18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프레임(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810)는 바 형태의 수평프레임(1820)을 고정하면서 저부에 선풍기(100) 후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홈 형태인 안착홈부(181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820)은 기능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양측의 프레임부를 연결하면 족하므로 반드시 직선형 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송풍수단에 대응되어 이격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 수평프레임(1820)의 일부에는 수평조정부(1821)가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조정부(1821)는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1820)의 내관과 외관의 연결부위로 이해될 수 있고 길이의 고정을 위하여 내관과 외관이 볼팅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프레임(1820)의 양단측에서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830)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830)은 마찬가지로 수직조정부(1831)를 구비하여 프레임부들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적인 효율성을 고려하여 수직프레임(1830)이 양측의 제1격벽부재(1710)와 제2격벽부재(1720)에 연결되는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전면프레임이나 후면프레임의 선택된 부위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830)은 반드시 수평프레임(1820)의 말단에서 하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수단의 결합상태 및 수직프레임(183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이 선풍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수단으로서 선풍기(100)가 후면의 모터 등의 구동수단 배치를 위한 돌출부(130)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에 적용 가능한 경우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는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 전면제1프레임(1510) 및 후면제1프레임(1610)과, 전면제2프레임(1520) 및 후면제2프레임(162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측에서 바라볼 때 후면제1프레임(1610)과 후면제2프레임(1620) 및 후면망부(1120)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면제1프레임(1510)과 전면제2프레임(1520) 및 전면망부(1110)는 선풍기(100)의 후방프레임(120)에 인접되어 배치된다.
상기 후면망부(1120)는 블레이드부(110) 측으로 유입되기 전단계에서 공기 의 1차 필터링을 수행하며, 필터부재(2000)는 미세먼지 등을 정화한 이후에 전면망부(1110)를 통하여 전면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여과된 상태로 선풍기(100)에서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수단(1800)의 고정부(1810)에서는 안착홈부(1811)가 돌출부(130)의 상면에 안착되며 양측으로 수평프레임(1820)이 연장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820)에 형성되는 수평조정부(1821)에 의하여 양측의 프레임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직프레임(1830)이 수평프레임(1820)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830)의 수직조정부(1831) 조절을 통하여 양측 프레임부들이 배치되는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블레이드부(110)로 유입되는 최적화된 위치에 각각의 프레임부 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은 송풍수단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로 설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에 의하여 송풍수단과 필터부재를 새롭게 구성하고 케이싱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선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에 기성의 필터부재를 자유롭게 적용하여 공기청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풍수단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한 체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송풍수단에 적절하게 변형 및 위치변경하여 장착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편리성과 작동상의 편리성이 보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선풍기 110...블레이드부
120...후방프레임 130...돌출부
1000...공기청정기 변환모듈 1010...전면프레임
1020...후면프레임 1100...프레임부
1110...전면망부 1111...보강부
1120...후면망부 1121...체결부
1130...삽입부 1140...슬릿부
1301...지주부 1310...클립부
1311...와이어부 1320...결합부
1330...패드부 1510...전면제1프레임
1520...전면제2프레임 1530...연결부재
1610...후면제1프레임 1620...후면제2프레임
1710...제1격벽부재 1711...돌기부
1720...제2격벽부재 1800...지지수단
1810...고정부 1811...안착홈부
1820...수평프레임 1821...수평조정부
1830...수직프레임 1831...수직조정부
2000...필터부재 2010...제1필터부재

Claims (7)

  1.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되되, 상기 전면프레임의 외곽측에 연결되어 신장된 상태로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말단에 배치되는 클립부와, 전면프레임으로부터 송풍수단의 후면의 형상에 따라 선택된 길이의 지주부를 구비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방으로 공기의 연통이 가능한 전면망부와 전면망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결합수단을 결합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면망부를 구비하며 삽입부의 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주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송풍수단 후면의 뼈대 또는 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패드부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중심부측에가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며 외곽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3. 삭제
  4.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송풍수단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방으로 공기의 연통이 가능한 전면망부와 전면망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결합수단을 결합하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양측으로 탈착 가능한 전면제1프레임 및 전면제2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면망부를 구비하며 삽입부의 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고 양측으로 탈착 가능한 후면제1프레임 및 후면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분할된 프레임부를 상호 이격되도록 연결하며, 송풍수단의 후방 돌출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프레임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수평조정부를 구비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가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삽입부의 측면 개방부위에 삽입되어 필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격벽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프레임의 말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레임부의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수직조정부를 구비하는 수직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KR1020160052883A 2016-04-29 2016-04-29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KR10189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83A KR101890470B1 (ko) 2016-04-29 2016-04-29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83A KR101890470B1 (ko) 2016-04-29 2016-04-29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59A KR20170123459A (ko) 2017-11-08
KR101890470B1 true KR101890470B1 (ko) 2018-08-21

Family

ID=6038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883A KR101890470B1 (ko) 2016-04-29 2016-04-29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39A1 (ko) * 2019-11-13 2021-05-20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96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대창 공기청정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520A1 (en) * 2002-04-05 2003-10-09 Paul Boulva Air filter system for a free-standing air blowing fa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49Y1 (ko) * 2008-09-11 2010-07-05 김호태 선풍기 부착용 아이스팩 보관함
KR101482133B1 (ko) * 2008-12-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168758B1 (ko) * 2010-02-25 2012-07-26 황병상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KR200467175Y1 (ko) * 2011-08-02 2013-05-31 김학송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520A1 (en) * 2002-04-05 2003-10-09 Paul Boulva Air filter system for a free-standing air blowing f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39A1 (ko) * 2019-11-13 2021-05-20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59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287B2 (en) Filter mounts for a portable fan and methods for mounting a filter to a portable fan
US6174350B1 (en) Vacuum cleaner
US7524362B2 (en) Modular filter assembly
US4737173A (en) Room air treatment system
RU2543889C2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в сооружениях для стойлового содержания животных с помощью панельного воздушного фильтра с зигзагообраз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панелей
US9126135B2 (en) V-bank air filtration system such as for animal confinement
KR200486077Y1 (ko) 선풍기용 에어필터
KR101890470B1 (ko)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US20150336040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CA2602631A1 (en) Air filter for an exhaust fan
US20080064319A1 (en) Air Filter for an Exhaust Fan
JP5580515B2 (ja) ポケット形エアフィルター
US7052524B1 (en) Fan mounted air purifier
US8784524B2 (en) Duct vent filter cover
JPH1176729A (ja) 室内空気処理用のフィルタ部材
EP2825763A1 (en) Screen panel for covering at least partly an air intake opening of an air inlet house of a combustion engine or a compressor
JP3825562B2 (ja) 空気調和機
US640650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shielding flexible outer bags of vacuum cleaners
CN215585732U (zh) 空调滤清器和车辆
KR200489754Y1 (ko) 선풍기 안전망
KR102170048B1 (ko) 선풍기의 안전망
KR101252636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CN213178705U (zh) 一种恒温恒湿甲醛处理一体机
CN210302846U (zh) 空气净化器
JPH03206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